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835B1 -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 Google Patents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835B1
KR100757835B1 KR1020030041356A KR20030041356A KR100757835B1 KR 100757835 B1 KR100757835 B1 KR 100757835B1 KR 1020030041356 A KR1020030041356 A KR 1020030041356A KR 20030041356 A KR20030041356 A KR 20030041356A KR 100757835 B1 KR100757835 B1 KR 10075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welding
arc welding
sio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813A (ko
Inventor
김영천
공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8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Fe를 주성분으로 하는 강 심선에 피복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복아크 용접봉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가, 자체 중량%로, CaCO3: 40~60%, CaF2: 10~20%, SiO2: 2.5~8%, MgO: 1~2.5%, Mg-Al: 0.5~2%, TiO2: 3~8%, 합금성분: 15~25%, 나머지 바인더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SiO2/MgO의 함량비가 2~5를 만족하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복아크 용접봉을 이용하면, 직류 아크 용접시 아크 쏠림이 없고 용접작업성이 우수하며, 용접결함이 없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다.
직류 아크 용접, 아크쏠림, 용접작업성, 용접결함, 용접봉

Description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Low hydrogen type covered electrode for DC polarity arc welding}
본 발명은 직류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피복 아크 용접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류 아크 용접시 아크쏠림이 없고 용접작업성이 우수하며, 용접결함이 없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 및 배관용 파이프의 이음에 널리 사용되는 저수소계 피복아크 용접봉은 직류 아크 용접 작업시 강재 표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으로 아크쏠림이 발생되어, 용접금속 내부로 슬래그 혼입이 빈발하고 원활한 용접비드 형성 및 슬래그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일하고 결함이 없는 건전한 용접부 형성에도 장애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26774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강 심선에 피복 되는 피복제의 투자율(permeability)과 피복 두께 및 심선의 직경과의 관계를 특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피복제에 사용되는 원재료의 선택에서부터 피복제의 피복두께와 심선의 직경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변수들을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복제 성분 함량과 SiO2/MgO 함량비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직류 아크 용접시 아크쏠림이 없고 용접작업성이 우수하며, 용접결함이 없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아크 용접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Fe를 주성분으로 하는 강 심선에 피복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복아크 용접봉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가, 자체 중량%로, CaCO3: 40~60%, CaF2: 10~20%, SiO2: 2.5~8%, MgO: 1~2.5%, Mg-Al: 0.5~2%, TiO2: 3~8%, 합금성분: 15~25%, 나머지 바인더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SiO2/MgO의 함량비가 2~5를 만족하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복제 성분 함량과 SiO2/MgO 함량비를 적절하게 제어함에 의하여, 아크쏠림이 없고 용접작업성이 우수하며, 용접결함이 없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아크 용접봉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의 용접봉을 구성하는 피복제의 성분 함량 및 그 제한사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CaCO3는 가스를 발생시켜 용접 아크분위기를 대기로부터 차폐시키며 슬래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상기 CaCO3의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40% 미만이면 가스의 발생이 적고 차폐 효과가 약해져 용접부에 블로우 홀(Blow Hole) 등의 결함발생 위험이 증대되며, 60%를 초과하면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하고 슬래그 유동성이 나빠져 비드 형상이 불량해지므로, 그 함량을 40~6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F2는 상기 CaCO3와 마찬가지로 차폐가스를 형성함과 아울러 용접중에 용융금속(molten metal)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불순물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다. 