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074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074B1
KR100758074B1 KR1020000072437A KR20000072437A KR100758074B1 KR 100758074 B1 KR100758074 B1 KR 100758074B1 KR 1020000072437 A KR1020000072437 A KR 1020000072437A KR 20000072437 A KR20000072437 A KR 20000072437A KR 100758074 B1 KR100758074 B1 KR 10075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brush
handle
suction
attachme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066A (ko
Inventor
하시즈메기요시
하야카와히로시
이토고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448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576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378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24545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외관형상을 크게 하지 않고 집진실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2) 및 전동송풍기(4)가 배치된 청소기 본체(1)와, 흡입구(6)를 갖고 청소기 본체(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부(7)와, 청소기 본체(1)를 조작하는 핸들(13)과, 핸들(13)의 상단에 설치된 손잡이부와, 핸들(13)의 하단에 설치된 청소기 본체(1)를 운반하는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15)와, 그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6)를 갖는 구성으로하며, 오목부(16)에 부착기구(17)를 장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청소기 본체(1)의 오목부를 없애고, 이 부분을 집진 용적에 더함으로써, 외관형상을 크게 하지 않고 집진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를 아래쪽으로 선회시킬 때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흡입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의 흡입부의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측면도,
도 14는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청소기 본체 2, 33 : 집진실
4, 32 : 전동송풍기 6, 40 : 흡입구
7, 39 : 흡입부 13, 34 : 핸들
15 : 손잡이부 16 : 오목부
17 : 부착기구 18 : 벽
20 : 손잡이부 벽면 41 : 소형 모터(모터)
43 : 주회전브러시 44 : 통형상체
45 : 브러시(교반체) 52 : 유성기어
57 : 에지브러시 58 : 브러시체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 용적을 늘린 것, 또는 운전 조작성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참조부호(101)는 위쪽으로 집진실(102)과 아래쪽으로 전동송풍기(103)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이며, 상기 청소기 본체(101)의 후방 위쪽에 핸들(104)이 장착된다. 또한, 청소기 본체(101)의 하부에는 흡입부(105)가 청소기 본체(101)와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참조부호(106)는 집진실(102)과 흡입부(105)를 연결하는 호스이며, 한쪽은 집진실(102) 내의 종이 봉지(107)에 연결되고, 다른쪽은 흡입부(105)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집진실(102)의 후방과 청소기 본체(101)의 후면에는 오목부(108)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08)에 부착기구(109)를 탈착이 자유롭도록 배치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구성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75-9254 호에 도시된 구조가 일반적이다. 도 13은 상기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참조부호(121)는 흡입부로, 전방 아래쪽에 흡기구(122)가 형성된다. 참조부호(123)는 흡기구(122)와 접하는 회전브러시로서, 모터(125)에 의해 벨트(124)를 거쳐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에지브러시(126)는 회전브러시(123)의 양단부에서 경사진 외측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으로 식모(植毛)된 브러시체(127)가 일체로 장착되며, 흡입부(121)의 폭 만큼 접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체(127)와 대치하는 흡입부(121)의 양측면(128)은 에지브러시(126)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다. 참조부호(129)는 호스(도시되지 않음) 등을 거쳐 진공 청소기의 흡인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는 파이프로, 흡기구(122)에 연결된다.
