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352B1 -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 Google Patents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352B1
KR101421352B1 KR1020120137938A KR20120137938A KR101421352B1 KR 101421352 B1 KR101421352 B1 KR 101421352B1 KR 1020120137938 A KR1020120137938 A KR 1020120137938A KR 20120137938 A KR20120137938 A KR 20120137938A KR 101421352 B1 KR101421352 B1 KR 10142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powder
spent
nuclear fuel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985A (ko
Inventor
김영환
조광훈
이한수
이정원
이재원
박근일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3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2Processing by inciner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는, 사용후핵연료가 투입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에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반응기에서 배출된 사용후핵연료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부; 및 상기 반응기 및 상기 용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사용후핵연료를 크기 별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헐 및 분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Spent Fuel Vol-oxidizer for seperating the hulls and oxidation powders}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는 원자로 안에 장입하여 핵분열을 연속적으로 일으켜서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사용후핵연료는 핵분열을 일으킨 후에 남은 물질을 말한다.
사용후핵연료의 관리에는 대략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한가지는 사용후핵연료를 지하 500미터 이상의 암반에 넣고 인간생태계와 철저히 격리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영구처분이라고 부른다. 또 하나의 방법은 사용후핵연료로부터 재활용 물질을 분리하여 핵연료 물질을 다시 사용하고 고방사성 물질은 영구 처분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KR2000-0002843(2001.01.26)에 개시된 원자력 발전소에서 연소시킨 사용된 핵연료 집합체는 더 이상 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수조에 보관 및 저장하고 있으나, 원자력 발전을 가동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사용된 핵연료봉의 양이 점차 누적되어 방대한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누적된 폐기물을 처리해야 하는 필요성 및 위험성이 계속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고체 형태의 사용후핵연료의 재활용을 위한 관리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에 대하여는 사용후핵연료를 분말화하여 이를 산화시켜 후속 공정으로 보내는 일부 공정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분말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헐 및 분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는, 사용후핵연료가 투입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에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반응기에서 배출된 사용후핵연료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부; 및 상기 반응기 및 상기 용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사용후핵연료를 크기 별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헐 및 분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의 분리밸브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의 분리밸브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1)에는 가열부(11)와, 반응기(12)와, 바디부(13)와, 구동부(14)와, 용기부(15)와, 수거부(17)와, 분리밸브(2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1)는 사용후핵연료를 진동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시킨다.
상기 가열부(11)는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한다. 상기 반응기(12)를 고온 가열한다. 상기 가열부(11)는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시키기 위해, 상기 반응기(12) 내부를 1250도 이상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1)는 제1 히팅바디(11a) 및 제2 히팅바디(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팅바디(11) 및 상기 제2 히팅바디(12)는 상기 반응기모듈(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히팅바디(11) 및 상기 제2 히팅바디(12)의 내부에는 상기 반응기모듈(2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모듈(10)은 상기 반응기모듈(20)을 감싸고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는 평평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11) 및 상기 반응기(12)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응기(12)는 사용후핵연료가 내부에 투입될 수 있고, 상기 반응기(12) 내부에 투입된 사용후핵연료는 상기 가열부(11)로부터 열을 받아서 산화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2) 내부에는 사용후핵연료를 이송하는 스크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반응기(12) 내부에 수평하게 구비된 회전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사용후핵연료의 산화 중에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후핵연료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사용후핵연료의 산화가 완료되면 상기 스크류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후핵연료를 기설정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반응기(12) 내부의 상기 기설정된 방향의 반대측 단부에는 사용후핵연료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의 산화가 완료되면,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경하여 사용후핵연료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는 상기 바디부(13)의 지지판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는 모터 등의 전동기일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반응기(12) 내부에 둘레가 망(mesh)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산화용기가 구비되어, 산화된 사용후핵연료의 펠릿 분말은 상기 망을 통과하여 상기 반응기(12)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반응기(12)와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에서 반응하므로, 적정 온도에서 반응하지 못하고 적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반응하여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응기(12) 내부에서만 헐 및 펫릿 분말의 산화가 일어나므로, 종래보다 반응성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거부(17)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사용후핵연료를 임시적으로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거부(17)는 상기 반응기(12)와 배관 등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응기(12)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수거부(17)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반응기(12)에서 배출된 산화된 사용후핵연료를 상기 용기부(15)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후핵연료를 모아놓을 수 있다.
상기 수거부(17)의 하부에는 배출배관(17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배관(171)은 상기 분리밸브(20)와 연결된다. 사용후핵연료는 상기 배출배관(171)을 통하여 상기 분리밸브(20)로 이송된다.
상기 분리밸브(20)는 밸브판(21)과, 밸브 하우징(2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배관(171)의 하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밸브(20)는 상기 밸브 하우징(22) 내부에 밸브판(2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판(21)은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판(21)에는 헐 통과홀(22)과, 분말 통과홀(23)이 형성된다. 상기 헐 통과홀(22)는 헐보다 더 큰 직경의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반응기(12)에서 배출되는 헐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분말 통과홀(23)은 펠릿 분말보다는 직경이 크고 헐보다는 직경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펠릿 분말은 통과시키면서 헐은 통과시킬 수 없다. 상기 분말 통과홀(23)은 매우 작은 구멍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판(21)은 홀이 형성되지 않은 차폐 부분과, 상기 분말 통과홀(23)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헐 통과홀(22)이 형성된 부분이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밸브판(21)을 수평 이동하여 펠릿 분말 및 헐을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처음에는 상기 밸브판(21)의 차폐 부분이 상기 배출배관(171)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배출배관(171)에서 헐 및 펠릿 분말이 상기 용기부(15)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폐한다. 그 다음에, 상기 밸브판(21)을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말 통과홀(23)이 상기 배출배관(171)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펠릿 분말만 통과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용기부(15)에 펠릿 분말이 채워지면, 상기 용기부(15)를 헐을 수거하기 위한 다른 용기부로 교체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밸브판(21)을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헐 통과홀(22)을 상기 배출배관(171)의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헐을 통과시킨다. 그러면, 상기 용기부(15)에 헐이 수집되어 헐을 펠릿 분말과 별도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분리밸브(20)에는 기어 박스(미도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기어 박스의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밸브판(21)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헐 및 분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11: 가열부
12: 반응기 13: 바디부
14: 구동부 15: 용기부(15)
17:수거부(17) 20: 분리밸브
21: 밸브판 22: 헐 통과홀
23: 분말 통과홀 171: 배출배관

