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185B1 -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185B1
KR100757185B1 KR1020060017969A KR20060017969A KR100757185B1 KR 100757185 B1 KR100757185 B1 KR 100757185B1 KR 1020060017969 A KR1020060017969 A KR 1020060017969A KR 20060017969 A KR20060017969 A KR 20060017969A KR 100757185 B1 KR100757185 B1 KR 10075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oscillation
gain
wireless repeater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970A (ko
Inventor
고재창
장형기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1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1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18Abutm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27Joints for pip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득 자동레벨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 중계기의 입력신호레벨과 출력신호레벨 및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중계기의 발진으로 감지하는 발진감지부와;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의 발진 감지신호에 따라 중계기의 발진을 경보하는 발진 경보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중계기, 발진, 이득, 출력신호레벨

Description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scillation and alerting in a radio repea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무선 중계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입력신호 레벨과 이득 및 출력레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3은 무선 중계기가 발진 상태일 때의 입력신호 레벨과 이득 및 출력레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중계기 이득과 중계기 출력레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특성도.
< 도면의 부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듀플렉서 12 : 제1저잡음증폭기(LNA)
14 : 제1감쇠기 16 : 제1대역통과필터
18 : 제1고출력증폭기 20 : 신호분배기
22 : 제2듀플렉서 24 : 제2저잡음증폭기
26 : 제2감쇠기 28 : 제2대역통과필터
30 : 제2고출력증폭기 32 : 이득 자동레벨제어기(ALC)
34 : 제1신호레벨감지부 36 : 발진감지부
38 : 제2신호레벨감지부 40 : 표시부
42 : 시스템제어부 44 : 단문메시지발신부
본 발명은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중계기의 입력신호레벨과 이득 자동레벨제어기(Automatic Level Controller; ALC)의 증폭이득 및 출력신호레벨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발진을 감지하여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중계기가 발진중임을 경보하도록 된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휴대 통신단말기(이동국)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음성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이 구축되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에서는 커버리지(Coverage)를 경제적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무선중계기(Radio Repeater)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공중을 통하여 미약한 기지국 신호를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에 이동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 중계기는 이동국으로부터 공중 을 통하여 이동국 신호를 이동국 대향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에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순방향 링크와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역방향 링크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양 링크간에 적절한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이동국 대향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로 일정부분 피드백되며, 또한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도 이동국 대향 안테나로 일정부분 피드백된다. 이때, 이러한 신호의 피드백 비율을 아이솔레이션이라 하며, 이 아이솔레이션은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에서 이동국 대향 안테나로 피드백된 차, 또는 이동국 대향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에서 기지국 대향 안테나로 피드백된 차로 표현된다.
무선 중계기에서 역방향 중계기의 캐리어 주파수는 순방향 링크의 캐리어 주파수보다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역방향 링크에서 신호의 피드백 비율이 순방향 링크보다 크며, 그에 따라 역방향 아이솔레이션 값이 순방향 아이솔레이션 값보다 적다. 따라서,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 중 이동국 대향 안테나로 회송되는 신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이솔레이션 값이 무선 중계기의 증폭 이득과 동일하게 될 때에는 피드백 신호 값이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원 신호와 같아지게 되므로, 무선 중계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 값은 원 신호의 두 배가 되며, 무선 중계기의 출력 세기 값도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중계기에서 증가된 출력 신호는 다시 증가된 입력을 가져오게 되므로, 무선 중계기 내의 역방향 신호 처리부에서 증폭되는 출력의 최대 값에 해당하는 잡음을 방출하는데, 이를 발진이라 한다.
이러한 발진은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신호 처리부의 증폭 이득인 1dB 이득 압축(Gain Compression)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잡음을 출력하며, 이러한 잡음은 기지국에 전송되어 이동 통신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며, 심할 경우 기지국에 장애를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선 중계기는 적절한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60dB의 증폭 이득을 갖는 무선 중계기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와 이동국 대향 안테나 간에 75dB 이상의 아이솔레이션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무선 중계기의 증폭 이득보다 15dB 이상 높은 아이솔레이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와 이동국 대향 안테나간에는 공간적으로 15m 이상의 수직 이격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적인 이격은 옥외 환경에 적용되는 이동 중계기에는 가능하나 옥내에 적용되는 이동 중계기에는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즉, 옥내에 적용되는 무선 중계기의 기지국 대향 안테나가 대부분 지상 2m 정도에 설치되고, 이동국 대향 안테나는 건물 내에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옥내용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와 이동국 대향 안테나 간의 아이솔레이션을 공간적인 이격보다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와 이동국 대향 안테나간에 인공적인 장애물에 의하여 확보한다.
