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769B1 - 증기 가열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 가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769B1
KR100762769B1 KR1020027015555A KR20027015555A KR100762769B1 KR 100762769 B1 KR100762769 B1 KR 100762769B1 KR 1020027015555 A KR1020027015555 A KR 1020027015555A KR 20027015555 A KR20027015555 A KR 20027015555A KR 100762769 B1 KR100762769 B1 KR 10076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ot gas
water
gas
heat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492A (ko
Inventor
반돈겐프란시스쿠스게라르두스
데그라프요하네스디데리쿠스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서치 마챠피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서치 마챠피즈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서치 마챠피즈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0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3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the hot gas being under a high pressure, e.g. in chemical installations
    • F22B1/1846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the hot gas being under a high pressure, e.g. in chemical installations the hot gas being loaded with particles, e.g. waste heat boilers after a coal gasification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84Hot gas heating tube boilers with one or more hea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증기 가열용 공정으로서, (a) 액체수와 고온 가스 사이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해 증기가 얻어지는 단계, (b)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가 단계 (a) 에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냉각된 고온 가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 (c) 단계 (b) 에서 증기를 가열하기 이전 또는 가열하는 동안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에 부가적인 물이 첨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기 가열 방법 {PROCESS FOR HEATING STEAM}
본 발명은 증기 가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액체수와 고온 가스 사이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해 증기를 얻는 단계, (b) 단계 (a) 에서 얻은 증기를 단계 (a) 에서 얻은 부분적으로 냉각된 고온 가스와 간접적으로 열교환시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정은 EP-A-257719 호에 기술된다. 본 간행물은 과열 증기가 형성되는 고온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정을 기술한다. 과열 증기는 그 포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증기를 의미한다. EP-A-257719 호는 고온 가스의 통과를 위한 제 1 증발 튜브 다발로 구성되는 용기를 기술한다. 본 튜브 다발은 물 공간 속에 감긴다. 사용에 있어 고온 가스가 상기 튜브 다발을 통과할 경우 증기가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증기는, 동일한 물 공간에 잠기게 되는 쉘-튜브 열 교환기를 구성하는 과열기 모듈에 공급된다. 이러한 모듈에서 상기 제 1 증발기 튜브 다발로부터의 부분적으로 냉각된 가스는 상기 과열기 모듈의 쉘측에 공급되며 상기 증기는 상기 과열기 모듈의 튜브 측에 공급된다. 상기 두 유동은 작동의 상호-유동 모드의 과열기 내에서 접촉된다.
EP-A-257719 호에 따른 공정이 예를 들어, 가스 또는 액체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에 의해 생산된 합성 가스에 대해 탄소(carbon), 재(ash) 및/또는 황과 같은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출원인이 발견했다. 가스 측에서의 장치의 오염이 누설을 발생시킨다고 믿어진다. 비록 장치가 정기적으로 세척된다고 하더라도, 누설 문제는 지속된다. 특별히 합성 가스가 액체 탄화수소, 특히 중유 찌꺼기의 기화에 의해 생산되는 경우에, 오염의 결과로 또한 장치의 열 교환 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열 교환기를 떠나는 공정 가스의 온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제 1 열 교환기 장치를 떠나는 공정 가스의 온도가 특정한 온도, 통상적으로 400 내지 450 ℃를 초과하는 경우, 공정 가스를 제 1 열 교환기의 하류로 운반하는 관의 온도는 매우 높아져서 관이 손상될 것이다. 따라서, 관을 세척하기 위해 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야 한다. 관이 세척된 후의 장치의 작동 시간은 "사이클 시간(cycle time)"으로 불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클 주기가 최대화 및/또는 누설 문제가 방지될 수 있는, 증기를 가열 및 고온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온 가스는 장치의 열교환 표면을 오염시키는 합성물을 포함하는 특히 고온 공정 가스이다. 그러한 합성물은 특히 검댕 및 선택적으로 황이다. 여기서 검댕은 탄소 및 재를 의미한다. 다음과 같은 공정은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킨다.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a) 액체수와 고온 가스 사이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해 증기가 얻어지는단계,
(b)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가 단계 (a) 에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냉각된 고온 가스와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는 단계,
(c) 단계 (b) 에서 증기를 가열하기 전 또는 가열하는 동안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에 보충수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원인은 단계 (c) 에서 물을 추가함으로써 단계 (b) 에서 열교환 용기를 떠나는 고온 가스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았다. 그러므로 긴 사이클 시간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정이 얻어진다. 단계 (c) 에서 물의 추가로 얻어질 수 있는 또다른 잇점은, 과열기의 튜브 벽 온도를 최대 허용 온도 이하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과열기 모듈로 진입하는 증기의 냉각 능력이 작동의 역-유동 모드에서 상기 과열기 모듈을 작동하기에 충분하다는 점이다. 그러한 최대 허용 온도는 6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이다. 상기 과열기가 역-유동 작동에서 작동될 수 있으므로, 높은 열교환 효율이 성취될 수 있어, 예를 들어, 과열 증기의 온도가 보다 높거나 또는 과열기 모듈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단계 (b) 에서 물방울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단계 (c) 에서 물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 에서 물이 첨가되기 이전에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가 먼저 가열된다. 증기가 과열되었으므로 즉시 증발할 액체수가 이러한 방식에 의해 첨가될 수 있다.
