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926B1 -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926B1
KR100764926B1 KR1020057015722A KR20057015722A KR100764926B1 KR 100764926 B1 KR100764926 B1 KR 100764926B1 KR 1020057015722 A KR1020057015722 A KR 1020057015722A KR 20057015722 A KR20057015722 A KR 20057015722A KR 100764926 B1 KR100764926 B1 KR 10076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outlet
main
inner tube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201A (ko
Inventor
철호 배
Original Assignee
바이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이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12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열전달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증발기 및 바이패스 장치를 포함하고, 바이패스 장치는 바이패스 통로에 위치되며, 바이패스 통로의 일단부는 응축기 하류의 냉매 라인과 증발기 하류의 단부를 연결시킨다. 바이패스 장치는 2개의 동심관들을 포함한다.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 냉동 시스템

Description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REFRIGERATION SYSTEM HAVING AN INTEGRATED BYPASS SYSTEM}
본 발명은 고효율 열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통로를 활용하여 응축기, 압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한 구성품들의 크기를 최적화시켜 전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편의상 본 발명을 "냉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냉동 시스템뿐만 아니라 히트 펌프(heat pump)로서 사용되는 유사 시스템에 대해서도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체가 도면 부호 10으로 표기된 종래 냉동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냉동 시스템은 압축기(12), 응축기(14), 팽창 장치(16) 및 증발기(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품들은 도면 부호 19로 표기된 바와 같은 동관(이는, 주 냉동 경로(refrigeration path)를 형성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순환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 순환 시스템을 통해 R-12, R-22, R-134a, R-407c, R-410c,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또는 천연 가스와 같은 냉매가 순환된다.
냉동 사이클의 주요 단계는, 압축기(12)에 의한 냉매 압축 단계와, 응축기(14)에 의한 냉매로부터 주위로의 방열 단계와, 팽창 장치(16)에서의 냉매의 교축(絞縮) 단계와, 증발기(18)의 냉매에 의한 냉각 공간으로부터의 흡열 단계이다. 증 기 압축 냉동 사이클로 부르기도 하는 이러한 공정은, 생활 공간, 교통 수단(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기차 등), 냉동 장치, 히트 펌프 및 기타 분야에서 공기를 냉각하고 제습하는 공조 시스템에 사용된다.
응축기(14)에서 열이 냉매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압축기(12)로부터의 과열 냉매 증기가 응축기의 출구에 도달할 때에는 액체 냉매가 된다. 도 1에서, 응축기(14)는 두 부분(14a, 14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응축기의 제1 부분(14a)에서 과열 냉매 증기는 과열 저감 공정이라 불리는 공정에 의해 포화 증기가 되고, 이 포화 증기는 증기로부터 액체 냉매로의 상 변화를 겪는다. 응축기의 제2 부분(14b)에서 액체 냉매는 응축기 압력의 포화 온도 미만으로 더욱 냉각되는데, 이러한 공정은 과냉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바이패스 과냉 및 구성품 크기 탈최적화를 이용한 냉동 시스템(REFRIGERATION SYSTEM WITH BYPASS SUBCOOLING AND COMPONENT SIZE DE-OPTIMIZATION)"인 본 출원인의 국제 공개 특허 공보 제PCT/US03/36424호(이하 '424 출원이라 함)을 보면, 과냉이 응축기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주 냉매 통로(refrigerant passage)를 부분적으로 우회시키는 2차 냉매 통로에서 행해지는 냉동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냉동 시스템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주 냉매 통로는 도 1에 도시된 냉동 시스템에서와 동일하지만, 도 2에는 냉매의 일부를 주 냉매 통로로부터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라인(27)이 또한 구비되어 있다. 바이패스 라인은, 제2 팽창 장치(23)와, 응축기(14)와 주 팽창 장치(16) 사이에서 주 냉매 유동 통로에 연결된 열교환기(22)를 포함한다. 응축기(14)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우회된 부분이 제2 팽창 장치(23)를 통해 유동할 때, 그 냉매의 압력과 온도는 응축기 출구의 압력과 온도 미만으로 현저히 저감된다.
