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253B1 - 지폐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253B1
KR100762253B1 KR1020060057608A KR20060057608A KR100762253B1 KR 100762253 B1 KR100762253 B1 KR 100762253B1 KR 1020060057608 A KR1020060057608 A KR 1020060057608A KR 20060057608 A KR20060057608 A KR 20060057608A KR 100762253 B1 KR100762253 B1 KR 10076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pulley
transfer
banknote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철
Original Assignee
안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철 filed Critical 안준철
Priority to KR102006005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폐투입구를 가지는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수단과, 상기 지폐와 접촉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폐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동중심선으로 하여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지폐취급장치 내부로 이송시키는 지폐이송경로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폐이송장치{Apparatus for conveying paper mone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서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에서 제1이송유닛에 대해 제2이송유닛이 90도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의 위치고정수단 주변부의 확대사시도.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의 위치고정수단 주변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에서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의 지폐이송장치가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에서 제1이송유닛에 대해 제2이송유닛이 90도 회동된 상태의 지폐이송장치가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서 이송유닛 부분을 구조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폐취급장치 20 : 지폐투입구
30 : 지폐 100 : 지폐이송장치
112 : 관통공 114 : 나사부재
120 : 스토퍼 200 : 이송유닛
202 : 회동중심선 204 : 회동샤프트
206 : 구동샤프트 210 : 제1이송유닛
220 : 제2이송유닛 312 : 모터
314 : 구동기어 316 : 종동기어
본 발명은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폐취급장치 내로 투입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경로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는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나 환전기 등과 같이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취급장치에는, 지폐투입구와, 그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지폐이송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지폐이송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가 놓여지며 그 지폐의 이송경로를 한정하는 벨트 등을 포함하는 이송유닛과, 그 벨트를 주행시켜서 그 벨트 상의 지폐를 지폐취급장치 본체 내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폐취급장치 본체 내에는 상기 벨트에 놓여지는 지폐를 눌러서 그 지폐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들이 구비된다.
하지만, 일정한 형상을 갖는 지폐이송장치가 모든 지폐취급장치에 호환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맞게 이송유닛 상의 지폐이송경로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지폐이송장치가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되었다. 즉, 수평방향으로 투입되는 지폐의 이송경로가 변경되지 않는 형태의 지폐이송장치는 지폐취급장치 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까지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어 있는 큰 크기의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될 수밖에 없고,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작은 지폐취급장치에는, 그 지폐취급장치의 내부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지폐이송경로가 꺾여진 형태의, 예컨대 수평방향으로 투입되는 지폐의 이송경로가 수직방향으로 변경되는 형태의 지폐이송장치가 설치되었다.
이와 같이, 단지 지폐취급장치 내부로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지폐이송장치를,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따라 지폐이송경로가 다르게 형성된 수많은 모델로 분류하여 생산하는 것은, 동일한 기능인데도 모델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는 수많은 부품을 생산하고 유지관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그러한 부품을 조립하는 데 필요한 시간 및 인력의 손실이 초래되었으며, 각기 다른 형상의 부품에 따라 다른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기간이 오래되어 교체가 필요하거나 지폐이송장치 외의 다른 부속품의 고장에 의해 작동되지 않는 지폐취급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는 지폐이송장치를 따로 떼어내어 다른 지폐취급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미 형성되어 있는 지폐이송경로의 방향이 새로운 지폐취급장치에 맞지 않아서, 재활용 가능한 지폐이송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지폐취급장치 내부로 이송시키는 지폐이송경로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한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지폐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폐투입구를 가지는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수단과, 상기 지폐와 접촉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폐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동중심선으로 하여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중심선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과 