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433B1 -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433B1
KR100765433B1 KR1020050105380A KR20050105380A KR100765433B1 KR 100765433 B1 KR100765433 B1 KR 100765433B1 KR 1020050105380 A KR1020050105380 A KR 1020050105380A KR 20050105380 A KR20050105380 A KR 20050105380A KR 100765433 B1 KR100765433 B1 KR 10076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ing
data
module
purchase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375A (ko
Inventor
이상천
이기형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이젠닷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이젠닷넷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4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계 지식을 갖지 않은 일반 사용자도 컴퓨터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회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업의 경리부서에 가장 적합한 입력환경을 제공하고, 전표의 추가, 삭제, 수정이 용이하며 마치 엑셀작업을 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고 익숙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며, 전표입력 시에도 특정일자, 전표번호, 특정계좌과목 또는 금액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거래처별 원장도 조회가 가능하며 적요란 등록 또한 용이하다.
회계, 기업, 경리, 전표, 금액, 원장

Description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ccounts management}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의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계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사용자환경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계정과목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거래처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사원코드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전기분 재무제표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거래처별 전기분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결산 재고조사표정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현금잔액 검토조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일반전표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일반전표등록의 아이콘설명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전표검색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잔액조회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매입매출전표등록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매입매출가져오기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매입변환계정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매입매출전표조정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지출결의서입력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지출결의서승인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일계표/월계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계정별원장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매입매출장을 나타낸 도면,
도 25는 합계잔액시산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전표제어모듈
400 : 지출결의모듈
500 : 검색모듈
600 : 매입매출장 입력모듈
700 : 자동등록모듈
800 :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
본 발명은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회계 지식을 갖지 않은 일반 사용자도 컴퓨터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회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계는, 특정의 경제적 실체(economic entity)에 관하여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에게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 데 유용한 재무적 정보(financial information)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또는 체계이다.
오늘날 사회에서의 경제활동은 기업, 국가, 학교 등 일정한 사회적 조직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들 사회적 조직에 대하여는 이해관계를 가지는 개인이나 조직이 존재한다. 이들 이해관계자들은 자기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며,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의사결정의 결과가 자기 이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전제되고 있는 실체와 관련된 현상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회계는 이러한 현상을 화폐액으로써 나타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회계의 기원에 관하여는 정설(定說)이 없으나 일반적으로 경제행위가 분업화되어 자원의 소유와 관리가 분리됨에 따라 소유주는 관리자에게 맡겨진 자신의 자원의 관리에 관한 수탁관리자로부터의 보고를 통하여 자신의 이익보호를 위한 의사결정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업제도에서 필연적으로 회계의 기능이 사회 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오늘날 경제사회에서의 사회적 분업은 더욱 확대되었고 어떤 경제적 실체에나 이해관계자는 존재하게 되어, 회계의 기능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회계는 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경제적 실체를 전제로 하여, 그 실체와 관련된 현상만을 나타내 주는데, 이때 회계가 성립하는 데 있어서 전제되는 경제적 실체를 회계실체(accounting entity) 또는 회계주체라고 한다.
회계실체는 법적인 권리?의무의 주체가 되는 단위뿐만 아니라, 경제적 행위의 단위가 될 수 있는 것이면 아무것이나 될 수 있다. 기업이 법인화되어 있을 때, 그 법인이 하나의 회계실체가 될 수도 있지만, 법적 권리?의무의 주체가 될 수 없는 회사의 1부문(공정, 작업반 등)도 회계실체가 될 수 있다. 기업이 회계실체가 되어 성립된 회계를 기업회계, 국가를 회계실체로 하는 회계를 국가(예산)회계, 가정을 회계실체로 하는 회계를 가계(家計)라고 한다.
회계는 그것이 제공해 주는 정보가 재무적 정보라는 점에서 다른 모든 정보기능과 구별된다. 회계가 제공하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회계실체의 경제적 현상을 화폐액으로 나타내주는 것이므로, 화폐액으로 나타낼 수 없는 현상은 회계대상에서 제외된다. 회계정보가 나타내주는 현상은 실제로 존재하거나 발생하였던 것에 한정된다. 미래에 존재하게 되거나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은 원칙적으로 회계대상에서 제외되며, 역사적으로 실존하는 현상만을 나타내 준다.