이어서, 제2 팽창 장치(23)로부터 배출되는 저온 냉매가 열교환기(22)를 통해 유동되며, 이때 응축기(14)에서 유출되는 액체 냉매로부터 열이 방열되어 추가로 액체 냉매의 과냉이 이루어진다. 바이패스 기술을 적용하여 추가의 과냉 공정이 달성되기 때문에, 응축기에서의 과냉 공정은 필요없어지게 된다. 이는 도 2에 과냉 영역(14a)이 제거된 상태의 보다 작아진 응축기로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열교환기 출구에서의 바이패스 라인(27)의 냉매 압력이 증발기(18) 출구에서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차압 조절 장치(Pressure Differential Accommodating Device: PDAD, 38)가 바이패스 라인의 출구와 주 냉매 라인을 연결시키는 데 사용된다. 차압 조절 장치는 '424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진공 발생 장치 또는 감압 장치일 수 있다.
과냉을 위해 바이패스 통로를 활용함으로써 발휘되는 여타 다른 이점들과 적용예들이 '424 출원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응축기에서 과냉이 행해지는 종래 시스템에 비하여 바이패스 과냉을 활용함으로써 상당한 이점들이 달성되지만, 특히 소형 시스템에서의 비용과 크기를 더욱 저감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본 발명에 따라 해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 시스템, 히트 펌프 등에 대한 바이패스 과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구성품들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구성품들을 구비한 과냉 바이패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구성품들에 비해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구성품들을 구비한 과냉 바이패스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동 시스템이나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바이패스 과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향상된 구성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구성품들에 비해 저렴하게 바이패스 과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향상된 구성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패스 과냉을 적용한 히트 펌프 시스템의 냉동 장치가 종래 구성품들이 바이패스 통로에 구비된 경우에 비해서 소형이 되도록 하는 향상된 구성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주 냉매 통로에서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냉매의 일부를 바이패스 통로로 우회시키는 수단과, 우회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저감시키는 팽창 수단과, 압력과 온도가 저감된 상태의 우회된 냉매를 포함한 냉매 유동 통로를 응축기 하류의 주 냉매 통로 일부에 연결시켜 냉매로부터 과냉에 충분한 열을 방열시키는 열교환 수단과, 우회된 냉매를 열교환 수단 하류의 주 냉매 통로로 복귀시키기 위해 열교환 수단에 연결된 출구 수단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장치에 의해 과냉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출구 수단은 차압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바이패스 라인의 모든 기능은 단일 기계 구성품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냉매의 일부가 주 냉매 통로로부터 바이패스 통로로 우회되도록 하고 그 냉매의 압력과 온도가 저감되도록 하는 제1 오리피스와, 제1 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류 단부가 개구와 소통되며 응축기 하류의 주 냉매 유동 통로 일부와 연결되어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로부터 과냉을 위해 열을 방열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와, 제1 유동 통로의 하류 단부와 소통되고 우회된 냉매를 주 냉매 통로로 복귀시키는 제2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체에 의해 과냉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제2 개구는 주 유동 통로의 냉매와 바이패스 통로의 냉매 사이의 차압을 조절할 수 있는 차압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바이패스 라인의 모든 기능은 단일 기계 구성품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일부에 대한 우회기의 기능과, 우회된 냉매의 온도를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에 비해 현저히 저감시키는 팽창 장치의 기능과, 냉각된 우회 냉매를 사용하여 응축기로부터 주 팽창 장치로 유동하는 냉매를 과냉시키는 열교환기의 기능과, 우회된 냉매가 과냉을 위해 사용된 후 그 냉매를 주 냉매 통로로 복귀시키는 연결 장치의 기능을 단일 일체형 구조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냉동 시스템 또는 히트 펌프 시스템용 바이패스 과냉 구성품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차압 조절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과냉 구성품은 제1 동심관과 제2 동심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관은 응축기의 출구에 연결되고 주 냉매 유동 통로의 구성품 역할을 한다. 