그러나, 인공적인 장애물에 의하여 확보된 아이솔레이션은 여러 가지 사유에 의하여 장애물이 제거되거나 또는 장애물의 이동에 의하여 무선 중계기의 증폭 이득보다 낮게 됨에 따라 종종 발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옥내용 무선 중계기는 자동 출력 레벨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왔다. 자동 출력 레벨 제어 기술은 무선 중계기의 출력부에서 출력 레벨을 감지하고 그 출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이를 발진으로 판단하여 이동 중계기의 이득을 줄인다. 한편, 무선 중계기의 출력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에 설정된 무선 중계기의 이득으로 복귀한다.
종래의 무선 중계기는 아이솔레이션을 증폭 이득보다 15dB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먼저 무선 중계기의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해야 한다. 무선 중계기의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동국 대향 안테나(또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에 신호 발생기를 연결하고, 기지국 대향 안테나(또는 이동국 대향 안테나)에 신호 분석기를 연결함에 따라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아이솔레이션 측정을 위한 신호 발생기 및 신호 분석기는 매우 고가이므로, 건물 내 중계기 설치시에 상기한 방법으로 아이솔레이션를 무선 중계기 이득보다 15dB 이상으로 확보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중계기의 증폭 이득을 최대 운용 증폭이득에 대하여 아이솔레이션 마진(예를 들면 15dB)만큼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중계기의 역방향 입력신 호와 역방향 출력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역방향 출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일정 출력값(즉, 발진 발생가능한 출력값) 이상인 경우가 일정 회수 이상 발생하며 그리고 역방향 출력신호가 일정회수 이상 동일 값을 갖는 경우, 그때의 역방향 입력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2dB 이내이면 중계기의 증폭 이득을 5dB만큼 낮추고 그후 감지되는 역방향 입력신호가 감소된 증폭이득만큼 증가하지 않으면 발진으로 판단하고 중계기 동작을 정지(Shut down)시키고 발진 발생을 경보하는 기법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0059586호(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9411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 2001-0059586호에서는 자동 출력 레벨 제어 기술을 채택하지 않고서 감지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중계기의 증폭 이득을 최대 운용 증폭이득에 대하여 아이솔레이션 마진(예를 들면 15dB)만큼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방식에 의하여 발진 여부를 확인하고 발진이 발생하면 중계기의 증폭 이득을 아이솔레이션 마진만큼을 감소시키고 나서 상기한 방식에 의하여 발진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이때 발진이 발생하면 증폭이득을 1dB 감소시키고 발진이 발생하지 않으면 증폭이득을 1dB 증가시켜 가면서 해당 중계기에서 발진이 발생하는 중계기의 증폭이득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중계기의 증폭 이득을 아이솔레이션 마진만큼 감소시켜 설정하도록 하는 중계기의 운용중 발진 제어 기법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출원 제 2001-0059586호에 개시된 기법들은 발진을 감지하는 알고리즘이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감지된 역방향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일정 출력값(즉, 발진 발생가능한 출력값) 이상인 경우가 일정 회수 이상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역방향 출력신호가 일정회수 이상 동일 값을 갖지 않고 그때의 역방향 입력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2dB 이상인 경우에도 무선 중계기가 발진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무선 중계기에서 알고리즘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정밀하게 중계기의 발진을 감지하고 경보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무선 중계기의 입력신호레벨과 이득 자동레벨제어기의 증폭이득 및 출력신호레벨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단순화된 방식으로 정밀하게 발진을 감지하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중계기가 발진중임을 경보하도록 된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는, 이득 자동레벨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 중계기의 입력신호레벨과 출력신호레벨 및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중계기의 발진으로 감지하는 발진감지부와;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의 발진 감지신호에 따라 중계기의 발진을 경보하는 발 진 경보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진 경보 제어부는,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의 발진 감지신호에 따라,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중계기의 외함에 노출설치된 표시부를 제어하여 중계기의 발진에 의한 정지상태임을 표시하도록 함과 아울러, 기등록 저장되어 있는 망 운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이용하여 망 운용자에게 무선 중계기의 정지를 단문 메시지로 통지하도록 단문메시지발신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 방법은, 이득 자동레벨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 중계기의 입력신호레벨과 출력신호레벨 및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을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감시결과,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소정 회수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중계기의 발진으로 감지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발진으로 감지된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중계기의 발진을 경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제1듀플렉서(10)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순방향 링크의 제 1저잡음증폭기(12)로 출력하거나 또는 역방향 링크의 제 2고출력증폭기(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기지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저잡음증폭기(12)(Low Noise Amplifier; LNA)는 제 1듀플렉서(10)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 링크 신호를 저잡음증폭처리하여 출력하며, 제1감쇠기(14)는 상기 제 1저잡음증폭기(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순방향 입력신호의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제1대역통과필터(16)(Band Pass Filter; BPS)는 상기 제1감쇠기(1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서 특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처리하고, 제1고출력증폭기(18)(High Power Amplifier; HPA)는 상기 제1대역통과필터(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처리하여 출력한다.
