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292B1 - 폴리우레탄 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292B1
KR100763292B1 KR1020010027304A KR20010027304A KR100763292B1 KR 100763292 B1 KR100763292 B1 KR 100763292B1 KR 1020010027304 A KR1020010027304 A KR 1020010027304A KR 20010027304 A KR20010027304 A KR 20010027304A KR 100763292 B1 KR100763292 B1 KR 10076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polyol
density
hardness
as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284A (ko
Inventor
사와이미노루
기따가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03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07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66≥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410/00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특정한 성형체 밀도영역에서 강도를 유지하고, 압축특성이 우수하며, 스포츠 슈즈의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균분자량 1000 이상 ∼ 2500 미만의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촉매 및 발포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성형체 밀도가 0.4 ∼ 0.8 g/㎤ 가 되도록 성형한 후, 수득한 성형체를 60 ∼ 100 ℃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스포츠 슈즈의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 그의 제조방법, 및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의 폴리우레탄 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을 스포츠 슈즈 등의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압축특성 (Compression Set, ASTM D 395 에 규정, 이하 동일) 이 중요하므로, 압축특성과 강도의 양립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양자를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예컨대,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의 가교밀도를 높이면, 그 반면 압축특성이 저하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79556 호에는 분자량이 2500 ∼ 3500 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1,4-부탄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특정비율로 반응시켜 내열성, 압축영구변형 및 내한성이 우수한 고경도 (JIS-A 로 75 이상) 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목적으로 하는 성형체 밀도영역 (0.4 ∼ 0.8 g/㎤) 에서, Asker C 경도 50 ∼ 75 에서는 내열성, 압축영구변형 및 내한성이 열악하다는 결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79557 호에는 특정 폴리에스테르디올의 필수성분으로서 1,9-노난디올 및 3-메틸-1,5-펜탄디올이 사용되고, 성형성이 우수하며, 양호한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폴리우레탄은 목적으로 하는 성형체 밀도영역 (0.4 ∼ 0.8 g/㎤) 에서, Asker C 경도 50 ∼ 75 에서는 내열성, 압축영구변형 및 내한성이 열악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71263 호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60 ∼ 100 ℃ 의 온도에서 8 ∼ 16 시간 열처리하여 경도 (JIS-A) 를 50 ∼ 80 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압축특성 (압축영구변형) 이 30 % 이하의 클리닝 블레이드가 수득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클리닝 블레이드는 목적으로 하는 성형체 밀도영역 (0.4 ∼ 0.8 g/㎤) 에서, Asker C 경도 50 ∼ 75 에서는 내열성, 압축영구변형 및 내한성이 열악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성형체 밀도영역에서 강도를 유지하고, 압축특성이 우수하며, 스포츠 슈즈의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균분자량 1000 이상 ∼ 2500 미만의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촉매 및 발포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성형체 밀도가 0.4 ∼ 0.8 g/㎤ 가 되도록 성형한 후, 수득한 성형체를 60 ∼ 100 ℃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용도가 제공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폴리올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은 적당한 점도를 유지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폴리우레탄 폼의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1000 이상 ∼ 250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0 ∼ 2400 이다.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강도와 압축특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컨대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아제라인산, 세바신산 등의 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포화 지환속 디카르복실산 ;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 말레인산, 푸말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등의 할로겐 함유 디카르복실산 ;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이들의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카르복실산에는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3 관능 이상의 다염기산이 원하는 바 에 따라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구성하는 디올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메틸펜탄디올, 1,6-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린, 덱스트로즈, 솔비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의 대표예로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계 폴리올 (이하, PPG 라고 함),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이하, PTMG 라고 함)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PPG 는 2 이상의 활성 수소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출발원료로 하고, 이것에 통상의 알킬렌옥시드의 개환 부가반응을 행하고, 추가로 에틸렌옥시드를 분자 말단에 블록적으로 부가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2 이상의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다가알콜, 다가페놀, 폴리아민, 알칸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2 