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780B1 -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780B1
KR100761780B1 KR1020050020111A KR20050020111A KR100761780B1 KR 100761780 B1 KR100761780 B1 KR 100761780B1 KR 1020050020111 A KR1020050020111 A KR 1020050020111A KR 20050020111 A KR20050020111 A KR 20050020111A KR 100761780 B1 KR100761780 B1 KR 10076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ulse
mode
peak curren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091A (ko
Inventor
임호남
Original Assignee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7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63Additional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1수평주기에 내보내는 구동펄스의 피크전류를 시간 간격을 두어 분산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피크 전류의 집중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에 있어서, 1 수평주기 내의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되, 일부 화소들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두어 구동하는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을 제공하여, 피크전류 집중 현상을 해결하여 순간 최대 소비전력 감소에 따른 전원회로의 단순화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일정 용량의 전원회로상에서 사용 가능한 피크 전류의 크기가 늘어나게 되어 충분한 충전에 따른 휘도 향상 및 고성능화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유기 발광소자(OLED), 피크전류, 분산구동, 펄스폭변조(PWM), 펄스진폭변조(PAM), 드라이브회로(IC)

Description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and device using peak current}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구동회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 2드라이브회로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 2드라이브회로부에서 사용되는 구동펄스 파형도
도 4는 종래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진폭변조방식의 각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
도 5a와 도 5b는 종래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방식의 각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 2드라이브회로부의 내부 구성예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제 2드라이브회로부에서 출력되는 각 구동펄스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진폭변조방식의 각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방식의 각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방식의 각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수모드 구동부 20 : 짝수모드 구동부
11, 21 : D/A 변환기 12, 22 : 출력단 전류미러
13, 23 : 제어 회로 14, 24 : 레지스터
본 발명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방식에 의한 유기전계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 구동시 빠른 시간 내에 화소의 캐패시터를 충전시키기 위해 드라이버 회로에 공급하는 피크 전류(peak current)를 분산 구동하여 보통의 전류량보다 수 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피크 전류에 의한 전류 집중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소자는 양극과 음극이 열(column)과 행(row)의 매트릭 스 모양으로 배치되어 각 열(column)과 행(row)의 교차점에 유기물질이 증착되고 열에서 행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유기물질에서 발광이 일어나는 장치로서, 스스로 발광하여 빛을 발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백라이트장치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박형화에 최적인 동시에 시야각에도 제한이 없어 차세대의 표시장치로 크게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는 펄스폭변조(PWM)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방식의 구동펄스를 각 드라이브회로에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에는 제 1드라이브회로(row driver)를 통해 음극에 주사신호를 공급하고 제 2드라이브회로(column driver)를 통해 양극에 계조에 따른 펄스폭 또는 진폭의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방식 또는 펄스 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방식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 구동시, 빠른 시간내에 화소의 캐패시터를 충전하기 위해 보통의 전류량보다 수 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피크전류(정점류)를 일정시간동안 흘려보낸 뒤 그 이후부터 다시 정상크기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구동방법을 '프리차지(pre-charge) 구동방법'이라고 한다.
특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08043호에는 전류 구동을 위한 피크전류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고 또한 구동회로의 점유면적을 작게할 수 있는 유기 EL 구동회로 및 유기 EL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2와 도 3에는 각각 상기 제 2드라이브 회로의 내부 블록도와 각부 펄스 파형도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드라이브 회로는 유기 EL 패널의 단자핀에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른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출력단 전류미러(12)와, 래치 펄스(LP)에 의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데이터(D0-Dn-1)를 D/A변환기(11)로 제공하는 레지스터(14)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D0-Dn-1)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류를 상기 출력단 전류미러에 흐르는 전류의 합계값으로서 발생시켜 출력단 전류미러를 구동하는 D/A 변환기(11)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D0-Dn-1)의 출력을 위한 래치 펄스(LP)를 레지스터(14)에 출력하고 구동펄스신호(P)와 제어신호(CONT)를 타이밍 펄스(tp) 간격으로 상기 D/A 변환기에 출력하는 