신호분배기(20)는 상기 제1고출력증폭기(1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제2듀플렉서(22)와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로 각각 분할하여 출력하고, 제2듀플렉서(22)는 이동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역방향 링크의 제 1저잡음증폭기(24)로 출력하거나 또는 순방향 링크의 신호분배기(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동국 대향 안테나를 통해 이동국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2저잡음증폭기(24)는 제 2듀플렉서(22)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 링크 신호를 저잡음증폭처리하여 출력하며, 제2감쇠기(26)는 상기 제 2저잡음증폭기(2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역방향 입력신호의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제2대역통과필터(28)는 상기 제2감쇠기(2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서 특정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처리하고, 제2고출력증폭기(30)는 상기 제2대역통과필터(2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처리하여 상기 제1듀플렉서(10)로 출력한다.
제1신호레벨감지부(34)는 상기 제2고출력증폭기(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 레벨을 감지하며, 제2신호레벨감지부(38)은 상기 제2저잡음증폭기(2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역방향 링크의 입력신호 레벨을 감지한다.
발진감지부(36)는 상기 제1신호레벨감지부(34)에 의하여 감지된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레벨과, 상기 제2신호레벨감지부(38)에 의하여 감지된 역방향 링크의 입력신호레벨 및,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로부터의 중계기 증폭이득을 입력받아 발진을 감지하며, 발진이 감지되면 시스템 제어부(42)로 발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40)는 중계기의 외함에 노출설치되어, 중계기의 정상동작 상태와, 중계기의 발진에 의한 정지상태 및, 중계기의 과입력에 의한 정지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시부(40)는 예를 들면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적색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계기의 정상동작시에는 예를 들면 청색 발광다이오드만이 발광하고, 중계기의 과입력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깜박이며, 중계기의 과입력에 의한 정지상태에는 예를 들면 적색 발광다이오드만이 발광하고, 중계기의 발진에 의한 정지상태에는 예를 들면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번갈아가면서 깜박이는 등의 방식으로 중계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단문메시지발신부(44)는 기등록 저장되어 있는 망 운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이용하여 망 운용자에게 무선 중계기의 정지상태를 단문 메시지로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는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의 정지사유정보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42)는 상기 발신감지부(36)로부터의 발진감지신호에 따라서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발진에 의한 동작 정지임을 경보하며, 단문메시지발신부(44)를 제어하여 망 운용자의 핸드폰으로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가 발진에 의하여 정지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42)는 상기 발신감지부(36)로부터의 발진감지신호에 따라서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킨 경우 전원 스위치을 끄고 켜는 조작이나 일반적인 리셋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는 무선 중계기를 재동작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무선 중계기를 재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리셋 스위치를 예를 들면 5초 이상 눌러줄 때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 중계기에는 순방향 링크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와 역방향 링크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감지하고,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의 과입력신호에 의하여 중계기 정지레벨 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하여, 중계기 정지레벨 이상이 되면 그 상태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42)로 통지하고 또한 중계기 정지레벨 이상이 소정시간(예를 들면 40초)동안 지속되면 그 상태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42)로 통지하는 과입력신호감시부(미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제어부(42)는 상기 과입력신호감시부로부터의 상태신호에 따라서 과입력신호에 의하여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중계기 정지레벨 이상이 소정시간 이내 지속되면 표시부를 제어하여 과입력신호 상태임을 경보하며, 과입력신호에 의하여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의 출력신호가 중계기 정지레벨 이상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표시부를 제어하여 과입력에 의한 동작 정지임을 경보하며, 단문메시지발신부(44)를 제어하여 망 운용자의 핸드폰으로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가 과입력에 의하여 정지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42)는 과입력신호감시부로부터의 상태신호에 따라서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킨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을 끄고 켜는 조작이나 일반적인 리셋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무선 중계기를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에서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무선 중계기가 정상동작일 때와 발진일 때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및 중계기 증폭이득의 파형을 비교하여 보도록 하자.
