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59B1 -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59B1
KR100752859B1 KR1020070011429A KR20070011429A KR100752859B1 KR 100752859 B1 KR100752859 B1 KR 100752859B1 KR 1020070011429 A KR1020070011429 A KR 1020070011429A KR 20070011429 A KR20070011429 A KR 20070011429A KR 100752859 B1 KR100752859 B1 KR 10075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igh pressure
water tank
conveyor belt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환경
Priority to KR102007001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명칭]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해결할 과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골재와 부유성이물질의 분리 및 배출작용이 탁월하고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가 물탱크의 바닥으로 빠져서 쌓이는 폐단이 완전히 소멸되며 물탱크 안에 퇴적성 이물질(진흙, 미세 석분 등)이 누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임.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
상면은 개방되고, 하기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 및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와 물탱크 안의 상층부 물이 부유성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P)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P)에 연이어 하향으로 경사가 져서 물과 부유성 이물질이 물탱크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물 및 부유성 이물질 배출로(51a)를 가지는 물탱크(51)와;
골재 및 부유성 이물질을 상기 물탱크(51) 안으로 추락시키는 제9 컨베어벨트(14)와;
상기 물탱크(51)의 내측이고 상기 물탱크(51) 안의 수면(ℓ)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채 고압수공급관(61)에 고정된 분사노즐(62)들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하여 상기 제9 컨베어벨트(14)를 타고 골재와 함께 추락하는 부유성 이물질(100) 또는 경량 이물질(100a)들이 수면(ℓ) 아래로 갈아 앉지 못하고 물 흐름층(W2)에 실려서 상기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와 상기 이물질들이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모이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곡선의 형태를 띤 채 물탱크에 고정되는 내측 물흐름유도판(53), 그리고 내측 물흐름유도판(53)과 대칭으로 고정되는 외측 물흐름유도판(52)과;
상기 내측 물흐름유도판(53) 및 외측 물흐름유도판(52)의 각각 안쪽이며 수면(ℓ) 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채 고압수를 개방부(P)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관체(71)와 상기 분사관체(71)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점점 감소되는 각도로 고정되는 제1 분사노즐(72), 제2 분사노즐(73), 제3 분사노즐(74)이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개방부(P)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이물질들이 갈아 앉지 않고 물 흐름층(W2)을 타고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하여 개방부(P)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들과;
이물질들과 분리된 채 물탱크 안으로 추락한 골재들이 제2 조-크라샤(17)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 안에 경사진 채 설치되는 제10 컨베어벨트(15)와;
물탱크 내부에 고정되는 정면수직판(81)에 일체로 연결되는 정면경사판(83) 그리고 상기 정면수직판(81)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대칭형 측면수직판(8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측면경사판(84)들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의 "∪"형 틈새(85)의 폭은 상기 제10 컨베어벨 트(15)의 폭 보다 좁게 하여서, 이물질들과 분리된 채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들이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상면으로만 추락하여 물탱크 안에 누적되지 않도록 하는 골재빠짐방지물(80)과;
상기 물탱크의 하방을 관통하여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최소 몇 라인의 고압공기공급관(91)과 상기 고압공기공급관(91)들의 수직하방으로 고정되는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분출되는 고압공기가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물탱크 안에 퇴적성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 상기 부유성이물질들과 함께 물탱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날개부(97)를 가지는 고압공기확산콘(96)이 콘 지지다리(98)에 의해 고정되고, 안쪽으로는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과의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확산부(9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산부(94)와 연한 채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의 확산날개부(97) 와의 사이에 더욱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2 확산부(95)를 가지고 상기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각기 나사 조립이 되는 고압공기확산하우징(93)들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폐자재, 골재,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고압수, 고압공기, 물 흐름층

Description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Waste Separating Device for Recycling Line}
도1은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한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일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도2의 A-A선에서 바라 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물 흐름작용을 나타낸 참고도.
도6은 본 발명의 물 흐름층 원리에 따라 이물질과 골재가 분리되며 이물질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골재빠짐방지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골재빠짐방지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의 골재빠짐방지물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고압공기분출장치의 중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도10의 B-B선에서 바라 본 단면도.