직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한 상기 제2이송유닛의 회동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1이송유닛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중심선을 그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의 관통공과, 상기 제 2이송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관통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나사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상기 제2이송유닛이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조여주는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로부터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에 감아걸려 있으며 상기 지폐와 접촉되는 제1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이송유닛은,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풀리와, 상기 제3풀리로부터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4풀리와, 상기 제3풀리와 상기 제4풀리에 감아걸려 있으며 상기 지폐와 접촉되는 제2벨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는 상기 지폐의 중앙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벨트와 제3풀리와 제4풀리는 한 쌍씩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벨트는 상기 지폐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중심선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풀리와 제3풀리가 고정되는 회동샤프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4풀리가 고정되며 상기 제2이송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 기 제2이송유닛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상기 제2이송유닛이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서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에서 제1이송유닛에 대해 제2이송유닛이 90도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의 위치고정수단 주변부의 확대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폐이송장치(100)는 이송유닛(200)과,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송유닛(200)은, 지폐취급장치(10; 도 5 참조)의 지폐투입구(20; 도 5 참조)를 통해 투입된 지폐(30)를 지폐취급장치 내부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지폐이송경로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지폐취급장치(10)의 크기에 따라 지폐이송경로를 꺾을 수 있도록, 지폐취급장치(10)의 지폐투입구(20) 후방에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210)과, 지폐의 이송방향(A1)을 따라 제1이송유닛(210) 후방에 배치되는 제2이송유닛(220)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이송유닛(210)은, 제1프레임(212)과, 제1풀리(214)와, 제2풀리(216)와, 제1벨트(218)를 구비한다.
상기 제1프레임(212)은 제1이송유닛(210)을 구성하는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며, 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풀리(214)는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A1)의 최상류측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프레임(21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풀리(216)는, 제1풀리(214)로부터 지폐이송방향(A1)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프레임(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샤프트(204)에 고정되어 있어서, 그 회동샤프트(20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풀리(216)는 상기 제1프레임(212)에 상기 회동샤프트(204)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벨트(218)는,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와 접촉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1풀리(214)와 제2풀리(216)에 감아 걸려 있다. 상기 제1벨트(218)는,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수직인 방향(즉, 지폐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제1벨트(218)가 지폐의 중앙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면, 지폐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식별표시(그 지폐의 진위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식별표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상기 제1벨트(218)의 양측에 쉽게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유닛(220)은, 제2프레임(222)과, 제3풀리(224)와, 제4풀리(226)와, 제2벨트(228)를 구비한다.
상기 제2프레임(222)은, 상기 회동샤프트(2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 어서, 그 회동샤프트(204)를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프레임(212)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3풀리(224)는,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한 쌍의 제3풀리(224)는 회동샤프트(204)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222)에 상기 회동샤프트(204)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4풀리(226)는, 한 쌍이 구비되어 있고, 그에 대응되는 제3풀리(224)로부터 지폐이송방향(A1)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한 쌍의 제4풀리(226)는 제2프레임(2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샤프트(206)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4풀리(226)는 상기 제2프레임(222)에 상기 구동샤프트(206)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벨트(228)도 한 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제2벨트(228)는 대응되는 제3풀리(224)와 제4풀리(226)에 감아걸려 있다. 