파이프(129)에 접속된 흡인 수단을 운전하면,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러시(123)에 의해서 끌어 올려진 마루면의 먼지가 흡기구(122)로부터 흡인되어 파이프(129)를 통해 흡인 수단으로 흡인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그러한 구성대로 집진 용적을 보다 늘리고자 하면, 청소기 본체(101)의 외관형상이 커지므로,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의 구성에서는 회전브러시(12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흡입부(121)를 이동 조작할 때는 회전브러시(123)의 회전력이 흡입부(121)의 주행을 보조하므로 조작력이 작아져 사용이 편리하지만, 회전브러시(123)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는 때는 조작력이 커져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과, 흡입부(121)의 측면은 흡입력이 약해서 벽쪽에 대한 집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부(121)의 측면에 에지브러시(126)가 접하므로, 사용 중에 에지브러시(126)가 가구 등에 부딪혀 손상을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소기 본체의 외관형상을 크게 하거나 무겁게 하지 않고, 집진 용적을 늘리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진 성능이 좋고 청소시 전후 이동 조작성이 좋은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흡입부와, 단면이 대략 L자형인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부착기구 장착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부착기구를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된 오목부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 부피에 상당하는 용적을 집진 용적에 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부는 교반체(이하, "먼지 등을 섞거나 휘젓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됨) 또는 불식체(이하, "먼지 따위를 말끔히 떨어 없애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됨) 중 적어도 하나가 원주상에 설치되고 통형상으로 형성된 주회전브러시와, 상기 통형상체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와, 상기 통형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형상체와 동일한 축 상에서 상기 주회전브러시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체와, 상기 브러시체의 원주상에 설치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지브러시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교반체 또는 불식체의 회전력이 본체의 주행을 보조하므로, 핸들의 전후 조작력이 경감되고 사용이 편리해져 취급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흡입부와, 단면이 대략 L자형인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부착기구 장착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기 본체에 부착기구 장착용 오목부가 없어지고, 이 부분을 집진 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공 청소기의 집진실 내의 오목부가 없어져 집진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특히 청구항 1에 기재된 오목부가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특히,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측벽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부착기구의 탈착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를 상하로 선회시켰을 때에 부착기구보다 먼저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의 벽면이 피 청소면에 바로 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기 본체를 아래쪽으로 선회시켜 사용할 때 부착기구보다 먼저 대략 L자형인 손잡이부 벽면이 피 청소면에 바로 접함으로써 부착기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기구에 의해서 마루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진공 청소기 본체를 운전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부는 주위면에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가 원주상에 설치되고 통형상체로 형성된 주회전브러시와, 상기 통형상체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와, 상기 통형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형상체와 동일 축 상에서 상기 주회전브러시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체와, 상기 브러시체의 원주상에 설치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지브러시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교반체 또는 불식체의 회전력에 의해 청소기 본체의 주행을 보조하여 핸들의 전후 조작력이 경감되고, 사용이 편리해져, 취급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브러시체의 회전수를 주회전브러시의 회전수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벽과 마루면의 코너부 또는 가구와 마루의 코너부의 쓰레기를 에지브러시로 긁어 올리는 힘이 증가되어, 구석부에 대한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주회전브러시에 통형상체로 설치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는 브러시형상 또는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간단한 구 성으로 쓰레기를 긁어 올릴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에지브러시를 구성하는 교반체 또는 불식체는 브러시형상 또는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간단한 구성으로 쓰레기를 긁어 올릴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에지브러시의 외경을 주회전브러시의 교반체 또는 불식체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에지브러시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의 주행을 보조하게되어, 핸들의 전후 조작력은 더욱 경감되어 사용이 편리해져,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감속장치로서 통형상체와 동일 축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유성기어를 이용함으로써, 감속에 필요한 벨트 등이 불필요하므로, 공간 절약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브러시체의 회전수를 주회전브러시의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시 에지브러시가 가구에 부딪혀도 큰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운전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부와, 단면이 대략 L자형인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에 부착기구 장착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가 원주상에 설치되고 통형상체로 형성된 주회전브러시와, 상기 통형상체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와, 