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095B1 -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 Google Patents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095B1
KR100764095B1 KR1020060056369A KR20060056369A KR100764095B1 KR 100764095 B1 KR100764095 B1 KR 100764095B1 KR 1020060056369 A KR1020060056369 A KR 1020060056369A KR 20060056369 A KR20060056369 A KR 20060056369A KR 100764095 B1 KR100764095 B1 KR 10076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container
hull
spent fuel
fuel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후
윤지섭
김영환
홍동희
박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5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헐과 펠릿을 분류 수납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는 분리된 헐과 펠릿을 함께 수납하되, 펠릿을 통과시키는 펠릿 통과부가 형성된 헐 수납용기와, 헐 수납용기에 하부에 위치하여 펠릿을 수납하는 펠릿 수납용기를 구비하고, 펠릿 통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헐 차단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해지역인 핫셀 내에서 펠릿 조각이나 헐이 분산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각각의 수납용기에 자동으로 분류 및 수납되는 공정을 도입하여 일괄적으로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아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사용후핵연료봉, 펠릿, 헐, 용기, 분류

Description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ONE BODY VESSEL FOR RECEIVING PELLET AND HULL OF SPENT NUCLEAR FUEL}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헐 수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펠릿 용기뚜껑이 개방된 펠릿 수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펠릿 용기뚜껑이 폐쇄된 펠릿 수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펠릿 배출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펠릿 수납용기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00:헐 수납용기 110:펠릿 통과부
120:헐 수납도어 200:펠릿 수납용기
210:펠릿 배출부 212:펠릿 배출구
214:펠릿 배출덮개 216:연결축
218:회전레바 220:펠릿 받침대
230:펠릿 용기손잡이 300:헐 차단유닛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절단된 사용후핵연료봉을 헐과 펠릿으로 각각 분류하여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는 원자로 안에 장입(裝入)하여 핵분열을 연쇄적으로 일으켜서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사용후핵연료는 핵분열을 일으킨 후에 남은 물질을 말한다. 또한 헐(Hull)이란 펠릿(Pallet)을 감싸고 있는 피복관을 의미한다.
사용후핵연료의 관리에는 대략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한가지는 사용후핵연료를 지하 500 미터 이상의 암반에 넣고 인간생태계와 철저히 격리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영구처분이라고 부른다. 또 하나의 방법은 사용후핵연료로부터 재활용 물질을 분리하여 핵연료 물질은 다시 사용하고 고방사성 물질은 영구 처분하는 방법이다.
핵연료봉 형태의 사용후핵연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25cm 단위로 절단하여 핫셀 등 처리공간으로 이동한 후 헐과 펠릿으로 분리시키는 슬리팅(Slitting)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슬리팅 작업 후에는 분리된 헐과 펠릿을 각각 운반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헐과 펠릿을 운반 후 저장하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분리된 헐과 펠릿이 하나의 용기에 담으면, 담긴 용기로부터 헐과 펠릿을 사람의 손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용기에 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분리된 헐과 펠릿을 독립적으로 운반하여 저장하는 작업 중 사용후핵연료봉의 조각이나 분말이 확산되는 위험이 있다.
셋째, 작업시간이 지연되면서 사용후핵연료봉으로부터 방사능이 누출될 가능성이 커져 안전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넷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경제적인 부담을 주고 분류저장 작업의 후속공정이 함께 지연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사람에 의해 분류작업 시 실수에 따른 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헐과 펠릿을 함께 용기에 투입 후 각각 헐과 펠릿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플레이트과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헐과 펠릿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헐과 펠릿을 분류 후 수납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방사능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차후 공정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 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헐과 펠릿을 이송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용기내에서 분류가 가능하여 헐과 펠릿의 분말이나 조각 등이 노출될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는 상기 헐과 펠릿을 수납하고 저면에 상기 펠릿이 통과되는 펠릿 통과홀이 형성된 헐 수납용기와, 상기 헐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펠릿을 수납하는 펠릿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펠릿 통과홀은 망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펠릿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펠릿을 지면으로 배출하는 펠릿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는 상기 헐과 펠릿을 수납하고 상기 펠릿이 통과되는 펠릿 통과부가 바닥면에 형성된 헐 수납용기와, 상기 헐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된 펠릿 수납용기 및 상기 헐 수납용기와 상기 펠릿 수납용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펠릿 통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헐 차단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헐 차단유닛은 상기 펠릿 통과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홀이 형성된 상부 차단부와, 상기 제1홀에 대응하여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차단부와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에 삽입되고 일측에 차단 손잡이가 구비된 헐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헐 수납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의 일부분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수납도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헐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헐 받침대가 구비된다. 