본 발명은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골재와 부유성이물질의 분리 및 배출작용이 탁월하고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가 물탱크의 바닥으로 빠져서 쌓이는 폐단이 완전히 소멸되며 물탱크 안에 퇴적성 이물질(진흙, 미세 석분 등)이 누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갖춘 것이다.
현재 가동되고 있는 기존의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를 살펴보면, 물탱크 안으로 부유성이물질과 뒤섞인 골재를 투입시키되 물탱크 내부에 수차를 설치하고 물 위에 뜨는 부유성이물질을 수차 날개가 걷어내도록 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고압수를 분출시켜서 부유성이물질이 수차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부가된 것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수차가 부유성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걷어내지 못하고 오히려 이물질의 이동이나 배출에 방해작용을 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고압수의 분출방향이나 각도, 분사노즐의 위치를 적절히 찾아내지 못하여 역시 이물질의 분리 및 배출작용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2중, 3중으로 골재와 이물질을 분리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폐단이 발생되어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지 못함은 물론 기업이익을 확대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부유성이물질 분리장치는 본 발명의 도2를 기준하여 볼 때 물탱크 안으로 투입된 골재나 금속 덩어리 등이 제10 컨베어벨트(15) 위에 모두 얹혀서 제2 조-크라샤(17)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고, 제10 컨베어벨트(15)의 좌우측과 정면의 틈새 사이로 추락하여 누적이 된다. 물론 이때 진흙이나 미세한 석분 등의 퇴적성 이물질들도 가라앉아서 물탱크의 바닥에 퇴적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는 제10 컨베어벨트(15)의 로울러 샤프트와 베어링, 실링(Sealing)의 틈새에 고착되어 마모현상을 심하게 유발시킴과 아울러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게 되어 고장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 이와 함께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여 누적되는 골재 등도 제10 컨베어벨트(15)의 컨베어 회전을 심하게 방해하거나 파손을 시키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라인 전체를 정지시킨 후 물탱크 내부를 자주 보수하고 청소를 하여야 하며 컨베어벨트의 부품교체, 수리작업 등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경제적인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물탱크 안에 호퍼컨베어를 장치하고 제10 컨베어벨트(15) 하방으로 호퍼컨베어가 이동(회전)되도록 하면서 제10 컨베어벨트(15) 하방과 주변에 누적되어 있는 골재와 퇴적성 이물질을 퍼 올려서 제10 컨베어벨트(15) 위로 추락시키는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 역시 호퍼컨베어 자체의 고장발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작용상으로도 불량하고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작용에 오히려 방해가 되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부유성이물질 분리장치로부터 비롯되었던 문제와 단점, 폐단을 경제적이고 실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면은 개방되고, 하기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 및 제2 고압수분사장치 (7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와 물탱크 안의 상층부 물이 부유성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P)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P)에 연이어 하향으로 경사가 져서 물과 부유성 이물질이 물탱크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물 및 부유성 이물질 배출로(51a)를 가지는 물탱크(51)와;
골재 및 부유성 이물질을 상기 물탱크(51) 안으로 추락시키는 제9 컨베어벨트(14)와;
상기 물탱크(51)의 내측이고 상기 물탱크(51) 안의 수면(ℓ)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채 고압수공급관(61)에 고정된 분사노즐(62)들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하여 상기 제9 컨베어벨트(14)를 타고 골재와 함께 추락하는 부유성 이물질(100) 또는 경량 이물질(100a)들이 수면(ℓ) 아래로 갈아 앉지 못하고 물 흐름층(W2)에 실려서 상기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와 상기 이물질들이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모이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곡선의 형태를 띤 채 물탱크에 고정되는 내측 물흐름유도판(53), 그리고 내측 물흐름유도판(53)과 대칭으로 고정되는 외측 물흐름유도판(52)과;
상기 내측 물흐름유도판(53) 및 외측 물흐름유도판(52)의 각각 안쪽이며 수면(ℓ) 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채 고압수를 개방부(P)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관체(71)와 상기 분사관체(71)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점점 감소되는 각도로 고정되는 제1 분사노즐(72), 제2 분사노즐(73), 제3 분사노즐(74)이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개방부(P)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이물질들이 갈아 앉지 않고 물 흐름층(W2)을 타고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하여 개방부(P)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들과;
이물질들과 분리된 채 물탱크 안으로 추락한 골재들이 제2 조-크라샤(17)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 안에 경사진 채 설치되는 제10 컨베어벨트(15)와;
물탱크 내부에 고정되는 정면수직판(81)에 일체로 연결되는 정면경사판(83) 그리고 상기 정면수직판(81)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대칭형 측면수직판(8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측면경사판(84)들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의 "∪"형 틈새(85)의 폭은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폭 보다 좁게 하여서, 이물질들과 분리된 채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들이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상면으로만 추락하여 물탱크 안에 누적되지 않도록 하는 골재빠짐방지물(80)과;
상기 물탱크의 하방을 관통하여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최소 몇 라인의 고압공기공급관(91)과 상기 고압공기공급관(91)들의 수직하방으로 고정되는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분출되는 고압공기가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물탱크 안에 퇴적성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 상기 부유성이물질들과 함께 물탱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날개부(97)를 가지는 고압공기확산콘(96)이 콘 지지다리(98)에 의해 고정되고, 안쪽으로는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과의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확산부(9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산부(94)와 연한 채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의 확산날개부(97) 와의 사이에 더욱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2 확산부(95)를 가지고 상기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각기 나사 조립이 되는 고압공기확산하우징(93)들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와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 라인을 간략히 살피기로 한다.