상기 통형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형상체와 동일 축 상에서 상기 주회전브러시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체와, 상기 브러시체의 원주상에 설치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지브러시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기 본체의 오목부를 없애고 집진 용적으로서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브러시체의 회전력에 의해 청소기 본체의 주행을 보조함으로써 핸들의 전후 이동 조작이 쉽고, 사용이 편리한 진공 청소기를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진공 청소기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진공 청소기를 아래쪽으로 선회시킬 때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1)는 집진실(2)에 장착된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루(3) 및 전동송풍기(4)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이다. 자루(3)는 뚜껑(5)을 탈착함으로써 교환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의 하부에는 피 청소면의 먼지를 빨아 들이는 흡입구(6)를 갖는 흡입부(7)가 접속되어 있다. 이 흡입부(7)에는 먼지를 긁어 올리는 회전브러시(8)가 내장되고, 흡입부(7)의 전방 및 측면에 범퍼(9)가 설치된다. 또한, 흡입부(7)는 청소기 본체(1)와 청소기 본체(1)의 선회축(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집진실(2)의 후면부에는 집진실(2)과 연결된 신축성의 호스(11)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11)의 다른쪽 단부는 접속 파이프(12)를 거쳐 흡입구(6)에 연결된다. 청소기 본체(1)의 후부 위쪽에 핸들(13)이 배치되고, 핸들(13)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14)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청소기 본체(1)를 운반하는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15)가 형성된다.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15)의 상부에는 청소기 본체(1)쪽으로 들어간 오목부(16)가 형성되고, 오목부(16)에 부착기구(17)의 한쪽 단부를 압입하여 부착기구가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오목부(16)를 형성하는 벽(18)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부착기구(17) 장착시에 부착기구 단부(19)가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 벽면(20)보다 돌출되지 않는 구성, 즉 도 1에 있어서 X-X 선보다 나오지 않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청소기 본체(1)에 전원을 넣으면, 전동송풍기(4) 및 회전브러시(8)가 회전하여, 피 청소면의 먼지를 긁어 올림과 동시에, 전동송풍기(4)에 의해 발생한 흡인풍에 의해 먼지를 흡입구(6)에서 집진실(2)로 이송한다. 이 때, 상기 구성과 같이 부착기구(17)의 장착부인 오목부(16)를 집진실(2)로부터 이격시켜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15)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집진실(2) 내의 오목부를 없앨 수 있고, 이 부분을 활용하여 적어도 부착기구(17)의 부피에 상당하는 집진 용적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집진실(2) 내의 요철이 없어짐으로써, 청소기 본체(11)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15)의 위쪽 근방으로 들어간 오목부(16)를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15)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의 청소시 부착기구(17)를 오목부(16)에서 꺼내, 호스(11)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모서리 청소를 실시하지만, 오목부(16)를 형성하는 벽(18)이 경사진 형상이므로 부착기구(17)의 탈착이 쉽고, 저비용으로 사용성이 높은 진공 청소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침대 밑 등의 높이가 낮은 장소를 청소할 때에는 청소기 본체(1)의 선회축(10)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청소기 본체(1)를 선회시켜 청소를 실시하지만, 이 때에 부착기구(17)보다 먼저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 벽면(20)이 피 청소면에 바로 접하는 구성이므로, 부착기구(17)를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부착기구 단부(19)에 의해서 피 청소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측면도, 도 7은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단면도, 도 8은 상기 진공 청소기의 배면도, 도 9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진공 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의 흡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있어서, 참조부호(31)는 청소기 본체로, 아래쪽으로 전동송풍기(32)를 내장하고, 상부에는 집진실(33)을 형성하며, 또한 그 위쪽에는 핸들(34)을 배치하고 있다. 참조부호(35)는 전동송풍기(32)로부터 배출공기를 배 출시키는 전동송풍기 배기구, 참조부호(36)는 집진실(33)과 전동송풍기 배기구(35)를 덮는 덮개이다. 참조부호(37)는 덮개(36)에 형성되어, 전동송풍기 배기구(35)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덮개 배기구로, 배기 필터(38)가 배치된다.
참조부호(39)는 청소기 본체(1)에 선회 가능하도록 축지지된 흡입부로, 전방 아래쪽에 흡기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41)는 흡입부(39)에 설치된 소형 모터로, 모터 샤프트(42)를 구비한다. 참조부호(43)는 흡기구(40)에 접하는 주회전브러시로, 통형상체(44)의 원주상에 브러시(45)가 식모된다.
통형상체(44)는 소형 모터(41)의 브래킷(46)의 외주에 내륜이 압입된 제 1 베어링(47)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참조부호(48)는 제 2 베어링이며 기어 브래킷(49)에 압입되고, 그 내륜은 모터 샤프트(42)의 한쪽 단부를 지지한다. 참조부호(50)는 제 3 베어링이며, 외륜(51)은 통형상체(44)의 일부에 압입되고, 내륜에 모터 샤프트(42)가 압입된다.