제어회로(1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드라이브 회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유기 EL 패널 구동방식은 1 수평주기(1H)의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보통의 전류량보다 수 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피크전류를 일정 시간동안 출력한 후 다시 정상크기의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식으로서, 펄스진폭변조(PAM) 방식의 경우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펄스폭변조(PWM)방식의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방법에서는 1 수평주기의 시작순간에 모드 화소에 대한 피크 전류가 집중되므로 전류의 집중도를 보면, PAM 방식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수평주기의 처음부분에 20 만큼의 고 밀도가 형성된 반면 1 수평주기의 끝부분에는 8만큼만 흐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PWM 방식의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수평주기의 처음부분에 40 만큼의 고 밀도가 형성된 반면 1 수평주기의 끝부분에는 6만큼만 흐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1수평라인 시간의 시작 순간에 모든 화소에 대한 피크전류가 집중되므로 이 순간에 드라이버 IC가 흘려주어야 하는 전체 전류량이 커지게 되고, 구동회로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는 전원회로가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 사양의 DC-DC 컨버터가 필요하게 되고 제품의 비용 상승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전원회로 등의 용량 한계에 의해 최대 순간 소비전력을 어느 한도내로 유지하여야 하는 제약이 있는 경우 이 제약때문에 각 열(column line)에서 발생되는 피크전류를 일정 크기 미만으로 제한하여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원하는 크기 만큼의 피크 전류를 흘려주지 못하여 패널의 화소에 충분한 충전을 해줄 수 없게 되어 결국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휘도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 수평주기의 시작 시간에 모든 화소에 대해 피크 전류를 일시에 보내지 않고 화소의 일 부분에 해당하는 피크 전류를 1 수평주기의 시작점으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시간 간격을 두고 보내도록 함으로써, 피크전류 집중 현상을 해결하여 순간 최대 소비전력 감소에 따른 전원회로의 단순화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일정 용량의 전원회로상에서 사용 가능한 피크 전류의 크기가 늘어나게 되어 충분한 충전에 따른 휘도 향상 및 고성능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여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수평주기 내의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되, 일부 화소들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두어 구동하는 특징의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홀수모드 구동펄스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만큼 경과된 후로 설정되는 짝수모드 구동펄스로 각각 분할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구동방법으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거나,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방법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구동펄스의 동작모드의 변화가 인접한 2개 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 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가 동일한 동작모드로 구동되고 그 다음의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로부터 동작모드가 변화하도록 구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단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방법으로 각각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으로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양극에 펄스폭변조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방식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column driver)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드라이브회로는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홀수모드 구동부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만큼 경과된 후로 설정되는 짝수모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주된 개념은 펄스폭변조(PWM)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는 기타 디스플레이소자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 2드라이브회로(column driver)의 내부 구성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제 2드라이브회로에서 출력되는 각 부의 펄스 파형도로서, 상기 제 2드라이브회로는 양극에 계조에 따른 펄스폭변조(PWM) 방식의 구동신호 또는 펄스진폭변조(PAM) 방식의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드라이브 회로이며,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홀수 모드화된 출력전류(CURR_ODD)를 내보내는 홀수모드 구동부(20)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만큼 경과된 후로 설정되는 짝수모드화된 출력전류(CURR_EVEN)를 내보내는 짝수모드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수모드 구동부(20)와 짝수모드 구동부(30)는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따른 구동전류를 유기 EL 패널의 단자핀에 출력하는 출력단 전류미러(12)(22)와, 래치펄스(LP)에 의한 디스플레이 데이터(D0-Dn-1)를 D/A변환기(11)(21)로 각각 제공하는 레지스터(14)(24)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D0-Dn-1)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류를 상기 출력단 전류미러에 흐르는 전류의 합계값으로서 발생시켜 상기 출력단 전류미러(12)(22)를 각각 구동하는 D/A 변환기(11)(21)와,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D0-Dn-1)의 출력을 위한 래치펄스(LP)를 각각 레지스터(14)(24)에 출력하고 구동펄스신호(P)와 홀수모드 제어신호(CONT_ODD) 또는 짝수모드 제어신호(CONT_EVEN)를 각각 타이밍 펄스(tp) 간격으로 상기 D/A 변환기(11)(21)에 출력하는 제어회로(13)(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 