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94B1 -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94B1
KR100753394B1 KR1020060001651A KR20060001651A KR100753394B1 KR 100753394 B1 KR100753394 B1 KR 100753394B1 KR 1020060001651 A KR1020060001651 A KR 1020060001651A KR 20060001651 A KR20060001651 A KR 20060001651A KR 100753394 B1 KR100753394 B1 KR 10075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ver
diaphragm spring
load
cover assembly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043A (ko
Inventor
정재한
최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06000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6Cover or bell housing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는, 차량의 플라이휠에 고정되는 환형 클러치 커버와, 상기 환형 클러치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상기 환형 클러치 커버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클러치, 험프, 작동감, 완충 부재

Description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 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Clutch Cover Assembly for Compensating Difference Between Maximum Load and Minimum Load of Diaphragm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러치 커버 조립체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험프 보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하중 선도.
본 발명은 클러치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를 보상해 줄 수 있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과 트랜스미션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장치인 클러치는, 클러치의 잦은 작동으로 인해 클러치 디스크가 마모될 수 있는데, 이렇게 클러치 디스크가 마모되면, 댐핑 하중이 증대되고, 따라서 클러치 페달의 답력 역시 증가한다. 더욱이 출력이 큰 차량의 경우에는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 소위 험프(hump)가 더욱 증대하는데, 이와 같이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가 커지면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에 푹푹 꺼지는 느낌이 강할 수 있어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는, 차량의 플라이휠에 고정되는 환형 클러치 커버와, 상기 환형 클러치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상기 환형 클러치 커버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클러치 커버와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완충 부재를 배치하면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킬 때에 완충 부재가 다이어프램과 클러치 커버 사 이에서 접촉함으로써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1)의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러치 커버 조립체(1)는 클러치 커버(2)와, 압력판(4)과, 다이어프램 스프링(7a, 7b)과, 클러치 커버(2)와 다이어프램스프링의 림부(7a)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완충 부재(10)를 포함한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게 되면,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외팔보 부재(7b)가 하방으로 눌리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림부(7a)가 지렛대 원리로 상방으로 뜨게 되어 압력판(4)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는 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조립체의 형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형태의 클러치 조립체라도 클러치 커버와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완충 부재는 고무이며, 고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는 환형 클러치 커버(2)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배치될 수도 있으며,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완충 부재(10)는 클러치 커버(2) 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림 부(7a)에 소정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완충 부재(10)를 사용한 경우의 험프가 보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하중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에는 완충 부재(1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하중 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 즉 험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완충 부재(10)에 EPDM 고무를 사용한 경우에 완충 부재(10)의 하중 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상측에 완충 부재(10)로서 고무를 배치한 경우의 하중 선도, 즉 도 5에 도시된 하중 선도와 도 6에 도시되 하중 선도의 합성한 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중선도 1은 도 5에 도시된 하중 선도에 도 6의 하중선도(a')을 합성한 것이고, 하중선도 2는 도 5에 도시된 하중 선도에 도 6의 하중선도(b')을 합성한 것이다. 각각 험프보상량이 a, b 만큼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1)의 일부 절개 사시도와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환형 클러치 커버(2)의 상측에 개구(21, 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완충 부재(1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완충 부재 위치 유지 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완충 부재 위치 유지 부재(30)는 완충 부재(10)의 하부를 수용하는 하면(31)과, 상기 개구(21, 23)에 결합하는 결합암(33, 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개구(21, 23)의 크기를 과장하였지만 실제로는 결합암(33, 35)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완충 부재 위치 유지 부재(30)를 사용하면 조립성이 증대하며, 완충 부재(1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고, 엔진 회전 원심력에 의한 완충 부재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러치 커버(2)에서 상기 완충 부재(10)의 상면에 닿는 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완충 부재(10)의 상면이 좀 더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른 형태로 구성하여도, 완충 부재(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첨부 도면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 커버와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제공되는 완충 부재에 의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 하중과 최소 하중의 차이, 소위 험프(hump)를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 조작자의 작동감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차량 엔진의 플라이휠과 트랜스미션의 입력축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는 클러치의 클러치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에 고정되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 클러치 커버와,
    상기 환형 클러치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상기 환형 클러치 커버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와,
    상기 개구에 결합하여 상기 완충 부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완충 부재 위치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고무인, 클러치 커버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커버에는 상기 고무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20060001651A 2006-01-06 2006-01-06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075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651A KR100753394B1 (ko) 2006-01-06 2006-01-06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651A KR100753394B1 (ko) 2006-01-06 2006-01-06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43A KR20070074043A (ko) 2007-07-12
KR100753394B1 true KR100753394B1 (ko) 2007-08-30

Family

ID=3850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651A KR100753394B1 (ko) 2006-01-06 2006-01-06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60B1 (ko) 2007-08-31 2009-12-08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1102688B1 (ko) * 2009-08-31 2012-01-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험프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779A (ja) * 1996-03-08 1997-09-16 Exedy Corp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2779A (ja) * 1996-03-08 1997-09-16 Exedy Corp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60B1 (ko) 2007-08-31 2009-12-08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1102688B1 (ko) * 2009-08-31 2012-01-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험프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43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9328A (ko) 건식 더블 클러치
US8991579B2 (en) Clutch device
KR100753394B1 (ko)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최대하중과 최소하중의 차이를보상하는 클러치 커버 조립체.
WO2011148576A1 (ja) 防振装置
US4671399A (en) Friction facing assembly
KR100758894B1 (ko) 일체형 마찰 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JP2013509543A (ja) クラッチ装置
WO2001001006A1 (en) Pushrod impact isolator
KR101350178B1 (ko) 차량용 클러치 디스크
KR101281619B1 (ko) 자동차 동력전달용 케이블 연결장치
KR100507216B1 (ko) 클러치 디스크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WO2003087606A1 (en) Clutches
KR101102688B1 (ko) 험프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커버 조립체
JPS6131721A (ja) クラツチ
JPH0324901Y2 (ko)
KR100930460B1 (ko) 클러치 커버 조립체
KR101072081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클러치디스크 구조
CN211474711U (zh) 补偿膜片弹簧最大荷重和最小荷重的离合器盖总成
KR100483159B1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의 방진구조
KR200171629Y1 (ko) 클러치 케이블의 체결선단부구조
JP6720193B2 (ja) 均しばねを備える摩擦クラッチに用いられる断接システム
KR20170123544A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마모개선 장치
KR100387789B1 (ko) 클러치디스크 안정화장치
CN104455065A (zh) 膜片弹簧离合器的补偿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