또한, 최근 들어 컴퓨터의 발전으로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회계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온라인상의 회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회계 결과를 얻는 경우도 흔한 현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은 일반 사용자가 회계 지식을 갖지 않는 경우에 데이터를 올바르게 입력하지 못하여 잘못된 회계 결과를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여 처리하는 온라인 전용의 회계 프로그램만을 사용하여야 하는바, 회계자료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다운로드 받은 후, 예를 들면 원장에 기재된 차변 또는 대변 금액을 확인하기 위해 거래시 발생이 된 증빙을 대조할 필요가 있는데, 증빙에 관한 자료를 보관하고 있지 않은 경우 그 확인이 곤란하였고, 다행히 보관하고 있다 하더라도 많은 자료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일일이 찾아야 하는 불편이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회계 지식을 갖지 않은 일반 사용자도 컴퓨터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회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의 특징은,
각 부서 및 담당 회계자료 입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전표의 입출력 수정, 삭제, 추가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전표제어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매입매출수금에 대한 자료를 로딩하여 관리하며 상기 전표제어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입매출 수금자료 관리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매입매출장 입력모듈과;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와 상기 전표제어모듈을 통해 처리되어지는 전표데이터를 기준으로 부가세 신고용 자료를 생성하는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과;
상기 매입매출장 입력모듈를 통해 입력받은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상기 전표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전표제어모듈이 변동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측으로 전송하는 자동등록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지출과 관련한 변동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자동등록모듈을 통해 상기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과 전표제어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지출결의모듈과;
상기 전표제어모듈과 지출결의모듈을 통해 상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변동상황의 발생 및 그에 따른 데이터의 변동 추이 등을 요청하는 경우 기존의 데이터를 요청사안에 따라 검색하며 데이터화시키는 검색모듈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통합관리하여 데이터의 계정 및 정보를 상기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로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임의의 조정모듈과 회계통합관리모듈로 구성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계관리 방법의 특징은,
기업의 경리부서에 가장 적합한 입력환경을 제공하는 단계와;
전표의 추가, 삭제, 수정을 제공하는 단계와;
전표입력 시에 특정일자, 전표번호, 특정계좌과목 또는 금액으로 조회하는 단계와;
거래처별 원장 조회와 적요란을 등록하는 단계와;
매입매출장 입력시 경리전표자료가 자동으로 등록됨과 아울러 부가세신고가 되는 단계와;
매입/매출/수금자료 가져오기의 메뉴에서 매입/매출 자료와 경리전표로 자동 연계시켜 지출결의서를 경리부의 전표로 승인하는 단계와;
사전검색 작업을 실시하고 서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의 연결방법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은 회계에 따른 관리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는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예를 들어, 재고부분산회계컴퓨터, 영업부분산회계컴퓨터, 생산부분산회계컴퓨터 등)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입력받고 그 메시지에 따라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을 관리하는 통합분산회계 관리시스템(예를 들어, 통합회계팀분산회계관리컴퓨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전표의 입출력 수정, 삭제, 추가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전표제어모듈(300)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매입매출수금에 대한 자료를 로딩하여 관리하며 상기 전표제어모듈(3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입매출 수금자료 관리모듈(900)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매입매출장 입력모듈(600)과,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와 상기 전표제어모듈을 통해 처리되어지는 전표데이터를 기준으로 부가세 신고용 자료를 생성하는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800)과, 상기 매입매출장 입력모듈(600)를 통해 입력받은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상기 전표제어모듈(300)로 전송하여 상기 전표제어모듈(300)이 변동 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800)측으로 전송하는 자동등록모듈(700)와,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지출과 관련한 변동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자동등록모듈을 통해 상기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과 전표제어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지출결의모듈(400)과, 상기 전표제어모듈(300)과 지출결의모듈(400)을 통해 상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변동상황의 발생 및 그에 따른 데이터의 변동 추이 등을 요청하는 경우 기존의 데이터를 요청사안에 따라 검색하며 데이터화시키는 검색모듈(500)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통합관리하여 데이터의 계정 및 정보를 상기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로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임의의 조정모듈(100)과 회계통합 관리모듈(2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계관리 시스템의 동작중 사용자컴퓨터(10)에 구축되는 회계관리 프로그램의 회계정보 관리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계관리 프로그램을 클릭할 경우, 도 3과 같이 회계관리 메인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01).