Claims (7)

  1. 사용후핵연료가 투입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에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반응기에서 배출된 사용후핵연료를 수거하기 위한 용기부;
    상기 반응기 및 상기 용기부 사이에 평평한 판상이 구비되고, 상기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사용후 핵연료를 상기 판상이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동되어, 펠릿분말 또는 헐을 크기 별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밸브로 구성되는 사용후 핵 연료 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밸브에는 상기 펠릿분말은 통과시키지만, 상기 헐은 통과시키지 않는 분말 관통홀;
    상기 헐을 통과시키며, 상기 분말 관통홀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헐 관통홀;
    이 형성되며, 상기 판상을 이동하여 상기 펠릿 분말을 먼저 통과시킨 다음에, 상기 헐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관통홀은 다수개 형성되는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밸브는, 상기 헐 및 펠릿 분말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막혀있는 차폐부와, 상기 분말 관통홀과, 상기 헐 관통홀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내부에는 사용후핵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반응기 내부의 사용후핵연료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변경하는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내부에서만 사용후핵연료의 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KR1020120137938A 2012-11-30 2012-11-30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KR10142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38A KR101421352B1 (ko) 2012-11-30 2012-11-30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38A KR101421352B1 (ko) 2012-11-30 2012-11-30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85A KR20140069985A (ko) 2014-06-10
KR101421352B1 true KR101421352B1 (ko) 2014-07-18

Family

ID=5112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938A KR101421352B1 (ko) 2012-11-30 2012-11-30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3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85B1 (ko) 2005-11-15 2006-12-28 한국원자력연구소 사용후 핵연료의 공기산화로
KR100764095B1 (ko) * 2006-06-22 2007-10-08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KR100793832B1 (ko) 2006-08-30 2008-01-11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봉 파쇄장치
KR20090070955A (ko) * 2007-12-27 2009-07-01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 로드컷 산화핵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85B1 (ko) 2005-11-15 2006-12-28 한국원자력연구소 사용후 핵연료의 공기산화로
KR100764095B1 (ko) * 2006-06-22 2007-10-08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 펠릿 및 피복관을 수납하는 일체형 용기
KR100793832B1 (ko) 2006-08-30 2008-01-11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봉 파쇄장치
KR20090070955A (ko) * 2007-12-27 2009-07-01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 로드컷 산화핵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85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oue et al. Development of pyroprocessing and its future direction
JP2018507396A (ja) 核物質処理
US7673544B2 (en) Separation and receiving device for spent nuclear fuel rods
EP2769384B1 (en) Graphite thermal decontamination with reducing gases
KR101421352B1 (ko) 헐 및 분말의 분리가 용이한 사용후핵연료 산화장치
KR20130117812A (ko) 재생 우라늄 및 감손 우라늄을 함유하는 핵연료, 핵연료 다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원자로
Natarajan et al. Technology development of fast reactor fuel reprocessing in India
KR100950397B1 (ko) 사용후 핵연료 로드컷 산화핵심장치
Mason et al. Pyrolysis and its potential use in nuclear graphite disposal
US9711247B2 (en) Voloxidizer with double reactor for spent fuel rods decladding and double reactor for use in the same
KR100871290B1 (ko) 사용후 핵연료와 봉의 자동분리 압출장치
US9040014B2 (en) Graphite thermal decontamination with reducing gases
JP2006030001A (ja) 使用済み燃料の再利用方法及び高速炉の炉心構造
JP2015122290A (ja) 核分裂により中性子等の放射線を生成する装置及び生成法
Bomboni et al. New developments in actinides burning with symbiotic LWR-HTR-GCFR fuel cycles: perspectives and challenges
CN114480849B (zh) 一种回收废锆包壳中锆元素的装置及方法
WO2018064572A1 (en) Silver chloride waste form and apparatus
KR101522980B1 (ko) 핵종 아이오다인-129의 핵변환을 위한 이트륨 트라이 아이오다이드 표적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아이오다인-129의 처리장치
JP2010190717A (ja) 高速増殖炉サイクルにおける高速増殖炉用核燃料ペレットの製造方法
Shukla et al. Long Term Sustainability of Nuclear Power in India-Prospects and Challenges
Grandjean et al. Synthesis of mixed actinide compounds by hydrometallurgical co-conversion methods
Schneidesch et al. Optimized design of reactor cores for continuous operation of Belgian nuclear power plants
Kudinov et al. Status of and prospects for using carbide fuel
Funasaka et al. Development of FBR fuel cycle technology in Japan
Maloir et al. Optimization of the Post-Operational Phase on Two Belgian Multi-Unit Nuclear Power Plants: the Case of the Non-Fissile Irradiated Core Items-2015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