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294B1 - 장신용 체인 - Google Patents

장신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294B1
KR100760294B1 KR1020060109446A KR20060109446A KR100760294B1 KR 100760294 B1 KR100760294 B1 KR 100760294B1 KR 1020060109446 A KR1020060109446 A KR 1020060109446A KR 20060109446 A KR20060109446 A KR 20060109446A KR 100760294 B1 KR100760294 B1 KR 10076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welding
chain
rings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수남
Original Assignee
염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수남 filed Critical 염수남
Priority to KR102006010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굵기의 금속제 선재를 이용하여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를 구성하는 장신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 선재를 절곡하여 구성되는 큰링은 굵은 선재를 사용하고 작은링은 가는 선재를 사용함으로써 큰링과 작은링의 용접부위 온도가 동시에 적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어서 용접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압연공정을 거친 큰링과 압연되지 않은 작은링에 동일한 힘을 가하여 원하는 상태로 비틀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체인

Description

장신용 체인{The decoration chain}
도1은 종래 장신용 체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장신용 체인의 사시도
도3은 용접이 완료된 본 발명 체인이 압연공정과 비틀기 공정을 거쳐서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체인이 완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큰링 11: 작은링
20,21: 용접부
본 발명은 목걸이나 팔찌 등 각종 장신구로 이용되는 장신용 체인에 관한 발명이다.
장신용 체인의 주소재는 주로 금속이며 그 외에 플라스틱이나 원석 등을 가 공한 후 함께 조립하여 만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목걸이나 팔찌 등으로 이용되는 장신용 체인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의 고리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서 외적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것은 물론 체인 자체가 어느 방향으로든 자연스럽게 굴절되어야 하기 때문에 원형이나 타원형의 링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체인 상태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재가 주로 황동선재(黃銅線材)로 이루워지는 장신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 소정 굵기의 선재(線材)를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구성하여 큰링과 작은링을 교호로 연속하여 체인으로 구성한 다음 연결된 큰링과 작은링의 양단부가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체인 상태로 완성하고 큰링에는 압연공정을 거치게 되며 압연된 큰링과 압연되지 않은 작은링에 미적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틀기 공정을 거치는 공지의 체인제조 공정에서 체인 상태로 연결된 큰링과 작은링의 용접 상태가 균일하게 하고 비틀기 공정에서 큰링과 작은링이 원하는 상태로 비틀어지도록 하는 장신용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황동선재로 이루워지는 장신용 체인의 구성을 보면,
동일 굵기의 황동선재를 이용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큰링(10)과 작은링(11)을 체인 상태가 되도록 교호로 연속되게 연결하며 큰링(10)과 작은링(11)의 양단부가 맞닿는 용접부(20)(21)에 용접파우더를 충진시킨 다음, 1200~1400℃의 용접로에서 용접부(20)(21)를 용접하고 큰링(10)은 압연공정을 거쳐 모양을 구성한 다음, 비틀기 공정을 거쳐서 체인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으로 구성되는 장신용 체인에 있어서 체인을 구성하는 링을 큰링(10)과 작은링(11)으로 구성하여 교호로 연속하여 연결하는 이유는 동일한 크기의 링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비하여 외적 미관이 우수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워진 종래 장신용 체인은 큰링과 작은링의 소재인 금속선재의 굵기가 동일한 것을 사용함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문제점 중, 첫째는 큰링과 작은링이 연결된 상태에서 용접공정을 거칠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큰링과 작은링의 체적 차이에 의하여 최적의 용접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적 차이의 발생으로 용접상태가 균일하지 못한 것이다.
용접상태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것은 예를들어 소재의 특성상 가장 적정한 용접온도가 1300℃라고 하였을 때 용접로 내부에서 동일한 굵기이면서도 체적이 큰 큰링은 가열 속도가 빠르고 동일한 굵기이면서도 체적이 작은 링은 가열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용접 적정 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적 차이로 인하여 체적이 큰 링과 체적이 작은 링의 용접상태가 균일하지 못한 것이다.
즉, 체적이 큰링이 용접 적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체적이 작은 링은 용접 적정 온도에 미치지 못함으로 체적이 큰링은 용접 상태가 매우 양호하나 체적이 작은링은 용접 부위가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상태가 됨으로 용접상태가 불량하여 용접부위의 장력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체적이 작은링의 온도를 용접 적정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시간을 늘릴 경우, 체적이 큰링의 온 도가 용접 적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어 용접부위가 필요 이상으로 용융되어 선재에 흠집이 생기게 되고, 용접부위에 굴곡이 생겨서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큰링과 작은링의 굵기가 같을 경우 비틀기 작업을 할때 큰링은 작은링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쉽게 비틀어 지게되나 작은링은 큰링에 가해지는 비트는 힘에 비하여 쉽게 비틀어 지지 않게 됨으로 큰링과 작은링에 가해지는 비트는 힘을 달리하여 비틀어야 함으로 같은 크기의 링에서 비틀린 각도가 일정하지 못하여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장신용 체인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시험해 본 결과 큰링과 작은링의 굵기에 차이를 두는 것으로 큰링은 직경이 굵은 선재를 사용하고 작은링은 큰링에 비하여 직경이 약간 가는 선재를 사용함으로서 용접 공정에서 큰링과 작은링이 동시에 용접 적정 온도에 도달되도록 함으로서 용접 부위의 인장강도나 내구성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하며 비틀기 공정에서도 동일한 힘을 가했을 때 큰링과 작은링이 최적의 상태로 비틀어지게 됨으로 큰링과 작은링은 비틀림 각도가 일정하여 미적 외관이 향상되고 여러개의 큰링과 작은링이 연결된 상태에서 비틀기를 할 수가 있어서 생산 능률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소정 굵기의 금속제 선재를 절곡하여 양단부가 맞붙는 용접부(20)(21)를 갖는 큰링(10)과 작은링(11)을 교호로 연결시켜 체인으로 구성하는 공지의 장신용 체인에 있어서, 상기 큰링(10)은 굵은 선재를 사용하고, 상기 작은링(11)은 가는 선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큰링(10)과 작은링(11)의 굵기 차이는 10:7 내지 10:9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큰링(10)과 작은링(11)이 교호가 되도록 체인 상태로 연결한 다음 상기 큰링(10)과 작은링(11)의 용접부(20)(21)에 용접파우더를 충진시킨 다음 용접로에 넣어서 용접 적정 온도가 될때까지 가열하는 것으로 선재의 단면적이 크고 체적이 커진 큰링(10)과 선재의 단면적이 작고 체적이 작아진 작은링(11)은 굵기의 차이에 의해 거의 동시에 용접 적정 온도에 도달하게 됨으로 큰링(10)과 작은링(11)의 용접부가 최적의 용접상태가 됨으로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여 용접부위의 이탈이나 파손이 방지되며 비틀기 공정에서도 용접부위가 격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가 오랜 기간 동안 시험해 본 결과 큰링(10)과 작은링(11)의 선재 단면적 차이는 10:7 내지 10:8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비틀기 공정에서도 동일한 힘을 받게 되는 큰링(10)과 작은링(11)의 비틀어진 각도가 가장 이상적으로 구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발명은 큰링과 작은링을 구성하는 금속선재의 단면적에서 차이를 줌으로써 큰링과 작은링의 용접 온도 도달시간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큰링과 작은링의 비틀기 공정에서 동일한 비틀기 힘을 가했을 때 큰링은 비틀림이 적고 작은링은 비틀림이 많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금속제 선재를 절곡하여 양단부가 맞붙는 용접부(20)(21)를 갖는 큰링(10)과 작은링(11)을 교호로 연결하여 체인으로 구성하는 공지의 장신용 체인에 있어서 상기 큰링(10)은 굵은 선재를 사용하고 상기 작은링(11)은 가는 선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굵은링(10)과 상기 작은링(11)의 굵기 차는 10:7 내지 10:8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
KR1020060109446A 2006-11-07 2006-11-07 장신용 체인 KR10076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446A KR100760294B1 (ko) 2006-11-07 2006-11-07 장신용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446A KR100760294B1 (ko) 2006-11-07 2006-11-07 장신용 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294B1 true KR100760294B1 (ko) 2007-09-19