제1 오리피스가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서 외부관의 상류 단부에 구비된다. 제1 오리피스는,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일부를 바이패스 통로로 우회시키고 그 우회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팽창 장치의 기능을 한다. 냉각된 냉매가 외부관을 통해 유동할 때, 그 냉각된 냉매는 내부관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방열시켜 주 유동 통로의 냉매를 과냉시킨다. 제2 오리피스는 외부관의 하류 단부에서 바이패스 통로를 복귀관에 연결시키고, 이 복귀관은 우회된 냉매가 증발기 하류의 주 유동 통로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오리피스의 크기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주 유동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 사이의 차압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구조체에 의하면, 바이패스 통로의 제조와 조립이 간단해져서 상당한 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제2 팽창 장치 대신에 내부 열교환기 관과 외부 열교환기 관 사이에 소형 제1 오리피스를 구비시키고, 별도의 차압 조절 장치 대신에 외부 열교환기 관에 소형 제2 구멍을 구비시키면, 과냉 장치의 크기가 상당히 축소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소형 공조 시스템이나 히트 펌프 시스템에 이롭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일체형 과냉 장치는 '424 출원에 개시된 여러 가지 구성들에 사용될 수 있다. 2002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과열 저감 바이패스를 구비한 냉동 시스템(REFRIGERATION SYSTEM WITH DESUPERHEATING BYPASS)"인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출원 제10/253,000호를 보면, 일체형 과냉 장치가 현재 열전달 기술의 여러 가지 분야에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미국 특허 출원에 개시된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들 및 여타 다른 목적들과 여러 가지 특징들을 첨부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타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도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동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바이패스 과냉을 적용한 냉동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우회된 냉매가 주 냉매 유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열교환기를 통해 유동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긴 하지만 주 냉매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 사이에 차압 조절 장치가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우회된 냉매가 주 냉매 유동과 반대 방향으로 열교환기를 통해 유동 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냉동 시스템과 유사한 냉동 시스템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이패스 과냉 장치를 적용한 냉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면들에서 동일 또는 유사 부재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다.
도 2는 '424 출원에 개시된 바이패스 과냉을 적용한 냉동 시스템과 히트 펌프를 대표하는 유형으로서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통로(27)를 포함하는 구성품을 일체형 구조체로 대체하여 그 대체된 구성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 구조체들 중 하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 40으로 표기된 과냉기는 내부관(42)과 그에 동심인 외부관(44)으로 구성된다. 내부관(42)의 상류 단부(46)는 응축기(14)의 출구측에 연결되고(도 2 참조), 내부관의 하류 단부(48)는 주 팽창 장치(16)의 입구에 연결된다. 따라서, 내부관(42)은 바이패스 열교환기(22)를 통한 주 냉매 유동의 도관으로서 역할을 한다.
도 3을 보면, 외부관(44)은, 내부관(42)을 수용하는 각각의 개구(56, 58)를 구비한 밀폐된 단부(52, 54)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구(56, 58)는 냉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부관(42)의 각각의 단부(46, 48)에 적절하게 밀봉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부관(42)을 둘러싸는 누출 방지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가 형성된다.
