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924B1 -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 Google Patents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924B1
KR100759924B1 KR1020060095003A KR20060095003A KR100759924B1 KR 100759924 B1 KR100759924 B1 KR 100759924B1 KR 1020060095003 A KR1020060095003 A KR 1020060095003A KR 20060095003 A KR20060095003 A KR 20060095003A KR 100759924 B1 KR100759924 B1 KR 10075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train
roadbed
new
new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06009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궤도에서 신설 궤도로 단시간에 열차운행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시공법으로, 기존 궤도가 절체될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어 측벽을 설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기존 궤도와 교차되는 양 측벽 구간을 제외한 신설 궤도 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하며, 다짐된 노반 성토 상면에 궤도를 신설하는 제 2단계와, 신설 궤도의 노반 정리 후, 상기 측벽의 양측을 연결하는 거더를 설치하여 신설 궤도와 연결하고, 기존 궤도로 운행되던 철도를 신설 궤도로 변경하여 철도통행을 유지하는 제 3단계와, 철도 운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거더의 저면 일정 높이까지 노반 성토 다짐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노반 성토 다짐 후, 상단의 상기 거더를 제거하고, 노반 성토 다짐을 마무리하여 신설 궤도와 높이를 맞춘 후, 신설 궤도를 복구하는 제 5단계로 열차 차단 없이 궤도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설 궤도, 흙막이판, 가벤트

Description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A Train rail quick shift method in process of train operation}
도 1a는 종래의 궤도 절체를 이용한 궤도 연결공법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궤도 절체를 이용한 궤도 연결공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1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2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3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4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5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
도 7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중 가벤트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중 측벽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신설 궤도 10A, 10B: 가벤트
11: 흙막이판 12: 지지대
13: 고정대 14: 콘크리트 블럭
20: 거더 15: 콘크리트 교대, 교각
본 발명은 기존 궤도를 절체하여 신설 궤도로 연결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 궤도에서 신설 궤도로 단시간에 열차운행을 변경할 수 있도록, 신설 궤도와 기존 궤도가 교차되는 지점의 기존 궤도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어 가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가벤트를 흙막이판으로 측면을 마감한 후, 상기 가벤트 간을 제외한 그 밖의 신설 궤도 구간을 미리 시공하여 노반다짐을 완료하고, 상기 가벤트 상단을 연결하는 거더 설치 후, 열차의 통행을 신설 궤도로 변경하여 운행을 유지하고, 열차의 운행 중 상기 가벤트의 간에 노반을 일정 높이 다짐한 후, 상기 거더를 제거하여 노반 성토 다짐을 마무리함과 동시에 궤도를 연결하는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설 궤도 연결공법에 있어서, 도 1a 도시와 같이 기존 궤도(100)와 신설 궤도(1)가 만나는 절체 지점 양측에 우회 궤도(110)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열차가 우회 궤도로 통행되도록 운행을 유지하고, 우회궤도(110)를 통해 열차의 통행 간 신설궤도(1)의 시공하여 완료한다.
