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425B1 -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425B1
KR100764425B1 KR1020060081861A KR20060081861A KR100764425B1 KR 100764425 B1 KR100764425 B1 KR 100764425B1 KR 1020060081861 A KR1020060081861 A KR 1020060081861A KR 20060081861 A KR20060081861 A KR 20060081861A KR 100764425 B1 KR100764425 B1 KR 10076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se
call
message
analysis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동수
조성우
장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8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broadband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호 절단 시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 수단;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구분하는 수단; 미리 정해진 각각의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분석 수단; 및 상기 분석 수단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과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원인사항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가 개시된다.
CAI, 절단호, 원인분석, 핸드오프

Description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cause of droped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장부에 기록되는 항목들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제 1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제 2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제 3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제 4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제 5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제 6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 7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 8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CAI 메시지 수신부 115 : 접속망 구분부
120 : 메시지 추출부 130 : 메시지 정렬부
140 : 원인 분석부 150 : 조치사항 검색부
160 : 출력부 170 : 저장부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무선 환경 분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호 절단 시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망, 개인 휴대 통신망, 무선 데이터망, 공용 통신망 및 차세대 이동 통신망(예로서, IMT-2000) 등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의 통화 품질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및 기지국의 부하에 따라 변화된다. 즉, 특정 기지국에 가입자가 몰리면 채널의 간섭으로 인해 통화 품질이 저하되고, 기지국의 서비스 반경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기지국 경계 지점에서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은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거나 또는 호가 절단된다. 이처럼 통화 중이던 호가 절단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면 통화 중이던 가입자의 불만이 발생하고 이동 통 신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종래에는 특정 지역에 통화 품질 저하로 인한 호 절단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그 지역에 망 측정 장비를 가지고 가서 이동 통신 단말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력 레벨을 측정하거나, 망 측정 장비에서 시험 호를 발생하여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이동통신망 사업자들은 호 절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여러 지역을 이동하면서 측정 장비로 무선 환경을 측정하여 사전에 문제를 예방하고 보다 안정된 통화 품질을 위한 무선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특정 지역에서 네트워크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엔지니어가 직접 보고 분석하여 문제점과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엔지니어에 의한 직접적인 분석과 판단으로는 간단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엔지니어가 보다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에는 원인 파악 및 문제 해결에 상당한 시행착오가 발생하고 정확한 성능 저하의 원인을 찾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무선 최적화 작업에 경험이 많지 않은 엔지니어나 미 기량자는 보다 큰 어려움이 겪고, 분석 오류나 업무 지연 등의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절단 호에 대한 원인 분석이 지연되면 절단현상이 그만큼 방치되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불편이 커지고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과의 무선환경을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여러 방식의 이동통신 망이 혼합된 환경에서도 모든 망에 대응하여 무선상태 및 이상원인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는,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 수단;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구분하는 수단; 미리 정해진 각각의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분석 수단; 및 상기 분석 수단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과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원인사항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구분하는 단계; (c) 미리 정해진 각각의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과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100)는 측정된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CAI 메시지 수신부(110), 망 별로 메시지를 구분하는 접속망 구분부(115), 원인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부(120), 메시지를 정렬하고 분류하는 메시지 정렬부(130), 상기 메시지들을 토대로 하여 호 절단 원인을 분석하는 원인 분석부(140), 호 절단 원인에 대한 조치사항을 독출하는 조치사항 검색부(150), 화면이나 출력장치로 내용을 출력하는 출력부(160) 및 데이터를 기록 보관하는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CAI 메시지 수신부(110)는 무선환경 측정장비 등과 같은 계측기에서 계측된 CAI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계측기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장비에 직접 연결하여 전송받거나, 노트북이나 PC 등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리딩(Reading)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CAI는 Common Air Interface의 약자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링크된 물리적, 논리적 특성을 지칭하는 개방 표준 세트이다. 즉, CAI는 무선 통신의 인터페이스 규약으로서 특히, 음성 및 비음성 이동 통신 단말과 기지국 간의 주파수, 통신 방식, 접속 방법 등 공통적인 무선 접속 조건의 표준 규격이다. 이러한 CAI에 따라 단말과 기지국 간에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을 측정장비로 계측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상기 CAI 메시지 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다.
