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49B1 -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49B1
KR100761249B1 KR1020060030801A KR20060030801A KR100761249B1 KR 100761249 B1 KR100761249 B1 KR 100761249B1 KR 1020060030801 A KR1020060030801 A KR 1020060030801A KR 20060030801 A KR20060030801 A KR 20060030801A KR 100761249 B1 KR100761249 B1 KR 10076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chor
wedge
fastening plat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승규
Original Assignee
홍익산업 주식회사
곽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산업 주식회사, 곽승규 filed Critical 홍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5Resilient passive elements to be placed in line with mooring or towing chains, or line connections, e.g. dampers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1Cam mechanisms involving cylindrical cam, i.e. cylinder with helical groove at its periph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를 프리텐션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세한 인장력의 조절 뿐만 아니라 안전한 프리텐션닝 작업이 가능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 새로운 프리텐션닝 작업 방법을 제공한다.
부유식 해상구조물, 앵커, 프리텐션닝

Description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 프리텐션닝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tensioning of anchor for marin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앵커 프리텐션닝 작업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앵커 프리텐션닝 장치의 개념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앵커 프리텐션닝 장치의 작동 순서를 보이기 위한 작동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앵커 20 : 평바지
100 : 프리텐션닝 장치
110 : 정지 고정판
120 : 이동 고정판
130 :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
140 : 제1쐐기 체결판
150 : 제2쐐기 체결판
160 : 훅
170 : 강연선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mooring)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anchor)에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앵커를 프리텐션닝(pre-tensioning)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앵커가 설치되고 있다. 선박 등의 경우 닻(앵커)을 내림으로써 간단히 선박을 정박시키지만, 이보다 큰 구조물이거나 보다 큰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경우 앵커를 해저면에 미리 박아넣음으로써 앵커에 소정의 지지력을 부여한 후 여기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연결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하여 앵커 계류(정박, mooring)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는 해상 항해, 수중의 특이한 지점 등을 나타내기 위한 부표로부터 해상 호텔에 이르기까지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즉 부유식 해상구조물이란 부력에 의하여 부유하는 모든 구조물을 말하며, 앵커는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파도나 조류 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이동되는 것 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앵커에 소정의 지지력을 부여하는 종래의 방법을 살핀다.
종래의 경우 앵커의 연결 케이블을, 윈치의 윈치 케이블 끝단에 마련된 훅에 연결하여, 윈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윈치 케이블이 감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훅이 당겨지고, 최종적으로 앵커의 연결 케이블이 당겨짐으로써, 수중에 마련된 앵커가 해저면에 소정의 힘으로 박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윈치 자체가 모터에 회전에 의하여 구동됨으로써 미세한 힘의 조정이 어려웠다. 즉, 앵커가 지반에 박히기 시작하면서부터는 매우 조금씩 그 당기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앵커를 수중의 지반에 서서히 고정시켜야 하나, 모터의 회전에 의한 윈치의 구동으로는 이러한 미세한 힘의 증가를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윈치에 의한 앵커의 프리텐션닝의 경우 앵커에 걸린 인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는 훅의 선단에 로드셀을 마련한 후 그 로드셀에 앵커의 연결 케이블을 조립함으로써, 로드셀에 걸리는 힘을 확인하여 앵커에 걸리는 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윈치에 의한 앵커의 프리텐션닝의 경우 윈치 케이블은 윈치에 감길 수 있도록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이와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윈치 케이블은 구조적으로는 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프리텐션닝 작업 도중 윈치 케이블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윈치 케이블이 파손되면, 파손된 윈치 케이블이나 앵커의 연결 케이블로 인하여 주변 장 치가 손상될 수 있음은 물론 인체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를 프리텐션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세한 인장력의 조절 뿐만 아니라 안전한 프리텐션닝 작업이 가능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에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앵커를 프리텐션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 바지에 대하여 고정되며, 다수의 