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46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46B1
KR100761246B1 KR1020060097533A KR20060097533A KR100761246B1 KR 100761246 B1 KR100761246 B1 KR 100761246B1 KR 1020060097533 A KR1020060097533 A KR 1020060097533A KR 20060097533 A KR20060097533 A KR 20060097533A KR 100761246 B1 KR100761246 B1 KR 10076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rightness
portable terminal
image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욱현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46B1/ko
Priority to US11/867,447 priority patent/US786421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04N23/684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b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mages sequentially 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두 이미지에서 영역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각 영역별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두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위치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두 위치를 이용하여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 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가 각 영역별로 다른 경우에도 뚜렷한 경계선을 가진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진, 영상, 손떨림, 보정, 카메라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EMBLING COMPENSATIO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진 촬영시, 손떨림 보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조리개를 조절하여 획득되는 두 개의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획득된 두 개의 영상에서 영역별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획득된 두 개의 영상에서 영역별로 다른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한 검색 매트릭스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획득된 두 개의 영상에서 검색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각 영역별로 흔들림 정도를 고려하여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밀도집적회로(Very Large Scale Integration : VLSI),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모든 제품이 소형 경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여러 형태의 작은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 경박화됨에 따라, 휴대의 편리성이 증가되어 그 수요가 급증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부가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동영상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상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필수 구성 요소로 인식되어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중 여러가지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보다 그랩(grab) 기능, 즉, 영상을 순간적으로 촬영하는 기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시,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해 영상이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손떨림으로 인해 영상이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물론, 현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비롯하여 모든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손떨림 방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제시된 방법들은 상기 손떨림으로 인해 획득된 영상이 각 영역별로 흔들리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하지 않고 있어, 상기 종래에 제공되는 방법들을 상기 영역별로 흔들림 정도가 다른 영상에 적용하게 될 시, 상기 영상에 흔들림 현상이 여전히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촬영 시, 흔들림 정도를 각 영역별로 고려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손떨림을 보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은,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두 이미지에서 영역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각 영역별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두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위치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두 위치를 이용하여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 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손떨림을 보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는,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두 이미지에서 영역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매트릭스를 통해 상기 두 이미지의 유사 위치를 검색하여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를 보정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를 각 영역별로 고려하여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카메라(102), 영상 처리부(104), 손떨림 판단부(106), 손떨림 보정부(108), 표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손떨림 보정 기능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손떨림 보정 기능이 설정되어있을 시, 상기 영상처리부(102)로 이미지 캡처 및 손떨림 보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영상처리부(104)로부터 손떨림, 즉, 흔들림이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102)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카메라(102)는 상기 영상처리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영상처리부(104)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시간에 조리개를 닫아 떨림이 적고 명도가 낮아 어두운 제 1 이미지(a)를 획득하고, 소정 시간 후에 상기 조리개를 닫아 떨림이 있고 명도가 높아 밝은 제 2 이미지(b)를 획득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상기 카메라(10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11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코덱은 영상신호를 설정된 방식으로 코딩하거나, 코딩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이미지 캡처 및 손떨림 보정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카메라(102)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 라(102)로부터 명도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상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처리부(104)내에 구비된 손떨림 판단부(106)와 손떨림 보정부(108)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두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한 후, 상기 보정된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손떨림 판단부(106)는 상기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에서 각 영역별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움직임 벡터값들 중 최대 값을 기 설정된 손떨림 기준 값과 비교하여 손떨림이 발생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손떨림 판단부(10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별로 흔들림 정도가 동일한 경우는 물론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별로 흔들림 정도가 다르게 발생될 수 있는 경우를 위해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각 영역별로 계산한다. 만일,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시, 상기 손떨림 판단부(106)는 상기 최대 값을 기 설정된 보정 기준 값과 비교하여 손떨림 보정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보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제 1 및 제 2 이미지와 상기 움직임 벡터값들을 상기 손떨림 보정부(108)로 제공한다.