내부관(42)의 내부(62)와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는 내부관(42)의 상류 단부(46)의 소형 입구 오리피스(64)에 의해 서로 소통된다. 입구 오리피스(64)는 응축기(14)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내부관(42) 내로 유입될 때 그 냉매의 일부에 대한 팽창 오리피스의 역할을 하도록 크기가 형성된다. 출구(66)가 외부관(44)의 하류 단부에 구비되어서, 배출 복귀관인 출구(68)와 소통된다. 따라서, 다시 도 2를 보면,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는 바이패스 열교환기(22)를 통과하는 냉매 유동용 도관(이를, "바이패스 통로(60)"라 한다)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통로의 열교환기(2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와 증발기(18)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사이에 차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라인(27)의 우회된 냉매와, 증발기로부터 배출되어 압축기(12)로 복귀되는 냉매를 조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차압 조절 장치(Pressure Differential Accommodating Device: PDAD, 38)가 구비된다. '424 출원은 차압 조절 장치(38)의 여러 가지 가능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과냉 장치 자체에 차압 조절 장치 기능을 통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배출 오리피스, 즉 출구(70)의 오리피스 크기는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 즉 바이패스 통로)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배출 복귀관인 출구(68)로 유입될 때 압력 강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출구(70)의 오리피스의 크기는, 배출 복귀관인 출구(68)의 냉매 압력이 증발기(18)로부터 배출되는 냉매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끔 선정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출구(70)는 차압 조절 장치(38)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보면,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 즉 바이패스 통로)의 입구 오리피스(64)는 각각의 내부관(42)의 상류 단부에 위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 즉 바이패스 통로)의 출구(66, 70)는 내부관(42)의 하류 단부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평행 유동이 형성된다. 즉, 내부관(42)과 챔버(도면 부호 60으로 표시된 부분, 즉 바이패스 통로)의 냉매 유동이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도 5의 실시예를 보면, 챔버(82)의 입구 오리피스(80)가 내부관(84)의 하류 단부(88)에 위치되고 출구(86)가 내부관(84)의 상류 단부(90)에 위치된 바이패스 과냉 장치(40a)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에 대향 유동이 형성된다. 즉, 관(84)과 챔버(82)의 냉매 유동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구(86)의 크기를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차압 조절 장치(38)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이패스 과냉 장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내부관(84)의 입구 단부(90)는 응축기(14b)의 출구에 연결되고, 내부관(84)의 출구 단부(88)는 팽창 장치(16)의 입구에 연결된다. 외부 열교환기 챔버(82)의 하류 단부(92)는 배출 오리피스(80)를 통해 복귀 라인(96)에 연결되며, 이 복귀 라인은 우회된 냉매를 압축기(12)의 입구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증발기(18)의 출구 단부에서 주 유동 통로에 적절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특정 용어들은 그와 유사한 목적을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모든 기술적 해당 용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위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해 제시되었으며,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예 및 수정예와 여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시 내용이 아니라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

  1. 주 냉동 경로(refrigeration path)(19)에 연결되어 있는 압축기(12)와 응축기(14b)와 주 팽창 장치(16)와 증발기(18)를 포함하며 단일 일체형 구조체의 형태인, 열전달 시스템(50)용 과냉 장치(40)로서,
    주 냉매 통로(refrigerant passage)를 형성하는 내부관(42)과;
    상기 내부관(42)이 열전달 시스템(50)의 상기 주 냉동 경로(19)에서 응축기(14b)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주 입구를 형성하는 내부관(42)의 상류 단부(46)와;
    상기 주 냉매 통로가 상기 주 팽창 장치(16)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주 출구를 형성하는 하류 단부(48)와;
    바이패스 통로(60)를 형성하는 외부관(44)과;
    상기 과냉 장치(4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응축기(14b)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통로(60)로 우회시키고 우회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하는 입구 오리피스(64)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60)가 증발기(18)의 하류에서 상기 주 냉동 경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66, 68, 70)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60)는, 상기 주 냉매 통로 내의 냉매의 열을 바이패스 통로(60) 내의 냉매로 전달하는 열교환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주 냉매 통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60)로부터 이어지는 출구(70)는, 상기 주 냉동 경로 내의 냉매에 대한 바이패스 통로 내의 냉매의 차압을 조절하는 차압 조절 장치를 일체형 구조체의 일부로서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주 냉매 통로는 응축기(14b)의 출구와 팽창 장치(18)의 입구 사이에 연결될 수 있는 내부관(42)으로 구성되고,
    바이패스 통로(60)는, 내부관(42)을 둘러싸고 상기 상류 및 하류 단부(46, 48)가 내부관(42)의 외부에 밀봉되어 내부관(42)을 둘러싸는 챔버를 형성하는 외부관(44)으로 구성되며,
    입구 오리피스(64)는 내부관(42)을 외부관(44)의 상류 단부에 연결시키는 오리피스로 구성되고,
    냉매가 내부관과 외부관을 통해 유동할 때, 저온인 외부관(44)의 냉매에 의해 고온인 내부관의 냉매로부터 열이 흡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출구(66, 70)는 주 냉매 통로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관 하류 단부의 오리피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70)는 이 출구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 강하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입구 오리피스(64)는 내부관(42)의 상류 단부에 위치하고, 출구(66, 70)는 내부관(42)의 하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입구 오리피스(64)는 내부관(42)의 하류 단부에 위치하고, 출구(66)는 내부관의 상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8. 삭제
  9. 단일 구조체를 포함하는 열전달 시스템용 과냉 장치로서,
    열전달 시스템의 주 냉동 경로에서 응축기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냉매의 일부를 우회시키는 입구 수단과;
    우회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저감시키는 팽창 수단과;
    압력과 온도가 저감된 상태의 우회된 냉매를 응축기 하류의 주 냉동 경로 일부에 연결시켜 냉매로부터 과냉에 충분한 열을 방열시키는 열교환 수단과;
    우회된 냉매를 주 냉동 경로에서 증발기 수단 하류의 주 냉동 경로로 복귀시키기 위해 열교환 수단에 연결된 출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출구 수단은, 냉매가 상기 출구 수단을 통해 유동할 때 냉매의 온도를 저감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 장치.
