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997B1 -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997B1
KR100756997B1 KR1020060102848A KR20060102848A KR100756997B1 KR 100756997 B1 KR100756997 B1 KR 100756997B1 KR 1020060102848 A KR1020060102848 A KR 1020060102848A KR 20060102848 A KR20060102848 A KR 20060102848A KR 100756997 B1 KR100756997 B1 KR 10075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ain body
vehicle
col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06010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detach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암 레스트(arm rest) 등에 설치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설치되는 차량용 냉온장고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로에 연결되는 덕트와, 외벽과 내벽이 형성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일측이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본체를 탈착하기 위해 상기 덕트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부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냉기 토출구에 차량용 냉온장고를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용 냉온장고의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차량용 냉온장고의 설치구조

Description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Structure of refrigerator or heating cabine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서, 본체와 덕트가 분해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서, 본체와 덕트가 결합된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III-III의 요부확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서, 본체와 덕트가 분해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서, 본체와 덕트가 결합된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서, 본체의 삽입부와 덕트의 결합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차량용 냉온장고 110, 210; 본체
111; 수용부 112; 금속용기
113; 돌출부 113a; 유입공
113b; 배출공 114; 순환팬
115; 돌기부 116; 단열재
117; 후크 118; 가이드
119, 219; 삽입부 119a, 119a'; 고정돌기
120; 커버 121; 수납부
122; 제어부 123; 오링
124; 보조덮개 130, 230; 덕트
131; 유입구 132; 배출구
133, 233; 연장부 134, 134'; 고정홈
134a; 관통공 135; 해제버튼
135a; 걸림부 136; 스프링
137; 가이드 홈 138; 냉각팬
140; 열교환유닛 141; 제 1 금속부재
142; 펠티어소자 143; 제 2 금속부재
144; 방열핀 150; 핀
217; 나사홀 219a; 나사공
234; 결합공 235; 나사결합부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예컨대 암 레스트(arm rest) 등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내장되는 내용물이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냉온장고가 차량의 에어 덕트에 용이하게 설치되면서 탈착 가능한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전통적인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냉장고는,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스로틀 밸브,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관계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차량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차량용 냉장고로서는, 열전효과 즉,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따라서, 열전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냉장고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펠티어 효과란, 두 종류의 상이한 금속을 접합시키고, 여기에 전류를 통과시켰을 경우, 금속간의 접합부에서, 전류에 비례하여 열의 발생 및 흡수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효과는 가역적인 것으로서, 전류를 반대로 인가하는 경우에는 열의 흡수 및 발생도 반대로 일어난다. 이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N형 및 P형 반도체를 교대로 배열하여 냉각 또는 가열을 행하면 약 40℃의 온도차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열전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냉온장고를 제작하는 기술이 이미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차량용 냉온장고의 구조만이 나와 있거나, 냉온장고가 차량의 유로와 연결되는 방법만이 명시되어 있을 뿐 차량에 장착되는 자세한 구조에 관한 발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냉온장고가 차량의 에어컨 또는 난방 유로와 연결되어 암 레스트 위치에 설치되는데, 차량의 에어컨 또는 난방 유로와 연결하는 것이 적지않은 어려움이 있으며, 설치 또한 쉽지 않은 애로 사항이 있다.
또한, 냉온장고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면 이를 교체해야 하는데, 이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하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설치 및 교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냉기 토출구에 차량용 냉온장고를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용 냉온장고의 정비 및 야외로의 손쉬운 운반을 위해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설치되는 차량용 냉온장고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로에 연결되는 덕트; 외벽과 내벽이 형성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일측이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본체를 탈착하기 위해 상기 덕트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부의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 중 어느 한쪽에 가이드를 포함하고 다른 한쪽에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 중 어느 한쪽에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한 쪽에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후크 또는 나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보조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신속하게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유닛 및 상기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순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100)의 장착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30), 본체(110), 고정수단, 커버(120) 및 열교환유닛(140)을 포함한다.
덕트(130)는 차량의 유로(미도시), 특히 에어콘의 냉기 토출구측과 연결되며, 덕트(130)의 전방에 차량의 유로에서 나오는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31)가 형성되고 후방의 상단부에 유입구(13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2)(이는 차량의 실외 예컨대 트렁크 룸 등과 연통 되도록 함이 바람직함)가 형성된다.