이상의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린,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비스페놀 A, 에틸렌디아민, 그들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킬렌옥시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1,2-부틸렌옥시드, 2,3-부틸렌옥시드, 스틸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성분 중에서는 관능기수가 2 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000 ∼ 2400 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90 ∼ 95 중량 % 와, 관능기수가 3 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 ∼ 2500 미만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5 ∼ 10 중량 % 를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은 성형체를 제조할 때의 점도와, 성형체의 강도, 압축특성 및 성형후의 탈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 개 이상 갖는 방향족계, 지환족계,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그들의 혼합물, 그들을 변성하여 얻어지는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수소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그들의 혼합물 ; 그들의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변성체로서는, 예컨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생성물인 프리폴리머형 변성체, 누레이트 변성체, 우레아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아로파네이트 변성체, 뷰렛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촉매로서는, 예컨대 TEDA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N,N,N',N'-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프로필렌디아민,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메틸아미노에틸피페라진,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N-에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비스(디메틸아미노알킬)피페라진,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에틸벤질아민, 비스(N,N-디에틸아미노에틸)아디페이트, N,N,N',N'-테트라메틸-1,3-부탄디아민, N,N-디메틸-β-페닐에틸아민, 1,2-디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등의 3 차 아민,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올레인산 제 1 주석, 나프텐산 코발트, 나프텐산 납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은 폴리올 성분 100 부 [중량부, 이하 동일] 에 대하여 탈형성의 관점에서 0.3 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충전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2.0 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6 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로서는 물, 저비점의 탄화수소화합물, 클로로플루오로카본, 수소화 플루오로카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들 중에서는 물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사용량은 성형밀도를 저하시키는 관점, 수지화와 포화(泡化)간의 반응 균형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 100 부에 대하여 0.1 ∼ 1.5 부, 바람직하게는 0.2 ∼ 1.0 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계면활성제, 가교제, 안료, 산화방지제, 황변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알킬실옥산,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변성 디 메틸폴리실옥산, 알킬렌글리콜 변성 디메틸폴리실옥산 등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지방산염, 황산 에스테르염, 인산 에스테르염, 술폰산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수산기, 1 차 아미노기, 2 차 아미노기,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활성 수소함유기를 2 개 이상 갖는 저분자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비스페놀 A 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등의 다가알콜, 디에틸톨루엔디아민, 클로로디아미노벤젠, 에틸렌디아민, 1,6-헥산디아민 등의 폴리아민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1,4-부탄디올 및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올 성분, 촉매, 발포제, 첨가제 등을 미리 혼합, 교반한 폴리올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성형기에 의해 혼합, 교반하고, 주형내에 주입하여 발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 용액을 탱크 등을 사용하여 혼합, 교반하고, 통상 35 ∼ 45 ℃ 로 온도조절한 후, 자동 혼합주입형 발포기, 자동 혼합형 사출발포기 등의 발포기를 사용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 발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율은 강도 및 내굴곡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90 ∼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105,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 101 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에 의해 수득한 성형체의 성형체 밀도는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강도유지 및 압축특성향상의 관점에서 0.4 ∼ 0.8 g/㎤, 바람직하게는 0.5 ∼ 0.7 g/㎤ 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 성형체 밀도는 발포제 및 촉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 성형체의 경도는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폼의 강도유지 및 압축특성향상의 관점에서 50 ∼ 75 (Asker C), 바람직하게는 55 ∼ 70 (Asker C) 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체의 경도는 가교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득한 성형체에 60 ∼ 100 ℃ 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성형체에 열처리를 실시하는 점에 하나의 큰 특징이 있다. 이 열처리를 성형체에 실시함으로써 성형체의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향상되고, 압축특성도 더욱 향상된다는 우수한 효과가 발현된다.
열처리는 수득한 성형체를 주형으로부터 탈형한 후에 행하는 것이 생산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열처리하는 시기는 수득한 성형체를 주형으로부터 탈형한 직후로부터 약 2 주간의 기간내에 행하는 것이 압축특성 등의 물성을 안정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열처리의 온도는 성형체가 열변형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60 ∼ 100 ℃, 바람직하게는 80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100 ℃ 이다.