그 후, 열차를 장시간 차단하고, 우회궤도(110)와의 연결된 열차를 신설궤도(1)로 바꾸는 궤도변경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회 궤도를 이용한 신설 궤도 연결공법은, 신설 궤도 거리에 준하는 우회 궤도를 시공하여야 하고, 이로 인한 우회 궤도 설치를 위한 공간 즉, 토지, 건물, 기타 점유물로 인한 우회궤도 설치불가 문제와, 궤도설치를 위한 자재 소모량이 증가하며, 우회궤도의 설치 및 제거를 위한 시공기일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또 다른 종래의 시공법으로 도 1b 도시와 같이 우회 궤도 설치 없이 기존 궤도와의 교차 구간을 최대한 근접되게 절체측 노반을 다짐하고, 그 밖의 신설 궤도 구간 시공을 완료한 후, 열차를 장시간 차단하여 기존 궤도(200) 구간과 교차되는 신설궤도(1')의 절체 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하여 궤도를 연결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회궤도 없이 열차를 장시간 차단한 후 신설 궤도와 연결시키는 공법은, 우회 궤도를 설치하지 않음으로 설치공간확보의 불필요 및 불필요한 자재의 소모가 없는 반면, 기존 궤도와 신설 궤도의 교차구간인 절체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 시공할 시, 한층의 마무리 두께가 30㎝이하로 다짐되도록 시공규정하고 있어, 높이차이가 크면 클수록 노반 성토다짐을 위한 시공시간이 대폭 증가하여 열차 운 행을 장시간 차단하는 것이 불가피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노반 성토 다짐 및 궤도 복구와 장비 정리 등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열차 운행이 장시간 통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존 궤도와 신설 궤도를 연결하는 시공법에 있어서, 우회 궤도 설치 없이 시공가능하게 하여, 우회 궤도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 및 자재와 인력 낭비를 줄이고, 신설 궤도 연결 시공을 단시간에 이룰 수 있는 시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궤도가 절체될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어 측벽을 설치하고, 상기 기존 궤도(100)와 교차되는 양 측벽 구간을 제외한 신설 궤도 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하며, 다짐된 노반 성토 상면에 궤도를 신설한다.
한편, 신설 궤도의 노반 정리 후, 상기 측벽의 양측을 연결하는 거더를 설치하고, 기존 궤도로 운행되던 철도를 신설 궤도로 변경하여 철도통행을 유지한다.
또한, 철도 운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측벽 간의 노반을 성토 다짐하고, 다짐 후, 상단의 상기 거더를 제거하고, 노반 성토 다짐을 마무리하여 신설 궤도와 높이를 맞춘 후, 신설 궤도를 복구하여 열차 차단 없이 궤도 변경 가능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른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첨부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도 2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1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2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3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4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제 5단계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중 가벤트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중 측벽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궤도를 절체하여 신설궤도와 연결하는 개량시공법에 있어서, 기존 궤도(100)가 절체될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어 측벽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은,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삽입되는 철심부(12A)가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 간을 연결하는 고정대(13)와, 상기 지지대(12) 양측면을 차폐하는 흙막이판(11)을 구비하는 가벤트(10A,10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2) 간의 틈에 흙 또는 콘크리트를 매입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 교대 또는 교각(15)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을 상기 가벤트(10A,10B)로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철심부(12A) 상측으로 연결되는 상기 지지대(12)를 짧게 형성시키고, 가벤트 내측에 콘크리트를 매입하며, 그 상면에 미리 양생된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블럭(14)을 얹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존 궤도(100)와 교차되는 양 측벽 구간을 제외한 신설 궤도(1) 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하며, 다짐된 노반 성토 상면에 궤도를 신설한다.
또한, 신설 궤도(1)의 노반 정리 후, 상기 측벽의 양측을 연결하는 거더(20)를 설치하여 신설 궤도(1)와 연결하고, 기존 궤도(100)로 운행되던 철도를 신설 궤도(1)로 변경하여 철도통행을 유지한다.
한편, 철도 운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거더(20)의 저면 일정 높이까지 노반 성토 다짐한다.
또한, 상기 노반 성토 다짐 후, 상단의 상기 거더(20)를 제거하고, 노반 성토 다짐을 마무리하여 신설 궤도(1)와 높이를 맞춘 후, 신설 궤도(1)를 복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4"는 본 발명의 가벤트(10A,10B)의 상면에 얹혀지는 일정 크기를 갖는 콘크리트 블럭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은, 별도의 우회 궤도를 설치하지 않고, 열차의 운행중단 없이 또는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시공 시간 및 공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일 실시 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제 1단계
도 2 도시와 같이 기존 궤도(100)가 신설 궤도(1)와 교차 또는 연결될 구간의 궤도 양측으로 상기 기존 궤도(100)보다 큰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으로써, 가벤트(10A,10B)를 설치한다.
