KR100765915B1 -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 Google Patents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915B1
KR100765915B1 KR1020060100573A KR20060100573A KR100765915B1 KR 100765915 B1 KR100765915 B1 KR 100765915B1 KR 1020060100573 A KR1020060100573 A KR 1020060100573A KR 20060100573 A KR20060100573 A KR 20060100573A KR 100765915 B1 KR100765915 B1 KR 10076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ltraviolet rays
housing
emitting element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to KR102006010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88Diaphragms, spatial filters, masks for removing or filtering a part of the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게시된 본 발명은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피검출 종이류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자외선 중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자외선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된 자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두께가 상기 발광소자가 방사하는 자외선의 최고점보다 짧게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피검류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보다 쉽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의 수신감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를 특정 기기에 설치할 경우 일일이 거리를 계산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투명렌즈에 상기 피검출 종이류를 보다 용이하게 투입시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성능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발광소자, 적외선 차단필터, 수광부, 증폭회로, 투명렌즈

Description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SHEET FLUORESCENCE DETECTION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투명렌즈의 상부면과 수광부의 이격거리 X와, 발광소자의 방사각 θ, 수광부와 발광소자의 이격거리 L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30; 발광소자,
50; 적외선 차단필터, 70; 수광부,
90; 피검출 종이류, 100; 증폭회로,
130: 투명렌즈, α; 유격거리,
P; 자외선의 최고점.
본 발명은 상기 피검류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보다 쉽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의 수신감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를 특정 기기에 설치할 경우 일일이 거리를 계산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투명렌즈에 상기 피검출 종이류를 보다 용이하게 투입시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성능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검출 종이류 중 특히 지폐의 경우 복사기나 스캐너 등과 같은 컴퓨터와 관련된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해가 바뀔수록 일반인들도 상기 지폐를 위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위조지폐를 판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육안감식방법이 사용되는데, 상기 육안감식방법은 상기 지폐를 밝은 곳에 비추는 방법으로써, 상기 지폐를 밝은 곳에 비추어보았을 때 진폐의 경우에는 숨어있는 그림 및 문자가 상기 지폐의 표면에 나타나게 되고, 위폐의 경우에는 숨어있는 그림 및 문자가 지폐의 표면에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육안으로 판별해야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빛이 약하거나 차단된 장소에서는 쉽게 상기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기 피검류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보다 쉽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의 수신감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됨은 물론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를 특정 기기에 설치할 경우 일일이 거리를 계산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투명렌즈에 상기 피검출 종이류를 보다 용이하게 투입시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성능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피검출 종이류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자외선 중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자외선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된 자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두께가 상기 발광소자가 방사하는 자외선의 최고점보다 짧게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렌즈의 상부면의 위치는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의 이격거리, 상기 발광소자의 방사각 및 상기 수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이격거리를 근거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렌즈의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의 이격거리를 X, 상기 발광소자의 방사각을 θ, 상기 수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이격거리를 L,이라고 할 때,
[수학식]
Figure 112006074610301-pat00001
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를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투명렌즈(130)의 상부면과 수광부(70)의 이격거리 X와, 발광소자의 방사각 θ, 수광부(70)와 발광소자의 이격거리 L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발광소자(30), 적외선 차단필터(50), 수광부(70), 증폭회로(100) 및 투명렌즈(1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1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수용공간(10a)에는 피검출 종이류(90)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상기 발광소자(30)와, 상기 발광소자(30)로부터 방사된 자외선 중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자외선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50)와,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50)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된 자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70)와, 상기 수광부(7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회로(1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여러가지 형상 및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수용공간(10a)에 수용되고, 발광원으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30)가 투입된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에 자외선을 방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에 방사된 자외선 중 일부는 상기 피검출 종이류(90)를 투과하여 지나가고, 일부는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에 흡수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다.
그러나, 상기 피검출 종이류(90)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자외선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50)는 상기 발광소자(30)로부터 방사된 자외선 중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자외선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발광소자(30)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에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있는 형상 및 구조 그리고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자외선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70)는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50)를 통해 적외선이 차단된 자외선을 수광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70)로써, 포토 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폭회로(100)는 자외선을 수광한 상기 수광부(70)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써, 증폭된 전류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 나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에 출력된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30)로부터 방사된 자외선이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50)에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상기 투명렌즈(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렌즈(130)의 상부면 위치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렌즈(130)의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70)의 이격거리, 상기 발광소자(30)의 이격거리를 근거로 결정된다.
즉, 상기 투명렌즈(130)의 두께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30)가 방사하는 자외선의 최고점(P)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검출 종이류(90)가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에 투입될 시 상기 피검출종이류(90)가 완전밀착되지 않은 상태의 유격거리(α)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자외선의 최고점(P) 검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검출 종이류(90)가 완전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에 투입된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에 상기 피검출 종이류(90)가 투입될 때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에 상기 자외선의 최고점(P)이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자외선의 최고점(P)의 수신감도 즉,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의 수신감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종이류 형광검출센서를 특정기기에 설치할 경우 일일이 거리를 계산하면서 고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렌즈(130)의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70)의 이격거리를 X, 상기 발광소자(30)의 방사각을 θ, 상기 수광부(70)와 상기 발광소자(30)의 이격거리를 L이라 할 때
[수학식]
X = Ltanθ - α,(α = 0.8 ± 0.5 mm)에 의하여 상기 투명렌즈(130)의 상부면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명렌즈(130)의 상부면 위치가 상기 수학식 X = Ltanθ - α,(α = 0.8 ± 0.5 mm)에 의하여 결정됨으로써, 진위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상기 피검출 종이류(90)가 상기 투명렌즈(130)에 보다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투명렌즈(130)에 투입된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피검출 종이류(90)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의 판별성능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투명렌즈(1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보다 상기 피검류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보다 쉽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렌즈의 상부면 위치가 상기 투명렌즈(130)의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70)의 이격거리, 상기 발광소자(30)의 이격거리를 근거로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의 수신감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을 뿐더러, 특정기기에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를 설치할 경우 일일이 거리를 계산하여 고정해야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위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상기 피검출 종이류(90)가 상기 투명렌즈(130)에 보다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된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본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의 판별성능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피검출 종이류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자외선 중 상기 피검출 종이류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자외선 중에서 적외선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필터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된 자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두께가 상기 발광소자가 방사하는 자외선의 최고점보다 짧게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렌즈의 상부면의 위치는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의 이격거리, 상기 발광소자의 방사각 및 상기 수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이격거리를 근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렌즈의 상부면과 상기 수광부의 이격거리를 X, 상기 발광소자의 방사각을 θ, 상기 수광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이격거리를 L,이라고 할 때,
    [수학식]
    Figure 112007063456803-pat0000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3. 삭제
KR1020060100573A 2006-10-17 2006-10-17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KR10076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573A KR100765915B1 (ko) 2006-10-17 2006-10-17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573A KR100765915B1 (ko) 2006-10-17 2006-10-17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915B1 true KR100765915B1 (ko) 2007-10-10