열처리는 중부가반응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고, 폴리우레탄 폼의 고분자량화를 촉진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열처리는 폴리우레탄 폼의 변색 (황변) 이나 열변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2 개의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작업성 (생산성) 을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 폼이 변색 또는 열변형하지 않을 정도로 고분자량화를 촉진시키는 시간과 열처리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성형체의 성형체 밀도가 0.6 g/㎤ 인 경우, 바람직한 열처리의 온도와 시간은 100 ℃ 의 온도에서는 30 ∼ 90 분간, 80 ℃ 의 온도에서는 1 ∼ 2 시간, 또 60 ℃ 의 온도에서는 3 ∼ 4 시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은 압축특성이 10 ∼ 25 %, 바람직하게는 10 ∼ 20 % 로 우수한 것이며,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성형체 밀도가 0.6 g/㎤ 이고 성형체 경도가 65 ±2 (Asker C) 이거나, 성형체 밀도가 0.65 g/㎤ 이고 성형체 경도가 67 ±2 (Asker C) 이거나, 또는 성형체 밀도가 0.7 g/㎤ 이고 성형체 경도가 70 ±2 (Asker C) 일 때, 압축특성이 10 ∼ 20 % 인 폴리우레탄 폼은 신발의 쿠션성을 최적으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스포츠 슈즈 등의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9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의 내역은 이하와 같다.
[폴리올 성분]
ㆍ폴리올 A :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틸렌-1,4-부탄디올아디페이트, 수평균분자량 2200, 원료모노머 :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 = 1/0.66 (중량비)] 40 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틸렌-1,4-부탄디올아디페이트, 수평균분자량 1300, 원료모노머 :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 = 1/1 (중량비)] 60 부를 60 ℃ 로 온도조절하여 혼합한 것 [산가 : 0.21 KOH㎎/g, 수산기가 : 72.3 KOH㎎/g, 수분량 : 0.82 중량 %]
ㆍ폴리올 B : 폴리에테르폴리올 [수평균분자량 2000, 호도가야가가꾸고오교 (주) 제조, 상품명 : PTG-2000SNW]
ㆍ폴리올 C :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평균분자량 2200, 가오 (주) 제조, 상품명 : 에디폼 E-505] 90 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평균분자량 2483, 가오 (주) 제조, 상품명 : 에디폼 E-541] 10 부를 60 ℃ 로 온도조절하여 혼합한 것 [산가 : 0.20 KOH㎎/g, 수산기가 : 52.9 KOH㎎/g, 수분량 : 0.70 중량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ㆍ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 가오 (주) 제조, 상품명 : 에디폼 B-2009
ㆍ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 가오 (주) 제조, 상품명 : 에디폼 B-6106M
[촉매]
ㆍTEDA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발포제]
ㆍ물
[가교제]
ㆍ1,4-부탄디올 (이하, BD 라고 함)
ㆍ에틸렌글리콜 (이하, EG 라고 함)
[계면활성제]
ㆍ폴리알킬실옥산 [니혼유니카 (주) 제조, 상품명 : SZ-1642] (이하, SZ-1642 라고 함)
ㆍ폴리알킬실옥산 [니혼유니카 (주) 제조, 상품명 : SZ-1605] (이하, SZ-1605 라고 함)
표 1 ∼ 2 에 나타낸 폴리올 성분, 촉매, 물, 가교제 및 계면활성제를 소정량 중량 측정하고, 혼합, 교반하여 폴리올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 용액을 조제하였다.
폴리올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는 식 :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 [실제로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량 (부)] ÷[화학양론적으로 폴리올량과 당량이 되는 이소시아네이트량 (부)] ×100
에 따라 구하였다.
다음으로, 포어링형 저압 발포기 탱크중의 하나에 표 1 에 나타낸 배합량의 폴리올 용액을 넣고, 그 용액 온도를 35 ∼ 45 ℃ 로 조정하였다. 다른 탱크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넣고, 그 용액 온도를 35 ∼ 40 ℃ 로 조정하였다.
상기 발포기를 사용하여 폴리올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혼합, 교반하고, 주형내에 주입하여 발포시키고, 100 ㎜ ×300 ㎜ ×10 ㎜ 의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각 실시예에서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을 오븐중에서 95 ∼ 100 ℃ 의 온도로 1 시간 가열하였다.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 2 에 나타낸다.
[성형체 밀도]
100 ㎜ ×300 ㎜ ×10 ㎜ 의 폴리우레탄 폼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 중량을 체적 (300 ㎤) 으로 나누어 성형체 밀도를 산출하였다.
[경도]
Asker C 경도계로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장도]
JIS K-6301 에 준한다.
