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384B1 -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 Google Patents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384B1
KR100758384B1 KR1020060064782A KR20060064782A KR100758384B1 KR 100758384 B1 KR100758384 B1 KR 100758384B1 KR 1020060064782 A KR1020060064782 A KR 1020060064782A KR 20060064782 A KR20060064782 A KR 20060064782A KR 100758384 B1 KR100758384 B1 KR 10075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exhaust pipe
air
crankcase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갑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핸즈
Priority to KR102006006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6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8Crank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06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풀리팬(40)이 외부 동력을 받아 크랭크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한 크랭크샤프트(12)를 회전시키고, 커넥팅로드(24)를 통해 크랭크샤프트(12)와 연결된 피스톤(25)이 실린더(20) 내부에서 왕복운동하고, 흡기행정시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흡기밸브가 열려 흡기구(32)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배기행정시 상기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배기밸브가 열려 배기구(34)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기구(34)로부터 배출된 윤활유를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 윤활유, 오염, 배기관, 진공펌프

Description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used as vacuum pump with exhaust tube connecting exhaust hole and cylinder c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두개의 실린더를 갖는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랭크케이스 12 : 크랭크샤프트
20 : 실린더 24 : 커넥팅로드
25 : 피스톤 30 : 실린더헤드
32 : 흡기구 34 : 배기구
40 : 풀리팬 50 : 배기관
52 : 닛불 58 : 통풍장치
62 : 오일게이지 64 : 오일청소구
본 발명은 공기를 압축하는 왕복동식(피스톤식)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흡입구에 진공을 목적으로 사용할 기구를 설치하여 진공펌프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공기압축기를 진공펌프로도 사용가능하게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에는 왕복동식압축기, 로타리식압축기, 터보형 압축기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압축기로 사용가능한 것은 이론상 모두 진공펌프로 사용이 가능하다.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압축 배출하는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도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을 진공을 형성하고자 하는 공간에 연결하고 배기구를 대기압에 노출시키면 진공펌프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 다른 원리를 이용한 순수 진공펌프에 비해 도달진공도가 낮다는 고유한 문제를 제외하고도 후술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여, 보통 기계식 진공펌프로서 수봉식(水封式) 진공펌프와 기름회전식(油回轉式) 진공펌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진공펌프와 공기압축기 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기압축기는 드문 실정이다.
실린더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공기를 흡입 압축 배출하는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를 흡기구를 진공을 형성하고자 하는 공간(진공 목적물)에 연결하고 배기구를 대기압에 노출시켜 진공펌프로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케이스 내부 중 피스톤 상부 공간에는 음압(0기압 ~ 1기압)이 형성되고, 피스톤 하부 공간과 크랭크케이스 내부는 이보다 높은 기압에 있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는 크랭크케이스와 커넥팅로드와의 마찰력 감소 또는 피스톤 외주와 압축실린더 내벽 간의 밀봉 및 마찰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피스톤 하부 영역에 있던 윤활유를 피스톤링과 실린더케이스 내벽에 형성된 미세한 틈을 통해 피스톤 상부 영역으로 빨아 들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윤활유 흡수 작용은 흡기행정(피스톤 상부 공간에 최저 음압이 형성)에서 주로 발생하게 되고, 배기행정에서 윤활유와 압축공기(대기압 근처)가 함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결국,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를 진공펌프로 사용하는 경우 크랭크케이스 내의 윤활유가 배기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은 공기압축기를 진공펌프로 사용할 수 없는 주원인이 되었다.