상기 접속망 구분부(115)는 상기 CAI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CDMA와 WCDMA 방식에 각각 관련된 데이터로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데이터를 구분함으로써 무선환경 상태나 이상상태 원인 분석에 CDMA망과 WCDMA망을 모두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망 구분부(115)에서 CDMA와 WCDMA 방식 이외의 접속망 방식도 구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CDMA와 WCDMA의 구분없이 수신되는 CAI 메시지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CDMA와 WCDMA 각각의 경우에 메시지들이 구분없이 CDMA 또는 WCDMA 분석에 모두 이용되며, 후술할 메시지 추출부(120)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메시지 추출부(120)는 상기 CAI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서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한다. 상기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는 HCM(Handoff Completion Message), NLUM(Neighbor List Update Msg), PSMM(Pilot Strength Measurement Msg), PMRM(Power Measurement Report Message), WCDMA BLER Info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열거한 메시지들은 기지국과의 무선환경 정보, 무선상태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시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로서 WCDMA의 무선 채널이나 CDMA의 Traffic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된다. 상기 HCM은 positive ACK, Active set 내의 각 PN offset 등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LUM은 단말이 핸드오프 할 수 있는 주변의 기지국 리스트의 갱신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PSMM은 추정 E/I, PN 도착시간, 핸드오프 해제 타이머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PMRM은 프레임 정보와 오류 검출 정보가 포함되고, WCDMA BLER Info는 Chan[0]과 Chan[1]이 존재하는데, Chan[0]은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이고 Chan[1]은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로 정의된다.
상기 원인 분석부(140)는 CDMA 분석부(141)와 WCDMA 분석부(142)를 포함한 다. 상기 CDMA 분석부(141)는 상기 메시지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한다. 또한, 상기 WCDMA 분석부(142)는 상기 메시지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W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한다. 이렇게, 원인 분석부(140)는 상기 메시지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메시지들을 근거하여 CDMA와 WCDMA로 구분하여 각각의 호 절단 현상의 원인을 분석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인 분석부(140)가 CDMA 분석부(141) 또는 WCDMA 분석부(142) 중 하나로 구성되어 단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인 분석부(140)는 복수의 분석 수단을 통하여 하기와 같은 CDMA와 WCDMA의 호 절단 원인을 판별한다. 우선, CDMA 분석 수단으로는 기지국 네이버 누락으로 인해 호가 절단되는 상태를 판별하는 제 1 분석 수단, 네이버 검색창의 사이즈(Search_Win_Size_N) 부족으로 인해 호가 절단되는 상태를 판별하는 제 2 분석 수단, 우세한(Dominant)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활성 검색창 사이즈(Search_Win_Size_A) 부족으로 인한 호 절단 상태를 판별하는 제 3 분석 수단, 역방향 링크의 문제와 기지국 복조창 사이즈(Demod_Win_Length) 부족으로 인한 호 절단 상태를 판별하는 제 4 분석 수단 및 기지국 파일럿 신호간 간섭 심화 현상(Pilot Pollution)으로 인한 호 절단 상태를 판별하는 제 5 분석 수단, CDMA 코어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분석 수단 등을 이용하여 CDMA망에서 발생하는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한다. 다음으로, WCDMA 분석 수단으로는 WCDMA 코어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7 분석 수단, 서비스받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근 기지국에 대한 네이버 정보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8 분석 수단 등을 이용하여 WCDMA망에서 발생하는 호 절단 원인을 판별한다. 여기서, 각각의 분석 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원인 분석 방법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상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8 가지 경우의 호 절단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였으나, 그 이외 경우의 호 절단 원인에 따른 분석 수단을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 네이버(Neighbor)는 단말이 핸드오프 할 수 있는 주변의 기지국을 의미한다.