상기 가벤트(10A,10B)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일종의 지지대(12)로서, 지면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철심부(12A)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12) 간을 연결하는 고정대(13)를 통해 사각의 뼈대를 만든 후, 상기 지지대(12)의 양측면에 흙막이판(11)을 고정하여 측벽을 형성한다.
제 2단계
도 3 도시와 같이 흙막이판(11)으로 측벽을 형성한 상기 가벤트(10A,10B)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함으로 강도와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생략하여 실시하여도 무관하다. 한편, 상기 가벤트(10A,10B) 설치 후, 기존 궤도(100)와 교차되는 양측의 가벤트(10A,10B) 구간을 제외한 신설 궤도(1) 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하여 궤도를 설치한다.
상기 신설 궤도(1)의 시공 중에는 열차가 기존 궤도로(100) 운행되기 때문에 공사에 대한 시간적 제약이 없으며, 열차 운행 중단 또는 우회 궤도 없이 시공된다.
제 3단계
도 4 도시와 같이 상기 신설 궤도(1)의 노반을 정리한 후, 상기 가벤트(10A,10B)의 상단을 연결하는 거더(20)를 설치하여 신설 궤도(1)를 연결하고, 기존 궤도(100)로 운행되던 철도를 신설 궤도(1)로 변경 운행하며, 기존 궤도(100)를 절체한다.
상기 거더(20)의 시공에 있어서, 기존 궤도(100)로 운행되는 철도의 운행 시간을 파악하여 거더(20)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여유를 두고 시공이 이루어지며, 상기 거더(20) 시공과 함께 기존 궤도(100)의 절체 시공을 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한다.
제 4단계
도 5 도시와 같이 거더(20)를 설치하여 신설 궤도(1)로 철도 운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거더(20)의 저면 일정 높이까지 노반 성토 다짐을 하게 되는데, 시간적 제약 없이 시공되므로 노반의 품질 즉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단계
도 6 도시와 같이 노반을 일정 높이까지 다짐한 후, 상단의 상기 거더(20)를 제거하고, 노반 성토 다짐을 마무리하여 신설 궤도(1)와 높이를 맞춘 후, 궤도를 연결한다.
상기 노반의 마무리 작업은 이미 1차적으로 일정 높이까지 다짐되어 있으므로, 한번에 다짐하여야 하는 양이 적어 짧은 시간에 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열차 운행의 배차 간격에 따라 운행 중단없이 교체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측벽은 상기 가벤트(10A,10B)로 구성된 것으로 명시되었으나, 도 7 도시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양측 상기 가벤트(10A,10B)의 상단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내측에 콘크리트를 매입하며, 상단에 미리 양생된 일정 크기의 콘크리트 블럭(14)을 얹고, 상기 콘크리트 블럭(14) 양측 상면에 상기 거더(20)를 얹어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블럭(14)는 하측면에 일정 크기의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부와 상응되는 요홈이 상기 가벤트(10A,10B) 내측에 매입되는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블럭(14)을 상면에 얹을 시 고정이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 도시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측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교대 및 교각(15)을 형성하는 것으로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측벽을 구성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거더(20)를 고정시킨 후, 열차를 운행시키고, 상기 거더(20) 하측의 절체 구간 노반 성토를 일정 높이 다짐하여 상기 거더(20)를 제거 후 노반 성토 다짐되는 높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열차의 운행중단 없이 궤도 연결 시공이 가능케 한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의 사용으로, 기존 궤도와 신설 궤도를 연결하는 시공법에 있어서, 우회 궤도 설 치 없이 시공가능하고, 이를 통해 우회 궤도 설치를 위한 토지 및 자재와 인력 낭비를 줄이며, 결과적으로 공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회 궤도 설치 없이 철도 운행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 궤도와 신설 궤도의 연결 시공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노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5)

  1. 기존궤도를 절체하여 신설궤도와 연결하는 개량시공법에 있어서, 기존 궤도(100)가 절체될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어 측벽을 설치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존 궤도(100)와 교차되는 양 측벽 구간을 제외한 신설 궤도(1) 구간의 노반 성토 다짐하며, 다짐된 노반 성토 상면에 궤도를 신설하는 제 2단계;