또한, 배기행정에서 배기구를 통해 작동소음이 여과 없이 방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은 공기압축기를 진공펌프로 사용할 수 없는 또 하나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왕복동식 공기압축기를 진공펌프로 사용하는 경우, 크랭크 케이스 내의 윤활유가 배기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배기구를 통해 작동소음이 여과 없이 방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는,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외부 동력이 크랭크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한 크랭크샤프트(12)를 회전시키고, 커넥팅로드(24)를 통해 크랭크샤프트(12)와 연결된 피스톤(25)이 실린더(20) 내부에서 왕복운동하고, 흡기행정시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흡기밸브가 열려 흡기구(32)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배기행정시 상기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배기밸브가 열려 배기구(34)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기구(34)로부터 배출된 윤활유를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공기압축기란 대기압 압력 이상으로 공기를 저장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의 기능에 중심을 두어 그 기능에 한정된 공기압축기를 의미한다기 보다는, 통상적인 공기압축기의 구조를 갖는 장치(특히, 왕복동식 공기압축기의 구조를 갖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며, 당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듯이 어떤 경우에는 진공펌프 기능을 하고 다른 경우에 공기압축기 기능을 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연결수단(52)이란 당업계에 주지된 관과 구멍의 연결 수단 또는 관과 중공형 돌출부의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중공관을 구멍이 형성된 어떤 물체에 연통시키는 연결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닛불이란 당업계에 주지된 의미로 사용될 뿐 아니라, 엘보형(또는 굽어진 형) 파이프(또는 관) 연결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주지된 다른 형태의 관과 구멍 또는 관과 중공형 돌출부의 연결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당업계에 주지된 다른 형태의 관과 구멍 또는 관과 중공형 돌출부의 연결수단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풀리팬은 외부 동력을 받아 크랭크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한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장치이며, 냉각팬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냉각을 위해 팬을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팬을 갖음이 바람직 하나, 예외적인 경우 팬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는, 풀리팬(40)이 외부 동력을 받아 크랭크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한 크랭크샤프트(12)를 회전시키고, 커넥팅로드(24)를 통해 크랭크샤프트(12)와 연결된 피스톤(25)이 실린더(20) 내부에서 왕복운동하고, 흡기행정시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흡기밸브가 열려 흡기구(32)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배기행정시 상기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배기밸브가 열려 배기구(34)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상기 배기구(34)로부터 배출된 윤활유를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외부동력이 크랭크샤프트(12)와 동축상에 구성되는 경우 풀리팬(40)은 기술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다(즉, 본 발명은 풀리팬없이 직접 구동장치가 크랭크샤프를 구동하는 경우를 포함함). 하짐만, 일반적으로 장치의 냉각 효과, 모터의 성능 등을 고려할 때 냉각팬이 구비된 풀리팬(40) 및 벨트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풀리팬은 팬이 없는 풀리만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는, 배기관이 관연결수단(52)을 통해 배기구(34) 또는 크랭크케이스(10)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연결수단(52)은 상용화된 닛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관(50)의 횡단면적은 상기 배기구(34) 횡단면적에 비해 작은 것이 소음 저감 측면, 원료 절감, 견고성,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배기관은 동관으 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배기관(50)의 횡단면적이 상기 배기구(34) 횡단면적에 비해 적어도 5배 내지 25배 작은 경우, 배기관(50)이 공기배출 통로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하면서 배기관(50)의 외주면의 면적 상대적으로 작아 소음 방사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같은 질량의 재료(바람직하게는 동관)를 사용하여 배기관(50)을 구성하는 경우, 배기관(50)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어, 소음 방사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배기관(50)의 횡단면적이 상기 배기구(34) 횡단면적에 비율은 10배 ~ 18배(두께 제외한 내부 면적)이며, 이경우에 배기관(50)이 공기배출 통로 기능을 원할하게 수행하면서 소음 방사량을 줄여 최적의 작용 효과를 보인다.
전술한 범위(비율)에서, 배기관(50)이 너무 크면 소음 특성, 견고성, 재료비 측명에서 불리해지고, 너무 작으면 공기배출 기능을 원할히 수행하기 어려워지거나, 배압 증가로 동력 효율이 감소하며, 다른 예기치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횡단면적의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며(원통형), 배기구(34)의 원지름은 2~3cm, 배기관(50)의 원지름은 5~9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배기관(50) 라인상에 배출공기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기 위한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필터를 통과한 윤활유는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고, 여과필터를 통과한 배출공기는 통풍장치(58)를 통해 대기중으로 별도로 방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통풍장치(58)는 크랭크케이스(10) 내의 공기 또는 배기관(50)으로부터 유입된 배출공기를 대기로 방출시키거나, 크랭크케이스(1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대기로부터 공기 유입 통로 기능도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당업계에 주지된 에어브리더일 수 있다.