한편, 덕트(130)는 차량의 냉기 토출구측에서 나오는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구(13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요철부(번호 생략)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하단 삽입부(119)가 삽입 결합되기 위해 상부 일 영역이 개구되고, 덕트(130)의 양측에는 본체(110)를 고정하는 고정홈(134)이 형성되며 후방의 배출구(132)측 일 부분이 대략 수직연장된 연장부(133)가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133)는 전면에 본체(110)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홈(137)이 형성되고, 본체(110)를 덕트(130)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스프링(136)에 의해 작동되고 걸림부(135a)가 형성된 해제버튼(135)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체(110)는 대략 사각 박스형태이며, 상부가 개구되고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1)의 후방 내측 일 영역이 소정 정도 돌출 형성된 돌출부(113)를 가지며, 돌출부(113)의 상단에 커버(120)가 힌지 결합되는 돌기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하부에는 수용부(111)의 내부를 냉각 또는 보온하는 열교환유닛(140)이 설치된다.
한편, 본체(110)의 일측에, 해제버튼(135)의 걸림부(135a)에 고정되는 후크(1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덕트(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하단에 삽입부(119)가 형성되고, 삽입부(119)의 일측에 고정돌기(119a) 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19)의 전방에 차량의 냉기 토출구측에서 나오는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부(번호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에 형성된 후크(117)는 해제버튼(135)의 걸림부(135a)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삽입부(119)는 덕트(130)의 상부 개구에 삽입되며, 삽입부(119)에 형성된 고정돌기(119a)가 덕트(130)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끼워져 본체(110)가 덕트(1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덕트(130)로부터 본체(110)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고정홈(134)에 관통공(134a)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체(110)와 덕트(13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후방에, 덕트(130)의 가이드 홈(137)에 대응하는 가이드(1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가 덕트(130)에 결합될 때 본체(110)의 가이드(118)가 덕트(130)의 가이드 홈(137)에 끼워져 본체(110)와 덕트(13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체(110)가 덕트(130)로부터 어떻게 분리되는가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드라이버 등으로 관통공(134a)을 통해 고정돌기(119a)를 밀어내고(도 3 참조), 해제버튼(135)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본체(110)를 들어올리면 본체(110)의 후크(117)가 덕트(130)에 설치된 해제버튼(135)의 걸림부(135a)로부터 해제되어 본체(110)가 덕트(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덕트(130)와 본체(110)를 다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118)를 덕트(13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7)에 끼워 밀어넣으면, 본체(110)의 후크(117)가 해제버튼(135)을 밀 어내면서 삽입되고, 해제버튼(135)의 걸림부(135a)가 스프링(136)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본체(110)를 덕트(130)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체(110)는 덕트(130)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수용부(111)에 금속용기(1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구리 및 금 은과 같은 귀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수용부(111)의 내부온도를 신속하게 냉각하거나 보온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소재비용 및 제작비용을 고려할 때 알루미늄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와 금속용기(112) 사이에 단열재(116)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또한, 열손실을 줄여 수용부(111)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부(113)는 전면에 다수의 배출공(113b)이 형성되고 하단에 유입공(113a)이 형성되며, 돌출부(113) 내부에 순환팬(114)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팬(114)은 터보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11)의 내부공기가 돌출부(113)의 유입공(113a)으로부터 유입되어 순환팬(114)을 거쳐 배출공(113b)을 통해 분사되며, 수용부(111)의 내부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수용부(111)의 내부가 냉기 또는 온기가 골고루 퍼져 냉장 또는 온장의 효율이 증가한다.
고정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0)에 형성된 후크(117) 및 해제버튼(135)에 설치된 걸림부(135a)만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 될 수 있으나, 덕트(130) 로부터 본체(1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걸림부(135a)와 해제버튼(135)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용기(112)의 하단부에 열교환유닛(140)이 설치된다.
열교환유닛(140)은 제 1 금속부재(141), 펠티어 소자(142) 및 제 2 금속부재(143)를 포함한다.
제 1 금속부재(141)가 금속용기(112)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제 1 금속부재(141)의 하단면에 펠티어 소자(142)(열전 반도체)가 설치되며, 펠티어 소자(142)의 하단면에 제 2 금속부재(14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급속 냉장 또는 온장의 효율 및 무소음에 가까운 냉온장고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11) 내부의 열교환율을 높이기 위해 열교환유닛(140) 또는 덕트(130)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팬(138)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닛(140)에 방열핀(144)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유닛(140)에서 나오는 열을 신속하게 냉각 또는 가열이 가능해져 차량용 냉온장고(100)의 냉장 또는 온장의 효율이 더욱증대한다.