재생골재와 각종 이물질들이 뒤섞여 있는 건축폐자재를 일정량만큼 지속적으로 골재투입호퍼(1) 안으로 투입시키는데, 대략적으로 폐콘크리트와 건축용 폐자재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골재투입호퍼(1)에 투입된 폐자재는 제1 컨베어벨트(2)를 타고 서서히 이동을 하면서 제1 조-크라샤(3) 안으로 투입되는데, 제1 컨베어벨트(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분리작업자들은 가능한 한 신속히 비닐이나 천조각, 나무조각, 스티로폼, 깡통, 기타 금속덩어리 등을 수작업을 통해 분리를 시키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작은 크기의 이물질들은 미처 제거가 되지 못하고 제1 조-크라샤(3) 안으로 투입된다. 제1 조-크라샤(3)를 통해 분쇄가 된 폐자재는 제2 컨베어벨트(4) 및 제3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하여 제1 진동스크린(6)으로 투입되는데, 그 이전에 제1 마그네트컨베어(7)에 의하여 금속성 이물질은 비교적 양호하게 분리 및 제거가 된다. 이어서 제1 진동스크린(6)으로 투입된 골재 중에서 15m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것은 제8 컨베어벨트(13)를 타고 이동하여 본 발명의 제9 컨베어벨트(14)로 이동되며, 15m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골재는 제4 컨베어벨트(8)를 타고 제2 진동스크린(9)으로 투입된 후 10m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골재는 제5 컨베어벨트(10)를 타고 야적장으로 이동되고 10m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골재는 다시 제6 컨베어벨트(11) 및 제7 컨베어벨트(12)를 타고 이동하여 상기의 제8 컨베어벨트(13)의 골재와 합류하게 된다. 이들 골재는 본 발명의 제9 컨베어벨트(14)를 타고 이동하여 물탱크(51) 안으로 추락하게 되고 부유성이물질(100)과 경량이물질(100a) 그리고 골재로 완전하게 분리가 되는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50)를 거쳐서 이물질이 거의 혼합되어 있지 않는 골재는 제11 컨베어벨트(16)를 타고 이동하여 제2 조-크라샤(17) 안으로 추락하게 되며 더욱 잘게 분쇄가 된다. 이를 통해 분쇄된 골재는 제12 컨베어벨트(18)를 타고 이동하여 제3 진동스크린(19)으로 투입되는데, 그 전에 제3 마그네트컨베어(20)에 의해 금속성 이물질들이 다시 제거가 된다. 제3 진동스크린(19)으로 투입된 골재 중에서 크기가 25mm 미만의 것은 제15 컨베어벨트(25)를 타고 야적장으로 이동하게 되고, 석분은 제14 컨베어벨트(26)를 타고 야적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크기가 40mm 미만의 것은 제13 컨베어벨트(27)를 타고 야적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크기가 25mm 이상의 것과 40mm 이상의 것은 제16 컨베어벨트(21)를 타고 콘-크라샤(23)로 투입되어 작은 크기로 가공이 되는데, 그 이전에 또 다른 제4 마그네트컨베어(22)에 의해 금속성 이물질은 제거가 된다.