한 쌍의 제2벨트(228)는,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수직인 방향(즉, 지폐의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204)는, 지폐의 이송방향(A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회동샤프트(204)의 축을 회동중심선(202)으로 하여 제1이송유닛(210)에 대해 제2이송유닛(220)은 회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벨트(218)가 감아걸려 있는 제2풀리(216)와 상기 제2벨트(228)가 감아걸려 있는 제3풀리(224)가 하나의 회동샤프트(204)에 의해 공동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단일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벨트(218) 또는 제2벨트(228) 중 어느 일방만이 회전되더라도 그 회전력이 타방에 전달될 수 있어서 2개의 구동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2개의 구동수단 사용시에 구동수단마다 연결된 벨트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구동수단들을 동기화(synchronization)시켜야 하는 어려움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204)는 지폐의 이송방향(A1)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이송유닛(210)과 제2이송유닛(220)이 상호 회동 가능할 수 있을 정도로 회동샤프트(204)는 지폐의 이송방향(A1)과 90도 외의 각도로 교차하여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이송유닛(200)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312)와, 구동기어(314)와, 종동기어(3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터(312)는, 브라켓(223)을 통해 제2프레임(22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기어(314)는 모터(312)의 출력축에 고정되어서 모터(312)의 작동시에 그 모터(312)의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316)는 상기 구동샤프트(206)에 고정되어 있어서 구동샤프트(206)의 회전시에 종동기어(316)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316)는 구동기어(314)에 맞물려 있는 매개기어들(318)에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기어(314)의 회전력은 매개기어들(318)을 통해 종동기어(316)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유닛(210)과 제2이송유닛(220)을 원하는 회동각도로 조정한 후에 더 이상 상호 간의 상대회동이 없게 하기 위해 그 회동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통공(112)과, 나사부재(114)와, 너트부재(116)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112)은, 상기 회동중심선(20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의 형상으로 제1프레임(212)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이송유 닛(210)에 대한 제2이송유닛(220)의 원하는 회동범위에 따라 원호의 길이가 정해진다. 상기 나사부재(114)는, 제2프레임(222)에 지지되며, 상기 관통공(1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너트부재(116)는, 나사부재(114)에 체결되어 제1프레임(212)과 제2프레임(222)이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이송유닛(220)에는 제1이송유닛(21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0)는, 제2프레임(222)의 일부분을 굽힘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2)의 하면과 대면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 스토퍼(120)에 의해서, 제1이송유닛(210)의 화살표(A2)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되며 그에 따라 제2이송유닛(220)에 대해 제1이송유닛(210)이 정해진 각도 예컨대, 90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서, 이송유닛(200) 및 구동수단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는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지폐투입구로 지폐가 투입되면, 모터(312)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312)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기어(314)는 모터(312)의 출력축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314)의 회전은 매개기어들(318)을 거쳐서, 종동기어(316)에 전달되고, 종동기어(316)가 고정되어 있는 구동샤프트(206)는 종동기어(316)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구동샤프트(206)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제4풀리(226)는 구동샤프트(206)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2벨트(228)를 매개로 하여 제4풀리(226)와 연결되어 있는 제3풀리(224) 역시 회전하게 된다. 제3풀리(224)가 고정되어 있는 회동샤프트(204)와, 제3풀리(224)와 함께 회동샤프트(204)에 고정되어 있는 제2풀리(216)는 제3풀리(224)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은 제1벨트(218)를 거쳐 제1풀리(214)에 전달된다.
결국, 모터와 기어들의 회전이 제1이송유닛(210) 및 제2이송유닛(220)을 구성하고 있는 풀리들과 벨트들에 전달되어,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는 지폐취급장치 본체 내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이송되는 지폐는, 지폐취급장치 본체 내에 설치된 공지의 롤러들에 의해 지폐이송경로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지폐이송장치(100)를 지폐가 이송되는 경로의 방향을 조정하여 지폐취급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와 같이 지폐취급장치(10) 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까지의 길이(L1)가 충분한 경우에는, 제1이송유닛(210)과 제2이송유닛(220)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의 지폐이송장치(100)를 지폐취급장치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투입된 지폐는, 전후방향 일직선으로 형성된 지폐이송경로를 따라 지폐취급장치 본체 내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제1이송유닛(210)과 제2이송유닛(220)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 하여 지폐이송장치(100)를 설치하기에는 지폐취급장치(10) 본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까지의 길이(L2)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도 6과 같이 제1이송유닛(210)에 대해 제2이송유닛(220)을 90도 회동한 상태로 하여 지폐이송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 다. 