커버(120)는 수용부(111)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돌출부(113)에 형성된 돌기부(115)에 회전가능하도록 핀(150)과 결합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커버(120)의 바닥면 주변에 오링(12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11)의 냉기 또는 온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 또는 온장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커버(120)의 상부에 수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전 또는 교통카드 등의 여러 가지 물건을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커버(120)의 상부에 수납부(121)를 개폐하는 보조덮개(12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보조덮개(124)의 일단이 커버(120)에 사용되는 핀(150)과 결합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부(121)에 수납된 물건들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수납부(1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120)에 열교환유닛(140) 및 순환팬(114)을 제어하는 제어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11)의 내부 온도를 소정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2)가 보조덮개(124)에 설치될 수 있지만, 제어부(122)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 및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덮개(124)가 커버(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유닛(미도시)이 커버(120) 및 보조덮개(124)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유닛은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30), 본체(210), 고정수단, 커버(120) 및 열교환유닛(140)을 포함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앞서 설명한 부분 중 동일한 구조/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따른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덕트(23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덕트(130)구조와 유사하고, 다만 덕트(230)의 연장부(233)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결합부(235)가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덕트(230)와 본체(210)를 결합시키기 위해 덕트(230)의 양측에 결합공(234)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본체(210)는 내부구조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본체(110) 내부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본체(210)의 후방에, 덕트(230)에 형성된 나사결합부(235)와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홀(217)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삽입부(219)에 나사공(219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덕트(230)의 결합공(234)을 통해 삽입부(219)의 나사공(219a)과 나사결합하고, 덕트(230)의 나사결합부(235)를 통해 본체(210)의 나사홀(217)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본체(210)의 삽입부(219)는 덕트(230)의 상부 개구의 전방으로 삽입되도록 소정 정도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210)의 삽입부(219) 전단이 덕트(230)의 개구 전방으로 삽입되어 본체(210)가 덕트(2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양 수단이 다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나사는 손으로 조일 수 있는 핸드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120) 및 열교환유닛(14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커버(120) 및 열교환유닛(140)에 대응하는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덕트(130,230)와 본체(110,210)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9a')를 후크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고 정홈(134') 또한 고정돌기에 대응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홈(134,134'), 고정돌기(119a,119a'), 가이드(118), 가이드 홈(137), 후크(117) 및 해제버튼(135)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중 어느 한곳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거나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차량의 냉기 토출구에 차량용 냉온장고를 설치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해제버튼으로 인하여 차량용 냉온장고의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탈착이 용이함으로써, 차량용 냉온장고가 고장났을 시 손쉽게 교체 가 능하거나 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설치되는 차량용 냉온장고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로에 연결되는 덕트;
    외벽과 내벽이 형성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일측이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본체를 탈착하기 위해 상기 덕트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수용부의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 중 어느 한쪽에 가이드를 포함하고 다른 한쪽에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덕트 중 어느 한쪽에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한쪽에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후크 또는 나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6.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또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보조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7.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신속하게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유닛 및 상기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8.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순환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KR1020060102848A 2006-10-23 2006-10-23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KR10075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848A KR100756997B1 (ko) 2006-10-23 2006-10-23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848A KR100756997B1 (ko) 2006-10-23 2006-10-23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997B1 true KR100756997B1 (ko) 2007-09-07

Family

ID=3873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848A KR100756997B1 (ko) 2006-10-23 2006-10-23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9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503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냉.온풍을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고
KR20020019787A (ko) * 2000-09-07 2002-03-13 박호군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KR200331118Y1 (ko) * 2003-07-21 2003-10-22 김성출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 장치
KR200344352Y1 (ko) * 2003-07-29 2004-03-10 안병자 자동차용 냉온장고
KR20040042681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503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냉.온풍을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고
KR20020019787A (ko) * 2000-09-07 2002-03-13 박호군 효율이 뛰어난 차량용 열전 냉·온장고
KR20040042681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
KR200331118Y1 (ko) * 2003-07-21 2003-10-22 김성출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장고 장치
KR200344352Y1 (ko) * 2003-07-29 2004-03-10 안병자 자동차용 냉온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222B1 (ko) 냉장고
KR20140119444A (ko) 냉장고
RU2732536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1848662B1 (ko)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US20100251748A1 (en) Refrigerator
KR20130060462A (ko)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US10641537B2 (en) Ice making system for refrigerator appliance
KR100795885B1 (ko) 차량용 냉온장고
KR200451891Y1 (ko) 선풍기
CN102345959B (zh) 冰箱
KR101848661B1 (ko)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0756997B1 (ko) 차량용 냉온장고의 장착구조
CN111609651A (zh) 入口冰箱及冰箱
KR100845152B1 (ko) 차량용 냉온장고
CN210220360U (zh) 冰箱
KR101919804B1 (ko)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CN219868669U (zh) 清洗方便的冷柜
JP2002013863A (ja) 冷却貯蔵庫
CN216080631U (zh) 制冷装置
CN220771488U (zh) 冷柜
CN220624579U (zh) 冷热柜
CN115218601B (zh) 一种制冷设备的控制方法及制冷设备
CN219390180U (zh) 半导体制冷的制冷设备
CN219160710U (zh) 冰箱
KR102017707B1 (ko) 냉각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