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425B1 -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 Google Patents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425B1
KR100757425B1 KR1020050092607A KR20050092607A KR100757425B1 KR 100757425 B1 KR100757425 B1 KR 100757425B1 KR 1020050092607 A KR1020050092607 A KR 1020050092607A KR 20050092607 A KR20050092607 A KR 20050092607A KR 100757425 B1 KR100757425 B1 KR 10075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offset printing
particles
electric
printing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265A (ko
Inventor
김제석
이홍철
박대현
류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425B1/ko
Priority to CN2006101394557A priority patent/CN101024746B/zh
Publication of KR2007003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22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indirect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도록 전기 유변 입자가 잉크에 분산됨으로써, 각 공정에 따라 요변성과 점착력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피디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오프셋 인쇄, 잉크

Description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OFF-SET PRINTER AND INK FOR IT AND PLASMA DISPLAY PANNEL COMPRISING ELEMENTS MADE FROM THE INK}
도 1은 피디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의 점성 변화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전기 유변 입자가 사슬 모양의 구조로 정렬된 모습을 도시한 사진.
도 4는 Bingham 유체와 Newtonian 유체의 거동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기를 이용한 오프셋 인쇄 공정 중에서 닥터링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도 5의 오프셋 인쇄 공정 중에서 전사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도 5의 오프셋 인쇄 공정 중에서 인쇄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도 5의 오프셋 인쇄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오프셋 인쇄용 잉크 101 : 전기 유변 입자
200 : 제1 바디 201 : 저장부
300 : 제2 바디 310 : 중앙부
320 : 몸통부 330 : 날개부
400 : 기판 500 : 닥터 블레이드
본 발명은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디피의 전극, 형광체 등을 형성할 경우,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이용하여 오프셋 인쇄를 함으로써 각 공정에 따라 요변성과 점착력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 Plasma Display Pannel, 이하 "피디피"라 함)은 기체 방전시에 생기는 플라즈마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래픽을 표시하는 소자가 구비된 영상 장치이다.
이와 같은 피디피는 40 인치 이상의 대형화와 칼라화가 가능하며, 넓은 시야각을 갖는 등 다른 영상 장치에서 찾아볼 수 없는 고유한 장점을 많이 갖고 있어 차세대 고선명 벽걸이 TV, 멀티미디어용 대형 영상 장치로 유력시되고 있으며, 최 근 들어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대규모 양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피디피의 부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피디피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디피는 일반적으로, 후면 유리기판(Back Glass Substrate)(1)과, 전면 유리기판(Front Glass Substrate)(11)과, 후면 및 전면 유리기판(1, 11) 사이에 형성되는 방전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후면 유리기판(1)에는, 알카리이온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단막(2)과, AD 전극(Adress Electrode)(3)과, 광반사를 위한 백색 유전막(Under Layer)(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격벽(Barrier)(5) 및 형광체(Phosphor)(6)가 적층된다.
상기 전면 유리기판(11)에는, 유리기판 상에 플라즈마를 유지시키기 위한 투명 전극(12) 및 버스 전극(Bus Electrode)(13)이 설치되고, 버스 전극(13)을 보호하고 전기적으로 컨덴서 기능을 하는 유전층(Dielectric Layer)(14)이 도포되며, 유전층(14)의 표면에 산화마그네슘(MgO) 보호막(Protection Layer)(15)이 증착된다.
격벽(5)은 후면 및 전면 유리기판(1, 11) 사이의 공간을 구획 및 분할하여 방전부를 형성하고, 격벽(5)에 의하여 형성된 방전부의 내벽에는 형광체(6)가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피디피는, 버스 전극(13)과 AD 전극(3)에 전압이 인가되면, 그 사이에 있는 기체에 방전이 발생되고, 그 방전으로 인하여 발생된 플라즈마에 포함된 자외선이 각 형광체(R, G, B)(6)를 여기 및 발광시킨다.