그리고, 작업하고자 하는 메뉴(전표입력, 장부/보조장, 결산/재무제표, 어음기입장, 예산/차임금, 고정자산/감가상각, 부가가치세, 회계기초관리, 환경설정 등)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메뉴 중에서 회계기초관리 메뉴가 선택되었으면 도 4와 같이 사용자환경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03, S105).
이때, 사용자환경등록에는 당기의 회계회기와 시작년일, 종료년월일을 입력하는 입력란의 회계환경 설정이 있고, ER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입자료의 데이타 를 본 회계자료로 변환하는 경우에 계정과목을 설정하는 입력란의 매입변환계정 설정이 있다.
상기 계정과목 중 기본 계정과목은 재고자산의 차변 계정과목 설정(원재료, 부재료, 상품 등)이 있고, 결제 계정과목은 재고자산의 대변계정에 있는 결재계정과목(외상매입금,혐금)이 있다.
그리고, 부가세구분은 매입부가세 계산서를 받느냐의 여부에 있다.
또한, 사용자환경등록에는 매출자료의 데이터를 본 회계자료로 변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매출변환계정이 있다.
상기 계정과목중 기본 계정과목은 차변에 계상되는 수익 계정과목(상품매출, 제품매출, 운송수익)이 있고, 결제 계정과목은 대변에 계상되는 결재과목(외상매출금, 미수금, 현금)이 있다.
그리고, 부가세구분은 부가세를 발행되는지 여부에 있다.
또한, 사용자환경등록에는 수금자료의 데이터를 본 회계자료로 변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금변환계정이 있다.
한편, 상기 계정과목은 기본적으로 일반기업에 사용되는 표준 계정과목이 이미 입력되어 있지만 기업환경에 맞도록 수정/추가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정과목 및 적요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07).
그리고, 계정과목 코드는 4자리로 입력할 수 있는데 첫 번째 2자리는 의미있는 숫자이고, 마지막 2자리만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좌자산 11 매출액 61
재고자산 12 판매비와일반관리비 62
투자자산 21 영업외수익 63
유형자산 22 영업외비용 64
무형자산 23 특별이익 65
유동부채 31 특별손실 66
고정부채 41 법인세등 67
자본금 51 재료비 71
자본잉여금 52 노무비 72
이익잉여금 53 제조경비 7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정과목명은 일반전표등록이나 보조장 등에 출력되는 계정과목을 입력하고, 양식계정과목명은 대차대조표나 손익계산서 등의 외부제출용 보고서작성용 계정과목명을 입력한다. 그리고, 잔액발생구분은 잔액이 발생되는 대차위치를 지정하는 구분표시이고, 대차대조표의 자산계정과목은 차변발생과목이며, 부채와 자본계정과목은 대변발생과목이다.
또한, 차감항목은, 계정과목이 상위의 계정과목에서 차감표시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대손충당금 계정과목은 외상매출금이나 받을 어음의 계정과목에서 차감형식으로 표시되며, 감가상각 누계액은 고정자산항목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회계결산시에 평가계정과목을 일률적으로 조정하여 결산을 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러한 계정과목은 일반전표입력에서 전표기입해도 무방하지만 '결산재고조사표정리'라는 프로그램에서 별도로 결산정리한다.
이때, 해당되는 계정과목은 대손상각비, 감각상각비, 무형자산 , 퇴직급여등, 단퇴급여등, 특별이익, 특별손실, 법인세 등이 있다.
그리고, 통합계정은 개정된 기업회계기준에 맞춘 합계잔액 시산표나 재무제표에 출력하기 위하여 설정해놓은 코드로 기본값은 자동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신규로 등록된 계정과목만 콤보박스에서 해당되는 통합계정항목을 선택지정하면 된다.