2드라이브회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동방법은, 먼저 홀수모드 구동부(10)를 통해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홀수모드화된 출력전류를 가진 홀수모드 구동펄스를 내보내고, 다음으로 짝수모드 구동부(20)를 통해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만큼 경과된 후로 설정되는 짝수모드화된 출력전류를 가진 짝수모드 구동펄스를 내보내는 방법으로서, 상기 각 구동부의 제어회로(13)(23)를 통해 홀수모드 제어신호(CONT_ODD)와 짝수모드 제어신호(CONT_EVEN)를 조절하여 상기 각 구동펄스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분할 구동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구동방법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진폭변조(PAM) 방식의 각 열(column)에 대한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로서, 1 수평주기 내의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2부분으로 분할 구동하는 상태와, 이러한 구동상태에서 1수평주기 내의 전류의 집중도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본 예시에서는 1수평주기(1H) 동안 각 열에 출력되는 피크전류는 5계조(L5)이고, 제 1열의 구동전류는 3계조(L3), 제 2,4열의 구동전류는 각각 2계조(L2), 제 3열의 구동전류는 1계조(L1)인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에 의한 구동방법은, 일부 화소들, 즉 제 1열(column 1), 제 3열(column 3)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에 두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 즉 제 2열(column 2), 제 4열(column 4)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1타이밍 펄스(1tp) 이후에 두어 구동하는 것이다. 이 경우 피크전류의 집중도를 보면 1 수평주기의 처음 두 구간 동안의 타이밍 펄스(2tp)에 피크 전류가 분산되어 흐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크 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펄스는 홀수모드(O mode)의 펄스라 칭하고,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1타이밍 펄스(1tp)이후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펄스는 짝수모드(E mode)의 펄스라 칭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 특히 홀수모드와 짝수모드로 각각 분할 구동 하거나, 또는 짝수모드와 홀수모드로 구동 모드를 교대로 바꾸어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PWM) 방식의 각 열(column)에 대한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로서, 일부 화소들, 즉 제 1열(column 1), 제 3열(column 3), 제 5열(column 5), 제 7열(column 7)에 대한 피크 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에 두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 즉 제 2열(column 2), 제 4열(column 4), 제 6열(column 6), 제 8열(column 8)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1타이밍 펄스(1tp) 이후에 두어 구동하는 것이다. 이 경우 피크전류의 집중도를 보면 1 수평주기의 처음 두 구간 동안의 타이밍 펄스(0~2tp)에 피크 전류가 분산되어 흐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분산 구동방법에서 사용되는 펄스폭변조(PWM) 방식의 각 구동펄스 파형도와 전류량 합계 파형도이다. 본 실시예의 기본 구동파형은 일부의 컬럼 라인에서는 수평 주기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다른 일부의 컬럼 라인에서는 1 수평 주기의 끝점을 기준으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일부 화소들, 즉 제 1,2열(column 1,2), 제 5,6열(column 5,6)에 대한 피크 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에 두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 즉 제 3,4열(column 3,4), 제 7,8열(column 7,8)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은 1 수평주기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1타이밍 펄스(1tp) 이후에 두어 구동하는 것이다. 이 경우 피크전류의 집중도를 보 면 1 수평주기의 첫 구간부터 제 6구간 동안의 타이밍 펄스(0~2tp)에 걸쳐 피크 전류가 분산되어 흐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들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거나,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방법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구동펄스의 동작모드의 변화가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 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가 동일한 동작모드로 구동되고 그 다음의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로부터 동작모드가 변화하도록 구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동방법들은, 단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방법으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예시된 구동방법은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 짝수모드(E mode) 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여러 방법들 중의 어느 하나, 즉 표 1 내지 표 8에 예시되는 구동방법으로 실시 가능하다.
다음의 표 1은 O mode로 부터 시작하여 인접 단위화소가 E→O→E mode 로 변화하는, 즉, 행(row)에 관계없이 홀수열(1,3,..., m-1)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열(column)행(row) 1 2 3 4 ... m-1 m
1 O E O E ... O E
2 O E O E ... O E
3 O E O E ... O E
4 O E O E ... O E
... ... ... ... ... ... ... ...
n-1 O E O E ... O E
n O E O E ... O E
다음의 표 2는 E mode 로부터 시작하여 인접 단위화소가 O→E→O mode 로 변화하는, 즉 행(row)에 관계없이 홀수열(1,3,..., m-1)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열(column)행(row) 1 2 3 4 ... m-1 m
1 E O E O ... E O
2 E O E O ... E O
3 E O E O ... E O
4 E O E O ... E O
... ... ... ... ... ... ... ...
n-1 E O E O ... E O
n E O E O ... E O
다음의 표 3은 제 1행(row 1)에서는 홀수열(1,3,..., m-1)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제 2행(row 2)에서는 홀수열(1,3,..., m-1)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을 행별로 번갈아 실시하는 방법이다.