Family

ID=3873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446A KR100760294B1 (ko) 2006-11-07 2006-11-07 장신용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653A (ko) * 2018-10-12 2020-04-22 정대욱 악세서리 부자재용 평면형 체인
KR102164380B1 (ko) 2020-02-07 2020-10-12 오석규 복합 체인 구조의 팔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212U (ko) * 1991-01-29 1992-08-20
KR200360003Y1 (ko) 2004-05-28 2004-08-26 노규태 장식용 체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212U (ko) * 1991-01-29 1992-08-20
KR200360003Y1 (ko) 2004-05-28 2004-08-26 노규태 장식용 체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653A (ko) * 2018-10-12 2020-04-22 정대욱 악세서리 부자재용 평면형 체인
KR102134480B1 (ko) * 2018-10-12 2020-07-16 정대욱 악세서리 부자재용 평면형 체인
KR102164380B1 (ko) 2020-02-07 2020-10-12 오석규 복합 체인 구조의 팔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584A (en) Hollow diamond cut rope chain with multi-faceted surfaces
US7444801B2 (en) Method of weaving links and resulting product
JPH0751089B2 (ja) 微細装身チェーン
JPH02136103A (ja) 宝飾ロープ鎖
KR100760294B1 (ko) 장신용 체인
US20130025772A1 (en) Ornamental rod-like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452572A (en) Hollow rope chain with close fitted links
JP2017191134A (ja) 眼鏡フレーム
US20030221408A1 (en) Lightweight omega chain and improved method of manufacture
EP176711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s of jewellery, in particular chains for ornamental purposes, and articles which can be obtained by means of said method
US6601301B2 (en) Jewelry formed by sections of multiply colored element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4072567B2 (ja) 装身具用ワイヤの製造方法
EP1583623B1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hains for articles of jewellery
AU2003232942A1 (en) Method and machine for simultaneous and parallel production of similar products, through straightening and bending of wires, wire rods, metal tubes or other material of prismatic cross section.
US3783081A (en) Ornamental element
EP0888732B1 (en) Composite wire for the manufacture of jewelry articles
KR200388462Y1 (ko) 장신구용 링 및 이 링을 이용한 체인
US20150335109A1 (en) Jewelry chain with stamped links and precious stones
JP3072328U (ja) 装飾具用ワイヤ
KR101471342B1 (ko) 장신용 체인 제조방법 및 장신용 체인
US6807800B2 (en) Jewelry rope chain
EP1601264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elements for jewels
JPH0257202A (ja) ワイヤ製アクセサリーとその製造方法
KR200195408Y1 (ko) 장식용 체인
ITPD20060451A1 (it) Procedimento per realizzare una catena a scopo ornamentale, e catena ottenibile mediante tale procedi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