고온 가스가 쉘-튜브 열 교환기의 튜브 측에서 유동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단계 (a) 및 (b) 가 수행된다. 고온 가스가 튜브 측에서 유동하므로 장치를 세척하는데 보다 쉬운 방법이 본 공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세척은 단계 (a) 및 (b) 에서 이용되는 튜브를 통해 예를 들어 플러그를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b) 의 상기 부분적으로 냉각된 고온 가스 및 증기가 실질적으로 역-유동으로 상기 쉘-튜브 열교환기에서 유동한다. 적절하게는 상기 고온 가스는 단계 (a) 에서 증발기 튜브 다발을 통해 유동하며, 상기 다발은 물로 채워진 공간 내로 잠기게 되고, 단계 (b) 에서 상기 열교환은 또한 물로 채워진 공간 내로 잠기게 되는 쉘-튜브 열교환기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열 증기를 위한 소정 수준으로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계 (b) 에서 얻어진 가열된 증기에 액체수가 첨가된다. 그러는 동안, 부가적인 과열 증기가 형성된다.
상기 공정은, 상기 고온 가스에 존재하는 오염물로 인해 단계 (a) 및 (b) 에서 고온 가스측의 열교환 영역에서 오염이 발생할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오염으로 인해 작동 길이동안 점차적으로 고온 가스의 덜 효율적인 냉각이 발생할 것이다. 작동 길이동안 단계 (c) 에서 첨가되는 증가하는 양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단계 (b) 에서 얻어진 바와 같은 냉각된 가스의 최종 온도가 소정의 최대치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 에서 첨가된 물의 양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단계 (b) 에서 얻어진 냉각된 고온 가스의 온도가 450℃ 이하로 유지된다.
오염 물질을 함유하는 상기 고온 가스는 액체 또는 가스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에 의해 발생되는 적절한 합성 가스이다. 상기 오염물은 주로 검댕 및/또는 황이다. 상기 공정은 특히, 액체 탄화수소 원료, 즉 비스브레이커 (visbreaker) 잔여물, 아스팔트, 및 진공 발화 (flashed) 분쇄 잔여물과 같은 360 ℃ 초과 끓는점을 가지는 구성요소를 9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액체 탄화수소 원료인 바람직하게는 중유 잔여물과 같은 액체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에 의해 생산되는 검댕 및 황-함유 합성가스의 냉각에 적합하다. 중유 잔여물로부터 생산된 합성 가스는 통상적으로 0.1 내지 1.5 중량% 의 검댕 및 0.1 내지 4 중량% 의 황을 포함한다.