상기 메시지 정렬부(130)는 무선환경 상태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도록 상기 CAI 메시지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동일 메시지별로 분류하고 정렬한다. 상기 메시지 정렬부(130)는 핸드오프 환경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PSMM에 포함된 기준 PN정보(Reference PN, PN Strength)와 검색 PN정보(PN, Pilot Strength)를 구분한다. 또한, 지연(Delay)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기준신호와 인접 PN에 대한 지연정보를 구분한다. 또한, 네이버 리스트 갱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페이징 채널에서 수신되는 NLM(Neighbor List Message)과 통화상태에서 수신되는 NLUM을 기준 PN 정보와 Active Set PN에 대한 단말이 갱신하는 네이버 정보로 구분한다. 또한, 통화 상태에서 수신되는 HDM(Handoff Direction Message)에 포함된 기준 PN과 Active Set PN에 대한 핸드오프 파라미터를 구분한다. 상기 메시지 정렬부(130)는 상기와 같은 메시지들의 분류 및 정렬에 추가로, 통화상태에서 단말이 송신하는 PMRM(Power Measurement Report Message)에 포함된 프레임 정보와 오류 검출 정보를 구분하는 등의 다양한 메시지와 파라미터를 구분하고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치사항 검색부(150)는 후술할 저장부(170)에 미리 저장된 호 절단 원인에 따른 조치사항을 상기 원인 분석부(140)에서 판별된 결과에 따라 검색하여 독출한다. 상기 조치사항은 호 절단 원인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용으로 텍스트로 저장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호 절단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조치사항을 제공하여 조속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출력부(160)는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텍스트나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역시, CDMA와 WCDMA를 구분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60)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원인 분석부(140)에서 판별된 원인사항(161)과 상기 조치사항 검색부(150)에서 독출된 조치사항(162)과 상기 메시지 정렬부(130)에서 재가공된 데이터 정보인 무선 상태(163)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출력부(160)에 표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호 절단의 원인을 파악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하며 전체적인 무선 상태를 이해하여 문제 상황에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부(170)는 상기 원인 분석부(140)와 상기 조치사항 검색부(150)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들이 기록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 저장부(17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항목들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에는 CDMA 관련 항목과 WCDMA 관련 항목이 구분되어 저장된다. 상기 원인 분석부에서 이용되는 조건이 미리 기록되어 있고, 해당 조건에 상응하는 원인사항과 그에 따른 조치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은, 먼저 네트워크상에 문제가 발생되면 이 시점과 장소에서 CAI 메시지를 수신하는 측정장비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나 그외 다른 경로로 무선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CAI 메시지 수신부(110)로 수신한 뒤에 원인 분석에 사용되는 메시지들을 추출한다.(S1)
이렇게 추출된 메시지들은 접속망 방식에 따라 구분을 하는데, CDMA에서 이용하는 메시지들과 WCDMA에서 이용하는 메시지들로 구분한다. 여기서 CDMA와 WCDMA를 구분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CDMA 및 WCDMA 관련 메시지들을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S2)
다음으로 이렇게 추출하고 구분한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한다. 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하고, W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W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한다. 여기서 복수의 분석 모듈을 차례로 실행시켜 원인을 분석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 모듈만을 따로 실행시켜서 그에 해당하는 원인만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때, 원인을 분석하는 상세한 절차는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S3)
상기 단계 S3에서 분석된 호 절단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텍스트나 그래픽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분석 모듈이 모두 실행된 이 후에 출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 모듈을 실행시키면, 분석이 완료된 모듈별로 원인 사항이 출력할 수도 있다.(S4)
다음에는, 상기 출력된 원인 사항에 대응하는 조치사항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조치사항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미리 저장된 조치사항은 상기 분석 모듈별로 대응시켜서 저장할 수도 있고, 원인 분석 결과로 출력된 원인 사항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S5, S6)
이하에서는 상기 단계 S3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이 이루어지는 절차를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에서 각각의 분석 모듈별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제 1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원인 분석에 사용될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각 모듈들이 분석을 진행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모듈만 분석을 진행할 수도 있다. 순차적인 순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1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HC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별한다.(S12)
상기 단계 S1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NLU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별한다.(S13)
상기 단계 S13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기지국 네이버 누락으로 판단한다.(S14)
또한, 상기 단계 S12 또는 상기 단계 S13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불일치는 상기 제 1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15)
도 5는 제 2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순차적이거나 사용자의 선택이거나 제 2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2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PSM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별한다.(S22)
상기 단계 S2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NLU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23)
상기 단계 S23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네이버 검색창 사이즈 부족으로 판단한다.(S24)
또한, 상기 단계 S22 또는 상기 단계 S23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2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25)