콘-크라샤(23)로 투입되어 잘게 분쇄된 골재는 제17 컨베어벨트(24)를 타고 상기의 제12 컨베어벨트(18)로 합류, 앞선 공정을 거친 골재들과 혼합되어 다시 제3 진동스크린(19)으로 투입되고 25mm 골재, 40mm 골재 그리고 석분으로 분리가 된 다. 이후 본 발명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50)의 작용을 살피기로 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51)는 재생골재라인의 용량에 따라 사이즈가 정해지는 것이며 보통의 수조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고, 하기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 및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와 물탱크 안의 상층부 물이 부유성 이물질(100) 및 경량이물질(100a)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P)가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P)에 연이어 하향으로 경사가 져서 물과 상기 부유성 이물질이 물탱크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물 및 부유성 이물질 배출로(51a)가 형성이 되며, 이를 통해 배출된 부유성이물질들은 별도의 수거장치에 담기고 물은 제1 수조(28)와 제2 수조(29)를 거쳐 퇴적성 이물질들이 정화된 후 제3 수조(30)에 저장되어 있다가 펌프에 의해 하기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로 계속하여 공급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를 살핀다. 이는 도면과 같이 상기 물탱크(51)의 내측이면서 제9 컨베어벨트(14)의 아래쪽에 고정이 된다. 이는 상기의 개방부(P)를 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분사노즐(61)이 장치된 고압수 공급관(61)으로 구성되는데, 분사노즐(62)의 중심은 상기 물탱크(51) 안의 수면(ℓ)과 20∼30mm 정도의 거리(W1)를 유지하도록 잠수식으로 구성이 된다. 따라서 수면(ℓ)의 표면만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는 종래의 고압수 분사관의 구성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후술하는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는 물탱크 안의 물 상층부에 물 흐름층(W2)을 형성시키는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인 바, 이에 대한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와 상기 이물질들이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중앙으로 모이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도3과 같이 곡선의 형태를 띤 채 물탱크에 고정되는 내측 물흐름유도판(53), 그리고 내측 물흐름유도판(53)과 대칭으로 고정되는 외측 물흐름유도판(52)이 구비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탱크 안의 물 상층부에 물 흐름층(W2)이 더욱 잘 형성이 되도록 하는 작용을 보조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를 살핀다. 이는 도3, 도5와 같이 고압수를 개방부(P)의 중앙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관체(71)와 상기 분사관체(71)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점점 감소되는 각도로 고정되는 제1 분사노즐(72), 제2 분사노즐(73), 제3 분사노즐(74)로 구성이 된다. 여기서 제1 분사노즐(72)은 도5와 같이 물탱크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고 제2 분사노즐(73)은 물탱크의 개방부(P)에 근접한 부분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고, 제3 분사노즐(74)은 물탱크의 개방부(P)와 매우 가까운 쪽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분사관체(71)는 거의 상기 개방부(P) 까지 압력이 미칠 수 있도록 고압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는 도3, 도5와 같이 대칭형으로 구성이 되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의 분사노즐(62)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와 만나서 도5와 같이 물 흐름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역시 분사노즐(72, 73, 74)들의 중심은 상기 물탱크(51) 안의 수면(ℓ)과 20∼30mm 정도의 거리(W1)를 유지하도록 잠수식으로 구성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제2 고압수분사장치(70)은 도5와 같이 물탱크 안의 상층부 물이 물 흐름층(W2)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부유성 이물질(100)과 경량이물질(100a)이 물 흐름층(W2)을 따라 이동, 물탱크 안으로 갈아 앉거나 방해를 받는 예가 없이 거의 완전히 개방부(P)로 실려서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의 분사노즐(62)을 통해 분출되는 분사압력이 너무 높으면 도6을 기준하여 볼 때 작은 크기의 골재도 같이 실려서 개방부(P)로 배출이 되고 이는 손실을 초래하거나 다시 라인을 태워야 하는 비합리적인 문제가 초래되기 때문에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의 분사노즐(62)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의 분사압력 작용거리는 도5를 기준하여 제2 고압수분사장치(70)의 분사관체(71) 끝 부분을 초과하지 않는 정도로 하고,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를 통해 분출된 고압수가 위와 같이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로부터 분출된 고압수와 중앙 부분에서 만나면서 결국 개방부(P)를 향하여 힘이 있게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골재는 추락하도록 하고 상기 이물질(100)(100a)들은 넘치는 물과 함께 배출로(51a)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물 흐름층(W2)은 