상기 펠릿 통과부는 망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헐 수납용기에 수납된 상기 펠릿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그 바닥면에 상기 펠릿을 배출하는 펠릿 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펠릿 배출부는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펠릿 배출구와, 상기 펠릿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펠릿 배출덮개와, 상기 펠릿 배출덮개를 상하로 이동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을 회전하는 회전레바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레바는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측면에는 레바걸게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레바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저면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하기 위한 복수개의 펠릿 받침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양측에는 펠릿 용기손잡이가 결합되고,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의 일측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펠릿 헨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펠릿 용기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펠릿 용기뚜껑의 상면에는 뚜껑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릿 용기뚜껑의 측면에는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양측에 힌지 결합된 펠릿 용기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의 일측에서 힌지 회전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펠릿 용기뚜껑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모듈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헐 수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10)는 헐 수납용기(100), 펠릿 수납용기(200) 및 헐 차단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헐 수납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헐 수납용기(100)의 바닥면은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었고, 상기 중앙부분에는 펠릿을 통과시킬 수 있는 펠릿 통과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펠릿 통과부(110)는 망사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헐은 통과하지 못하고 펠릿만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망사구조 외에 펠릿의 모양에 맞추어서 구성하는 방법도 있다. 즉, 헐은 통과하지 않으면서 펠릿만을 통과할 수 있는 최적의 모양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릿 통과부(110)를 가변 되도록 구성하여 펠릿의 여러 모양에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헐 수납용기(100)의 측면에는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헐 수납도어(120)가 형성된다.
상기 헐 수납도어(120)는 상기 헐 수납용기(100)에 힌지 결합되는데 도어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헐 수납용기(10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의 타측에는 상기 헐 수납도어(12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어걸쇠(124)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걸쇠(124)는 ‘ㅡ’자 형으로 일단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헐 수납용기(100)의 측면에는 걸쇠 지지대(126)가 형성되는데 상기 도어걸쇠(124)와 결합하여 상기 헐 수납도어(120)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헐 수납용기(10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헐 받침대(130)가 형성되어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헐 받침대(130)의 높이는 펠릿 수납용기(200)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헐 받침대(130)는 바퀴가 장착되어 상기 헐 수납용기(100)의 이동을 보다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는 상기 헐 수납용기(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펠릿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바닥면은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에 수납된 펠릿을 한 지점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는 펠릿을 배출할 수 있는 펠릿 배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펠릿 배출부(210)는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펠릿 배출구(212)와, 상기 펠릿 배출구(212)를 폐쇄할 수 있는 펠릿 배출덮개(214)와,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와 연결된 연결축(216) 및 상기 연결축(216)과 결합하여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회전레바(218)가 형성된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측면에는 상기 회전레바(218)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레바걸개(2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측면에는 펠릿 용기손잡이(230)가 형성되고,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230)는 힌지 결합되어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230)도 상기 레바걸개(2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저면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하기 위해 펠릿 받침대(220)가 형성된다. 상기 펠릿 받침대(22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시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펠릿 받침대(220)의 길이는 상기 헐 받침대(1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헐 차단유닛(300)은 상기 헐 수납용기(100)와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헐 차단유닛(300)은 상부 차단부(310), 하부 차단부(320) 및 헐 차단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차단부(310)는 일 변이 원호를 이루는 형상으로써, 상기 펠릿 통과부(110)에 대응하여 제1 홀(3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홀(31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차단부(320)는 상기 상부 차단부(310)와 같이 일 변이 원호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홀(312)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된 제2 홀(3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차단부(320)는 그 상면의 테두리를 따라 차단 결합부(324)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 결합부(324)는 상기 하부 차단부(3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차단부(310)와 상기 하부 차단부(320)는 상기 차단 결합부(324)상에 나사나 리벳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차단부(310)와 상기 하부 차단부(320)를 결합시에 상기 차단 결합부(324)로 인해 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헐 차단판(330)은 일 변이 원호로 형성된 얇은 판으로 상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헐 차단판(330)을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밀기 위해 원호로 형성된 변과 대응되는 변에는 차단 손잡이(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 손잡이(33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헐 차단판(330)을 잡아당기거나 밀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헐 차단판(330)을 개폐하여 상기 헐 수납용기(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원하는 순간에 펠릿을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에 수납할 수 있다.