제1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강연선 관통공의 일측에 원추형의 제1쐐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정지 고정판 ; 복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을 이루며, 상기 제1 쐐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분할 쐐기들 ; 상기 정지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분할 쐐기들을 상기 제1쐐기 삽입홈에 체결하거나 체결해제하며, 다수의 제1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쐐기 체결판 ; 상기 정지 고정판에 대하여 고정되며, 중앙통공이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 ; 상기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 구 동용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다수의 제2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강연선 관통공의 일측에 원추형의 제2쐐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이동 고정판 ; 복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을 이루며, 상기 제2쐐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분할 쐐기들 ; 상기 이동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분할 쐐기들을 상기 제2쐐기 삽입홈에 체결하거나 체결해제하며, 다수의 제2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쐐기 체결판 ; 상기 앵커의 연결 케이블이 결합가능한 훅 ; 상기 훅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강연선 관통공, 상기 제1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 상기 중앙통공, 상기 제2강연선 관통공, 및 상기 제2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강연선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쐐기 체결판의 상기 제1체결판용 강연성 관통공의 타측에 상기 제1분할 쐐기와 접하는 제1탄성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2쐐기 체결판의 상기 제2체결판용 강연성 관통공의 타측에 상기 제2분할 쐐기와 접하는 제2탄성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정지 고정판의 일측에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가 마련되며, 상기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1쐐기 체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1쐐기 체결판이 상기 정지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 고정판의 일측에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가 마련되며, 상기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2쐐기 체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2쐐기 체결판이 상기 이동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상기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를 이용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를 프리텐션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방법이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조와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앵커 프리텐션닝 작업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앵커 프리텐션닝 장치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앵커 프리텐션닝 장치의 작동 순서를 보이기 위한 작동 흐름도이다. 도 3에서는 도 2의 단면도를 그리기 위한 절단선을 표시하였다.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앵커(10)가 위치된다. 앵커(10)에는 연결 케이블(11)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연결 케이블(11)은 와이어 로프나 체인이 사용될 수 있다.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설치 전에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을 평바지(20) 상부에 고정마련되는 프리텐션닝 장치(100)와 연결한다.
프리텐션닝 장치(100)가 연결 케이블(11)을 원활히 잡아당기기 위하여 평바지(20)의 일측에는 지지롤러(21)가 마련되며, 연결 케이블(11)은 지지롤러(2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프리텐션닝 장치(100)와 연결된다.
또한 평바지(20)의 타측에는, 앵커 프리텐션닝 작업 도중 평바지(20)를 고정 하기 위하여 고정 케이블(22)이 연결된다. 고정 케이블(22)은 그 일단이 고정된 구조물에 연결된다. 즉 고정 케이블(22)은 육상의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거나 혹은 수중의 해저면에 앵커 등에 의하여 그 일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앵커 프리텐션닝 작업이 진행되면서도 평바지(20)는 앵커(10)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례의 앵커 프리텐션닝 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로부터 크게 훅(160), 정지 고정판(110),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 이동 고정판(120)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다수의 강연선(170)들로 연결되어 있다.
훅(160)을 살핀다.
훅(160)은 그 좌측에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이 결합되며, 그 우측에 다수의 강연선(170)이 연결되어 있다. 즉, 훅(160)은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과 다수의 강연선(170)을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정지 고정판(110)과 유압 실린더(130)는 평바지(20)에 대하여 고정마련된다. 즉 정지 고정판(110)과 유압 실린더(130)는 평바지(20)에 대하여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으며, 이를 위하여 정지 고정판(110)과 유압 실린더(130) 각각이 평바지(20)에 대하여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정지 고정판(110)과 유압 실린더(130)는 연결봉(118)에 의하여 서로 고정연결된다.