상기 CaF2의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10% 미만이면 용접 중 용융금속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용접금속내 불순물 제거가 불완전하여 용접금 속 결함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으며, 20%를 초과하면 슬래그량이 증가하여 용접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10~2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는 슬래그 유동 및 비드 퍼짐성 향상에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2.5% 미만이면 비드 외관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8%를 초과하면 슬래그 점성이 증가하고 용접중 슬래그가 선행하여 슬래그 유동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킴으로써 아크단락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2.5~8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O는 피복제 중에 적정량 첨가되면 아크 발생 및 흐름을 안정시켜 직류 아크 용접시 아크를 중앙으로 모아주고 아크가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효한 성분이다. 상기 MgO의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1%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상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5%를 초과하면 아크가 중앙으로 모이지 못하고 퍼져나가 아크쏠림이 발생되므로, 그 함량을 1~2.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Al은 탈산제로서 용접시 대기로부터 유입된 산소 및 유해가스 제거를 촉진하여 용접결함을 방지하는데 유효한 성분이다. 상기 Mg-Al의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0.5%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상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를 초과하 면 용접중 완전 용융되지 못한 원료의 일부가 용접금속내에 잔존하여 용접결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함량을 0.5~2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O2는 아크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그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3% 미만이면 아크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으며, 8%를 초과하면 아크 안정성이 저하되고 아크가 거칠어져 스패터 발생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슬래그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3~8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용접금속의 기본적인 기계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Si, Mn, Fe 등의 합금성분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15~25%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합금성분의 함량이 피복제에 대한 중량%로, 15% 미만이면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고, 25%를 초과하면 인장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등 용접금속의 기계적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성분 이외에 나머지는 바인더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다. 상기 바인더는 피복제를 강 심선에 피복시키기 위한 고착제로서, 주 성분은 SiO2, Na2O, K2O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통해 슬래그 점성 및 유동성에 영향이 있는 SiO2와 아크 쏠림을 제어하는데 효과가 있는 MgO의 첨가 비율에 따라, 아크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SiO2/MgO 함량비가 2~5의 범위에 있을때, 아크 쏠림이 없고 용접결함이 없는 건전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상기 SiO2/MgO 함량비가 2 미만이면 아크 쏠림 제어의 효과가 미미하며, 5를 초과하면 아크 쏠림이 심해지고 슬래그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SiO2/MgO 함량비는 2~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을 갖는 강 심선에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을 갖는 피복제를 피복하여 제조된 피복 아크 용접봉을 사용하여, 직류 전원의 용접전류로 용접을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모재의 화학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이와 같이 용접을 행한 후, 용접작업성, 스패터 발생량 및 내결함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용접작업성의 평가는 필렛 용접을 실시하여 아크성, 슬래그 유동성, 슬래그 박리성, 아크쏠림, 비드 형상을 양호(O), 보통(△), 불량(×)으로 평가하였으며, 스패터 발생량은 스패터 발생량이 매우 적으면 양호(O), 약간 발생하면 보통(△), 다량 발생하면 불량(×)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내결함성은 방사선 투과시험 결과로부터 평가하였다.
모 재 화 학 성 분(중량 %)
C Si Mn P S Fe
0.15 0.1 1.06 0.019 0.007 나머지