도 6은 제 3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순차적이거나 사용자의 선택이거나 제 3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3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NLUM에 동 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32)
상기 단계 S3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PSM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33)
상기 단계 S33의 조건을 만족하면 PSMM의 파일럿 신호 모두가 Strength -10 이하인지를 판별한다.(S34)
상기 단계 S34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우세한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35)
또한, 상기 단계 S32 내지 상기 단계 S34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3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36)
도 7은 제 4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순차적이거나 사용자의 선택이거나 제 4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4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NLU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42)
상기 단계 S4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PSM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43)
상기 단계 S43의 조건을 만족하면 PSMM의 파일럿 신호중 하나 이상이 Strength -8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44)
상기 단계 S44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역방향 링크 문제로 판단 한다.(S45)
또한, 상기 단계 S42 내지 상기 단계 S44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4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46)
도 8은 제 5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순차적이거나 사용자의 선택이거나 제 5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5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NLU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52)
상기 단계 S5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PSM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53)
상기 단계 S53의 조건을 만족하면 PSMM의 파일럿 신호 개수가 4개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54)
상기 단계 S54의 조건을 만족하면 PSMM의 파일럿 신호 모두가 Strength -10 이하인지를 판별한다.(S55)
상기 단계 S55의 조건을 만족하면 PSMM이 연속으로 5회 이상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판별한다.(S56)
상기 단계 S56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기지국 파일럿 신호간 간섭 현상으로 판단한다.(S57)
또한, 상기 단계 S52 내지 상기 단계 S56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5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58)
도 9는 제 6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순차적인 순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6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6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NLU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62)
상기 단계 S6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가장 인접한 PSMM에 동기 파일럿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S63)
상기 단계 S63의 조건을 만족하면 PSMM의 파일럿 신호중 하나 이상이 Strength -8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64)
상기 단계 S64의 조건을 만족하면 PMRM내의 error_detected와 pwr_measure_frames 값이 동일한지를 판별한다.(S65)
상기 단계 S65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CDMA 코어망 또는 코어망 하드웨어의 이상 또는 불량으로 판단한다.(S66)
또한, 상기 단계 S62 내지 상기 단계 S65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6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67)
도 10은 제 7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순차적인 순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7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7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Active Dominant Ec/Io 값이 -8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72)
상기 단계 S72의 조건을 만족하면 Down Link BLER Info 내의 Chan[0]과 Chan[1]의 crc_rec와 crc_error가 모두 0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73)
상기 단계 S73의 조건을 만족하면 Down Link BLER Info 내의 Chan[0] 또는 Chan[1]의 crc_rec와 crc_error가 동일한 값을 갖는지를 판별한다.(S74)
상기 단계 S74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WCDMA 코어망 또는 코어망 하드웨어의 이상 또는 불량으로 판단한다.(S75)
또한, 상기 단계 S72 내지 상기 단계 S74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7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76)
도 11은 제 8 분석 모듈에서 원인을 분석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순차적인 순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8 분석 모듈의 실행을 요청받게 되면 원인 분석이 시작된다.(S8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메시지 중에서 호 절단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Detected Dominant Ec/Io가 -10이상인지를 판별한다.(S82)
상기 단계 S82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Active Dominant PSC와 Detected Dominant PSC 일치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83)
상기 단계 S83의 조건을 만족하면 호 절단 원인을 기지국 네이버 정보 누락 또는 우선순위 문제로 판단한다.(S84)
또한, 상기 단계 S82 내지 상기 단계 S83의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면 원인 불명으로 판단한다. 상기 원인 불명은 상기 제 8 분석 모듈의 분석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이다.(S85)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환경 측정 간 호 절단관련 문제 발생시에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호 절단 원인을 파악하고 제공함으로써, 엔지니어의 난해한 분석과 이해과정 없이도 용이하게 무선환경과 무선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예로, CDMA나 WCDMA)에서도 각 방식에 따라 각각 대응하여 호 절단 원인 및 무선상태를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2)

  1.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 수단;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구분하는 수단;
    미리 정해진 각각의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분석 수단; 및
    상기 분석 수단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과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원인사항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구분 수단에서 구분된 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하는 CDMA 분석 수단; 및