약 50mm 정도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유속은 보통 300㎜/초 정도가 무난한데, 처리하여야 할 폐자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속은 당연히 조절될 수 있고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제2 고압수분사장치(70)의 물 분사압력도 적절하게 조절이 됨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각종 부유성이물질(100)은 물론 경량이물질(100a) 즉, 나무토막이나 플라스틱 덩어리 등의 경량이물질이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예가 없이 원활하게 배출이 되었으며 큰 크기 및 중간 크기의 골재는 물론 작은 크기의 골재는 개방부(P)를 통과하지 못하고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여 제10 컨베어벨트(10) 위로 모이게 된 다. 이때 상술한 내측 물흐름안내판(53)과 외측 물흐름안내판(52)은 상술한 고압수가 개방부(P)를 향하여 더욱 잘 보이도록 하는 보조작용을 하게 되고, 이물질들이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를 넘어서 물 흐름층(W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 및 제2 고압수분사장치(70) 그리고 내측 물흐름안내판(53)과 외측 물흐름안내판(52)은 골재에 섞인 부유성이물질과 경량이물질을 거의 완전히 분리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9 컨베어벨트(14)를 통해 추락한 이물질과 골재에서 이물질은 물탱크 외부로 배출이 되고 나머지 골재는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게 되는데,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 및 석분은 제10 컨베어벨트(15)의 하방으로 추락하여 쌓이거나 퇴적되지 않고 전부 제10 컨베어벨트(15) 위에 얹혀서 결국 물탱크의 외부로 배출이 되는 바, 이는 후술하는 골재빠짐방지물(80)의 작용에 의함이다. 이는 도 7, 8, 9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고 도2, 3, 4와 같은 상태로 사용이 된다. 이는 물탱크 내부에 고정되는 정면수직판(81)에 일체로 연결되는 정면경사판(83) 그리고 상기 정면수직판(81)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대칭형 측면수직판(8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측면경사판(84)들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의 "∪"형 틈새(85)의 폭은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들은 측면경사판(84)과 정면경사판(83)에 부딪혀서 더욱 하방으로 추락하게 되고 그 틈새(85)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제10 컨베어벨트(15) 위에 모두 얹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와 석분 등으로 인하여 제10 컨베어벨트(15)가 파손 내지는 고장이 발생되는 예가 거의 소멸되고 따라서 라인의 가동을 중지시킨 채 잦은 보수작업을 행할 필요도 없어지는 특징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물탱크 안에 진흙이나 미세 석분이 퇴적되어 고착화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압공기분출장치(90)를 살피기로 한다. 이는 상기 물탱크의 하방을 관통하여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최소 몇 라인의 고압공기공급관(91)과 상기 고압공기공급관(91)들의 수직하방으로 고정되는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분출되는 고압공기가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물탱크 안에 퇴적성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 상기 부유성이물질들과 함께 물탱크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날개부(97)를 가지는 고압공기확산콘(96)이 콘 지지다리(98)에 의해 고정되고, 안쪽으로는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과의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확산부(9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산부(94)와 연한 채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의 확산날개부(97) 와의 사이에 더욱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2 확산부(95)를 가지고 상기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각기 나사 조립이 되는 고압공기확산하우징(93)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0과 같이 고압공기를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도록 분출시킬 수 있는데, 이때 고압공기확산콘(96)은 고압공기가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여 더욱 양호하고 확실하게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압공기확산하우징(93)과 고압공기확산콘(96)은 도면과 같이 고압공기확산콘(96)의 확산날개부(97)와 고압공기확산하우징(93)의 제2 확산부(95)의 틈새가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효율적으로 고압공기를 효율적으로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여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물탱크의 바닥에 퇴적되려고 하는 이물질들은 바닥에 갈아 앉지 못하고 상부로 부상하여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를 통해 분출되는 고압수가 형성하는 물 흐름층을 타고 이물질들과 함께 물탱크의 외부로 이동하므로 본 발명의 고압공기분출장치(90)는 물탱크 내부의 청소를 종래의 장치 대비 거의 하지 않아도 무방한 특징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물탱크 안의 물은 항상 빠른 속도로 순환을 하기 때문에 동절기에 물이 얼어서 별도의 히팅장치를 부가하여야 