상기 손떨림 보정부(108)는 상기 손떨림 판단부(106)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이미지와 상기 움직임 벡터값들이 입력될 시, 상기 두 이미지의 색 공간에서 각 픽셀의 명도 값과 채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영역별 움직임 벡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각 영역의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영역의 움직임 벡터값이 (M, N)일 시, 상기 A 영역에 해당하는 특정 기준점 (x, y)(601, 611)에 대해 (x+M, y+N)(603)과 (x-M, y-N)(605) 혹은 (x+M/2, y+N/2)(613)과 (x-M/2, y-N/2)(615)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명도 값과 채도 값은 HSI(Hue, Saturation, Intersity) 모델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손떨림 보정부(108)는 상기 검색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이미지에서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픽셀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두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동일한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a)와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b)에서 5×3 검색 매트릭스(701)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701) 내에 존재하는 특정 픽셀(710)과 가장 유사한 채도 값을 가지는 픽셀(712)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검색한다. 이후, 상기 손떨림 보정부(108)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검색된 두 픽셀을 기반으로 보정된 채도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해당 픽셀의 채도 값을 보정시키고, 상기 제 1 이미지의 해당 픽셀의 명도 값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해당 픽셀이 가지는 명도 값으로 보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미지의 보정된 채도 값은 상기 두 이미지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검색된 두 픽셀의 채도 값의 평균으로 구할 수도 있고, 상기 두 픽셀의 채도 값 중 큰 값, 혹은 작은 값으로 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짧은 시간에 조리개를 닫아 흔들림이 적어 피사체의 경계선이 뚜렷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긴 시간 후에 조리개를 닫아 흔들림이 많아 피사체의 경계선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 값을 상기 제 2 이미지를 통해 변경시킴으로써, 손 떨림 현상이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흔들림이 보정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진 촬영시, 손떨림 보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사진, 즉,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에서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시간에 조리개를 닫아 떨림이 적고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a)를 획득하고, 소정 시간 후에 상기 조리개를 닫아 떨림이 있고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b)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에서 상기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에서 각 영역별 움직임 벡터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별로 흔들림 정도가 동일한 경우는 물론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별로 흔들림 정도가 다르게 발생될 수 있는 경우를 위해 상기 움직임 벡터를 각 영역별로 계산한다.
상기 움직임 벡터 계산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움직임 벡터값들 중 최대 값을 기 설정된 손떨림 기준 값 및 보정 기준 값과 비교한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손떨림 발생 여부와 상기 발생된 손떨림의 보정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지 않았거나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었으나 보정이 가능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지 않았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를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손떨림이 발생하였으나 보정이 불가능할 시, 상기 표시부(110)에 손떨림이 심하여 보정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었으며 상기 손떨림이 보정 가능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에서 상기 두 이미지의 색 공간에서 HSI(Hue, Saturation, Intersity) 모델 등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명도 값과 채도 값을 측정한 후,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영역별 움직임 벡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각 영역의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영역의 움직임 벡터값이 (M, N)일 시, 상기 A 영역에 해당하는 특정 기준점 (x, y)(601, 611)에 대해 (x+M, y+N)(603)과 (x-M, y-N)(605) 혹은 (x+M/2, y+N/2)(613)과 (x-M/2, y-N/2)(615)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에서 상기 검색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이미지에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픽셀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두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동일한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와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에서 5×3 검색 매트릭스(701)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701) 내에 존재하는 특정 픽셀(710)과 같은 채도 값을 가지는 픽셀(712)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7단계에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검색된 두 픽셀을 기반으로 보정된 채도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해당 픽셀의 채도 값을 보정시킨 후,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해당 픽셀의 명도 값을 상기 제 2 이미지의 해당 픽셀이 가지는 명도 값으로 보정시켜 손떨림이 보정된 최종 이미지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미지의 보정된 채도 값은 상기 두 이미지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검색된 두 픽셀의 채도 값의 평균으로 구할 수도 있고, 상기 두 픽셀의 채도 값 중 큰 값, 혹은 작은 값으로 구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짧은 시간에 조리개를 닫아 흔들림이 적어 피사체의 경계선이 뚜렷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긴 시간 후에 조리개를 닫아 흔들림이 많아 피사체의 경계선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 값을 상기 제 2 이미지를 통해 변경시킴으로써, 손 떨림 현상이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손떨림이 보정된 이미지를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조리개 조절을 통해 명도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두 이미지의 움직임 벡터를 영역별로 생성하여 상기 두 이미지 내에서 피사체의 같은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찾아 채도와 명도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가 영역별로 다른 경우에도 뚜렷한 경계선을 가진 보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손떨림을 보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두 이미지에서 영역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각 영역별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두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위치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두 위치를 이용하여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 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도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조리개를 소정 시간 내에 닫아 흔들림이 적고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조리개를 소정 시간 후에 닫아 흔들림이 많고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계산된 영역별 움직임 벡터를 기 설정된 기준 값들과 비교하여 손떨림 발생 여부 및 발생된 손떨림 보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손떨림이 보정 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영역별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두 이미지 중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이 발생되었으나 보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손떨림 보정 