따라서, 형광체(6)로부터 발광된 빛이 전면 유리기판(11)을 통하여 방출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현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피디피의 주요 구성 요소인 전극(3, 12, 13), 격벽(5) 및 형광체(6) 등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그 중에서도 종래부터 지속적으로 이용되어 오는 방법이 오프셋(off-set) 인쇄 방식이다.
오프셋 인쇄 방식이란, 인쇄용 잉크를 직접 기판 위에 인쇄하지 않고, 중개 역할을 하는 블랭킷에 일단 전사 인쇄를 한 다음, 그 블랭킷에 전사된 잉크를 다시 기판 위에 인쇄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와 같은 오프셋 인쇄 방식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공정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오프셋 인쇄 방식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잉크 저장부가 요입 형성된 제1 바디의 표면에 잉크를 도포하고, 그 도포된 잉크층을 닥터 블레이드(doctor-blade)로 닥터링(doctoring)하여 저장부에만 잉크가 수용되어 있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블랭킷과 같은 제2 바디가 저장부의 잉크에 접촉되면, 잉크가 제2 바디의 표면으로 옮겨가게 되어 전사된다.
최종적으로, 잉크가 전사된 제2 바디가 기판의 상면에 잉크를 옮겨주면, 기판에 잉크가 인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프셋 인쇄 방식은, 닥터링 공정시에는 잉크의 유동성이 큰 요변성이 요구되는 반면에, 전사 공정에서는 잉크가 제1 바디의 표면에 잘 접착되어야 하는 점착력이 요구되고, 최종 인쇄 공정에서는 기판에 인쇄된 잉크가 흘러내리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여야 하는 점착력이 요구된다.
유체인 잉크의 특성상 유동성과 점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큰 유체는 점성이 작고, 점성이 큰 유체는 유동성이 작으므로, 유동성과 점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유체를 찾기란 매우 힘든 일이다.
따라서, 유동성이 큰 잉크를 사용할 경우, 닥터링 공정은 쉽게 진행되지만, 잉크가 제1 바디의 표면에 잘 접착되지 않고 흘러내리게 되고, 기판에 인쇄된 잉크가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점성이 큰 잉크를 사용할 경우, 잉크가 제1 바디의 표면에 잘 접착되고, 기판에 인쇄된 잉크가 형상을 제대로 유지하지만, 닥터링 공정이 어려우며, 닥터 블레이드로 잉크를 절단할 경우 잉크의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피디피의 전극, 형광체 등을 형성할 경우,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이용하여 오프셋 인쇄를 함으로써 각 공정에 따라 요변성과 점착력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도록 전기 유변 입자가 잉크에 분산된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제공한다.
이는, 전기장을 적절히 걸어줌으로써, 오프셋 인쇄 과정의 각 공정에 따라 필요한 잉크의 요변성 및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전기장을 걸어주면 전기 유변 입자가 상호 인력에 의하여 뭉쳐짐으로써, 잉크의 점성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점착력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수용하는 저장부가 요입 형성된 제1 바디와; 저장부에 수용된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전사하여 기판 위에 인쇄시키는 제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바디 및 제2 바디는 그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의 전하로 도전되는 오프셋 인쇄기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와 같이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점착력이 가변하는 잉크를 수용하는 제1 바디와, 그 잉크를 전사 인쇄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함으로써, 기판위에 전극, 형광체 또는 격벽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바디는 블랭킷과 같은 롤러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회전하는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잉크를 전사한 후, 그 잉크를 다시 기판위에 인쇄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대량 양산이 가능한 인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도록 전기 유변 입자가 분산된 오프셋 인쇄용 잉크가 인쇄되어 이루어진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성 소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격벽 또는 형광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의 점성 변화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는, 그 내부에 전기 유변 입자(101)가 분산되어 있다.