[압축특성 (Compression Set)]
ASTM D 395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실시예ㆍ비교예 번호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2 실시예3 비교예3 실시예4 비교예4
폴리올 용액 폴리올 성분의 종류 폴리올 A 폴리올 A 폴리올 A 폴리올 A
촉매 (TEDA) (부) 1.2 1.1 1.2 1.1
가교제 (부) BD 10.5 EG 5 BD 10.5 EG 5
계면활성제 (SZ-1642) (부) 1 1 1 1
계면활성제 (SZ-1605) (부) 0 0 0 0
발포제 (물) (부) 0.3 0.3 0.55 0.55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종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00 100 100 100
열처리의 유무
물 성 성형체 밀도 (g/㎤) 0.65 0.65 0.65 0.65 0.48 0.49 0.49 0.48
경도 (Asker C) 70 70 70 70 60 59 59 59
인장강도 (MPa) 7.8 7.1 8.5 8.1 4.1 3.9 4.4 4.1
인열강도 (KN/m) 30.3 29.2 30.1 29.2 17.6 17.0 17.7 17.3
신장도 (%) 540 560 520 540 590 620 570 600
압축특성 (%) 19.9 30.8 19.2 31.4 21.3 32.4 22.4 33.9
실시예ㆍ 비교예 번호 실시예5 비교예5 실시예6 비교예6 실시예7 비교예7 실시예8 비교예8 실시예 9 비교예 9
폴리올 용액 폴리올 성분의 종류 폴리올 B 폴리올 B 폴리올 B 폴리올 B 폴리올 C
촉매(TEDA)(부) 1.6 1.5 1.6 1.5 1.3
가교제 (부) BD 10 EG 5 BD 10 EG 5 BD 10
계면활성제 (SZ-1642) (부) 1 1 1 1 0
계면활성제 (SZ-1605) (부) 0 0 0 0 1
발포제(물)(부) 0.45 0.45 0.65 0.65 0.3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종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폴리이소시아 네이트 화합물 A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100 100 100 100 100
열처리의 유무
물 성 성형체 밀도 (g/㎤) 0.65 0.65 0.65 0.65 0.48 0.49 0.49 0.48 0.60 0.60
경도 (Asker C) 70 70 70 70 60 59 59 59 67 66
인장강도 (MPa) 7.2 6.6 7.5 6.8 3.8 3.2 4.0 3.5 8.4 7.8
인열강도(KN/m) 28.1 27.5 29.5 28.5 16.8 16.0 16.5 15.9 31.2 30.6
신장도 (%) 540 560 510 535 580 630 560 610 540 530
압축특성 (%) 15.2 26.8 15.6 28.5 16.8 28.2 17.5 29.1 11.4 25.8

표 1 ∼ 2 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9 에서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은 특정한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올 성분이 사용되고, 더욱이 성형후에 특정온도에서 열처리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비교예 1 ∼ 9 에서 수득한 것과 대비하여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및 압축특성이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 9 에서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은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성형체 밀도영역에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스포츠 슈즈의 신발 바닥 등의 쿠션재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이 제공된다.

Claims (14)

  1. 수평균분자량 1000 이상 ∼ 2500 미만의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촉매 및 발포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성형체 밀도가 0.4 ∼ 0.8 g/㎤ 가 되도록 성형한 후, 수득한 성형체를 60 ∼ 100 ℃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성형체의 경도가 50 ∼ 75 (Asker C) 가 되도록 성형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율을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가 90 ∼ 110 이 되도록 조정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인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의 압축특성이 10 ∼ 25 % 인 제조방법.
  6. 제 1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한 폴리우레탄 폼.
  7. 제 6 항에 있어서, 성형체를 주형내에서 제조하고, 수득한 성형체를 탈형한 후, 60 ∼ 100 ℃ 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성형체 밀도가 0.6 g/㎤ 이고 성형체 경도가 65 ±2 (Asker C) 이거나, 성형체 밀도가 0.65 g/㎤ 이고 성형체 경도가 67 ±2 (Asker C) 이거나, 또는 성형체 밀도가 0.7 g/㎤ 이고 성형체 경도가 70 ±2 (Asker C) 일 때, 압축특성이 10 ∼ 20 % 인 폴리우레탄 폼.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쿠션재가 스포츠 슈즈의 신발 바닥의 쿠션재인 쿠션재.