상기 제1프레임(212)의 하면과 스토퍼(120)의 상면이 맞닿을 때까지 제1이송유닛(210)에 대해 제2이송유닛(220)을 회동시키고 상기 위치고정수단으로 현 회동위치를 고정한 후에, 제1이송유닛(210)에 대해 제2이송유닛(220)이 90도 회동된 상태인 지폐이송장치(100)를 지폐취급장치(10) 내부에 설치한다. 이 경우, 지폐가 이송되는 경로의 상류측에는 지폐이송경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지폐가 이송되는 경로의 하류측에는 지폐이송경로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지폐이송경로를 거쳐 지폐취급장치 본체 내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따라 지폐이송경로가 다르게 형성된 다수의 모델로 생산될 필요 없이 단일의 모델로도 지폐이송경로를 조정하여 각기 다른 크기의 지폐취급장치에 호환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부품의 단일화를 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생산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및 제품의 조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작해야 하는 금형의 종류 역시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지폐이송장치 외의 부품의 고장으로 인해 작동이 중단된 지폐취급장치로부터 지폐이송장치를 분리하여 새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맞게 지폐이송경로의 방향을 조정한 후 새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수명이 다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지폐이송장치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에서 이송유닛 부분을 구조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이송장치가 제1벨트(218)와 한 쌍의 제2벨트(228)를 이용하여 지폐(30)를 이송하는 것과는 달리, 분리되지 않은 일체의 벨트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폐이송장치는, 이송풀리들(231)(232)(233)과, 지지롤러(234)와, 일체형 벨트(236)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지폐이송장치도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1,2프레임 및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번호 23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체형 벨트(236)가 꺾일 때 그 벨트의 주행경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롤러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벨트(236)에 의해 지폐(30)의 이송경로가 한정되게 된다. 즉, 일체형 벨트(236)가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폐(30)의 이송경로가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이송풀리(233)를 제2이송풀리(232)의 중심축을 회동의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일체형 벨트(236)의 주행경로 즉 지폐의 이송경로가 꺾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이송풀리(231)와 제2이송풀리(232) 사이에서 지폐(30)에 접촉되는 일체형 벨트의 전반부 즉 상류측 부분(236a)은 도 1의 제1벨트(218)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제2이송풀리(232)와 제3이송풀리(233) 사이에서 지폐(30)에 접촉되는 일체형 벨트의 후반부 즉 하류측 부분(236b)은 도 1의 제2벨트(228)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일체형 벨트(236)의 상류측 부분(236a)과 제1프레임과 제1이송풀리(231)와 제2이송풀리(232)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1이송유닛에 해당되고, 상기 일체형 벨트(236)의 하류측 부분(236b)과 제2프레임과 제2이송풀리(232)와 제3이송풀리(233)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2이송유닛에 해당되는 것이다.
상기 일체형 벨트(236)는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수직인 방향(즉, 지폐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수직인 방향(즉, 지폐의 폭방향)으로 지폐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한 쌍의 일체형 벨트(236)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송유닛은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 등 2개의 이송유닛으로 분할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이송유닛으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벨트와 풀리의 조합에 의해 지폐이송경로가 형성되었으나, 일정한 속도로 회전가능한 부재 예컨대, 다수의 로울러에 의해 지폐이송경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샤프트에는 제2풀리와 한 쌍의 제3풀리가 함께 고정되어 있고, 제2풀리와 한 쌍의 제3풀리와 회동샤프트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제2풀리는 제1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른 축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제3풀리 역시 제2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또다른 축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지폐이송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제2벨트는 지폐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수직인 방향(즉, 지폐의 폭방향)으로 지폐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제2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있는데, 단일의 제2벨트가 지폐의 이송방향(A1)에 대해 수직인 방향(즉, 지폐의 폭방향)으로 지폐의 중앙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례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지폐이송장치가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이송장치는, 단일의 모델로도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지폐이송경로를 조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지폐취급장치에 호환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 