검댕 및 황의 존재로 인해, 고온 가스를 전달하는 상기 튜브의 오염이 발생하며, 작동 시간을 증가시켜 상기 열교환기 및 과열기에서의 열교환을 방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튜브가 고온 가스를 전달하는 지점에서 상기 열교환기 용기를 떠나는 고온 가스의 온도가 450℃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작동 시간동안 상기 첨가되는 물의 양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냉각되는 상기 고온 가스는 통상적으로 12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1250 내지 1400℃ 의 온도 범위를 가지며, 150 내지 4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300℃ 범위의 온도로 냉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생산된 과열된 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를 위한 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그러한 기화 공정에서, 탄화수소 원료, 분자 산소 및 증기가 기화기에 공급되며 고온 합성 가스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a) 탄화수소 원료, 분자 산소-함유 가스 및 증기를 기화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기화 반응기에서 고온 합성 가스를 얻기 위해 상기 원료, 상기 분자 산소-함유 가스, 및 상기 증기를 기화하는 단계,
(c) 단계 (b) 에서 얻어진 고온 합성 가스를 냉각하고 상기된 공정에 따라 증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단계 (a) 에서 상기 기화 반응기에 공급되는 증기의 적어도 일부가 단계 (c) 에서 얻어지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하기되는 장치에서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고온 가스용 열교환기의 냉각수로부터 형성되는 증기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가,
냉각수 구간, 냉각될 가스용 입구, 냉각된 가스용 출구, 가열된 증기용 입구 및 발생된 증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집 공간을 가지는 제 1 열교환기 용기;
냉각수 구간 내에 배치되고 냉각될 가스용 입구에 유체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증발기 튜브,
발생된 증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집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집 공간의 증기 출구를 통해 발생된 증기의 수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증기 튜브,
냉각수 구간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 2 튜브-쉘 열교환기 용기, '과열기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발생된 증기가 상기 제 1 증발기 튜브로부터의 부분적으로 냉각된 가스에 대항하여 추가적으로 가열되고,
상기 제 1 증발기 튜브가 상기 과열기 모듈의 튜브 측에 유체 연결되고, 발생된 증기의 수집을 위한 상기 증기 튜브가 상기 과열기 모듈의 쉘 측에 유체 연결 되며; 그리고,
상기 과열기 모듈로 진입하는 발생된 증기에 물을 첨가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한다.
증발기 튜브는 하나 이상의 평행한 튜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설비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 튜브는 코일로 된다.
물을 첨가하기 위한 수단은, 발생된 증기용 수집 공간의 증기 출구와 상기 과열기 모듈을 포함하는 위까지의 사이 위치에서 발생된 증기에 물이 첨가되도록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생된 증기를 액체수를 첨가하기 이전에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열은 보조 과열기 모듈에서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일부 공정의 특징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과열기 모듈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냉각수용 입구 (2) 를 가지는 제 1 열교환기 용기 (1) 를 가지며, 본 입구 (2) 는 본 용기 (1) 의 내부로 개방된다. 상기 용기 (1) 는 냉각수 구간 (5) 및 발생된 증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집 공간 (35) 을 또한 포함한다. 수집 공간 (35) 에는 발생된 증기의 수집을 위한 증기 튜브 (18) 에 유체 연결된 출구 (3) 가 제공된다. 상기 증기 튜브 (18) 는 상기 용기 (1) 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용기 (1) 내부에 증기 튜브 (18) 가 어떻게 배치되느냐의 적절한 실시형태는 EP-A-257719 호의 도 1a 에 도시된다. 물방울이 출구 (3) 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미스트맷 (mistmat)(도시되지 않음) 이 출구 (3) 와 증기 수집 공간 (35) 사이에 존재한다. 정상 작동 동안에는, 냉각수 공급 도관 (4) 을 통해 냉각수가 용기 (1) 에 공급되며, 용기 (1) 의 냉각수 구간 (5) 이 냉각수로 채워진다. 상기 장치는 고온 가스용 입구 (7) 및 출구 (8) 를 가지는 제 1 증발기 튜브 다발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증발기 튜브 다발 (6) 은 냉각수 구간 (5) 에 배치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제 1 증발기 튜브 다발 (6) 의 출구 (8) 와 소통하는 입구 (12) 를 가지는 제 2 튜브 다발 (11) 및 출구 (13) 를 가지는 용기 (10) 를 포함하는 과열기 모듈 (9) 을 포함한다. 출구 (13) 로부터 가스 배출 도관 (14) 을 통해 냉각된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과열기 용기 (9) 는 증기용 입구 (15) 및 과열 증기용 출구 (17) 를 가지며, 양 입구 (15) 및 출구 (17) 는 과열기 모듈 (9) 의 쉘측 (16) 과 소통한다. 입구 (15 및 12) 및 출구 (17 및 13) 는, 바람직하게 신장된 과열기 모듈 (9) 을 통해 고온 가스 및 증기가 실질적으로 역-유동 하도록 배치된다. 모듈 (9) 에서 가열되기 이전에 물이 상기 증기에 첨가되므로 열교환기 튜브의 벽 온도가 임계치 이하로 유지되는 역-유동 모드가 가능하다. 또한 상호 유동 모드 역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증기용 입구 (15) 는 열교환기 용기 (1) 의 증기용 출구 (3) 와 유체 소통한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용기 (1) 의 증기용 출구 (3) 로부터 용기 (10) 의 증기용 입구 (15) 를 경유하여 과열 증기용 출구 (17) 에 과열기 (9) 의 쉘측 (16) 을 관통하여 신장하는 증기용 유동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17) 로부터, 도관 (19) 을 통해 과열 증기가 배출된다.