열(column) 행(row) 1 2 3 4 ... m-1 m
1 O E O E ... O E
2 E O E O ... E O
3 O E O E ... O E
4 E O E O ... E O
... ... ... ... ... ... ... ...
n-1 O E O E ... O E
n E O E O ... E O
다음의 표 4는 제 1행(row 1)에서는 홀수열(1,3,..., m-1)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제 2행(row 2)에서는 홀수열(1,3,..., m-1)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짝수열(2,4,...,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열(column) 행(row) 1 2 3 4 ... m-1 m
1 E O E O ... E O
2 O E O E ... O E
3 E O E O ... E O
4 O E O E ... O E
... ... ... ... ... ... ... ...
n-1 E O E O ... E O
n O E O E ... O E
다음의 표 5는 O mode로 부터 시작하여 인접 단위화소가 O→E→E→O→O... mode 로 변화하는, 즉, 행(row)에 관계없이 제 4k-3, 4k-2열(k는 1,2,...,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제 4k-1, 4k열(k는 1,2,...,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열(column) 행(row) 1 2 3 4 5 6 ... m-1 m
1 O O E E O O ... E E
2 O O E E O O ... E E
3 O O E E O O ... E E
4 O O E E O O ... E E
... ... ... ... ... ... ... ... ... ...
n-1 O O E E O O ... E E
n O O E E O O ... E E
다음의 표 6은 E mode로 부터 시작하여 인접 단위화소가 E→O→O→E→E→... mode 로 변화하는, 즉, 행(row)에 관계없이 제 4k-3, 4k-2열(k는 1,2,...,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그 다음 제 4k-1, 4k열(k는 1,2,..., m)에 홀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열(column) 행(row) 1 2 3 4 5 6 ... m-1 m
1 E E O O E E ... O O
2 E E O O E E ... O O
3 E E O O E E ... O O
4 E E O O E E ... O O
... ... ... ... ... ... ... ... ... ...
n-1 E E O O E E ... O O
n E E O O E E ... O O
다음의 표 7은 제 1행(row 1)에서는 제 4k-3, 4k-2열(k는 1,2,...,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고 그 다음 제 4k-1, 4k열(k는 1,2,...,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는 동작을 그 행의 마지막 열(m)까지 반복하고, 제 2행(row 2)에서는 다시 제 4k-3, 4k-2열(k는 1,2,...,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고 그 다음 제 4k-1, 4k열(k는 1,2,...,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는 동작을 그 행의 마지막 열(m)까지 반복하며, 이후로는 다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별로 번갈아 실시하는 방법이다.
열(column) 행(row) 1 2 3 4 5 6 ... m-1 m
1 O O E E O O ... E E
2 E E O O E E ... O O
3 O O E E O O ... E E
4 E E O O E E ... O O
... ... ... ... ... ... ... ... ... ...
n-1 O O E E O O ... E E
n E E O O E E ... O O
다음의 표 8은 제 1행(row 1)에서는 제 4k-3, 4k-2열(k는 1,2,...,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고 그 다음 제 4k-1, 4k열(k는 1,2,...,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는 동작을 그 행의 마지막 열(m)까지 반복하고, 제 2행(row 2)에서는 다시 제 4k-3, 4k-2열(k는 1,2,..., m)에 홀수모드(O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고 그 다음 제 4k-1, 4k열(k는 1,2,..., m)에 짝수모드(E mode)의 구동펄스를 연달아 출력하는 동작을 그 행의 마지막 열(m)까지 반복하며, 이후로는 다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별로 번갈아 실시하는 방법이다.
열(column) 행(row) 1 2 3 4 5 6 ... m-1 m
1 E E O O E E ... O O
2 O O E E O O ... E E
3 E E O O E E ... O O
4 O O E E O O ... E E
... ... ... ... ... ... ... ... ... ...