전기 유변 현상(ER : Electro-Rheological)이란, Winslow에 의해 발견된 현상으로서, 현탁액에 전기장이 가해짐으로써 그 유변물성, 특히 점도 및 응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전기장이 제거되면 10-3 s 단위의 빠른 시간 내에 원래의 유변물성으로 돌아가는 가역적인 반응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가해진 전기장에 의하여 입자들이 전기장 방향으로 정렬되어 사슬모양 구조를 형성하여 전기장의 크기에 따라 유체의 점도가 큰 폭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전기 유변 입자가 분산된 전기 유변 유체는, 전기장이 부과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교적 큰 전단속도 영역에서 낮은 점도를 갖는 뉴튼 유체(Newtonian Fluid)의 거동을 보이지만, 전기장이 가해지면 점도가 상승되고 전단 응력이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전기 유변 현상의 정도를 나타낼 때 전기장이 가해진 유체의 항복 응력이 사용되는데, 전기장 하에서 전기 유변 유체는 항복 응력을 갖는 점가소성 유체의 거동을 보인다.
이와 같은 점가소성 유체 모델 중 대표적인 것으로 Bingham 모델을 들 수 있다. 이 모델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적 항복 응력(τy)보다 큰 응력을 받게 되면 전단 속도에따라 선형적인 응력 변화를 보이지만, 정적 항복 응력보다 작은 응력하에서는 변형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뉴튼 유체의 거동과 비교하면 명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유변 유체는 전기장에 따른 유체의 점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특성은 기존의 복잡한 기계식 구조를 대체하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소형화, 경량화 하거나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유변성을 가지는 전기 유변 입자(101)로는, 폴리 아닐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 아닐린은 전도성 고분자로서, 이 고분자인 폴리 아닐린은 전기장이 걸리면 입자들이 전기장 방향으로 사슬 모양으로 정렬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의 내부에 폴리 아닐린 입자를 분산하거나, 폴리 아닐린으로 코팅된 고분자 입자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입자는 MMA(Methyl Metha Acrylate), PMMA(Poly Methyl Metha Acrylate), 폴리 스티렌(Poly-Styr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기 유변성을 가지는 전기 유변 입자(101)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에 5 내지 30중량%의 범위 내에서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유변 입자(101)의 분산 비율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기 유변 현상이 발생하여도 잉크의 점성을 변화시킬 정도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분자 입자인 전기 유변 입자(101)가 과다하게 분산됨으로써 소성 공정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의 내부에는 전기 유변 입자(101)가 분산되어 있는데, 전기장이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무질서도가 매우 높은 상태로 전기 유변 입자(101)가 자유롭게 분산되어 있다.
이 경우, 전기장을 걸어주게 되면,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 아닐린의 성질에 의하여 전기 유변 입자(101)가 전기장 방향으로 나열하여 사슬 모양의 구조로 정렬된다.
따라서, 전기 유변 입자(101)가 분산된 잉크(100)의 전단 응력이 증가하면서 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이다.
가해준 전기장을 제거하면, 사슬 모양의 구조로 정렬된 전기 유변 입자(101)는 다시 흩어지면서 무질서도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기를 이용한 오프셋 인쇄 공정 중에서 닥터링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오프셋 인쇄 공정 중에서 전사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7은 도 5의 오프셋 인쇄 공정 중에서 인쇄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5의 오프셋 인쇄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기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와, 기판(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바디(200)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부(201)가 구성되어 있다. 제1 바디(200)는 그 자체가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지면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기할 바와 같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상대 운동이 있으면 되므로 제1 바디(200)의 운동 방식은 적절히 공지된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블랭킷과 같이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바디(300)는 중앙부(310)와, 몸통부(320)와, 날개부(330)로 구성된다.