그리고, 보조기능은 일반전표입력에서 전표를 등록하는 중에 받을 어음이나 지급어음, 차입금 항목을 별도로 입력가능하도록 선택한다.
그리고, 수정불능여부는 회계관리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계정과목이므로 삭제불능의 표시이다. 물론 내용을 수정할 수 있지만 삭제불능이다. 이러한 계정과목은 계정과목 리스트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적요란 등록은 전표입력시 해당계정과목에서 많이 사용되는 적요란을 별도로 등록하면 전표 입력작업시 적요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거래처등록이 선택되었으면, 도 6과 같이 거래처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09).
여기서, 거래처등록은 거래처별 원장이나 거래처별 잔액명세서 등 거래처관련 출력을 위해 기본적인 매출처, 매입처 등을 입력한다.
그리고, 사원코드등록이 선택되었으면, 도 7과 같이 사원코드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11).
여기서, 사원코드, 부서코드, 품목코드는 회계관리 프로그램에서 보조적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로로써, 단순한 회계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입력을 생략해도 무방하다.
다른 한편, 전기분 재무제표등록이 선택되었으면, 도 8과 같이 전기분 재무제표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13).
상기 전기분 재무제표 이월처리는 전기의 계정별 잔액을 당기의 거래분에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한다. 처음 사용하시는 사용자만 입력하며, 다음 회계년도에서는 계정의 잔액들이 자동으로 이월된다.
또한, 전기의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원가명세서, 이익잉여금 등을 입력사용할 수 있으며 손익계산서나 원가명세서를 비교식으로 시용하지 않는 경우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전기분 대차대조표는 전기분 계정별 이월 금액을 해당 계정과목 리스트에서 전기이월금액으로 입력하고, 재고자산 이월금액은 손익계산서의 기초 재고자산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전기분 손익계산서는 손익계산서를 비교식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전기분 손익계산서 계정별 이월잔액을 입력한다. 또한, 전기분 원가명세서는 당해년도의 원가명세서에서 전기, 당기 비교식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전기분 잉여금(결손금)은 당해년도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를 전기/당기 비교식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입력한다.
또 다른 한편, 거래처별 전기분등록이 선택되었으면, 도 9와 같이 거래처별 전기분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15).
여기서, 거래처별 전기분 잔액 이월처리는 거래처별로 보조장을 출력하기 위하여 입력하고, 거래처별 이월잔액의 합계는 계정별 이월잔액과 합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거래처별 초기이월은 해당 계정과목 리스트에서 클릭하면 오른쪽 거래처별 잔액입력에서 등록하면 된다. 또한, 부서별 초기이월은 부서별로 보조원장을 관리하는 경우에 부서별 전기이월 금액을 등록한다.
그런후에, 결산재고조사표정리가 선택되었으면, 도 10과 같이 결산재고조사표정리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17).
상기 결산재고조사표정리는 기중에 입력된 전표자료에 의거 결산 전에 재고정리, 평가계정을 정리하는 것을 말하고, 제조재고정리, 상품재고정리, 평가계정정리 등이 있다,
상기 제조재고정리는 제조원가명세서를 작성하기 전에 기말의 제조 재고일력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기말의 원재료 재고액, 부재료 재고액, 재공품 재고액을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상품재고정리는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기 전에 기말의 상품 재고액, 제품 재고액을 입력한다.
또한, 상기 평가계정정리는 당기의 수익과 비용에 정확히 반영해야만 적절한 재무제표가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현금잔액 검토조정이 선택되었으면, 도 11과 같이 현금잔액 검토조정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19).
여기서, 현금계정의 잔액이 틀리는 경우 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조정하고자 하는 년월을 선택하여 검색하면, 일반전표에서 입력된 입금전표/출금전표를 반영한 후의 일자별 잔액이 표시된다.