n-1 E E O O E E ... O O
n O O E E O O ... E E
특히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구동방법은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주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 또는 단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거나, 적(R)/녹(G)/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바꾸어 구동하는 방법으로 각각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단위 화소 또는 화소를 그 구동단위로 하여,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1 또는 표 5의 구동방법을 사용하고 다른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2 또는 표 6의 구동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또는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3 또는 표 7의 구동방법을 사용하고 다른 프레임에 있어서는 표 4 또는 표 8의 구동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첨부된 도면 제 8 내지 제 10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 수평주기의 시작순간에 화소들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에 피크전류를 내 보내고, 나머지 절반의 화소에는 상기 열의 피크 전류와 엇갈리게 하여 분산된 피크 전류를 내보내도록 함으로써, 1 수평주기 동안의 피크 전류의 집중도를 최대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피크 전류의 부산 구동에 따라 1 수평주기 동안의 피크 전류의 집중도를 최대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순간 최대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제조원가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용량의 전원 회로 상에서 사용 가능한 피크전류의 크기가 늘어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패시터 충전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휘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결국 제품의 고 성능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또는 펄스진폭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의 구동펄스를 사용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Pre-charge) 구동방법에 있어서,
    계조가 다르게 설정된 피크전류와 구동전류로 구분하여 구동펄스를 출력하며 1 수평주기 내의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열(column)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하되, 일부 화소들에 대한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을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두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펄스는,
    피크전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홀수모드와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만큼 경과된 후로 설정되는 짝수 모드로 각각 분할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1 수평주기 내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 만큼의 화소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로, 나머지 절반의 화소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로 분할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의 변화가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 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인접한 화소 또는 인접한 단위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면서, 인접한 행(row)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다시 변화시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의 변화가 인접한 2개의 화소 또는 인접한 2개의 단위화소 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동일 단위화소 또는 동일 화소를 구동함에 있어서 한 프레임에 있어서는 홀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다음 프레임에 있어서는 짝수모드의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인접 프레임에 대해 교대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적(R), 녹(G), 청(B) 개개의 각 단위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적(R), 녹(G), 청(B) 3개의 단위화소가 합하여 하나의 표시단위를 이루는 화소 별로 상기 구동펄스의 동작모드를 변화시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방법.
  11. 제 1항부터 제 10항까지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유기 발광소자 또는 기타 표시소자의 양극에 펄스폭 변조방식 또는 펄스진폭 변조방식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드라이브회로는,
    상기 피크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 설정되는 홀수모드 구동부와;
    상기 피크 전류의 출력 기준시간이 1 수평주기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만큼 경과된 후로 설정되는 짝수모드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프리차지 구동장치.
KR1020050020111A 2005-03-10 2005-03-10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76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11A KR100761780B1 (ko) 2005-03-10 2005-03-10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11A KR100761780B1 (ko) 2005-03-10 2005-03-10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91A KR20060099091A (ko) 2006-09-19
KR100761780B1 true KR100761780B1 (ko) 2007-09-28

Family

ID=3763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11A KR100761780B1 (ko) 2005-03-10 2005-03-10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87B1 (ko) 2009-11-12 2012-02-17 실리콘 터치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회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426A (ko) 2010-09-14 2012-03-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404A (ja) * 1993-07-19 1995-02-07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のマトリクス駆動方式
JPH10254385A (ja) 1997-03-11 1998-09-25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階調表示方法
KR20040021753A (ko) * 2002-09-04 2004-03-11 권오경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40096566A (ko) * 2002-02-14 2004-1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404A (ja) * 1993-07-19 1995-02-07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のマトリクス駆動方式
JPH10254385A (ja) 1997-03-11 1998-09-25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階調表示方法
KR20040096566A (ko) * 2002-02-14 2004-1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Led 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디바이스
KR20040021753A (ko) * 2002-09-04 2004-03-11 권오경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87B1 (ko) 2009-11-12 2012-02-17 실리콘 터치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91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9009B2 (en) Pixel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100843523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lcd 패널
US9105247B2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source driving circuit
US20060028426A1 (en) LCD apparatus for improved inversion drive
EP2390868B1 (en) LED driving device and driving system thereof
EP1450343A1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nic device
KR20040080958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280930B2 (en) Back to back pre-charge scheme
EP0837444A2 (en) Gray-scale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a matrix-addressed liquid crystal display
CN100424735C (zh) 时分显示板驱动方法和设备
JP2012150505A (ja) マトリクス型lcdパネル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れに基づく液晶ディスプレイ
KR2011003544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40267199A1 (en) Display device and scanning line driver
CN110534054B (zh) 显示驱动方法及装置、显示装置、存储介质、芯片
JP2005345770A (ja) 液晶パネル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61780B1 (ko)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피크전류 구동방법 및 장치
US737571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gradation potential generating circuit
US90990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JP2007316596A (ja) チャージポンプ型表示駆動装置
US1155160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ing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US7471050B2 (en) Organic EL drive circuit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CN101089935A (zh) 一种用于液晶显示器驱动的灰度混合调制低功耗电路
CN114241974A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0632806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장치
US20010048419A1 (en) Method of gray scale generation for displays using a binary weighted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