하거나 가열수단을 동원하여 물을 가열하지 않아도 되는 점 또한 중요하게 대두가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에 방해물이 없이 고압수를 통한 물 흐름층을 형성시켜 부유성이물질은 물론 경량이물질도 거의 완전하게 배출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과 재생골재의 품질이 향상되어 부가성이 상승됨은 물론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는 전부 제10 컨베어벨트 위에 얹혀서 물탱크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라인을 정지시키고 컨베어벨트의 보수, 부품교체 , 물탱크의 내부로부터 골재 등의 청소작업 등의 잦은 보수작업을 가할 필요가 없어 역시 탁월한 경제성과 생산성이 두드러지며, 물탱크 안에 가라앉아 퇴적되려는 성질을 지닌 이물질도 퇴적되지 않고 즉시 물탱크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또한 경제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 물탱크 안의 물이 어는 현상도 방지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우수하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은 개방되고, 하기의 제1 고압수분사장치(60) 및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와 물탱크 안의 상층부 물이 부유성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P)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P)에 연이어 하향으로 경사가 져서 물과 부유성 이물질이 물탱크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물 및 부유성 이물질 배출로(51a)를 가지는 물탱크(51)와;
    골재 및 부유성 이물질을 상기 물탱크(51) 안으로 추락시키는 제9 컨베어벨트(14)와;
    상기 물탱크(51)의 내측이고 상기 물탱크(51) 안의 수면(ℓ)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채 고압수공급관(61)에 고정된 분사노즐(62)들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하여 상기 제9 컨베어벨트(14)를 타고 골재와 함께 추락하는 부유성 이물질(100) 또는 경량 이물질(100a)들이 수면(ℓ) 아래로 갈아 앉지 못하고 물 흐름층(W2)에 실려서 상기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고압수분사장치(60)와;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와 상기 이물질들이 물탱크의 개방부(P)를 향하여 모이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곡선의 형태를 띤 채 물탱크에 고정되는 내측 물흐름유도판(53), 그리고 내측 물흐름유도판(53)과 대칭으로 고정되는 외측 물흐름유도판(52)과;
    상기 내측 물흐름유도판(53) 및 외측 물흐름유도판(52)의 각각 안쪽이며 수 면(ℓ) 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채 고압수를 개방부(P)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관체(71)와 상기 분사관체(71)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점점 감소되는 각도로 고정되는 제1 분사노즐(72), 제2 분사노즐(73), 제3 분사노즐(74)이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1 고압수분사장치(6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개방부(P)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이물질들이 갈아 앉지 않고 물 흐름층(W2)을 타고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하여 개방부(P)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고압수분사장치(70)들과;
    이물질들과 분리된 채 물탱크 안으로 추락한 골재들이 제2 조-크라샤(17)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 안에 경사진 채 설치되는 제10 컨베어벨트(15)와;
    물탱크 내부에 고정되는 정면수직판(81)에 일체로 연결되는 정면경사판(83) 그리고 상기 정면수직판(81)과 일체로 연결되는 좌우 대칭형 측면수직판(8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측면경사판(84)들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의 "∪"형 틈새(85)의 폭은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폭 보다 좁게 하여서, 이물질들과 분리된 채 물탱크 안으로 추락하는 골재들이 상기 제10 컨베어벨트(15)의 상면으로만 추락하여 물탱크 안에 누적되지 않도록하는 골재빠짐방지물(80)과;
    상기 물탱크의 하방을 관통하여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최소 몇 라인의 고압공기공급관(91)과 상기 고압공기공급관(91)들의 수직하방으로 고정되는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분출되는 고압공기가 물탱크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물탱크 안에 퇴적성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 상기 부유성이물질들과 함께 물탱크 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날개부(97)를 가지는 고압공기확산콘(96)이 콘 지지다리(98)에 의해 고정되고, 안쪽으로는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과의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1 확산부(9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산부(94)와 연한 채 상기 고압공기확산콘(96)의 확산날개부(97) 와의 사이에 더욱 좁은 틈새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2 확산부(95)를 가지고 상기 고압공기분배관(92)들과 각기 나사 조립이 되는 고압공기확산하우징(93)들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KR1020070011429A 2007-02-01 2007-02-01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KR10075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429A KR100752859B1 (ko) 2007-02-01 2007-02-01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429A KR100752859B1 (ko) 2007-02-01 2007-02-01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859B1 true KR100752859B1 (ko) 2007-08-29