정지 고정판(110)에는 다수의 강연선들(17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강연선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강연선 관통공(111)의 우측에는 원추형의 제1쐐기 삽입홈(112)이 형 성되어 있다. 제1쐐기 삽입홈(112)은 제1분할 쐐기들(113)이 삽입되어, 제1분할 쐐기들(113)이 제1쐐기 삽입홈(112)과 강연선(170) 사이에서 밀착되어, 강연선(17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분할 쐐기들(113)은 본 실시례의 경우 3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제1분할 쐐기들(113)의 중앙 중공은 강연선(170)과 접하게 되며, 제1분할 쐐기들(113)의 외주면은 제1쐐기 삽입홈(112)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분할 쐐기들, 쐐기 삽입홈, 및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체결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와는 상이하나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의 강연선을 체결하는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의 분할 쐐기들은 통상적으로 그라운드 앵커의 체결 구조에서 cone type wedge로 불리고 있다.
상기 제1분할 쐐기들(113)을 상기 제1쐐기 삽입홈(112)에 체결하거나 체결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 고정판(110)의 우측에 제1쐐기 체결판(140)이 마련된다.
제1쐐기 체결판(140)이 상기 정지 고정판(1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정지 고정판(110)에는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14)가 고정마련되며, 제1쐐기 체결판(140)은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14)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쐐기 체결판(140)은 정지 고정판(110)에 마련된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14)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쐐기 체결판(140)에는 복수의 강연선(170)이 관통하는 복수의 제1 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141)의 좌측에는 제1탄성스프링(142)이 마련되며, 제1탄성스프링(142)은 제1분할 쐐기들(113)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쐐기 체결판(140)이 직접 제1분할 쐐기들(113)을 제1쐐기 삽입홈(112)에 밀어넣지 않고, 제1탄성스프링(142)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제1분할 쐐기들(113)을 제1쐐기 삽입홈(112)에 밀어넣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탄성스프링(142)을 개재하여 제1분할 쐐기들(113)을 삽입함으로써, 힘의 균등한 가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제1분할 쐐기들(113)의 조임력을 부드럽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는 제1쐐기 체결판(140)을 구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가 정지 고정판(110)에 마련되었지만, 실시례에 따라서는 제1쐐기 체결판(140)에 유압실린더를 마련하고, 그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정지 고정판(110)과 연결시키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는 복수의 강연선(170) 전체가 통과하는 중앙통공(131)이 형성되어, 대략 링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및 하기에서 사용한 유압실린더들은 복동형 유압실린더이다.
또한 상기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의 피스톤 로드(132)의 행정거리(stroke)는 약 50cm이다.
또한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는 평바지(20)에 고정되며, 또한 정지 고정판(110)에 고정되어, 평바지(20)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의 피스톤 로드(132)의 끝단에는 이동 고정판(120)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동 고정판(120)은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의 구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이동 고정판(120)에는 다수의 강연선들(17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강연선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강연선 관통공(121)의 우측에는 원추형의 제2쐐기 삽입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쐐기 삽입홈(122)은 제2분할 쐐기들(123)이 삽입되어, 제2분할 쐐기들(123)이 제2쐐기 삽입홈(122)과 강연선(170) 사이에서 밀착되어, 강연선(17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분할 쐐기들(123)은 본 실시례의 경우 3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제2분할 쐐기들(123)의 중앙 중공은 강연선(170)과 접하게 되며, 제2분할 쐐기들(123)의 외주면은 제2쐐기 삽입홈(122)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분할 쐐기들, 쐐기 삽입홈, 및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체결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와는 상이하나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의 강연선을 체결하는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분할 쐐기들(123)을 상기 제2쐐기 삽입홈(122)에 체결하거나 체결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고정판(120)의 우측에 제2쐐기 체결판(150)이 마련된다.
제2쐐기 체결판(150)이 상기 이동 고정판(1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이동 고정판(120)에는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24)가 고정마련 되며, 제2쐐기 체결판(150)은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24)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쐐기 체결판(150)은 이동 고정판(120)에 마련된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24)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쐐기 체결판(150)에는 복수의 강연선(170)이 관통하는 복수의 제2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151)의 좌측에는 제2탄성스프링(152)이 마련되며, 제2탄성스프링(152)은 제2분할 쐐기들(123)과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장치의 작동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을 훅(160)에 연결한다.