배기관(50)으로 유입된 윤활유가 섞인 배출공기는 상기 배기관(50) 통과 후 상기 피스톤(25)의 하사점 높이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0)에 저장된 윤활유의 최고 수위면 높이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높이에서 크랭크케이스(10)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통풍장치안착부(59)를 통해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 배기관(50)의 배출공기는 통풍장치(58)인 에어브리더 바로 아래를 경유하여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관(50)의 타측은 관연결수단(52)을 통해 통풍장치(58)인 에어브리더 바로 아래부분(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브리더가 장착되기 위해 설치된 통풍장치 안착부(59)의 측면)에서 크랭크케이스(1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배기관(50)의 타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장치(58)(또는 에어브리더)가 장착되기 위해 설치된 통풍장치안착부(59)의 외주면에서 크랭크케이스(10)와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케이스(10) 유입전에 크랭크케이스(10) 외부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할 수 있으며, 필터는 통풍장치(58)(또는 에어브리더) 하부의 통풍장치안착부(59)에 구성될 수 있다. 예외적인 경우 배기관(50)은 크랭크케이스(10) 내부 공간까지 침투한 후 배출공기를 크랭크케이스(10) 내부 공간으로 방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오일게이지(62)와 오일청소구(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두개의 실린더를 갖는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된 실린더(20)의 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되,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실린더(1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20)는 진공펌프로 사용되고,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린더(120)는 통상의 공기압축기로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린더(20)는 진공펌프로 사용되게 배기관(50)을 구성하고, 다른 실린더(120)은 통상의 공기압축 저장 기능을 하도록 배기관(50)을 장착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배기관(50)을 구비한 실린더(20)는 진공 목적물에 흡기구(32)를 연결할 연결구(31)를 갖고, 배기관(50)을 구비하지 않은 다른 실린더(120)는 흡기필터(131)와 압축공기유도관(134)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50)의 라인 상에 배출공기 중의 윤활유를 걸러내기 위한 윤활유필터(265)를 포함하는 오일분리기(260)와, 상기 오일분리기(260)에 의해 윤활유가 걸러내진 공기가 통과하는 소음기(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배출공기는 배기관(50)의 상부(50a)를 거친후 오일분리기(260)에서 윤활유가 걸러내지고, 그 윤활유는 배기관(50)의 하부(50b)를 통해 크랭크케이스(10)로 다시 유입되고, 윤활유가 거의 제거된 배출공기는 소음기(270)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토출량이 분당 200리터가 넘어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배출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 그 적용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된 실린더(20)의 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되,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실린더(120)를 더 포함하도록 구 성되어,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20)는 진공펌프로 사용되고,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린더(120)는 통상의 공기압축기로 사용되도록 구성하면서, 또한, 배기관(50)의 라인 상에 배출공기 중의 윤활유를 걸러내기 위한 윤활유필터(265)를 포함하는 오일분리기(260)와, 상기 오일분리기(260)에 의해 윤활유가 걸러내진 공기가 통과하는 소음기(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흡기행정에서 음압에 의해 피스톤 하부 영역으로부터 상부영역으로 피스톤링과 실린더(20) 내벽 간의 틈으로 오일업된(흡수된) 윤활유는, 배기행정에서 배기구(34)를 통해 배기관(50) 일측으로 배출되고, 배기관(50) 통과 후 배기관(50) 타측으로부터 필터를 경유하여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이때 배출공기 중 순수 공기는 통풍장치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또한, 실린더 공간의 마찰음 및 작동음은 배기관(50)을 통해 다시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기에, 소음 측면에서 자유 소음방사면이 대폭 줄어(종래기술은 진공펌프로 사용시 무차단 소음 방사면이 배기구 단면적과 같으나, 본 발명은 무차단 소음 방사면이 통풍장치에 형성된 틈에 불과함) 소음 저감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크랭크 회전수 주파수의 주된 하모닉 성분 영역에 있는 음파의 파장에 비해 배기관(50)의 길이가 훨씬 짧아서, 배기관(50) 형성에 따른 음향 공진 현상의 발생 염려도 없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공기압축기를 진공펌프로 사용하는 경우, 크랭크케이스 내의 윤활유가 배기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배기구를 통해 작동소음이 여과 없이 방사되는 문제점이 해결된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도면부호는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가 이것에 의해 제한되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외부동력이 크랭크케이스(10) 내부에 위치한 크랭크샤프트(12)를 회전시키고, 커넥팅로드(24)를 통해 크랭크샤프트(12)와 연결된 피스톤(25)이 실린더(20) 내부에서 왕복운동하고, 흡기행정시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흡기밸브가 열려 흡기구(32)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배기행정시 상기 실린더헤드(30)에 위치한 