  11. 압축기 수단, 응축기 수단, 팽창 수단 및 증발기 수단이 함께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순환 시스템을 형성하는 주 냉동 경로와;
    제1항 내지 제5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과냉 장치로서, 입구 수단은 응축기 수단의 출구에 연결되고 출구 수단은 우회된 냉매를 증발기 수단 하류의 상기 주 냉동 경로로 복귀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된 과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시스템.
KR1020057015722A 2003-02-28 2004-02-25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KR100764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135603P 2003-02-28 2003-02-28
US60/451,356 200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01A KR20050121201A (ko) 2005-12-26
KR100764926B1 true KR100764926B1 (ko) 2007-10-09

Family

ID=3296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722A KR100764926B1 (ko) 2003-02-28 2004-02-25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39351A1 (ko)
EP (1) EP1597526A2 (ko)
JP (1) JP2006519350A (ko)
KR (1) KR100764926B1 (ko)
CN (1) CN1764810A (ko)
WO (1) WO20040792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515B1 (ko) * 2004-11-24 2006-09-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추기열교환기를 장착한 히트펌프
WO2008152760A1 (ja) * 2007-06-11 2008-12-18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JPWO2010086954A1 (ja) * 2009-01-27 2012-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冷凍機油の返油方法
KR100899403B1 (ko) * 2009-02-24 2009-05-26 이진철 다실 제어 냉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931305B2 (en) 2010-03-31 2015-01-1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Evaporator unit
KR101251048B1 (ko) * 2010-12-06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lpi 시스템
JP2013189179A (ja) * 2012-02-15 2013-09-26 Sanden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DE102013007186A1 (de) * 2013-04-25 2014-10-30 Man Truck & Bus Ag Lei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N104307585B (zh) * 2014-09-11 2016-01-20 上海电力学院 冷凝回流装置
CN106225273A (zh) * 2016-07-29 2016-12-14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制冷循环系统及制冷设备
CA3195752A1 (en) * 2020-10-23 2022-04-28 Zachary Richard Lantz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
CN113982717B (zh) * 2021-09-01 2023-11-14 江苏江航智飞机发动机部件研究院有限公司 一种直升机发动机的加速冷却滑油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893A (en) 1986-07-11 1989-05-30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ing system incorporating a heat accumul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980013330A (ko) * 1996-07-23 1998-04-30 배순훈 텔레비젼에서의 수상관 구동 제어 방법
US6250086B1 (en) 2000-03-03 2001-06-26 Vortex Aircon, Inc. High efficiency refrigeration system
US6651451B2 (en) 2002-04-23 2003-11-25 Vai Holdings, Llc Variable capacity refrigeration system with a single-frequency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4579A (en) * 1951-06-04 1954-07-27 Hieatt Engineering Co Apparatus for cooling oil of refrigerant compressors
US2977773A (en) * 1960-02-12 1961-04-04 Gen Electric Heat pump including charge modulating means
US3714796A (en) * 1970-07-30 1973-02-06 Air Prod & Chem Cryogenic refrigeration system with dual circuit heat exchanger
US4238932A (en) * 1979-07-23 1980-12-16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pressure charge storage system
US4696168A (en) * 1986-10-01 1987-09-29 Roger Rasbach Refrigerant subcooler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US5095712A (en) * 1991-05-03 1992-03-17 Carrier Corporation Economizer control with variable capacity
US6047556A (en) * 1997-12-08 2000-04-11 Carrier Corporation Pulsed flow for capacity control