Family

ID=3861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429A KR100752859B1 (ko) 2007-02-01 2007-02-01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03B1 (ko) 2007-02-01 2008-09-10 주식회사 푸른환경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경량이물질 제거장치
KR101071633B1 (ko) 2009-11-18 2011-10-10 현대환경산업(주) 부유물의 안정된 배출구조를 갖는 건설 폐기물의 분리 배출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404A (en) * 1989-08-28 1990-06-19 Destefano Gerard Water management system
KR19990009090U (ko) * 1997-08-14 1999-03-05 최대수 물탱크 산소공급장치
JP2003301452A (ja) * 2002-04-05 2003-10-24 Sanjo:Kk 高圧噴射攪拌工法
KR20040004294A (ko) * 2003-12-16 2004-01-13 천지환경주식회사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JP2004090147A (ja) * 2002-08-30 2004-03-25 Nidek Co Ltd 研削水タンク装置
KR200373580Y1 (ko) * 2004-11-02 2005-01-17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처리용 수조식 분리 세척장치
KR200381575Y1 (ko) * 2005-01-14 2005-04-14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폐 콘트리트 재생장치의 부유성 이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404A (en) * 1989-08-28 1990-06-19 Destefano Gerard Water management system
KR19990009090U (ko) * 1997-08-14 1999-03-05 최대수 물탱크 산소공급장치
JP2003301452A (ja) * 2002-04-05 2003-10-24 Sanjo:Kk 高圧噴射攪拌工法
JP2004090147A (ja) * 2002-08-30 2004-03-25 Nidek Co Ltd 研削水タンク装置
KR20040004294A (ko) * 2003-12-16 2004-01-13 천지환경주식회사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73580Y1 (ko) * 2004-11-02 2005-01-17 신잔토개발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처리용 수조식 분리 세척장치
KR200381575Y1 (ko) * 2005-01-14 2005-04-14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폐 콘트리트 재생장치의 부유성 이물질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03B1 (ko) 2007-02-01 2008-09-10 주식회사 푸른환경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경량이물질 제거장치
KR101071633B1 (ko) 2009-11-18 2011-10-10 현대환경산업(주) 부유물의 안정된 배출구조를 갖는 건설 폐기물의 분리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US114719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contaminated material, and glass cullet produced thereby
US5110454A (en) Apparatus for reclaiming gravel, soil particles and wood pieces from a mixture of the same
KR20040004294A (ko)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CN110064630A (zh) 粒子射流冲击管道清洗装置
CN106470763B (zh) 用于分离固体材料的装置
KR100752859B1 (ko) 건축폐자재 재생라인의 부유성이물질 분리 및 배출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101119068B1 (ko) 폐비닐을 활용한 고체연료화 설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화 방법
JP3973716B2 (ja) 骨材に混入した軽質物質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674006B1 (ko)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CN212759140U (zh) 一种浮选装置
KR10173911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중 발생되는 폐기물의 펌프식 이물질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조식 골재 처리 시설
KR102270489B1 (ko)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순환골재로 재활용하거나, 쇄석골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 및 골재 세척장치
JP2004243168A (ja) 砂利からの木屑等の異物除去方法
KR200381575Y1 (ko) 폐 콘트리트 재생장치의 부유성 이물질 분리장치
CN110815594B (zh) 一种石材切割废料的收集机构
CN209189201U (zh) 一种振动式砂石分离机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850674B1 (ko) 계단형 진동 스크린과 분할형 임팰러를 이용한 순환 굵은골재 박리 장치
KR100485532B1 (ko) 건축폐기물의 부유불순물 분리수거 유닛
JPS63218265A (ja) 砂利水洗装置
KR20010007708A (ko)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JPH1176858A (ja) 骨材に混入した軽質物質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