배기밸브가 열려 배기구(34)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기구(34)로부터 배출된 윤활유를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50)은 관연결수단(52)을 통해 배기구(34) 또는 크랭크케이스(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수단(52)은 닛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50) 라인상에 배출공기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기 위한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여과필터를 통과한 윤활유는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고, 여과필터를 통과한 배출공기는 크랭크케이스(10)에 형성된 통풍장치안착부(59)에 장착되는 통풍장치(58)를 통해 대기중으로 별도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50)으로 유입된 윤활유가 섞인 배출공기는 상기 배기관(50) 통과 후 상기 피스톤(25)의 하사점 높이와 상기 크랭크케이스(10)에 저장된 윤활유의 최고 수위면 높이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높이에서 크랭크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50)의 횡단면적은 상기 배기구(34) 횡단면적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50)의 라인 상에 배출공기 중의 윤활유를 걸러내기 위한 윤활유필터(265)를 포함하는 오일분리기(260)와, 상기 오일분리기(260)에 의해 윤활유가 걸러내진 공기가 통과하는 소음기(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34)와 크랭크케이스(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기관(50)이 구비된 실린더(20)의 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되,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실린더(1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20)는 진공펌프로 사용되고, 상기 배기관(50)이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린더(120)는 통상의 공기압축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구와 크랭크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 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KR1020060064782A 2006-07-11 2006-07-11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KR10075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782A KR100758384B1 (ko) 2006-07-11 2006-07-11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782A KR100758384B1 (ko) 2006-07-11 2006-07-11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384B1 true KR100758384B1 (ko) 2007-09-14

Family

ID=3873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782A KR100758384B1 (ko) 2006-07-11 2006-07-11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3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9234A (ko) * 1985-05-20 1986-12-20 우숭뻐 윤활유가 필요없는 공냉 및 왕복형 공기 압축기
JPH03138465A (ja) * 1989-10-20 1991-06-12 Tokico Ltd 多段式空気圧縮機
JPH08270564A (ja) * 1995-03-31 1996-10-15 Iwata Air Compressor Mfg Co Ltd 往復圧縮機の潤滑油消費量低減方法並びに構造
KR20010044668A (ko) * 2001-03-15 2001-06-05 성갑제 성갑제식 자동
KR20190000860A (ko) * 2018-12-20 2019-01-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적응형 증강현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9234A (ko) * 1985-05-20 1986-12-20 우숭뻐 윤활유가 필요없는 공냉 및 왕복형 공기 압축기
JPH03138465A (ja) * 1989-10-20 1991-06-12 Tokico Ltd 多段式空気圧縮機
JPH08270564A (ja) * 1995-03-31 1996-10-15 Iwata Air Compressor Mfg Co Ltd 往復圧縮機の潤滑油消費量低減方法並びに構造
KR20010044668A (ko) * 2001-03-15 2001-06-05 성갑제 성갑제식 자동
KR20190000860A (ko) * 2018-12-20 2019-01-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적응형 증강현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2165C (zh) 用于往复式压缩机的排气装置
KR101163848B1 (ko) 전동식 진공펌프
US20070041847A1 (en) Piston-reciprocating gas compressor
JPH0569381U (ja) 密閉形電動圧縮機の吸入マフラー
US20060245952A1 (en) Structure for an air pump
CN1119529C (zh) 涡卷式压缩机
CN1494636A (zh) 封闭式压缩机及制冷空调系统
JP2005180413A (ja) 密閉型圧縮機
JPH06213156A (ja) 密閉型往復動式圧縮機の騒音減少装置
CN114542417A (zh) 一种进气互补无油增效压缩机
KR100758384B1 (ko) 배기구와 실린더케이스 내부 연결용 배기관을 갖는진공펌프로 사용가능한 공기압축기
CN1431398A (zh) 往复式压缩机中的消音器
JP2008274840A (ja) 空気圧縮機
CN209704841U (zh) 一种改进型大压差罗茨真空泵
US5188516A (en) Hydraulic/pneumatic pump
JPS59145391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KR101147729B1 (ko) 공기압축기용 다기능 흡입머플러
CN209786968U (zh) 一种用于空压机的高效电机结构
US20240060483A1 (en) Four-cylinder compressor
CN219242133U (zh) 一种大流量低噪音往复式活塞泵
KR10044238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배유 구조
KR920001336Y1 (ko) 에어펌프(Air pump)
CN220909926U (zh) 一种分体式组装无油压缩机
CN218844599U (zh) 一种减震降噪空压机
CN215979815U (zh) 一种便携式无油隔膜空气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