    신설 궤도(1)의 노반 정리 후, 상기 측벽의 양측을 연결하는 거더(20)를 설치하여 신설 궤도(1)와 연결하고, 기존 궤도(100)로 운행되던 철도를 신설 궤도(1)로 변경하여 철도통행을 유지하는 제 3단계;
    철도 운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거더(20)의 저면 일정 높이까지 노반 성토 다짐하는 제 4단계;
    상기 노반 성토 다짐 후, 상단의 상기 거더(20)를 제거하고, 노반 성토 다짐을 마무리하여 신설 궤도(1)와 높이를 맞춘 후, 신설 궤도(1)를 복구하는 제 5단계로 열차 차단 없이 궤도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삽입되는 철심부(12A)가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 간을 연결하는 고정대(13)와, 상기 지지대(12) 양측면을 차폐하는 흙막이판(11)을 구비하는 가벤 트(10A,10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벤트(10A,10b)는, 상기 지지대(12) 간의 틈에 흙을 매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벤트(10A,10B)는, 상기 지지대(12) 간의 틈에 콘크리트를 매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하로 일정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 교대 또는 교각(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KR1020060095003A 2006-09-28 2006-09-28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KR10075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003A KR100759924B1 (ko) 2006-09-28 2006-09-28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003A KR100759924B1 (ko) 2006-09-28 2006-09-28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924B1 true KR100759924B1 (ko) 2007-09-18

Family

ID=387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003A KR100759924B1 (ko) 2006-09-28 2006-09-28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907A (ko) * 1997-07-12 1999-02-05 김정현 가교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454406B1 (ko) 2002-08-02 2004-10-26 김정현 가벤트를 이용하여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치환하여 유도상화하는 공법 및 그 장치
KR100556219B1 (ko)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907A (ko) * 1997-07-12 1999-02-05 김정현 가교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454406B1 (ko) 2002-08-02 2004-10-26 김정현 가벤트를 이용하여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치환하여 유도상화하는 공법 및 그 장치
KR100556219B1 (ko)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52594U (zh) 一种城市轨道交通用预应力板式轨道
RU2641572C2 (ru) Способ превращения колеи на основании из балласта в колею на основании из плит
KR101258807B1 (ko) 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횡단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76029B1 (ko) 교량상 기설 자갈도상궤도의 궤도구조 개량방법
CN107268348B (zh) 地铁柱式检查坑施工方法
KR100891961B1 (ko)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CN105507170A (zh) 钢筋混凝土盖板涵的强化方法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38227B1 (ko) 기계화 시공을 위한 고강도 속경성 프리팩트 콘크리트 도상궤도 구조 및 시공방법
CN110106751B (zh) 一种适用于crtsⅱ型板式无砟轨道的沉降调整方法
CN104594654B (zh) 一种建筑物加固改造方案生成方法
CN107354826B (zh) 隧道内嵌入式轨道系统的快速施工方法
CN110846951B (zh) 一种不中断运行条件下地铁无砟道床整体置换方法
KR100759924B1 (ko) 열차 운행중 신속한 궤도 교체 공법
KR101187282B1 (ko) 2주식교대 구조를 이용한 철도 교량 시공방법
CN108130825B (zh) 特殊限制条件中地铁道床混凝土置换工艺
CN104652299A (zh) 一种电气化铁路既有桥涵整孔移出施工方法
JPH09268501A (ja) 省力化軌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99787B1 (ko) 세그먼트링용 저판 세그먼트
KR1012340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직접 설치를 통한 철도지하횡단 공법
CN111844386A (zh) 一种轨枕式支承块的浇筑装置及浇筑方法
KR101653559B1 (ko) 철도 교량의 유도상화 공법
JPH0827701A (ja) バラスト道床の補強構造およびバラスト交換方法
CN212128691U (zh) 一种地铁轨枕置换临时支撑用钢支墩
CN113107532B (zh) 一种钻爆法隧道仰拱范围临时竖撑拆除与防水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