  11.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올 성분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인 제조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의 압축특성이 10 ~ 25 % 인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폼의 압축특성이 10 ~ 25 % 인 제조방법.
  14. 제 8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
KR1020010027304A 2000-05-19 2001-05-18 폴리우레탄 폼 KR100763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7239 2000-05-19
JP2000147239 200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84A KR20010105284A (ko) 2001-11-28
KR100763292B1 true KR100763292B1 (ko) 2007-10-04

Family

ID=1865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304A KR100763292B1 (ko) 2000-05-19 2001-05-18 폴리우레탄 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84220B2 (ko)
KR (1) KR100763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1892A2 (en) * 2004-12-23 2006-07-06 Weight Loss By Design Computerized system for developing weight-loss plan
CN105601980A (zh) * 2006-01-18 2016-05-25 巴斯夫欧洲公司 基于热塑性聚氨酯的泡沫
US7666919B2 (en) * 2006-03-14 2010-02-2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romatic diacid ester diols and substituted carbamates thereof for minimizing deterioration of polyurethane foams
US20110262813A1 (en) * 2010-04-21 2011-10-27 Evt Power Inc. Method of producing current collector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344A (ko) * 1988-04-08 1990-11-13 다케바야시 쇼오고 우수한 페인트 접착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층 및 폴리우레탄 층으로 구성된 적층체
KR940019775A (ko) * 1993-02-18 1994-09-15 윤대욱 핫큐어몰드 제조시설을 이용한 표면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탄 폼용 조성물
US5958988A (en) * 1995-11-09 1999-09-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ross-linked polyurethane resin pow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00006467A (ko) * 1998-06-26 2000-01-25 모치즈키 아키히로 연속기포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및이의제조방법
US6020390A (en) * 1996-11-08 2000-02-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cess for mak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9557A (ja) 1993-11-12 1995-07-18 Kuraray Co Ltd 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の成形物
JP3324867B2 (ja) 1993-11-12 2002-09-17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物の製造方法
JPH07271263A (ja) 1994-03-30 1995-10-20 Tokai Rubber Ind Ltd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71279B1 (en) * 2000-07-10 2001-08-07 Bayer Corporation High resilient flexible urethane foam and flexible molded foams based on allophanate modified isocyanat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6344A (ko) * 1988-04-08 1990-11-13 다케바야시 쇼오고 우수한 페인트 접착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층 및 폴리우레탄 층으로 구성된 적층체
KR940019775A (ko) * 1993-02-18 1994-09-15 윤대욱 핫큐어몰드 제조시설을 이용한 표면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탄 폼용 조성물
US5958988A (en) * 1995-11-09 1999-09-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ross-linked polyurethane resin pow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020390A (en) * 1996-11-08 2000-02-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cess for mak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s
KR20000006467A (ko) * 1998-06-26 2000-01-25 모치즈키 아키히로 연속기포경질폴리우레탄발포체및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4220B2 (en) 2004-08-31
US20020013378A1 (en) 2002-01-31
KR20010105284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4880A (en) Water-blown polyurethane integral skin foam
US8178591B2 (en) Carbon dioxide blown low density, flexible microcellular polyurethane elastomers
US6331577B1 (en) Process for producing elastic polyurethane moldings with compact surfaces and cellular cores
US5216035A (en) Water-blown polyurethane integral skin foam
US5236960A (en) Water-blown polyurethane integral skin foam
US20120202908A1 (en) Process for produc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
US6878753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JPWO2003054047A1 (ja) 低反発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06967A (ja) 微孔質エラストマーの製造用反応系
EP1967538B1 (en) Polyol composition and low-repulsion polyurethane foam
JP2006104404A (ja) 乗り物シート用ポリウレタンパッド
US6291538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
JP427568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5332764A (en) Polyether polyol production of a flexible urethane foam and shaped article therefrom
US20090054600A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hydrolysis resistance of a urethane elastomer
KR100763292B1 (ko) 폴리우레탄 폼
JP3367091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11310624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2002037836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363064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071805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3671564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2047330A (ja) 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H0126609B2 (ko)
JPH068010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