도 5의 단계 (a)를 설명한다.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이 훅(160)에 연결된 후,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14)가 구동하여 제1쐐기 체결판(140)을 우측으로 밀어, 제1분할 쐐기들(113)이 제1쐐기 삽입홈(112)에의 체결이 해제된다.
또한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24)가 구동하여 제2쐐기 체결판(150)을 좌측으로 밀어, 제2분할 쐐기들(123)이 제2쐐기 삽입홈(122)에 체결되면서 강연선(170)과 견고히 결합된다. 즉 강연선들(170)은 제2분할 쐐기들(123)에 의하여 이동 고정판(120)에 고정이 된 상태가 된다.
도 5의 단계 (b)를 설명한다.
도 5의 단계 (a)에서 강연선들(170)이 이동 고정판(120)에 고정이 된 상태이므로, 이동 고정판(12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강연선(170)도 함께 우측으로 이동이 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가 구동하여 그 피스톤 로드(132)가 우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이동 고정판(120) 및 강연선(17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훅(160)에 연결된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이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앵커(10)가 수중에서 지반에 조금 박히게 된다.
도 5의 단계 (c)를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그 이동거리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강연선(170)을 길게 당기기 위하여는 피스톤 로드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14)가 구동하여 제1쐐기 체결판(140)을 좌측으로 밀어, 제1분할 쐐기들(113)이 제1쐐기 삽입홈(112)에 체결되면서 강연선(170)과 견고히 결합된다.
이후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24)가 구동하여 제2쐐기 체결판(150)을 우측으로 밀어, 제2분할 쐐기들(123)이 제2쐐기 삽입홈(122)으로부터 체결해제된다.
즉 강연선들(170)은 제1분할 쐐기들(113)에 의하여 정지 고정판(110)에 고정이 된 상태가 된다.
이후 단계 (d)와 같이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가 구동하여 그 피스톤 로드(132)가 좌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이동 고정판(120)이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강연선(170)은 정지 고정판(110)에 고정이 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단계 (e)와 단계 (f)가 진행되며, 단계 (e)와 단계 (f)는 단계 (a)와 단계(b)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작업 순서의 반복에 의하여 앵커(10)는 수중의 지반에 견고히 박히게 되면서, 소정의 지지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10)를 프리텐션닝하는 작업을 완료하면, 앵커(10)의 연결 케이블(11)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연결되며, 이에 의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지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유지하기 위한 앵커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실시례에 따라서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앵커를 여러 지점에 설치한 후 이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130) 내부의 걸리는 유압을 감지하기 위하여 유압센서를 마련할 수 있으며, 유압센서에 걸리는 압력과 그 압력이 적용되는 면적을 통하여 앵커(10)에 걸리는 지지력을 환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앵커(10)의 프리텐션닝을 매우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 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를 프리텐션닝하는 장치가, 미세한 인장력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전한 프리텐션닝 작업이 가능한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 그 작업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에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앵커를 프리텐션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
    바지에 대하여 고정되며, 다수의 제1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강연선 관통공의 일측에 원추형의 제1쐐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정지 고정판 ;
    복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을 이루며, 상기 제1 쐐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분할 쐐기들 ;
    상기 정지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분할 쐐기들을 상기 제1쐐기 삽입홈에 체결하거나 체결해제하며, 다수의 제1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쐐기 체결판 ;
    상기 정지 고정판에 대하여 고정되며, 중앙통공이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 ;
    상기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다수의 제2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강연선 관통공의 일측에 원추형의 제2쐐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이동 고정판 ;
    복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추형을 이루며, 상기 제2쐐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2분할 쐐기들 ;
    상기 이동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분할 쐐기들을 상기 제2쐐기 삽입홈에 체결하거나 체결해제하며, 다수의 제2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쐐기 체결판 ;
    상기 앵커의 연결 케이블이 결합가능한 훅 ;
    상기 훅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강연선 관통공, 상기 제1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 상기 중앙통공, 상기 제2강연선 관통공, 및 상기 제2체결판용 강연선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강연선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쐐기 체결판의 상기 제1체결판용 강연성 관통공의 타측에 상기 제1분할 쐐기와 접하는 제1탄성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2쐐기 체결판의 상기 제2체결판용 강연성 관통공의 타측에 상기 제2분할 쐐기와 접하는 제2탄성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고정판의 일측에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가 마련되며, 상기 제1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1쐐기 체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1쐐기 체결판이 상기 정지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 고정판의 일측에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가 마련되며, 상기 제2체결판 구동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제2쐐기 체결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2쐐기 체결판이 상기 이동 고정판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를 이용하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계류를 위하여 수중에 설치되는 앵커를 프리텐션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방법.