무선 중계기가 정상동작할 때에는 이득 자동레벨제어(ALC)에 의하여 출력신호레벨값은 입력신호레벨값에 이득값을 더한 값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입력신호레벨값은 dBm단위로 표현된 값이며 이득값은 dB단위로 표현된 값이며, 출력신호레벨 값은 dB단위로 표현된 값이다.
도 2의 (a) 및 (b)는 무선 중계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입력신호 레벨과 이득 및 출력레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동 도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중계기가 정상 동작할 경우에는 출력신호레벨의 파형을 보면 출력신호레벨의 파형이 입력레벨과 이득의 합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50dBm의 입력신호레벨이 무선 중계기에 입력되어 이득이 60dB라면 출력신호레벨은 10dB이고, -50dBm의 입력신호레벨이 무선 중계기에 입력되어 이득이 58dB라면 출력신호레벨은 8dB가 된다.
실제로, 무선 중계기에서는 정상동작시에 이득 자동레벨제어(ALC)에 의하여 출력신호레벨을 하기 표 1과 같이 0dB에 맞추어 설계한다.
[표 1]
입력신호레벨(dBm) 이득(dB) 출력신호레벨(dB)
-60 60 0
-55 55 0
-57 57 0
여기서 상기 표 1은 예시적으로 만든 것이다. 이득 자동레벨제어(ALC)에서는 출력신호레벨이 "0"dB가 되도록 입력신호레벨에 대하여 이득을 피드백 제어를 한다.
도 3의 (a) 및 (b)는 무선 중계기가 발진 상태일 때의 입력신호 레벨과 이득 및 출력레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동 도면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중계기가 발진 동작할 경우에는 출력신호레벨의 파형을 보면 출력신호레벨의 파형이 입력레벨과 이득의 합으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50dBm의 입력신호레벨이 무선 중계기에 입력되어 이득이 60dB라면 출력신호레벨은 정상 동작일 때 10dB이어야 하지만 15dB로 나타나든지, -50dBm의 입력신호레벨이 무선 중계기에 입력되어 이득이 58dB라면 출력신호레벨은 정상 동작일 때 8dB이어야 하지만 -14dB로 나타나게 된다.
실제로, 무선 중계기에서는 정상동작시에 이득 자동레벨제어(ALC)에 의하여 출력신호레벨이 0dB에 맞추어 설계된 경우 발진 동작시에 출력신호레벨이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표 2]
입력신호레벨(dBm) 이득 출력신호레벨(dB)
-60 60 5
-57 57 3
-55 55 2
-45 45 0
-65 60 10
여기서 상기 표 2는 예시적으로 만든 것이다. 이득 자동레벨제어(ALC)에서는 출력신호레벨이 "0"dB가 되도록 입력신호레벨에 대하여 이득을 피드백 제어를 하지만, 발진시에는 출력신호레벨이 "0"dB에 맞춰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무선 중계기가 발진할 때는 이득을 약간씩만 증감시켜도 출력신호레벨은 훨씬 더 높은 레벨로 증감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중계기의 이득 대비 아이솔레이션 마진은 15dB이며, 이득이 60dB이면 아이솔레이션이 75dB이어야만 중계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런데, 이득 대비 아이솔레이션 마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계기는 과출력을 발생시키며, 이 상태에서 중계기의 이득을 약간씩만 증감시켜도 이득 증감 대비 더 큰 출 력신호레벨의 증감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A(Spectrum Analyze) 파형을 분석하지 않으면서 입력신호레벨 대비 출력신호레벨에 대하여 이득을 조정해가면서 출력 레벨 파형을 감지함으로써 중계기가 정상 상태일 때의 파형과 중계기가 발진일 때의 파형을 단순화된 방식으로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방법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신호레벨감지부(34)는 역방향 링크의 제2고출력증폭기(30)의 출력신호을 입력받아 출력신호레벨을 계속하여 감지하여 발진감지부(36)로 전달하고, 제2신호레벨감지부(38)는 역방향 링크의 제2저잡음증폭기(2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입력신호레벨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발진감지부(36)로 전달하며,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는 예를 들면 출력신호레벨이 "0"dB가 되도록 입력신호레벨에 대하여 이득을 지속적으로 피드백 제어하면서 이득값을 계속해서 발진감지부(36)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발진감지부(36)에는 지속적으로 출력신호레벨과 입력신호레벨 및 이득이 수신된다(단계 S10).