불가능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두 이미지의 색 공간에서 각 픽셀의 채도 값과 명도 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이미지의 검색 매트릭스 내에 존재하는 특정 픽셀의 채도 값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이미지의 동일한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상기 확인된 체도 값과 유사한 채도 값을 가지는 픽셀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및 명도 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된 두 위치의 평균 채도 값 혹은 둘 중 하나의 채도 값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두 위치 중 제 2 이미지에서 검색된 위치의 명도 값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이미지의 채도 값과 명도 값을 상기 선택된 채도 값과 명도 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손떨림을 보정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 이벤트가 발생될 시, 조리개를 조절하여 명도가 다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두 이미지에서 영역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매트릭스를 통해 상기 두 이미지의 유사 위치를 검색하여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를 보정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상기 조리개를 소정 시간 내에 닫아 흔들림이 적고 명도가 낮은 제 1 이미지와 상기 조리개를 소정 시간 후에 닫아 흔들림이 많고 명도가 높은 제 2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획득된 두 이미지에서 영역별로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고, 상기 움직임 벡터를 기 설정된 기준 값들과 비교하여 손떨림 발생 여부 및 발생된 손떨림 보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손떨림 판단부와,
    상기 손떨림 보정이 가능할 시, 상기 영역별 움직임 벡터에 따른 영역별 검색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두 이미지의 각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채도 및 명도 값을 보정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위치 검색은, 상기 두 이미지의 특정 검색 매트릭스 내에서 서로 유사한 채도 값을 갖는 픽셀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보정은,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검색된 위치의 채도 값을 상기 검색된 두 위치의 평균 채도 값 혹은 둘 중 하나의 채도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명도 보정은,
    상기 제 1 이미지에서 검색된 위치의 명도 값을 상기 제 2 이미지에서 검색된 위치의 명도 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97533A 2006-10-04 2006-10-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76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533A KR100761246B1 (ko) 2006-10-04 2006-10-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US11/867,447 US7864213B2 (en) 2006-10-04 2007-10-04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rembling of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533A KR100761246B1 (ko) 2006-10-04 2006-10-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246B1 true KR100761246B1 (ko) 2007-09-27

Family

ID=3873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533A KR100761246B1 (ko) 2006-10-04 2006-10-04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64213B2 (ko)
KR (1) KR100761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284B1 (ko) * 2007-05-11 2008-01-10 주식회사 코아로직 디지털 영상의 손떨림 보정 장치, 방법 및 상기 방법을프로그램화하여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30297B1 (ko) * 2009-12-03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95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속도 및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촬영장치 및 그의 손떨림 보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370B1 (en) * 1996-09-03 2001-07-2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Brightness-variation compensation method and coding/decoding apparatus for moving pictures
JP4511766B2 (ja) * 2000-07-10 2010-07-28 株式会社リコー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における振れ補正方法
KR100451584B1 (ko) * 2001-12-20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이블릿 변환과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 및복호화 장치
US7010047B2 (en) * 2002-10-11 2006-03-07 Ub Video Inc. Global brightness change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KR100561398B1 (ko) * 2003-06-10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화상 내 구획별로 휘도 변화를 검출하고 보상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5045648A (ja) * 2003-07-24 2005-02-17 Sony Corp 撮像装置の露出制御方法
US7688999B2 (en) * 2004-12-08 2010-03-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arget detect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95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속도 및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촬영장치 및 그의 손떨림 보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5-003995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64213B2 (en) 2011-01-04
US20080084480A1 (en)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326496B2 (en) Method for capturing images at night,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558553B2 (en) Electronic device for stabiliz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7826730B2 (en)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a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hand shake corr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hand shake correction process program
US7903144B2 (en) Electric hand-vibration correction method, electric hand-vibration correction device, electric hand-vibration correction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KR20130099521A (ko) 영상 내 사용자의 시선 보정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단말
US103826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00060140A (ko)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광역 역광 보정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CN110677557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538654B1 (ko) 손 떨림 보정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이의제어방법
JPWO2011052492A1 (ja) 携帯通信装置
CN114125314A (zh) 亮度同步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JP200626200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KR10076124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08116663A (ja) 撮像装置
US9143684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018346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67236B2 (ja) 被写体追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51364B2 (ja) 被写体追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63083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201809335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22429B2 (ja) 被写体追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60306B2 (ja) 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撮像方法
JP2008042694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WO2007026452A1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21028916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