강 심 선 화 학 성 분(중량 %)
C Si Mn P S Fe
0.05 0.022 0.48 0.016 0.010 나머지

구 분 플럭스 조성(중량 %) SiO2/MgO
CaCO3 CaF2 SiO2 MgO Mg-Al TiO2 합금성분* 기타**
발 명 예 1 40 20 6.5 2.5 2 6 21 2 2.6
2 48 18 8 2 1 3 19 1 4
3 47 13 7 2 0.5 4 25 1.5 3.5
4 44 19 5 1 1.3 7 21 1.7 5
5 51 16 6 2 0.5 8 15 1.5 3
6 57 11 4 2 0.7 3 21 1.3 2
7 53 12 2.5 1 2 6 22 1.5 2.5
8 60 10 4 2 2 4 17 1 2
비 교 예 1 36 24 6.0 0.5 2 7 23 1.5 12
2 64 7 3.0 2 1 4 18 1 1.5
3 50 17 6.5 1 1.5 3 20 1 6.5
4 45 20 2.0 3 0.5 4 24 1.5 0.7
5 45 13 9.0 2 1.3 7 22 0.7 4.5
6 52 15 3.5 1.5 0.3 10 16 1.7 2.3
7 49 16 5.0 2.5 2.5 3 20 2 2
8 58 15 4.5 1 2 6 12 1.5 4.5
* 합금성분은 Si, Mn, Fe 등
** 기타는 고착제로 사용되는 바인더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
구분 아크성 슬래그 유동성 슬래그 박리성 아크쏠림 비드형상 스패터 발생량 내결함성
발명예 1
2
3
4
5
6
7
8
비교예 1 × × × ×
2 × × × × ×
3 × ×
4 × × × × ×
5 × × × × ×
6 × × × × × ×
7 × × ×
8 × × ×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복제의 성분 조성 및 SiO2/MgO 함량비가 본 발명의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 1~8은 전반적으로 용접작업성이 우수하였고, 직류 아크 용접시 아크쏠림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용접작업 및 슬래그 형성이 용이하여 비드형상이 우수하였다. 특히,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시험 결과 블로우 홀 등과 같은 용접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건전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피복제의 성분 조성 또는 SiO2/MgO 함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8은 만족스러운 용접작업성을 얻을 수 없었다. 특히, SiO2/MgO 비 와 일부 성분 함량이 본 발명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4는 아크쏠림 현상이 다발하였고 용접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SiO2/MgO 함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으나 일부 성분 함량이 본 발명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5~8은 아크 쏠림 현상은 많이 발생되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용접작업성이 불량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복제의 성분 함량 및 SiO2/MgO 함량비를 적절히 조절함에 의하여, 직류 아크 용접시 아크 쏠림이 없고 용접작업성이 우수하며, 용접결함이 없는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Fe를 주성분으로 하는 강 심선에 피복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복아크 용접봉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가, 자체 중량%로, CaCO3: 40~60%, CaF2: 10~20%, SiO2: 2.5~8%, MgO: 1~2.5%, Mg-Al: 0.5~2%, TiO2: 3~8%, 합금성분: 15~25%, 나머지 바인더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SiO2/MgO의 함량비가 2~5를 만족하는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KR1020030041356A 2003-06-25 2003-06-25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KR10075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356A KR100757835B1 (ko) 2003-06-25 2003-06-25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356A KR100757835B1 (ko) 2003-06-25 2003-06-25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813A KR20050000813A (ko) 2005-01-06
KR100757835B1 true KR100757835B1 (ko) 2007-09-11

Family

ID=3721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356A KR100757835B1 (ko) 2003-06-25 2003-06-25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8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813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6778C (en) Cored electrode for reducing diffusible hydrogen
KR100769100B1 (ko) 가스 트랙킹의 발생이 감소되는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코어드 용접봉 및 이러한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방법
JP4986562B2 (ja) チタニヤ系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0355581B1 (ko) 가스 쉴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20190038412A (ko) 함알루미늄 용접 전극
KR20190019020A (ko) 오스테나이트 및 듀플렉스강 용접 금속을 형성하는 전극들
JP3529359B2 (ja) 耐ピット及び耐ブローホール性能が優れた亜鉛メッキ鋼板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3765771B2 (ja) ステンレス鋼アーク溶接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KR101164756B1 (ko) 용접용 플럭스 함유 와이어
KR100757835B1 (ko) 직류 아크 용접용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
KR101091469B1 (ko) 순수 Ar 실드 가스 용접용 MIG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및 MIG 아크용접 방법
JPH03297570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KR100513633B1 (ko) 고속용접용 메탈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494010B1 (ko) 가스실드 아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와이어
KR100570902B1 (ko) 셀프-쉴드 아크용접용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JP3130768B2 (ja) 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KR102670740B1 (ko) 고전압 조건에서 내결함성이 우수한 전자세용 셀프실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KR100347295B1 (ko) 용접용 메탈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KR100532244B1 (ko) 용접용 메탈계 플럭스 충전와이어
JP2005254284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方法
KR100836795B1 (ko) 주철용 피복아크 용접봉
KR100331959B1 (ko) 저수소계 플럭스 충전 와이어
JP2530086B2 (ja) 焼結材溶接用溶加材
JP2004351498A (ja) 溶接方法
KR101032615B1 (ko) 주철용 피복아크 용접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