한편, 작업하고자 하는 메뉴(전표입력, 장부/보조장, 결산/재무제표, 어음기입장, 예산/차임금, 고정자산/감가상각, 부가가치세, 회계기초관리, 환경설정 등)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메뉴 중에서 전표입력 메뉴가 선택되었으면 도 12와 같이 일반전표등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21)
상기 일반전표입력은 부가세신고와 관련된 매입매출 거래 이외의 모든 거래를 입력한다. 여기서, 화면 좌측 상단의 전표일자가 자동으로 오늘 일자로 표시되며, 전표작업 하고자 하는 일자를 선택한다.
특히, 계정과목코드 4자리를 입력하면 계정과목명은 자동입력되고, 계정과목코드가 없으면 해당 전표내용은 무시된다.
여기서, 계정코드를 모르는 경우, 계정코드란 옆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거나 F2를 누르면 입력 화면 중앙에 계정과목코드의 검색박스 (검색도움화면)가 나타나게 된다. 검색조건 입력박스에서 계정과목명을 입시킨 후 엔터키를 치거나 검색 아이콘을 누르면 입력된 검색조건에 포함되는 모든 계정과목명이 리스트에 나타난다. 방향키를 사용하거나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계정과목을 찾는다. 해당되는 계정과목 리스트에서 엔터키를 키거나 더블클릭하면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거래처코드는 채권, 채무관련 계정인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등의 거래처별 잔액 또는 거래명세를 관리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란으로 거래처코드를 입력하면 거래처명은 화면에 자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일반전표입력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일반전표입력을 보면서 순차적으로 한다.
상기 입력된 전표의 수가 많으면 특정의 전표를 찾기가 어려울 때 전표 검색을 선택한다,
상기 전표 검색이 선택되었으면, 도 14와 같이 전표 검색 조건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23).
여기서, 검색조건에서 찾고자 하는 조건을 콤보박스에서 선택한다. 검색조건은 계정과목, 거래처코드, 사원코드, 부서코드, 전표구분, 금액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계정과목 검색조건을 선택하면 계정과목코드를 입력하게 되는데, 코드를 모르면 옆에 있는 검색 아이콘을 클릭하여 계정과목명으로 입력할 수 있다. 거래처 검색조건을 선택하면 거래처코드 입력박스가 표시되고, 사원코드는 사원코드 입력 박스를, 부서코드 검색조건은 부서코드 입력박스가 나타나게 된다. 범위 검색은 특정된 검색조건만이 아니라 범위를 지정하여 찾고자 할 때 사용된다. 계정과목코드를 1108부터 1120을 지정하면 해당되는 범위의 모든 전표내용을 검색표시하게 된다. 검색조건 값을 모두 채운 후, 검색아이콘을 클릭하면 본래의 전표입력화면으로 복귀하여 다음 화면과 같이 검색된 화면만 나타나게 된다. 필요시 전표수정(삭제) 등의 작업을 한 후 본래의 전표입력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잔액조회가 선택되었으면, 도 15과 같이 잔액조회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25).
전표입력 작업중에 특정된 거래처에 대한 계정과목 잔액을 알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엔 '잔액'아이콘을 클릭하거나 F6키를 누르면 잔액조회 박스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전표입력 작업중에 양식전표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출력아이콘' 클릭하거나 F7키를 누른다,
한편, 매입매출전표 등록이 선택되었으면, 도 16과 같이 매입매출전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27).
여기서, 상기 매입매출전표입력은 부가가치세신고와 관련된 매입매출거래를 입력한다. 상단부는 부가가치세 관련 각 신고자료이고, 하단부는 각 재무회계자료이다.
다른 한편, 매입매출 가져오기가 선택되었으면, 도 17과 같이 매입매출 가져오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29).
상기 매입매출 가져오기는 ERP를 사용하는 사용자환경에서 영업부나 생산부의 관련자료를 회계관리의 전표로 통합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이때, 회계관리의 통합대상은 영업부의 매출자료나 수금자료, 구매부의 구매자료이다. 이러한 통합환경의 설정은 사용자환경등록에서 등록된 내용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기업환경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변환일자에서 지정된 일자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입변환계정은 해당되는 자료를 검색하여 회계자료로 자동으로 변환을 시작한다.
또 다른 한편, 매입매출전표 조정이 선택되었으면, 도 19와 같이 매입매출전표 조정하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31).