도 4는 펠릿 수납용기 뚜껑이 개방된 펠릿 수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펠릿 수납용기 뚜껑이 폐쇄된 펠릿 수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는 펠릿 배출부(210), 펠릿 받침대(220), 팰릿 용기손잡이(230) 및 펠릿 용기뚜껑(240)을 포함한다. 상기 펠릿 용기뚜껑(2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뚜껑 손잡이(242)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 손잡이(242)는 메뉴플레이트에 의해 조작이 용이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측면에는 곡면 형상의 펠릿 용기손잡이(230)가 결합된다.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230)의 일측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펠릿 핸들(2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펠릿 핸들(232)을 통해 메뉴플레이트등의 기계장치에 의해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230)의 양단측에는 고정모듈(2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모듈(234)은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이 제공되는데 상기 홈에는 상기 펠릿 용기뚜껑(24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44)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230)를 회전하면 상기 고정모듈(234)에 상기 결합돌기(244)가 수용되어 상기 펠릿 용기뚜껑(240)은 열리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를 운반할 경우에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에 수납된 펠릿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놓치거나 떨어뜨릴 위험이 제거된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측면에는 회전레바(218)를 거치하기 위한 레바걸개(219)가 형성되는데,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230)도 상기 레바걸개(21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펠릿 배출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펠릿 수납용기(200)는 펠릿 배출부(210)를 구비하는데, 상기 펠릿 배출부(210)는 펠릿 배출구(212), 펠릿 배출덮개(214), 연결축(216) 및 회전레바(218)를 포함한다. 상기 펠릿 배출구(212)는 상기 펠릿 배출부(21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홀(hole)로써, 펠릿을 배출하기 위한 홀이다.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펠릿 배출구(212)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 상기 펠릿 배출구(21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펠릿 배출구(2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는 저면에 고무가 부착되어 상하로 이동시 상기 바닥면과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16)은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축(216)과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는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216)이 회전하면서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축(216)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레바(218)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레바(218)는 상기 연결축(216)에 결합되어 상하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레바(218)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축(216)을 회전시키 고, 상기 연결축(2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펠릿 배출덮개(214)는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펠릿 배출구(2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상기 펠릿 배출구(212)가 개방하게 되면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바닥면이 중앙부분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에 수납된 펠릿들은 상기 펠릿 배출구(212)를 통해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레바(218)를 거치하기 위한 레바걸개(219)가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바걸개(219)는 ‘ㄴ’자로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된다. 상부에 형성된 상기 레바걸개(219)는 상기 펠릿 용기뚜껑(240)을 개방시에, 하부에 형성된 상기 레바걸개(219)는 폐쇄시에 상기 회전레바(218)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바(218)를 이용하여 메뉴플레이트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펠릿 배출부(210)를 개폐하지만 모터 등의 엑츄에이터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개폐할 수 도 있다. 상기 펠릿 수납용기(200) 하부에는 상기 펠릿 배출구(212)를 통해 떨어진 상기 펠릿들을 수거할 수 있는 별도의 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본 발명의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는 메뉴플레이트에 의해 헐과 펠릿을 동시에 수납한 후 사람의 인위적인 조작이 없어도 헐과 펠릿으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 사용후핵연료봉으로부터 방사능의 누출 위험이 줄어들고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된 헐과 펠릿을 함께 수납하되, 헐과 펠릿을 각각 헐 및 펠릿 수납용기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뉴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분리된 헐과 펠릿을 분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의 안전과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헐과 펠릿을 수납하는 중에 분말이나 조각 등이 확산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헐과 펠릿을 함께 수납 후 자동으로 각각의 헐 및 펠릿 수납용기에 수납하는 일괄적인 작업처리로 인해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아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길이로 절단된 사용후핵연료봉에 대해서도 분류 저장이 가능하여 장치의 활용과 효율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사용후핵연료봉에서 헐과 펠릿을 분류하여 수납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헐과 펠릿을 수납하며, 저면에 상기 펠릿이 통과되는 펠릿 통과홀이 형성된 헐 수납용기; 및
    상기 헐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펠릿을 수납하는 펠릿 수납용기;
    를 포함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통과홀은 망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바닥면에 펠릿을 배출하는 펠릿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4. 사용후핵연료봉에서 헐과 펠릿을 분류하여 수납하기 위한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헐과 펠릿을 수납하고, 상기 펠릿이 통과되는 펠릿 통과부가 바닥면에 형성된 헐 수납용기;
    상기 헐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된 펠릿 수납용기; 및
    상기 헐 수납용기와 상기 펠릿 수납용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펠릿 통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헐 차단유닛;
    을 포함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헐 차단유닛은
    상기 펠릿 통과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홀이 형성된 상부 차단부;
    상기 제1홀에 대응하여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차단부와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차단부; 및
    상기 공간에 삽입되고 일측에 차단 손잡이가 구비된 헐 차단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헐 수납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일부분은 개폐 가능한 헐 수납도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헐 수납도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헐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하는 복수개의 헐 받침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통과부는 망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펠릿을 배출하는 펠릿 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배출부는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펠릿 배출구;
    상기 펠릿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펠릿 배출덮개;
    상기 펠릿 배출 덮개를 상하로 이동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을 회전하는 회전레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바는 상하좌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수납용기의 측면에 돌출된 레바걸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바걸개는 상기 회전레바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저면에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펠릿 받침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양측에 힌지 결합된 펠릿 용기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에는 환형의 펠릿 헨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펠릿 용기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용기뚜껑의 상면에는 뚜껑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용기뚜껑의 측면에는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펠릿 수납용기는 양측에 힌지 결합된 펠릿 용기손잡이가 결합되되, 상기 펠릿 용기손잡이의 일측에서 힌지 회전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펠릿 용기뚜껑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봉의 일체형 용기.