    상기 구분 수단에서 구분된 W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W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하는 WCDMA 분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분석 수단은,
    상기 추출한 메시지에 근거하여 기지국 네이버 누락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분석 수단;
    네이버(Neighbor) 검색창의 사이즈 부족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분석 수단;
    우세신호 존재 여부 또는 활성 검색창의 사이즈 부족 여부를 판별하는 제 3 분석 수단;
    역방향 링크 문제 또는 복조창의 사이즈 부족 여부를 판별하는 제 4 분석 수단;
    기지국 파일럿 신호간 간섭 심화 현상을 판별하는 제 5 분석 수단; 및
    CDMA 코어 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분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WCDMA 분석 수단은,
    상기 추출한 메시지에 근거하여 WCDMA 코어 망이나 코어망의 하드웨어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7 분석 수단; 및
    서비스받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근 기지국에 대한 네이버 정보가 누락되 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8 분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준비된 상기 각각의 호 절단 원인에 따른 조치사항이 텍스트로 저장된 기록 수단; 및
    상기 호 절단 원인에 대응하는 조치사항을 상기 기록 수단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는 조치사항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AI 메시지를 CDMA와 WCDMA용으로 구분하여, 동일 메시지별로 분류하고 정렬하여 표시하는 무선상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추출 수단은 PMRM(Power Measurement Report Message), WCMDA BLER Info 메시지, HCM(Handoff Completion Message), NLUM(Neighbor List Update Msg), 및 PSMM(Pilot Strength Measurement Msg)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상태 표시 수단은,
    기준신호와 간섭되는 파일럿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수단;
    기준신호와 인접 PN에 대한 지연정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수단;
    단말이 갱신한 네이버 정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수단;
    핸드오프 파라미터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수단; 및
    순방향 링크의 품질을 표시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9.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 수단;
    미리 정해진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분석 수단; 및
    상기 분석 수단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원인사항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추출한 메시지에 근거하여 기지국 네이버 누락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분석 수단;
    네이버(Neighbor) 검색창의 사이즈 부족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분석 수단;
    우세신호 존재 여부 또는 활성 검색창의 사이즈 부족 여부를 판별하는 제 3 분석 수단;
    역방향 링크 문제 또는 복조창의 사이즈 부족 여부를 판별하는 제 4 분석 수단;
    기지국 파일럿 신호간 간섭 심화 현상을 판별하는 제 5 분석 수단; 및
    CDMA 코어 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분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11.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장치로서,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 수단;
    미리 정해진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분석 수단; 및
    상기 분석 수단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원인사항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추출한 메시지에 근거하여 WCDMA 코어 망이나 코어망의 하드웨어 장비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7 분석 수단; 및
    서비스받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근 기지국에 대한 네이버 정보가 누락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 8 분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13.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구분하는 단계;
    (c) 미리 정해진 각각의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과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하는 CDMA 분석 단계; 및
    WCDMA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WCDMA망의 호 절단 원인 조건에 대입하여 원인을 판별하는 WCDMA 분석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추출하는 메시지는 PMRM(Power Measurement Report Message), WCMDA BLER Info 메시지, HCM(Handoff Completion Message), NLUM(Neighbor List Update Msg), 및 PSMM(Pilot Strength Measurement Msg)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분석 단계는,
    (1) 호 절단 발생 시점과 가장 인접한 HCM과 NLUM에 Sync 파일럿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 네이버(Neighbor) 정보가 누락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2) 호 절단 이후 Sync 파일럿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에는 존재하지 않고 NLUM에는 존재하면, 네이버 검색창 사이즈(SRCH_WIN_Size_NBR)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3) 호 절단 이후 Sync 파일럿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과 NLUM에 존재하고 PSMM의 파일럿 신호 모두가 Strength -10 이하이면, 우세한(Dominant)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활성 검색창 사이즈(SRCH_WIN_Size_A)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4) 호 절단 이후 Sync Pilot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과 NLUM에 존재하고 PSMM의 파일럿 신호 중 하나 이상이 Strength -8 이상이면, 역방향 링크(Reverse Link) 문제나 복조창 사이즈(DEMOD_WIN_Length)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5) 호 절단 이후 Sync 파일럿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과 NLUM에 존재하고 PSMM의 신호가 4개 이상이며 PSMM의 파일럿 모두의 신호가 Strength -10 이하이고 PSMM이 연속적으로 5회 이상 반복되면, 기지국 파일럿 신호간 간섭 심화 문제인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6) PMRM내의 error_detected와 pwr_measure_frames값이 동일하면, CDMA 코어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가 문제인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WCDMA 분석 단계는,
