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413A -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 Google Patents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413A
KR20000036413A KR1020000011626A KR20000011626A KR20000036413A KR 20000036413 A KR20000036413 A KR 20000036413A KR 1020000011626 A KR1020000011626 A KR 1020000011626A KR 20000011626 A KR20000011626 A KR 20000011626A KR 20000036413 A KR20000036413 A KR 2000003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signal
base station
forward link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래
Original Assignee
이지민
주식회사 네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민, 주식회사 네오링크 filed Critical 이지민
Priority to KR102000001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6413A/ko
Publication of KR2000003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41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있어서 이동국 모뎀을 내장한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에 내장된 이동국 모뎀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고 중계기에서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여 순방향 링크의 상태 및 중계기의 이상 여부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태 및 중계기의 이상 여부를 기초로 하여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중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중계기에 내장된 이동국 모뎀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중계기에서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순방향 링크의 유효함을 판정하고 이에 따라 중계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상기 신호들의 품질 및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Repeater with Mobile Station MOD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있어서 이동국 모뎀을 내장한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에 내장된 이동국 모뎀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고 중계기에서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순방향 링크의 상태 및 중계기의 이상 여부를 기지국 내지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태 및 중계기의 이상 여부를 기초로 하여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중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순방향 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이러한 증폭된 신호를 이동국측으로 송신하는 종래의 중계기에 있어서,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는 기능이 없어서, 순방향 링크의 유효 여부를 알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순방향 링크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중계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없어 중계기에서 유효하지 않은 순방향 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국측으로 전송하였다. 이러한 증폭된 신호는 이동국의 입장에서 보아 잡음 성분으로 작용하므로 통신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이 없어서, 중계기가 오동작을 일으킨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중계기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 증폭기에서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어 순방향 링크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기지국 내지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에 전송하는 기능이 없어, 시스템 운용의 측면에서 보아 중계기 보수 관리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여 순방향 링크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그 상태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의 망 운용 센터에 보고하고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중계기에서 증폭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여 그 상태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에 보고하고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유효한 순방향 링크 신호를 이동국측으로 전송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중계기가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중계기 동작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에 전송하여 순방향 링크와 중계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일련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지국
15: 기지국 / 중계기 간 링크
17a: 제1 기지국 송신 신호
17b: 제2 기지국 송신 신호
19a: 제1 기지국 수신 신호
19b: 제2 기지국 수신 신호
20: 중계기
21: 이동국 모뎀
22a: 이동국 모뎀 송신부
22b: 이동국 모뎀 수신부
23: 스위치
24: 제어 장치
25: 링크 신호 변환 장치
26a, 26b, 26c: 결합 장치
27: 신호 증폭 장치
28: 듀플렉서
29: 안테나
30: 이동국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순방향 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장치와,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기 위한 이동국 모뎀과, 중계기의 출력을 제어하고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20)는 이동국 모뎀(21)을 내장하고 있고, 기지국(10)과는 무선 또는 유선의 기지국 / 중계기 간 링크(15)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10)과 이동국(30)의 원만한 교신을 위해 기지국(10) 및 이동국(3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국(30) 및 기지국(10)으로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중계 과정에서 중계기에 내장된 이동국 모뎀(25)을 이용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 / 중계기 간 링크(15)를 통해 수신된 제1 기지국 송신 신호(17a)는 링크 신호 변환 장치(25)에 의해 중계기(20)의 신호 증폭 장치(27)에서 증폭할 수 있는 형태의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는 신호 증폭 장치(27)에 의해 증폭되어 듀플렉서(28)와 안테나(29)를 통해서 이동국(30)으로 전송된다.
또한, 안테나(29)로 수신된 이동국(30)에서 송신한 신호, 즉 이동국 송신 신호는 신호 증폭 장치(27)에 의해 증폭되는데,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제2 기지국 수신 신호(19b)가 된다. 제2 기지국 수신 신호(19b)는 링크 신호 변환 장치(25)에 의해 기기국 / 중계기 간 링크(15)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형태의 제1 기지국 수신 신호(19a)로 변환된다.
이 과정에서 순방향 링크 신호, 즉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와 신호 증폭 장치(27)에서 증폭된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기 위해 신호 증폭 장치(27)에 의해 증폭되기 전의 신호(17b)와 증폭 장치(27)에 의해 증폭된 후의 신호를 각각 결합장치(26a, 26b)와 스위치(23)를 이용하여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로 인가한다. 이동국 모뎀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용의 모뎀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퀄컴사 제조의 MSM 등을 말한다. 이러한 이동국 모뎀(21)에는 수신 신호의 Ec/Io를 측정하는 수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만을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로 인가할 수 있으며, 증폭 장치(27)에 의해 증폭된 신호만을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로 인가할 수 있다. 스위치(23)를 사용하여 두개의 신호를 모두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로 인가하는 것은 선택적이다. 이와 같이 순방향 링크 신호를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에 인가하여 그 품질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신호를 평가하는 방법은 CDMA 방식 신호의 경우 신호의 Ec/Io값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를 복조하여 얻어지는 신호에 대하여 CRC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방식을 통해 품질을 측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그 결과,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즉 순방향 링크가 유효하지 못한 경우, 또는 증폭 장치(27)에서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이 나쁜 경우, 제어 장치(24)에서는 신호 증폭 장치(27)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순방향 링크 신호의 증폭을 하지 않도록 하여 더 이상 유효하지 못한 신호가 안테나(29)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어 장치(24)가 이동국 모뎀(21)과 별도의 블록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선택적이고, 제어 장치(24)가 이동국 모뎀(21) 내에 포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 내지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에서 중계기(20)와 순방향 링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24)는 순방향 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와 중계기(2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 내지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순방향 링크의 품질에 대한 정보는 위에서 말한 순방향 링크 신호의 Ec/Io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2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란 중계기가 오동작을 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중계기(20)내의 신호 증폭 장치(27)의 이득(gain)이 적절하지 않게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신호 증폭 장치(27) 자체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 등을 말한다. 만일, 제2 기지국 송신 신호의 Ec/Io와 증폭 장치(27)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Ec/Io를 서로 비교하여, 후자가 전자보다 많이 저하된 경우, 이는 중계기가 오동작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24)는 이동국 모뎀(21)의 송신부(22a)를 제어하여 기지국(10)을 통해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도시 안함)으로 전송할 중계기 관리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중계기 관리 신호는 결합 장치(26c)와 링크 신호 변환 장치(25)를 거쳐 기지국 / 중계기 간 링크(15)로 전송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기지국(10)으로 전송된다. 기지국(10)은 이러한 중계기 관리 신호를 받아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중계기의 제어 동작은 제어 장치에 프로그램되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중계기로부터 기지국 (내지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으로의 중계기 관리 신호의 보고에 기초한, 망 관리 센터의 제어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일련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가 입력되면 단계 100에서 스위치(23)를 제어하여 중계기(20)의 신호 증폭 장치(27)에서 증폭하기 전의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를 결합 장치(26a)로부터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로 인가한다.