KR1020060056369A 2006-06-22 2006-06-22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KR10076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69A KR100764095B1 (ko) 2006-06-22 2006-06-22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369A KR100764095B1 (ko) 2006-06-22 2006-06-22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095B1 true KR100764095B1 (ko) 2007-10-08

Family

ID=3941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369A KR100764095B1 (ko) 2006-06-22 2006-06-22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50B1 (ko) 2007-12-24 2008-04-28 최남석 폐필터 저장용 랙
KR100841673B1 (ko) 2008-01-25 2008-06-26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용 방사성 오염필터 저장용기
KR101421352B1 (ko) * 2012-11-30 2014-07-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KR20190022164A (ko) * 2017-08-25 2019-03-06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송용기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96A (ja) * 1992-02-15 1994-02-04 British Nuclear Fuels Plc 調量システム
JPH11231091A (ja) 1998-02-17 1999-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使用済核燃料の再処理方法
JP2002257988A (ja) 2001-02-28 2002-09-11 Hitachi Ltd 放射性廃棄物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放射性廃棄物分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96A (ja) * 1992-02-15 1994-02-04 British Nuclear Fuels Plc 調量システム
JPH11231091A (ja) 1998-02-17 1999-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使用済核燃料の再処理方法
JP2002257988A (ja) 2001-02-28 2002-09-11 Hitachi Ltd 放射性廃棄物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放射性廃棄物分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50B1 (ko) 2007-12-24 2008-04-28 최남석 폐필터 저장용 랙
KR100841673B1 (ko) 2008-01-25 2008-06-26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용 방사성 오염필터 저장용기
KR101421352B1 (ko) * 2012-11-30 2014-07-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KR20190022164A (ko) * 2017-08-25 2019-03-06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송용기 개폐장치
KR102023917B1 (ko) * 2017-08-25 2019-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송용기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095B1 (ko)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KR100809480B1 (ko) 폐 페인트통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13943A1 (en) Transport basket for defective spent nuclear fuel of heavy-water reactor
KR20080083907A (ko) 방사성 폐기물 드럼과, 이 드럼이 적용된 방사성 폐기물처리시스템
KR101281690B1 (ko) 금속이 포함된 폐자재로부터 금속을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27094B1 (ko) 사용후 핵연료 절단연료봉 운반 및 장전 장치
KR20090126026A (ko) 고효율 수평식 연료봉 슬릿팅 장치
KR100871289B1 (ko) 사용후 핵연료 절단연료봉의 로딩 장치
KR101506724B1 (ko) 방사성 금속폐기물 압축저장장치 및 방법
US20150155064A1 (en) Optimised method for loading radioactive elements into a package
CN216806804U (zh) 用于收集和转移物料的装置
JP2007178368A (ja) 容器減容化装置及び試料採取・分析・容器減容化システム
KR102388481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12233B1 (ko) 헐 잔여분말 분리 장치 및 시스템
JP2016057212A (ja) 容器
CN207254911U (zh) 一种垃圾回收处理装置
CN211495497U (zh) 封闭式分类收集手推车
JPH06300894A (ja) 照射により活性化された要素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CN209582559U (zh) 一种带分选功能的垃圾箱
CN212215803U (zh) 一种固态垃圾处理装置
KR102603012B1 (ko)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CN215974062U (zh) 一种环保新材料固体废物处理用运输装置
CN109317295A (zh) 一种电路板粉碎回收装置
CN211014205U (zh) 一种多功能食品检测仪
CN213825197U (zh) 一种畜牧业用生物有机肥料快速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