도 1 및 2 에 도시되는 장치의 실시형태는 수단 (20) 에 의해 물이 첨가되기 이전에 증기 유동 경로의 증기를 가열하기 위해 보조 과열기 (21) 를 포함한다. 퀸치 (quench) 등과 같은 물을 보충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은 종래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증기용 유동 경로에서 물이 하나 이상의 지점을 통해 보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보조 과열기 (21) 는, 과열기 용기 (10) 의 출구 (13) 와 소통하는 입구 (24) 및 출구 (25) 를 가지는 제 3 의 튜브 다발 (23) 을 가지는 용기 (22) 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과열기 (21) 의 쉘측 (26) 은 증기 유동 경로 부분을 형성한다. 냉각된 가스는 가스 배출 도관 (27) 을 통해 출구 (25) 로부터 배출된다. 유동 경로, 입구 (24) 및 출구 (25) 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온 가스 및 증기가 바람직하게 신장된 보조 과열기 용기 (21) 를 통해 실질적으로 역-유동하도록 배치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장치는, 단일 과열기 모듈 (9) 및 물이 과열기 (9) 의 쉘측 (16) 에 보충되도록 배치된 수단 (20) 을 포함한다.
물을 보충하기 위한 상기 수단 (20) 은 용기 (1) 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적인 목적으로, 특히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단 (20) 은 용기 (1) 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정상 작동 동안에, 용기 (1) 하류의 가스 배출 도관, 즉 도 1 및 2 의 도관 (27) 내의 가스 온도는, 상기 제 1 증발기 및 과열기 튜브 다발의 오염으로 인해 주어진 고온 가스의 산출량에 대해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증기 유동 경로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기간동안 가스 배출 도관 (27) 내의 가스의 온도가 임계치, 즉 도관 (27) 의 손상이 커질 수 있는 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용기 (1) 바로 아래 지점의 도관 (27) 내를 유동하는 가스의 온도는 온도 측정 장치 (28)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정보는 제어 유닛 (도시되지 않음) 에 공급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밸브 (29) 를 통해 수단 (20) 에 의해 증기 유동 통로에 첨가되는 물의 양을 제어한다. 대안적으로는, 도관 (27) 내를 유동하는 가스의 온도가 도관 (19) 내의 과열 증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로부터 배출된 과열 증기의 온도는 물의 첨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증기의 온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생산된 증기의 양을 증가시킨다. 도 2 는 어떻게 물이 첨가되는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관 (19) 을 통해 배출된 과열 증기의 온도는 온도 측정 장치 (30) 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측정된 정보는 제어 유닛 (도시되지 않음) 에 공급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퀸칭 (32) 에 의해 도관 (19) 에 첨가되는 물의 양을 밸브 (31) 를 통해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보조 과열기 (21) 를 포함하는 장치의 실시형태의) 가스 배출 도관 (27) 또는 (보조 과열기가 없는 실시형태 (도시되지 않음) 의) 가스 배출 도관 (14) 내의 냉각된 가스는 용기 (1) 에 진입하기 이전에 냉각수와 열교환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냉각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 냉각수에 대하여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보조 열교환기 (33)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열교환기 (33) 의 따뜻한 측은 제 2 튜브 다발의 출구 (13) 또는 만약 보조 과열기 (21) 가 존재한다면, 제 3 튜브 다발 (23) 의 출구 (25) 와 유체 소통하며, 보조 열교환기 (33) 의 차가운 측은 용기 (1) 의 냉각수용 입구 (2) 와 유체 소통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고온 가스를 추가적으로 냉각하기 위해 상기 고온 가스를 물 또는 가스와 퀸칭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퀸치 (도시되지 않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퀸치는 상기 과열기 (9) 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또한 과열기 모듈의 고온 가스 출구, 또는 존재할 경우, 보조 과열기의 고온 가스 출구에 유체 연결된 제 2 증발기 튜브가 적절히 제공된다. 이러한 제 2 증발기 튜브는 본 발명의 장치의 가스 배출 도관 (27) 내의 가스 온도가 상기된 바와 같이 임계점 이하로 유지되는 기간을 증가시킨다. 제 1 및 제 2 증발기 튜브의 열교환 영역은, 작동 초기에 상기 제 2 증발기 튜브에서 거의 열교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작동동안 증발기 및 과열기 튜브 내부의 오염으로 인해 제 2 증발기 튜브 내의 가스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증발기 튜브는 점차적으로 상기 가스의 냉각에 참여하기 시작하여, 가스 출구 도관 (27) 의 온도가 상기 임계치에 이르는 기간을 연장시킨다.