그후, 상기 발진감지부(36)는 상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이득과 출력신호레벨 및 입력신호레벨에 기초하여, 이득의 변화에 따른 출력신호레벨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2).
여기서, 순방향 링크의 이득 자동레벨제어가 동작할 경우, 무선 중계기의 아 이솔레이션이 부족하여 발진이 발생하게 되면 무선 중계기의 출력신호는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의 제어레벨을 초과하게 된다(도 5의 A 참조). 이때,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는 제1 및 제2감쇠기(14)(24)를 제어하여 감쇠량을 순간적으로 증가시켜서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의 제어레벨을 맞추려고 한다. 이에 따라 감쇠량을 증가시켜 순간적으로 무선 중계기는 발진이 발생하지 않는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하게 되고 무선 중계기의 출력신호레벨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도 5의 B 참조). 그후,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는 제1 및 제2감쇠기(14)(24)를 제어하여 감쇠량을 1dB씩 증가시키면서 중계기의 이득을 높여서 무선 중계기의 출력신호를 이득 자동레벨제어기(32)의 제어레벨에 맞추려고 한다. 이때 무선 중계기의 출력신호레벨은 이득이 1dB 증가하면 출력도 1dB씩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도 5의 C 참조).
그러나, 무선 중계기의 이득이 어느 정도 커져서 아이솔레이션이 부족하게 되면 무선 중계기의 이득이 1dB 변화하는데 반하여 출력신호레벨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하고(도 5의 D 참조),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상기 발진감지부(36)는 무선 중계기가 발진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 S12에서는 상기 발진감지부(36)가 이득이 예를 들면 1dB 변화함에 따라 출력신호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면 4dB) 이상의 변화량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S12의 판단결과, 출력신호레벨의 변화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4dB)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진감지부(36)는 중계기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단계 S14, S16).
그 반면, 출력신호레벨의 변화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4dB)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진감지부(36)는 이와 같이 출력신호레벨의 변화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4dB)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지속적으로 일정 회수 이상 반복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4, S18).
상기 단계 S18의 판단결과, 출력신호레벨의 변화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4dB)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지속적으로 일정 회수 이상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진감지부(36)는 중계기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단계 S20, S16).
그 반면, 출력신호레벨의 변화량이 기준치(예를 들면 4dB)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지속적으로 일정 회수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진감지부(36)는 중계기가 발진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시스템 제어부(42)에 발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42)는 상기 발신감지부(36)로부터의 발진감지신호에 따라서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표시부(40)를 제어하여 발진에 의한 동작 정지임을 경보한다(단계 S20, S22).
이에 따라 표시부(40)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에 의한 정지상태임을 예를 들면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번갈아가면서 깜박이는 등의 방식으로 무선 중계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후, 상기 시스템 제어부(42)는 단문메시지발신부(44)를 제어하여 망 운용자의 핸드폰으로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가 발진에 의하여 정지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단계 S24).
이에 따라 망 운용자는 단문 메시지를 보고서 해당 무선 중계기가 발진에 의하여 동작 정지중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해당 무선 중계기에 대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중계기에서 발진 발생시에는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발생하는 점을 이용하여 무선중계기의 입력신호레벨과 출력신호레벨 및 이득을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무선 중계기의 발진을 단순화된 기법에 의하여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중계기의 발진이 감지되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표시부를 통하여 발진에 의한 동작 정지임을 경보하고, 이와 아울러 망 운용자의 핸드폰으로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가 발진에 의하여 정지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망 운용자가 해당 무선 중계기가 발진에 의하여 동작 정지중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해당 무선 중계기에 대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내에 설치되는 초소형의 저출력 무선 중계기에 적용할 경우에 매우 효과적인 발진 감지 및 경보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득 자동레벨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링크의 입력신호레벨과 출력신호레벨 및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소정 횟수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중계기의 발진으로 감지하는 발진감지부와;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의 발진 감지신호에 따라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중계기의 외함에 노출설치된 발광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중계기의 발진에 의한 정지상태임을 표시하여 중계기의 발진을 경보하는 발진 경보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감지부로부터의 발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발진 경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기등록 저장되어 있는 망 운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이용하여 망 운용자에게 무선 중계기의 정지를 단문 메시지로 통지하도록 하는 단문메시지발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의 정지사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
  7. 삭제
  8. 삭제
  9. 이득 자동레벨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링크의 입력신호레벨과 출력신호레벨 및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을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이득 자동레벨제어에 의한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감시결과, 이득 변화량에 비하여 훨씬 큰 출력신호의 변화량이 소정 회수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중계기의 발진으로 감지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발진으로 감지된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중계기의 외함에 노출설치된 표시부를 제어하여 중계기의 발진에 의한 정지상태임을 표시하여 중계기의 발진을 경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기등록 저장되어 있는 망 운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이용하여 망 운용자에게 무선 중계기의 정지를 단문 메시지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무선 중계기의 식별코드와 함께 무선 중계기의 정지사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 방법.