Family

ID=3941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573A KR100765915B1 (ko) 2006-10-17 2006-10-17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552A1 (ko) * 2011-12-26 2013-07-04 Kim Young Ki 활성산소 분석기와 이를 이용한 활성산소 분석방법
KR102318348B1 (ko) * 2020-04-29 2021-10-29 주식회사 에이유이 초소형 위폐 감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67A (ja) * 2002-03-07 2003-09-19 Nidec Copal Corp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JP2004265208A (ja) * 2003-03-03 2004-09-24 Nidec Copal Corp 蛍光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667A (ja) * 2002-03-07 2003-09-19 Nidec Copal Corp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JP2004265208A (ja) * 2003-03-03 2004-09-24 Nidec Copal Corp 蛍光セン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552A1 (ko) * 2011-12-26 2013-07-04 Kim Young Ki 활성산소 분석기와 이를 이용한 활성산소 분석방법
KR101335321B1 (ko) * 2011-12-26 2013-12-02 김영기 활성산소 분석기와 이를 이용한 활성산소 분석방법
KR102318348B1 (ko) * 2020-04-29 2021-10-29 주식회사 에이유이 초소형 위폐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96413B2 (en) Reflective optical sensor for bill validator
US5640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documents including currency
KR101752758B1 (ko) 지폐 감별기
WO2015159438A1 (ja) 紙葉類真偽判別装置及び紙葉類真偽判別方法
EP0263099A1 (en) A method of reading valuable documents; a valuable document; and document reading means
JP2006258808A (ja) 眼の保護に適合させた携帯型蛍光検出装置
KR100765915B1 (ko) 종이류 형광검출 센서
JP2003006625A (ja)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WO2003073384A1 (fr) Capteur detectant la fluorescence de feuilles
JP2007141109A (ja) 紙葉類識別装置
US10748368B2 (en) Banknote validator
JP5174496B2 (ja) 光学センサモジュール
JP4163822B2 (ja) 紙葉類用の蛍光検出装置
RU245569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рельеф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0945268B1 (ko) 위조지폐 감별유니트
JP2003162748A (ja)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EP1760670B1 (en) Inspection device
CN211087365U (zh) 一种基于越南盾的荧光检测装置
JP2005215784A (ja) 蛍光検出装置
KR101203076B1 (ko) 지폐계수기
JP2003288629A (ja) 紙葉類判別方法および紙葉類判別装置
JP4721509B2 (ja) 紙葉類検出センサ
KR101037696B1 (ko) 은선감지장치의 제어방법
JP2003263667A (ja)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KR20220075084A (ko) 지폐 정사기와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