참조부호(52)는 유성기어로서, 제 1 기어(53)는 모터 샤프트(42)에 고정되어 좌우양측을 제 2 베어링(48)과 제 3 베어링(50)으로 협지하고, 제 2 기어(54)는 기어 브래킷(49)상에 설치된 축(55)에 지지되어 제 1 기어(53)의 회전을 통형상체(44)의 내주에 형성된 제 3 기어(56)에 전달하여, 통형상체(44)를 모터 샤프트(42)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감속시킨다. 이상과 같이 감속장치로서 통형상체(44)와 동일 축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유성기어(52)를 이용함으로써, 감속에 필요한 벨트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간절약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모터 샤프트(42)의 한쪽 단부에는 동일 축 상에서 에지브러시(57)를 경사진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원주 방향으로 식모된 브러시체(58)가 장착된다. 참조부호(59)는 브러시체(58)의 측면을 피복한 측벽부에서, 흡입부(39)의 외곽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외곽에 장착된다. 참조부호(60)는 아래쪽으로 개구되어 상기 흡기구(40)와 연결되는 개구부로, 개구부(60)에서 에지브러시(57)의 단부가 경사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노출시키면서, 에지브러시(57)의 바깥쪽 단부의 위치는 흡입부(39)의 측벽의 위치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벽 옆 등의 청소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브러시체(58)를 설치하는 곳은 통형상체(44)의 양단부 또는 어느 한쪽의 단부라도 관계없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에지브러시(57)의 회전수를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수보다 높게 하면, 벽과 마루면의 코너부 또는 가구와 마루의 코너부에서의 쓰레기의 긁어 올리는 힘이 증가되어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집진 성능만 향상시키려면, 에지브러시(57)의 회전수와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수를 같이 높게 하면 되지만, 이 경우는 소음이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소음을 될 수 있는 한 낮게 억제하고, 흡입구에서 거리가 멀어 집진 성능이 떨어지는 양측의 에지브러시(57)의 회전수를 높게 함으로써, 이 부분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켜 전체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52)가 통형상체(44)의 회전 방향을 모터 샤프트(42)의 회전 방향과 다르게 하므로, 모터 샤프트(42)의 단부에 고정된 에지브러시(57)의 회전 방향과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 방향이 다르게 되어, 핸들(34)을 들고 본체(31)를 전후로 이동 조작할 때,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 방향과 주행 방향이 동일할 때는 핸들(34)의 조작력이 작아져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할 때는 에지브러시(57)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31)의 주행을 보조함으로써, 핸들(34)의 조작력이 경감되어 사용이 편리해지고, 핸들(34)의 전후 이동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한, 참조부호(61)는 한쪽 단부는 흡기구(40)에, 다른쪽 단부는 집진실(33)에 연결된 호스이며, 참조부호(62)는 집진실(33)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61)의 흡기측과 접속한 집진 자루이고 참조부호(63)는 주행용 롤러이다. 브러시체(58)의 에지브러시(57)로 긁어 올려진 먼지는 흡입부(39)의 개구부(60)로부터 흡기구(40)로, 주회전브러시(43)로 긁어 올려진 먼지는 흡기구(40)에 각각 들어가, 호스(61)를 지나 집진 자루(62)에 포집된다. 상기 통형상체(44)의 브러시(45) 및 브러시체(58) 주변의 에지브러시(57)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브러시형상 대신 박판형상의 교반체 또는 불식체를 사용해도 관계없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브러시(57)의 브러시 외경을 주회전브러시(43)의 외경보다 크게 하면, 핸들(34)을 들고 본체(31)를 전후로 이동 조작하는 경우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할 때 에지브러시(57)의 회전력에 의해 청소기 본체(31)의 반대 방향으로의 주행을 보조함으로써, 핸들(34)의 조작력이 작아져 사용이 편리해지고, 핸들(34)의 전후 이동 조작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42)에 통형상체(44)를 고정하여, 에지브러시(57)의 샤프트(64)의 회전을 유성기어(65)로 감속하고, 에지브러시(57)의 회전수를 주회전브러시(43)의 회전수보다 낮게 하면, 진공 청소기 사용중 에지브러시(57)나 브러시체(58)가 가구에 부딪혀도 큰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집진 용적을 크게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부를 이용하는 구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집진 용적를 크게 한 상태에서 청소시 핸들을 들고 청소기 본체를 전후로 이동 조작하는 데 그다지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상부에 부착기구 장착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곳에 부착기구를 장착하므로, 청소기 본체의 오목부를 생략하게되고, 이 부분을 집진실에 더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실 내에 요철이 없어져 집진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를 손잡이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적게 하여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벽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착기구의 탈착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를 상하로 선회시켰을 때 부착기구보다 먼저 손잡이부의 벽면이 피 청소면에 바로 접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청소기 본체를 아래쪽으로 선회시켜 사용했을 때, 부착기구보다 먼저 대략 L자형의 손잡이부 벽면이 피 청소면에 바로 접하기 때문에, 부착기구의 손상이 없고, 또한 부착기구에 의해서 마루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가 원주상에 설치되고 통형상체로 형성된 주회전브러시와, 상기 통형상체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상기 통형상체와 동일한 축 상에서 상기 주회전브러시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체를 배치하고, 상기 브러시체 주변에 설치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지브러시를 설치하므로, 교반체 또는 불식체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의 주행을 보조함으로써, 핸들의 전후 이동 조작력이 경감되어, 사용이 편리해지고, 취급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브러시체의 회전수를 주회전브러시의 회전수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벽과 마루면의 코너부 또는 가구와 마루의 코너부의 쓰레기를 에지브러시로 긁어 올리는 힘이 상승되어 코너부에 대한 집진 성능이 향상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주회전브러시의 통형상체에 설치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는 브러시형상 또는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러한 간단한 구성으로 쓰레기를 긁어 올릴 수 있어,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에지브러시를 구성하는 교반체 또는 불식체는 브러시형상 또는 박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간단한 구성으로 쓰레기를 긁어 올릴 수 있어,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에지브러시의 외경을 주회전브러시의 교반체 또는 불식체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에지브러시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의 주행을 보조하므로, 핸들의 전후 조작력은 보다 경감되어 사용이 편리해지고, 취급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감속장치로서 통형상체와 동일한 축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유성기어를 이용하므로, 감속에 필요한 벨트 등이 불필요해져 공간 절약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브러시체의 회전수를 주회전브러시의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시 에지브러시가 가구에 부딪히더라도 큰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집진 용적이 크고 사용이 편리한 진공 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운전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마련된 흡입부와, 단면이 L자형인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부착기구 장착용의 오목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진공 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는 벽을 경사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진공 청소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를 상하로 선회시켰을 때, 부착기구보다 먼저 손잡이부 벽면이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한