KR1020060030801A 2006-04-05 2006-04-05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KR10076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801A KR100761249B1 (ko) 2006-04-05 2006-04-05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801A KR100761249B1 (ko) 2006-04-05 2006-04-05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249B1 true KR100761249B1 (ko) 2007-09-27

Family

ID=3873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801A KR100761249B1 (ko) 2006-04-05 2006-04-05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02B1 (ko) 2013-03-29 2014-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구조물 또는 선박의 계류설비
CN117486114A (zh) * 2024-01-03 2024-02-02 河南丽卡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多孔前卡千斤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52A (ko) * 2001-08-14 2003-02-20 코켄고교가부시끼가이샤 긴장재료의 파지장치 및 파지 긴장장치
JP2005194738A (ja) 2004-01-05 2005-07-21 Psl Japan:Kk アンカーの緊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52A (ko) * 2001-08-14 2003-02-20 코켄고교가부시끼가이샤 긴장재료의 파지장치 및 파지 긴장장치
JP2005194738A (ja) 2004-01-05 2005-07-21 Psl Japan:Kk アンカーの緊張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502B1 (ko) 2013-03-29 2014-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구조물 또는 선박의 계류설비
CN117486114A (zh) * 2024-01-03 2024-02-02 河南丽卡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多孔前卡千斤顶
CN117486114B (zh) * 2024-01-03 2024-03-05 河南丽卡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多孔前卡千斤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618A (en) Offshore mooring system
KR20000076254A (ko) 해상 구조물 결박용 수중 자가-정렬식 페어리드 래치 장치
JP2006519138A (ja) テンション・レグ型プラットフォームの設置方法
CN101687533A (zh) 回拉-放出式锚泊系统及其使用方法
EP2758301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tensioning chains, in particular mooring legs
US20140205383A1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KR100761249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앵커의 프리텐션닝 장치 및프리텐션닝 방법
EP3277949B1 (en) Wave energy converter with mooring system comprising buoyant elements
US5566636A (en) Off shore mooring system
GB2534595A (en) Apparatus for anchoring a buoyant assembly to a submerged anchorage
JP2018039475A (ja) 係留索の継ぎ足し方法、浮体構造物の係留方法および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US6019058A (en) Looped mooring line and method of installation
AU2008290598B2 (en) Tension leg connection system
KR101859613B1 (ko) 무어링 장치
JP2008037143A (ja) 把駐力試験方法及び装置
CN113959612B (zh) 一种锚抓力测试方法
EP4279371A1 (en) Subsea configuration for floating structures of an offshore wind farm
EP4279372A1 (en) Subsea configuration for floating structures of an offshore wind farm
RU20411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вления, выбирания, удерживания и отпускания гибкого грузового троса
CN116374083B (zh) 一种渔业养殖平台的坐底抗台锚泊方法
EP1169217B1 (en) Anchor line pretensioning method
GB2250006A (en) Vessel anchor system with extendible load limit device
JP3484413B2 (ja) 浮体式構造物の係留索
CN115924031A (zh) 浮式风机与系泊链连接的施工方法
CN115655864A (zh) 漂浮式风机系泊钢丝绳预拉试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