이어서, 단계 110에서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에서 상기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의 신호 품질을 평가하고, 단계 120에서 제어 장치(24)가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가 유효한지 판단한다.
만일,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단계 130에서 제어 장치(24)는 그 이상 상태를 기지국을 통해 망 관리 센터에 보고하고 중계기(20)의 신호 증폭 장치(27)를 제어하고 단계 100으로 돌아간다. 여기서 보고 과정과 제어 과정은 선택적으로 둘 중 하나의 과정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계에서 신호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140에서 스위치(23)를 제어하여 중계기(20)의 신호 증폭 장치(27)에서 증폭한 신호를 결합 장치(26b)로부터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로 인가한다.
이어서, 단계 150에서 이동국 모뎀(21)의 수신부(22b)가 증폭된 신호의 신호 품질을 평가하고, 단계 160에서 이러한 증폭된 신호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흐름도에서 증폭된 신호 자체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선택적이고, 이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단계 170에서 제어 장치(24)는 증폭 전의 신호 품질, 즉 제2 기지국 송신 신호(17b)의 신호 품질과 증폭 후의 신호의 품질을 비교하여 중계기(20)의 신호 증폭 장치(27)의 동작이 유효한지 판단한다. 만일 증폭 장치(27)의 동작이 유효하지 못한 경우에는 단계 130으로 넘어가고,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100으로 돌아간다.
이상의 흐름도에서의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 측정에 따른 제어 및 보고는 선택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만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보고 동작만 행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한 중계기의 제어는 제어 장치에 프로그램되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태 보고에 대한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의 제어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평가하여 중계기를 제어하고,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중계기 동작 상태를 기지국 내지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순방향 링크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 유효하지 않은 신호가 중계기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통신 환경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중계기 동작 상태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망 관리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순방향 링크 및 중계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이동 통신에 사용되는 중계기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과,
    상기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된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의 중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순방향 링크 신호의 Ec/Io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증폭 수단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수단은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을 더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증폭된 순방향 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이 상기 순방향 링크 신호의 신호 품질보다 소정의 임계값 이하로 되는 경우, 상기 증폭 수단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장치.
  5. 이동 통신에 사용되는 중계기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과,
    상기 순방향 링크 신호의 품질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된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의 Ec/Io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중계기가 이상(abnormal)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장치.
KR1020000011626A 2000-03-08 2000-03-08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KR20000036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626A KR20000036413A (ko) 2000-03-08 2000-03-08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626A KR20000036413A (ko) 2000-03-08 2000-03-08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413A true KR20000036413A (ko) 2000-07-05

Family

ID=1965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626A KR20000036413A (ko) 2000-03-08 2000-03-08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6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95B1 (ko) * 2008-03-13 2010-10-18 주식회사 서화정보통신 단말기 모뎀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기, 동기검출 및중계기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95B1 (ko) * 2008-03-13 2010-10-18 주식회사 서화정보통신 단말기 모뎀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기, 동기검출 및중계기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4523B2 (ja)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利得設定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CN1863019B (zh) 无线基站试验装置以及无线基站的试验方法
CN201174772Y (zh) 一种具有漏缆监测功能的直放站
KR100660168B1 (ko) 시분할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용 중계기의 제어방법
KR20000036413A (ko) 이동국 모뎀이 내장된 중계기
KR20000060856A (ko) 통신시스템의 원격중계기 감시장치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11935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
JP3522225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の受信故障検出方法
KR20080102066A (ko) 자동이득 설정 기능을 갖는 중계장치
KR20060110517A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KR100767311B1 (ko) 잡음 플로어 측정을 통해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 도너 및 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도너에서 잡음 플로어 측정을 통해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방법
KR100282056B1 (ko)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JP3508061B2 (ja) 見通し外通信システム
CN114374443B (zh) 一种直放站信号监测装置、系统及方法
CN113645516B (zh) 一种干线放大器管理方法和管理系统
JP200316901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中継器
KR200210048Y1 (ko)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한 기지국 송신 성능 점검 시스템
KR100987366B1 (ko)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JP4886595B2 (ja) 移動通信リピータ装置、子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529762B1 (ko) 무선 이동통신망에서의 광결합기 출력 감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34613B1 (ko) 기지국에서 송신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10047Y1 (ko)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한 기지국 송수신 성능 점검 시스템
JP2002223168A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信電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