및 유지관리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명이 다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지폐이송장치를 새로운 지폐취급장치의 크기에 맞게 지폐이송경로의 방향을 조정한 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지폐투입구를 가지는 지폐취급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수단과, 상기 지폐와 접촉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지폐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하는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가상선을 회동중심선으로 하여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중심선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한 상기 제2이송유닛의 회동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1이송유닛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중심선을 그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의 관통공과, 상기 제2이송유닛에 지지되며, 상기 관통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나사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상기 제2이송유닛이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조여주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로부터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제2풀리에 감아걸려 있으며 상기 지폐와 접촉되는 제1벨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이송유닛은,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풀리와, 상기 제3풀리로부터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4풀리와, 상기 제3풀리와 상기 제4풀리에 감아걸려 있으며 상기 지폐와 접촉되는 제2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는 상기 지폐의 중앙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벨트와 제3풀리와 제4풀리는 한 쌍씩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벨트는 상기 지폐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중심선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풀리와 제3풀리가 고정되는 회동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풀리가 고정되며 상기 제2이송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이송유닛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에 대해 상기 제2이송유닛이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KR1020060057608A 2006-06-26 2006-06-26 지폐이송장치 KR100762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608A KR100762253B1 (ko) 2006-06-26 2006-06-26 지폐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608A KR100762253B1 (ko) 2006-06-26 2006-06-26 지폐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202U Division KR200425595Y1 (ko) 2006-06-26 2006-06-26 지폐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253B1 true KR100762253B1 (ko) 2007-10-02

Family

ID=3941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608A KR100762253B1 (ko) 2006-06-26 2006-06-26 지폐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2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244A (ja) * 1992-12-03 1994-06-24 Sanyo Electric Co Ltd 紙葉類処理装置
KR0132630B1 (ko) * 1993-11-05 1998-10-01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JP2001316015A (ja) * 2000-05-12 2001-11-13 Hitachi Ltd 紙葉類搬送方向切換装置
KR20020091032A (ko) * 2002-11-18 2002-12-05 유일반도체 주식회사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JP2006027870A (ja) * 2004-07-20 2006-02-02 Fujitsu Ltd 紙葉類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6244A (ja) * 1992-12-03 1994-06-24 Sanyo Electric Co Ltd 紙葉類処理装置
KR0132630B1 (ko) * 1993-11-05 1998-10-01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JP2001316015A (ja) * 2000-05-12 2001-11-13 Hitachi Ltd 紙葉類搬送方向切換装置
KR20020091032A (ko) * 2002-11-18 2002-12-05 유일반도체 주식회사 지폐 이송방향 전환장치
JP2006027870A (ja) * 2004-07-20 2006-02-02 Fujitsu Ltd 紙葉類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26442A (ja) 紙幣処理機の紙幣整列装置
JP5024949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5877518B2 (ja) 紙幣搬送機構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
CN107341905B (zh) 一种传输通道板结构、介质传输装置及金融自助终端
KR200425595Y1 (ko) 지폐이송장치
KR100762253B1 (ko) 지폐이송장치
KR20110028535A (ko) 매체 반송 장치 및 지폐 자동 입출금기
JPH11185103A (ja) 薄片案内部材ならびにその利用装置
JP4233410B2 (ja) 紙幣搬送装置
JP2005343682A (ja) 紙葉類搬送装置
JP2000296947A (ja) 紙幣処理機の紙幣整列装置
JPS63212643A (ja) 遊技設備
JP3996013B2 (ja) 紙幣受け渡し装置
JP2698057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2004081249A (ja) 紙片搬送装置
JP2002326736A (ja) 紙幣搬送装置
JP2571163Y2 (ja) 紙幣搬送ユニット
JPH0940205A (ja) 紙葉類搬送装置
JP4716683B2 (ja) 紙幣搬送装置
JP4758009B2 (ja) 紙幣搬送装置
JP2001199588A (ja) 紙幣搬送ユニット
KR10089792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JP2569774Y2 (ja) 紙幣搬送装置
JP2880095B2 (ja) 紙葉類搬送装置
JP2003012182A (ja) 搬送距離可変式紙幣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