도 3 은 증기용 입구 (36), 및 가열된 증기용 출구 (37), 고온 가스용 입구 (38) 및 고온 가스용 출구 (39) 를 가지는 바람직한 과열기 모듈 (9) 을 도시한다. 고온 가스용 상기 입구 (38) 는 코일 튜브 (40) 에 유체 연결된다. 코일 튜브 (40) 는 관상 외벽 (42) 과 관상 내벽 (43) 및 바닥 (44) 및 덮개 (45) 로 형성된 환상 공간 (41) 내에 배치된다. 상기 관상 벽 (42 및 43) 은, 코일 튜브 외부 및 환상 공간 (41) 내에서 스파이럴 형상 공간 (46) 이 형성되도록 코일 튜브 (40) 에 대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스파이럴 형상 공간 (46) 은 일단에서 증기 입구 (36) 에 반대단에서 증기 출구 (37) 에 유체연결된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코일 튜브 (40) 를 통해 유동하는 고온 가스와 함께 증기가 스파이럴 공간 (46) 을 통해 역유동한다. 명확함을 위해 단지 하나의 코일 (40) 및 스파이럴 공간 (46) 이 도 3 에 도시된다. 환상 공간 (41) 내에 하나 이상의 평행하게 위치하는 코일 및 스파이럴이 배치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도 3 에 도시된 열교환기는 일반적인 응용예를 찾을 수 있다. 단순한 설계 및 거의 100% 의 역유동 또는 상호 유동 열교환이 성취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Claims (14)

  1. (a) 액체수와 고온 가스 사이의 간접적 열교환에 의해 증기가 얻어지는 단계,
    (b) 단계 (a) 에서 얻어진 부분적으로 냉각된 고온 가스와의 간접적인 열교환에 의해,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가 가열되는 단계,
    (c) 단계 (b) 에서의 증기 가열 이전에 또는 가열중에,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에 부가적인 물이 첨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가열 방법으로서,
    단계 (a) 및 (b) 의 고온 가스는 쉘-튜브 열교환기의 튜브 측에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물이 첨가되기 이전에, 단계 (a) 에서 얻어진 증기가 먼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액체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얻어진 가열된 증기에 액체수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상기 부분적으로 냉각된 가스 및 증기가 상기 쉘-튜브 열교환기에서 실질적으로 역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계 (a) 에서, 고온 가스가 물로 채워진 공간에 잠겨진 증발기 튜브 다발을 통해 유동하고, 단계 (b) 에서 열교환은 쉘-튜브 열교환기에서 수행되며, 이 쉘-튜브 열교환기는 또한 물로 채워진 공간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온 가스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로 인해, 단계 (a) 및 (b) 에서 고온 가스측에서 열교환 영역의 오염이 발생하며, 단계 (a) 및 (b) 에서 고온 가스의 충분한 냉각을 유지하기 위해, 단계 (c) 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얻어진 냉각된 고온 가스의 온도가 450℃ 이하로 유지되도록, 단계 (c) 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는 액체 또는 가스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에 의해 생산된 합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가스는, 360℃ 이상의 끓는점을 가지는 탄화수소 성분을 90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액체 탄화수소 원료의 기화에 의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가 0.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의 검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스가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의 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12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1250 내지 1400℃ 의 온도 범위로부터, 150 내지 450℃,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300℃ 의 온도범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가열 방법.