중앙부(310)와 몸통부(32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전하가 도전될 수 있도록 전도성 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몸통부(320)의 외주면 또는 날개부(330)의 경우에는 유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절연성 물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330)는 제1 바디(200)의 저장부(201)의 개구부와 일치되는 크기를 가 지도록, 제2 바디(3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날개부(330)는 제1 바디(200)의 저장부(201)에 수용된 잉크(100)가 전사될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날개부(330)를 구비함으로써 잉크(100)가 정확한 위치에 전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기의 작업 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인쇄기를 이용하여, 기판(400)의 상면에 전극, 형광체 또는 격벽 등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하나 이상의 저장부(201)가 요입 형성된 제1 바디(200)의 상부에 전기 유변 입자(101)가 분산된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를 도포한다.(S1)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doctor-blade)(500)를 이용하여 제1 바디(200)의 상부에 과잉 도포된 잉크(100)를 닥터링(doctoring)하여 걷어낸다.(S2)
이 경우, 잉크(100)에 요구되는 성질은 요변성(유동성)으로서, 잉크(100)의 점도가 너무 높으면 닥터 블레이드(500)에 의하여 절단되는 잉크면이 깨끗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잉크(100)가 닥터 블레이드(500)에 점착되어 저장부(201)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다. 여기서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전기 유변 유체인 잉크(100)의 점도는 낮아서 닥터링하기에 적합한 유동성을 보이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300)의 날개부(330)가 제1 바디(200)의 저장부(201)의 상부 개구부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제2 바디(330)를 A 방 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바디(200)를 B 방향으로 진행시킨다.(S3) 그러면, 제2 바디(300)의 날개부(330) 끝단(331)에 잉크(100)가 전사되어 들러붙게 된다.
이 경우, 잉크(100)에 요구되는 성질은 점착력(점성)으로서, 잉크(100)의 점도가 높지 않으면 잉크(100)가 제2 바디(300)의 날개부(330)에 전사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바디(300)의 중앙부(310)에 + 전하를 걸어주고 제1 바디(200)에 - 전하를 걸어주면(제2 바디(300)의 중앙부(310)에 - 전하를 걸어주고 제1 바디(200)에 + 전하를 걸어주어도 무방함) 오프셋 인쇄용 잉크(100)의 내부에 전기장이 걸리게 되어, 전기 유변 입자(101)가 사슬 모양의 구조로 정렬되면서 잉크(100)의 점도가 급증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바디(200)의 저장부(201)에 수용된 잉크(100)가 제2 바디(300)의 날개부(330) 끝단(331)으로 전사되어 들러붙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300)의 날개부(330)가 기판(40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제2 바디(300)를 C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기판(400)을 D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그러면,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에 전사된 잉크(100)가 기판(400)의 상면으로 옮겨 붙으면서 기판(400)의 상면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잉크(100)에 요구되는 성질은 적정 수준의 점착력으로서, 잉크(100)의 점도가 너무 작으면 기판(400)의 상면에 인쇄된 잉크(100)가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잉크(100)의 점도가 높을 경우, 잉크(100)가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할 우려가 있는데, 이는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 단(331)과 기판(400)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과 기판(400) 사이의 간격(d)을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에 전사된 잉크(100)의 두께(D)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이 잉크(100)를 기판(400)에 인쇄하면서 잉크(100)를 짓누르듯이 힘을 가하여 인쇄하기 때문에 잉크(100)가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기판(400)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인쇄기에 따르면, 닥터링 공정(S2)시 잉크(100)의 점도는 낮기 때문에 요변성이 좋아서 닥터링 공정(S2)이 용이하고, 전사 공정(S3)시 잉크(100)의 점도는 높기 때문에 잉크(100)가 흘러내릴 염려 없이 제2 바디(300)의 날개부 끝단(331)에 전사될 수 있고, 인쇄 공정(S4)시 잉크(100)의 점도는 높기 때문에 기판(400)의 상면에 인쇄된 잉크(100)가 형상을 제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무너져 내릴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디피의 전극, 형광체 등을 형성할 경우,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이용하여 오프셋 인쇄를 함으로써 각 공정에 따라 요변성과 점착력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 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Claims (14)

  1.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도록 정렬 구조가 변하는 전기 유변 입자가 오프셋 인쇄용 잉크의 5 내지 30중량%의 범위 내에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가 분산된 잉크는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는 폴리 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는 폴리 아닐린이 코팅된 고분자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상기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수용하는 저장부가 요입 형성된 제1 바디와;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오프셋 인쇄용 잉크를 전사하여 기판 위에 인쇄시키는 제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그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의 전하로 도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롤러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오프셋 인쇄용 잉크가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프셋 인쇄용 잉크가 정확한 위치에 전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전사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 인쇄기.