    (7) Active Dominant Ec/Io 값이 -8 이상임에도 Down Link BLER Info 내의 crc_error가 100% 발생하면, WCDMA 코어 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가 문제인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8) 동일 시점에 Detected Dominant Ec/Io가 -10 이상이고, Active Dominant PSC와 Detected Dominant PSC가 불일치하면, 기지국 네이버(Neighbor) 정보가 누락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미리 저장된 각각의 호 절단 원인에 따른 조치사항을 검색하여 해당 원인사항에 상응하는 조치사항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19.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 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1) 호 절단 발생 시점과 가장 인접한 HCM과 NLUM에 Sync 파일럿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국 네이버(Neighbor) 정보가 누락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2) 호 절단 이후 Sync 파일럿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에는 존재하지 않고 NLUM에는 존재하면, 네이버 검색창 사이즈(SRCH_WIN_Size_NBR)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3) 호 절단 이후 Sync 파일럿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과 NLUM에 존재하고 PSMM의 파일럿 신호 모두가 Strength -10 이하이면, 우세한(Dominant) 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활성 검색창 사이즈(SRCH_WIN_Size_A)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4) 호 절단 이후 Sync Pilot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과 NLUM에 존재하고 PSMM의 파일럿 신호 중 하나 이상이 Strength -8 이상이면, 역방향 링크(Reverse Link) 문제나 복조창 사이즈(DEMOD_WIN_Length)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5) 호 절단 이후 Sync 파일럿이 가장 인근에서 발생된 PSMM과 NLUM에 존재 하고 PSMM의 신호가 4개 이상이며 PSMM의 파일럿 모두의 신호가 Strength -10 이하이고 PSMM이 연속적으로 5회 이상 반복되면, 기지국 파일럿 신호간 간섭 심화 문제인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6) PMRM내의 error_detected와 pwr_measure_frames값이 동일하면, CDMA 코어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가 문제인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21.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CAI(Common Air Interface)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메시지들을 입력받아 분석에 이용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b) 미리 정해진 접속망 방식에 따른 호 절단의 원인이 되는 조건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값을 대입하여 호 절단의 원인을 판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별 결과에 따른 원인사항을 WCDMA망에 따라 구분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7) Active Dominant Ec/Io 값이 -8 이상임에도 Down Link BLER Info 내의 crc_error가 100% 발생하면, WCDMA 코어 망이나 코어망 하드웨어 장비가 문제인 것 으로 판별하는 절차,
    (8) 동일 시점에 Detected Dominant Ec/Io가 -10 이상이고, Active Dominant PSC와 Detected Dominant PSC가 불일치하면, 기지국 네이버(Neighbor) 정보가 누락된 것으로 판별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절단 원인 분석 방법.
KR1020060081861A 2006-08-28 2006-08-28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76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61A KR100764425B1 (ko) 2006-08-28 2006-08-28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61A KR100764425B1 (ko) 2006-08-28 2006-08-28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425B1 true KR100764425B1 (ko) 2007-10-05

Family

ID=3941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861A KR100764425B1 (ko) 2006-08-28 2006-08-28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232B1 (ko) 2011-11-07 2012-01-05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환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598A (ko) * 2000-12-13 2002-06-22 조정남 무선통신망의 통화품질 관리 방법
KR20020058575A (ko) * 2000-12-30 2002-07-12 조정남 무선망 품질 정보의 관리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598A (ko) * 2000-12-13 2002-06-22 조정남 무선통신망의 통화품질 관리 방법
KR20020058575A (ko) * 2000-12-30 2002-07-12 조정남 무선망 품질 정보의 관리 및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232B1 (ko) 2011-11-07 2012-01-05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환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6047B2 (en) Mobile terminal tester and mobile terminal test method
EP25361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neighbor cell information
US20060270400A1 (en) Methods and structures for improved monitoring and troubleshoo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790173A (zh) 网络覆盖检测方法和系统
CN111242225A (zh) 一种基于卷积神经网络的故障检测与诊断方法
CN108271195B (zh) 基于软硬采的信令关联分析方法和设备
KR20100050336A (ko)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속도 추정 장치 및 방법
EP198377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 device, mobile device, handov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1031152A (zh) 一种缩短移动用户终端在空闲模式下重选时延的方法
CN102685783B (zh) 用于在移动通信网络中查找网络覆盖盲区的方法及设备
CN101193399A (zh) 长期演进系统中维护邻小区信息的方法、终端
CN105744543A (zh) 一种gsm网络切换异常的优化方法及装置
KR100903507B1 (ko)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및 호 설정 실패 원인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764425B1 (ko)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103232B1 (ko)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환경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746465B1 (ko)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원인 분석 장치 및 방법
CN111343647B (zh) 用户感知评估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08134703B (zh) 网络小区隐患故障预测分析方法及装置
CN102572887A (zh) 一种邻小区关系测量结果的上报方法和装置
Hahn et al. Impact of SON function combinations on the KPI behaviour in realistic mobile network scenarios
Turkka et al. Self-optimization of LTE mobility state estimation thresholds
US9264923B1 (en) Signal segmentation, event recognition,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for emulating wireless network
Diaz et al. Customer-centric measurements on mobile phones
KR1004393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유무선 구간 통화품질 통합 분석 방법
CN117768872A (zh) 一种双卡数据检测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