여기서, 상기 매입매출 가져오기 메뉴에서 가져온 자료를 경리전표로 확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검토, 조정을 위하여 사용되고, 사전에 검토,조정하는 이유는 여기서 확인된 자료는 부가가치세 신고대상으로 확정되기 때문에 문제점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지출결의서 입력이 선택되었으면, 도 20과 같이 지출결의서 입력하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33).
지출결의서 입력은 현업부서에서 지출된 비용을 직접 입력시켜 내부 결재과정을 거쳐 경리부의 회계자료로 반영되도록 한다. 이러한 입력작업은 지출비용을 적시에 전표로 반영함으로서 월말에 자료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전표자료의 오류와 누락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적정한 재무자료를 즉시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후에, 지출결의서 승인이 선택되었으면, 도 21과 같이 지출결의서 승인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35).
상기 지출결의서 승인은 현업부서에서 입력된 지출결의서를 경리부에서 그 내용을 확인하여 경리전표에 반영하는 작업을 말하고, 이러한 승인작업은 지출결의서에 기입된 내용이 적정한지를 검증하고, 회계기준에 적합하도록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작업하고자 하는 메뉴(전표입력, 장부/보조장, 결산/재무제표, 어음기입장, 예산/차임금, 고정자산/감가상각, 부가가치세, 회계기초관리, 환경설정 등)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메뉴 중에서 장부/보조장 메뉴가 선택되었으면 도 22와 같이 일계표/월계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37, S139)
여기서, 검색기간은 일계표는 조회하고자 하는 일자를 기간으로 선택하고, 월계표는 년,월을 검색기간으로 입력한다.
그리고, 계정별 원장이 선택되었으면, 도 23과 같이 계정별 원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41)
여기서, 계정과목은 계정하고자하는 계정과목을 입력한다.
또한, 리스트에서 수정/확인하고자 하는 전표를 더블클릭하거나, '확인'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전표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는 조회박스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매입매출장이 선택되었으면, 도 24와 같이 매입매출장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43)
상기 매입매출장은 매입매출전표입력에서 등록된 자료에 의해 작성되고, 매입과 매출로 구분하여 조회/출력하게 된다.
다른 한편, 합계잔액시산표가 선택되었으면, 도 25와 같이 합계잔액시산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45)
여기서, 통합계정과목을 설정하는 방법은 계정과목 및 적요 등록 메뉴에서 통합하고자 하는 계정과목을 선택하여 통합계정이라는 항목의 콤보박스에서 통합계정항목을 선택하고, 기업환경에 맞도록 추가입력된 계정과목을 통합계정항목으로 추가 지정하여 사용한다.
또 다른 한편, 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가 선택되었으면, 도 26과 같이 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47)
상기 이익잉여금의 처분은 주주총회에서 결의하는 사항으로 기업의 잉여금을 이익준비금이나 기업합리화적립금 등으로 처분하고, 잉여금에서 처분한 사항은 당기의 대차대조표에 반영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은 기업의 경리부서에 가장 적합한 입력환경을 제공하고, 전표의 추가, 삭제, 수정이 용이하며 마치 엑셀작업을 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고 익숙한 입력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표입력 시에도 특정일자, 전표번호, 특정계좌과목 또는 금액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거래처별 원장도 조회가 가능하며 적요란 등록 또한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은 매입매출장 입력만으로 경리전표자료도 자동등록되며, 부가세신고 자료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의 ERP통합을 위하여 매입/매출/수금자료 가져오기의 메뉴에서 매입/매출 자료와 경리전표로 자동 연계가 가능하고 현업부서의 지출결의서를 경리부의 전표로 승인하기 위한 사전검색 작업을 두어 일관성 있는 시스템이 가능하며, 서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의 연결방법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를 고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컴퓨터 조작을 통해 회계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전문가 고용을 위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경영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각 부서 및 담당 회계자료 입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전표의 입출력 수정, 삭제, 추가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전표제어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매입매출수금에 대한 자료를 로딩하여 관리하며 상기 전표제어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입매출수금자료관리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매입매출장입력모듈과;
    상기 매입매출장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와 상기 전표제어모듈을 통해 처리되어지는 전표데이터를 기준으로 부가세 신고용 자료를 생성하는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과;
    상기 매입매출장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매입/매출 현황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상기 전표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전표제어모듈이 변동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측으로 전송하는 자동등록모듈과;