KR1020060017969A 2006-02-24 2006-02-24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75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969A KR100757185B1 (ko) 2006-02-24 2006-02-24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969A KR100757185B1 (ko) 2006-02-24 2006-02-24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970A KR20070087970A (ko) 2007-08-29
KR100757185B1 true KR100757185B1 (ko) 2007-09-07

Family

ID=3861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969A KR100757185B1 (ko) 2006-02-24 2006-02-24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73B1 (ko) * 2008-11-27 2010-09-15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15693B1 (ko) * 2010-04-27 2016-04-27 주식회사 케이티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79A (ko) * 2000-03-09 2001-09-26 고영숙 이득조정기능을 갖는 무선중계기용 채널선택장치와, 이를이용한 채널선택형 무선중계기
KR20010099411A (ko) * 2001-08-16 2001-11-09 남재국 이동 통신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20076961A (ko) * 2001-03-31 2002-10-11 주식회사 위다스 Rf 중계기의 출력 변화량을 이용한 발진감지 방법 및이를 채용한 rf중계기
KR20020086122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탑엔지니어링 이동통신 중계기 발진검출 및 방지시스템
KR20040108288A (ko) * 2003-06-17 2004-12-23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79A (ko) * 2000-03-09 2001-09-26 고영숙 이득조정기능을 갖는 무선중계기용 채널선택장치와, 이를이용한 채널선택형 무선중계기
KR20020076961A (ko) * 2001-03-31 2002-10-11 주식회사 위다스 Rf 중계기의 출력 변화량을 이용한 발진감지 방법 및이를 채용한 rf중계기
KR20020086122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탑엔지니어링 이동통신 중계기 발진검출 및 방지시스템
KR20010099411A (ko) * 2001-08-16 2001-11-09 남재국 이동 통신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40108288A (ko) * 2003-06-17 2004-12-23 (주)하이게인텔레콤 이동통신용 양방향 무선 중계기의 송수신 격리도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970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4873C (en) A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mobile telephone repeater
KR100353413B1 (ko) 부스터, 감시 장치, 부스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감시방법
US5095528A (en) Repeater with feedback oscillation control
JP3974523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利得設定
RU215322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диагностики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а в приемном модуле радиосвязи базовой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ей станции
KR100757185B1 (ko)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CN109617625B (zh) 一种天线间隔离度测量方法
JP4220550B2 (ja) 受信装置および電子装置における干渉の影響を低減する方法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0400540B1 (ko) 이동 통신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82714B1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US6646790B2 (en) Optical amplifier gain control monitoring
KR100918693B1 (ko) 광 중계기 게인 자동 세팅 및 불요파 검출 방법 및 장치
CN104052422B (zh) 确定无线网络内的升压放大器的振荡放大裕度的方法
KR101004852B1 (ko) 중계기 출력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741939B1 (ko)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장치
GB2258586A (en) Radio signal enhancer
JP4405763B2 (ja) ギャップフィラー装置
KR100987366B1 (ko)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JP2002217844A (ja) 無線送受信システム
US20220070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bda
KR100756179B1 (ko) 능동형 알에프아이디 트랜스폰더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RU2172563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приемном вч тракте в системе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цифровой сотовой связи с мдкр
JP2009055191A (ja) 中継器発振検出装置、中継器発振検出方法、中継器発振検出プログラム及び中継器
KR20000036413A (ko)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