KR1020027015555A 2000-05-19 2001-05-18 증기 가열 방법 KR100762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304263.7 2000-05-19
EP00304263 2000-05-19
PCT/EP2001/005810 WO2001090641A1 (en) 2000-05-19 2001-05-18 Apparatus for heating st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492A KR20030009492A (ko) 2003-01-29
KR100762769B1 true KR100762769B1 (ko) 2007-10-02

Family

ID=8173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55A KR100762769B1 (ko) 2000-05-19 2001-05-18 증기 가열 방법
KR1020027015556A KR100762770B1 (ko) 2000-05-19 2001-05-18 증기 가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56A KR100762770B1 (ko) 2000-05-19 2001-05-18 증기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766772B2 (ko)
EP (2) EP1282802B1 (ko)
JP (2) JP2003534514A (ko)
KR (2) KR100762769B1 (ko)
CN (2) CN1193190C (ko)
AT (2) ATE355491T1 (ko)
AU (4) AU6230701A (ko)
CA (2) CA2409032C (ko)
DE (2) DE60116087T2 (ko)
ES (2) ES2282257T3 (ko)
MX (2) MXPA02011382A (ko)
NO (2) NO20025520L (ko)
WO (2) WO2001090641A1 (ko)
ZA (2) ZA200209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47127C (en) 2001-05-17 2010-01-12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Apparatus for heating steam
CA2430088A1 (en) * 2003-05-23 2004-11-23 Acs Engineering Technologies Inc. Steam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CA2430041A1 (en) * 2003-05-26 2004-11-26 Eugene I. Moody Atomized liquid boiler
AU2007235916B2 (en) * 2006-04-12 2010-06-1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Apparatus and process for cooling hot gas
US7552701B2 (en) * 2006-05-16 2009-06-30 Shell Oil Company Boiler for making super heated steam and its use
US20080006188A1 (en) * 2006-07-06 2008-01-10 Kuang Tsai Wu Increasing boiler output with oxygen
EP2165116B1 (en) * 2007-05-17 2016-09-14 Enero Inventions Immediate response steam generating method
NO330123B1 (no) * 2009-07-11 2011-02-21 Sargas As Lav CO2-anlegg for utvinning av oljesand
WO2012027823A1 (en) 2010-09-03 2012-03-08 Greg Naterer Heat exchanger using non-pure water for steam generation
CN106012316A (zh) * 2016-08-14 2016-10-12 贵州大学 一种智能扫描取色缝纫机
CN110180000B (zh) * 2019-04-29 2021-01-01 扬州市海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高温蒸汽灭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354B2 (ja) * 1987-04-02 1996-07-24 エルサ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ー・ブイ 被修正スミス予測手段を使用する蒸気温度制御
JP2517354Y2 (ja) * 1989-10-05 1996-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偏向コイルの巻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7676A (en) * 1935-06-04 1937-11-02 Willson Products Inc Head band attachment for respirators
US2292568A (en) * 1941-07-08 1942-08-11 Marcus E Kanter Analgesia device
GB756919A (en) 1951-06-29 1956-09-12 Bailey Meters And Contro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pour generating and vapour heating units
US3267907A (en) * 1963-08-27 1966-08-23 Braun & Co C F Steam generator
DE2101563A1 (de) * 1971-01-14 1972-10-19 Evt Energie & Verfahrenstech Verfahren zur Regelung der Heiß dampftemperatur bei Strahlungsdampfer zeuger
US3807364A (en) * 1972-07-20 1974-04-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Mixing header
US4184322A (en) * 1976-06-21 1980-01-22 Texaco Inc. Partial oxidation process
EP0006163B1 (de) * 1978-06-14 1981-12-23 PPT Pyrolyse- und Prozessanlagentechni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Rauchgasführung in einem Wärmekessel
US4178907A (en) * 1978-07-27 1979-12-18 Sweat James R Jr Unified hot water and forced air heating system
US4488513A (en) * 1983-08-29 1984-12-18 Texaco Development Corp. Gas cooler for production of superheated steam