    상기 복수의 분산회계 관리시스템과 연동되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지출과 관련한 변동에 따른 회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자동등록모듈을 통해 상기 부가세 신고자료 생성모듈과 전표제어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지출결의모듈과;
    상기 전표제어모듈과 지출결의모듈을 통해 상기 각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에서 변동상황의 발생 및 그에 따른 데이터의 변동 추이 등을 요청하는 경우 기존의 데이터를 요청사안에 따라 검색하며 데이터화시키는 검색모듈과;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통합관리하여 데이터의 계정 및 정보를 상기 분산회계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로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임의의 조정모듈과 회계통합관리모듈로 구성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50105380A 2005-11-04 2005-11-04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KR10076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80A KR100765433B1 (ko) 2005-11-04 2005-11-04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80A KR100765433B1 (ko) 2005-11-04 2005-11-04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75A KR20070048375A (ko) 2007-05-09
KR100765433B1 true KR100765433B1 (ko) 2007-10-11

Family

ID=3827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380A KR100765433B1 (ko) 2005-11-04 2005-11-04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06B1 (ko) * 2009-04-15 2011-07-29 주식회사 위즈디시젼메이킹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86A (ko) * 2000-01-27 2000-05-06 이일호 회계세무기장서비스방법
KR20010093580A (ko) * 2000-03-29 2001-10-29 김신래, 노금선 컴퓨터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회계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 서비스 방법
KR20020003666A (ko) * 2000-06-23 2002-01-15 김경 간편한 회계처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 연결회계처리시스템 및 그에 따른 회계데이터 처리방법
KR20020038524A (ko) * 2000-11-16 2002-05-23 마쯔즈키 다다오 네트워크 구축 방법, 경영리포트 수집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86A (ko) * 2000-01-27 2000-05-06 이일호 회계세무기장서비스방법
KR20010093580A (ko) * 2000-03-29 2001-10-29 김신래, 노금선 컴퓨터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회계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 서비스 방법
KR20020003666A (ko) * 2000-06-23 2002-01-15 김경 간편한 회계처리 기능을 가지는 통신 네트워크 연결회계처리시스템 및 그에 따른 회계데이터 처리방법
KR20020038524A (ko) * 2000-11-16 2002-05-23 마쯔즈키 다다오 네트워크 구축 방법, 경영리포트 수집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375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455B1 (ko) 경영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회계처리장치 및 방법
US8341089B2 (en) Real est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552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pplying/linking transactions in a financial management system
CN108090823A (zh) 基于SaaS的账务数据管理系统
US20070282724A1 (en) Asset based lending (abl) systems and methods
US200702140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based lending (abl) valuation and pricing
EP1212711A1 (en) Portfolio investment guideline compliance and financial fund administration system
JP3783217B1 (ja) 仕訳自動作成機能を備えた会計システム
WO2017155360A1 (ko)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JP5361836B2 (ja) 経営情報システム
JPH10187823A (ja) 受注管理システム、売掛管理システム及び受注・売掛管理システム
JP2018077813A (ja) 会計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76121A (ja) 経営管理システム
WO2017212339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requests and responses us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149643A1 (en) Automatic business date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7012026A (ja) 仕訳自動作成機能を備えた会計システム
KR100765433B1 (ko) 통합형 회계관리 시스템 및 회계관리 방법
Piechocki XBRL financial reporting supply chain architecture
JP3823164B1 (ja) 仕訳自動作成機能を備えた会計システム
Biantara et al. Analysis of Accounting Data Mutation at Company Closing Times Listed in IDX of 2018
Patel Discover SAP ERP Financials
KR20040105398A (ko) 관세 납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세 납부 서비스 방법
Van Vossel et al. OpenERP for Accounting and Financial Management
Arif et al. SAP ERP financials: Configuration and design
CN115099914A (zh) 一种基于ncc架构的财务业务核算系统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