  9.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가변하도록 정렬 구조가 변하는 전기 유변 입자가 분산된 오프셋 인쇄용 잉크가 인쇄되어 이루어진 구성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소자는 전극, 격벽 또는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가 분산된 잉크는 전기장을 걸어주면 점성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는 폴리 아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는 폴리 아닐린이 코팅된 고분자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9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변 입자는 오프셋 인쇄용 잉크의 5 내지 30중량%의 범위 내에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92607A 2005-09-30 2005-09-30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075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07A KR100757425B1 (ko) 2005-09-30 2005-09-30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CN2006101394557A CN101024746B (zh) 2005-09-30 2006-09-22 配备胶印用墨及采用此墨印刷的组成元件的等离子显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07A KR100757425B1 (ko) 2005-09-30 2005-09-30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65A KR20070037265A (ko) 2007-04-04
KR100757425B1 true KR100757425B1 (ko) 2007-09-11

Family

ID=3815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607A KR100757425B1 (ko) 2005-09-30 2005-09-30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7425B1 (ko)
CN (1) CN101024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805B1 (ko) 2009-12-04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452A (ja) * 1993-11-08 1995-05-23 Toyobo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
JPH0994951A (ja) * 1995-09-29 1997-04-08 Fuji Xerox Co Ltd インク噴射装置
JP2000053904A (ja) 1998-08-05 2000-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キとこ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印刷方法
US6644196B2 (en) 2001-11-05 2003-11-1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Electrorheological ink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8825D0 (en) * 1989-04-19 1989-06-07 Block Hermann Electrorheological fluid
CN100455632C (zh) * 2003-07-31 2009-01-28 苏州丸爱半导体包装有限公司 聚苯胺导电性油墨的制备方法
JP4530725B2 (ja) * 2003-07-31 2010-08-25 株式会社マルアイ ポリアニリン導電性インキの製造方法
WO2005050672A1 (en) * 2003-11-14 2005-06-02 Polyone Corporation Dispersions of inherently conductive polymer in non-ionic waterborne polym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452A (ja) * 1993-11-08 1995-05-23 Toyobo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
JPH0994951A (ja) * 1995-09-29 1997-04-08 Fuji Xerox Co Ltd インク噴射装置
JP2000053904A (ja) 1998-08-05 2000-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キとこ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印刷方法
US6644196B2 (en) 2001-11-05 2003-11-1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Electrorheological in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65A (ko) 2007-04-04
CN101024746B (zh) 2010-09-01
CN101024746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9666B2 (en) Components and methods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CN104903782B (zh) 具有双驱动模式的有源矩阵显示器
TWI752233B (zh) 電光顯示器及用於自電光顯示器排放殘餘電壓之方法
CN100538433C (zh) 光学元件和成像装置
US7535525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 same
KR100757425B1 (ko) 오프셋 인쇄용 잉크와 오프셋 인쇄기 및 오프셋 인쇄용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0731863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860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3744B1 (ko) 높은 대비비를 갖는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6018535A (zh) 光路控制构件及包括其的显示设备
JP2002006345A (ja) 画像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20014189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987B1 (ko)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362066A1 (en) Method of d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KR20070009901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2011158575A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5145121B2 (ja) 表示制御装置
KR100760098B1 (ko) 적층형 절연막 구조의 전자종이 표시장치
KR20070040661A (ko) 인쇄용 잉크와 이를 이용한 오프셋 인쇄기 및 잉크젯인쇄기 및 인쇄용 잉크로 인쇄된 구성 소자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200057348A1 (en) Piezo electrophoretic display
KR100747921B1 (ko) 불활성 기체 매질을 이용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1728A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2509502A (ja) 電子ペーパー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15989445A (zh) 光路控制构件及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JP2021528699A (ja) 可変透過電気泳動媒質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