DE3515174A1 (de) * 1985-04-26 1986-11-06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Abhitzedampferzeuger
DE3602935A1 (de) * 1986-01-31 1987-08-06 Steinmueller Gmbh L & C Verfahren zum abkuehlen von aus einem vergasungsreaktor kommenden prozessgasen und waermetauscher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CA1309907C (en) 1986-08-26 1992-11-10 Herman Johannes Lameris Process and apparatus for heating steam formed from cooling water
DE3643801A1 (de) * 1986-12-20 1988-07-07 Borsi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ehlen von spaltgas
JP3140539B2 (ja) * 1992-03-04 2001-03-05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排熱回収ボイラおよび減温水の供給方法
US5247991A (en) * 1992-05-29 1993-09-28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Heat exchanger unit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5307766A (en) * 1993-03-12 1994-05-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mperature control of steam for boilers
DK171423B1 (da) * 1993-03-26 1996-10-21 Topsoe Haldor As Spildevarmekedel
US5799620A (en) * 1996-06-17 1998-09-01 Cleer, Jr.; Clarence W. Direct contact fluid heating device
DE19901656A1 (de) * 1999-01-18 2000-07-20 Abb Alstom Power Ch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Temperatur am Austritt eines Dampfüberhitz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354B2 (ja) * 1987-04-02 1996-07-24 エルサ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ー・ブイ 被修正スミス予測手段を使用する蒸気温度制御
JP2517354Y2 (ja) * 1989-10-05 1996-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偏向コイルの巻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2011382A (es) 2003-06-06
DE60116087D1 (de) 2006-01-26
EP1282801A1 (en) 2003-02-12
NO20025519D0 (no) 2002-11-18
US6840199B2 (en) 2005-01-11
EP1282802B1 (en) 2005-12-21
CA2409032C (en) 2010-07-27
KR20030009493A (ko) 2003-01-29
DE60126930T2 (de) 2007-10-31
CN1193190C (zh) 2005-03-16
NO20025520L (no) 2003-01-16
JP2003534514A (ja) 2003-11-18
US20030221637A1 (en) 2003-12-04
WO2001090641A1 (en) 2001-11-29
AU6230701A (en) 2001-12-03
WO2001088435A1 (en) 2001-11-22
CN1194190C (zh) 2005-03-23
DE60126930D1 (de) 2007-04-12
US20030168022A1 (en) 2003-09-11
NO20025519L (no) 2003-01-16
CA2408986C (en) 2010-02-02
ATE313760T1 (de) 2006-01-15
AU2001269023B2 (en) 2005-03-03
EP1282801B1 (en) 2007-02-28
ES2282257T3 (es) 2007-10-16
CN1429327A (zh) 2003-07-09
AU6902301A (en) 2001-11-26
KR20030009492A (ko) 2003-01-29
CN1429326A (zh) 2003-07-09
ZA200209876B (en) 2003-10-01
AU2001262307B2 (en) 2004-10-28
ES2255563T3 (es) 2006-07-01
EP1282802A1 (en) 2003-02-12
CA2408986A1 (en) 2001-11-29
DE60116087T2 (de) 2006-08-17
NO20025520D0 (no) 2002-11-18
JP2003533662A (ja) 2003-11-11
ZA200209874B (en) 2003-10-02
MXPA02011380A (es) 2003-06-06
CA2409032A1 (en) 2001-11-22
KR100762770B1 (ko) 2007-10-02
ATE355491T1 (de) 2006-03-15
US6766772B2 (en)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769B1 (ko) 증기 가열 방법
CA1077716A (en) Water-cooled high-temperature gasifier
JP3941491B2 (ja) 高温の合成ガスを冷却するために使用される廃熱ボイラー
KR100864383B1 (ko) 증기 가열 장치 및 방법
AU2001269023A1 (en) Process for heating steam
AU2001262307A1 (en) Apparatus for heating steam
AU2002342873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steam
RU25328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НТЕЗА HCl (ХЛОРОВОДОРОДА) С ВЫРАБОТКОЙ ПАРА
FR2572380A2 (fr) Procede de reformage de methanol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JPS6246800B2 (ko)
JPH10279961A (ja) タールを含むガスの熱回収方法及び装置
JPH06288201A (ja) 加圧流動層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