    진공 청소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조작하는 핸들과,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마련된 흡입부와, 단면이 L자형인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부에 부착기구 장착용 오목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흡입부는 교반체(이하, "먼지 등을 섞거나 휘젓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됨) 또는 불식체(이하, "먼지 따위를 말끔히 떨어 없애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됨) 중 적어도 하나가 원주면에 마련되고 통형상체로 형성된 주회전브러시와, 상기 통형상체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통형상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장치와, 상기 통형상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통형상체와 동축이며 상기 주회전브러시의 회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러시체와, 상기 브러시체 원주면에 마련된 교반체 또는 불식체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지브러시를 갖는 구성으로 한
    진공 청소기.
KR1020000072437A 1999-12-03 2000-12-01 진공 청소기 KR100758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448999A JP2001157657A (ja) 1999-12-03 1999-12-03 床ノズル及び電気掃除機
JP99-344489 1999-12-03
JP2000037843A JP2001224545A (ja) 2000-02-16 2000-02-16 電気掃除機
JP2000-037843 2000-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066A KR20010062066A (ko) 2001-07-07
KR100758074B1 true KR100758074B1 (ko) 2007-09-11

Family

ID=2657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437A KR100758074B1 (ko) 1999-12-03 2000-12-01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8074B1 (ko)
CN (1) CN11796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9045B (en) * 2009-03-31 2012-08-29 Dyson Technology Ltd Duct and chassis arrangement of a cleaning apparatus
GB2469038B (en) * 2009-03-31 2013-01-0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469049B (en) * 2009-03-31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CN102843946B (zh) * 2010-03-31 2015-04-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吸尘器的吸入装置
CN106175590A (zh) * 2016-07-25 2016-12-07 苏州好雨家用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可彻底吸尽灰尘的吸尘器地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10A (ja) * 1995-04-03 1996-10-22 Tec Corp 電気掃除機
KR970004224U (ko) * 1995-07-21 1997-02-19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장착구조
KR19990048504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용 보조브러쉬 고정홀더
JPH11285463A (ja) * 1998-04-03 1999-10-19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KR19990079223A (ko) * 1998-04-02 1999-11-05 전주범 진공 청소기용 보조 브러쉬 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10A (ja) * 1995-04-03 1996-10-22 Tec Corp 電気掃除機
KR970004224U (ko) * 1995-07-21 1997-02-19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장착구조
KR19990048504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용 보조브러쉬 고정홀더
KR19990079223A (ko) * 1998-04-02 1999-11-05 전주범 진공 청소기용 보조 브러쉬 홀더
JPH11285463A (ja) * 1998-04-03 1999-10-19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699C (zh) 2004-12-15
KR20010062066A (ko) 2001-07-07
CN1298687A (zh) 200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299790U (zh) 分离储存装置和清洁机器人
KR20170086401A (ko) 비 전기식 회전 타입 걸레 청소기
KR100758074B1 (ko) 진공 청소기
JP2001157657A (ja) 床ノズル及び電気掃除機
JP2639155B2 (ja) 電気掃除機
CN219229763U (zh) 一种洗地机用清洁装置
JP3777618B2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CN215078105U (zh) 一种污水泵及地板清洁机
CN215777819U (zh) 多功能洗地机
CN218792018U (zh) 一种便携式手持吸尘器
CN219508461U (zh) 一种扫洗一体机
KR100222922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회전솔
JPS608839Y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
KR200273940Y1 (ko) 노면 청소장치
KR0140763B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송장치
JP2538476Y2 (ja) 床洗浄機
KR200169070Y1 (ko)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구석 청소장치
KR200267169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95000052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구동장치
JPS6215011Y2 (ko)
KR94000791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착 흡입구
KR200180253Y1 (ko) 회전 브러쉬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JPH07112468B2 (ja) 電動式床用吸込具
KR20000058494A (ko) 전동빗자루
KR0115215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