US6058729A (en) * 1998-07-02 2000-05-09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optimizing cooling capacity, energy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a refrigeration system during temperature pull down
US5996364A (en) * 1998-07-13 1999-12-07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unloader valve between economizer and suction
JP2985882B1 (ja) * 1998-08-21 1999-12-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二重管式熱交換器
DE10008383A1 (de) * 2000-02-23 2001-09-06 Loh Kg Rittal Werk Schaltschrank oder Gehäuse mit einer Klimatisierungseinrichtung
US6428284B1 (en) * 2000-03-16 2002-08-06 Mobile Climate Control Inc. Rotary vane compressor with economizer port for capacity control
US6446446B1 (en) * 2001-09-07 2002-09-10 Advanced Thermal Sciences Corp. Efficient cooling system and method
US6474087B1 (en) * 2001-10-03 2002-11-05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economizer circuit flow for optimum performance
US6571576B1 (en) * 2002-04-04 2003-06-03 Carrier Corporation Injection of liquid and vapor refrigerant through economizer ports
US6662576B1 (en) * 2002-09-23 2003-12-16 Vai Holdings Llc Refrigeration system with de-superheating bypass
US6883341B1 (en) * 2003-11-10 2005-04-26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with unloader valve between economizer line and evaporator inl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893A (en) 1986-07-11 1989-05-30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ing system incorporating a heat accumul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980013330A (ko) * 1996-07-23 1998-04-30 배순훈 텔레비젼에서의 수상관 구동 제어 방법
US6250086B1 (en) 2000-03-03 2001-06-26 Vortex Aircon, Inc. High efficiency refrigeration system
US6651451B2 (en) 2002-04-23 2003-11-25 Vai Holdings, Llc Variable capacity refrigeration system with a single-frequency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9279A3 (en) 2004-12-29
EP1597526A2 (en) 2005-11-23
WO2004079279A2 (en) 2004-09-16
KR20050121201A (ko) 2005-12-26
CN1764810A (zh) 2006-04-26
US20070039351A1 (en) 2007-02-22
JP2006519350A (ja)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867B2 (ja) 特に自動車等のための空調回路
US8235101B2 (en)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for heat pump applications
US693188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frosting a vapor compression system
MXPA00008667A (es) Evaporador, acumulador e intercambiador de calor de linea de succion, combinados.
US20070074536A1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bypass subcooling and component size de-optimization
EP0779481A2 (en) Refrigeration cycle system
WO2010061624A1 (ja) 冷凍システム
KR100764926B1 (ko) 일체형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시스템
US10174975B2 (en) Two-phase refrigeration system
GB2316738A (en) A combined refrigerant accumulator and heat transfer unit
EP1860390A2 (en)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ng cycle
US6386277B1 (en) Heat exchanger header construction
JP2005077088A (ja) 凝縮機
JP2008249209A (ja) 冷凍装置
JP4971877B2 (ja) 冷凍サイクル
US20080173042A1 (en)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ircuit and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same
US11231233B2 (en) Double-pipe heat exchanger including integrated connector
JP2011202921A (ja) 蒸発器ユニット
JP2014126284A (ja) 冷凍装置
KR20120139007A (ko) 이중관식 내부 열교환기
KR100805424B1 (ko) 이중 유로 응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장치
WO2019073880A1 (ja) 熱交換器
KR20030092318A (ko) 차량용 냉방장치
KR20010018486A (ko) 열교환사이클
KR20030027360A (ko) 냉동사이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