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116B1 -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116B1
KR100752116B1 KR1020060024092A KR20060024092A KR100752116B1 KR 100752116 B1 KR100752116 B1 KR 100752116B1 KR 1020060024092 A KR1020060024092 A KR 1020060024092A KR 20060024092 A KR20060024092 A KR 20060024092A KR 100752116 B1 KR100752116 B1 KR 100752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swivel joint
pressure hose
air mo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국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02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8Office articles, e.g. bookmarks, desk lamps with drawers, stands for books or music sc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에 축적된 고강도 스케일(scale)을 제거하는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 상기 에어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에어모터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 상기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되며 물을 펌핑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직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물이 펌핑되는 고압호스;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무단 변속기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스위블 조인트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고압호스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추진체; 상기 고압호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호스 내로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에서와 같이 엘보우 형태로 되어 유체를 펌핑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펌프와 고압호스를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유체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압으로 물을 분사되도록 하여 배관 내에 달라붙은 고강도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분사력이 향상되고, 스위블 조인트 내의 엘보우의 마모현상이 없으며 펌프의 효율증대와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결식으로 됨으로써 연결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마모가 적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압호스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스위블 조인트, 동력전달장치, 추진체, 체인, 워엄, 워엄기어

Description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Removing Apparatus of High Strength Scal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배관 스케일 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추진체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스케일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스위블 조인트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의 에어모터와 변속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관 2: 스케일
10: 프레임 11: 이동바퀴
20: 에어모터 21: 방향전환밸브
22: 워엄 30: 무단 변속기
40: 고압펌프 50: 스위블 조인트
51: 워엄기어 60: 고압호스
70: 동력전달장치 71: 구동 스프라켓
72: 종동 스프라켓 73: 연결 체인
80: 추진체 81: 지지대
82: 추진롤러 83: 분리판
84: 고정레버 90: 분사부
본 발명은,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통과되는 배관 내에 끼인 스케일(scale)을 제거하는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내벽에 부착되어 고체화된 스케일은 물 또는 화학약품을 고압의 공기와 함께 배관내로 분사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거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스케일 제거시 배관내의 잔류하고 있던 액체 또는 기체를 완전히 제거하고 배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배관의 양측이 서로 통하게 한 후 화학약품을 공기와 함께 분사시키면 스케일이 약품에 의해 용해되면서 분사 방향의 반대측으로 밀려나가 제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배관스케일의 제거 작업시 배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해 주어야함은 물론 스케일 제거 후에는 유니온과 같은 부품을 이용하여 절단부분을 다시 연결해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공기 분사기와 같은 부수적인 장비가 필요하여 시공이 불편하였으며, 스케일의 용해를 위한 약품이 배관까지 용해시켜 배관의 손상을 초래함은 물론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배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배관내에 끼인 스케일을 제거하는 스케일 제거기(특허등록 10-0479380호)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스케일 제거기는 저면에 이동 가능하게 바퀴가 달린 본체(111)에 노즐이 고정된 고압호스(11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추진체(135)의 구동에 따라 고압호스(116)를 이송시키면서 배관(109)내에 끼인 스케일을 제거하는 배관내 스케일 제 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11)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모터(113)와; 상기 에어모터(113)와 호스로 연결되게 본체(111)에 설치되어 에어모터(11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113)의 회전방향을 절환시키는 방향절환밸브(115)와; 상기 에어모터(113)의 축에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에어모터(113)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118)와; 상기 무단 변속기(118) 축(118a)에 커플링으로 연결되며 중심부에 통공(120a)이 형성된 축(120)과, 상기 축(120)에 형성된 통공(120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패킹(125)과, 상기 축(120)에 형성된 통공(120a)의 외주면에 차례로 설치된 케이지(126) 및 코일스프링(127)과, 상기 패킹(125)의 양단에 설치된 서포트 링(128)과, 상기 케이지(126)의 외측에 감싸여지게 설치되며 스이블 죠인트(121)의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되는 캡(130)과, 상기 축(120)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고압호스(116)가 컨넥터(122)에 의해 연결되는 인렛(132) 및 백링(133)과, 상기 인렛(132) 및 백링(133)을 감싸는 링(134)으로 이루어진 스이블 죠인트(121)와; 상기 스이블 죠인트(121)의 백링(133)에 컨넥터(122)로 연결되며 선단에는 노즐이 고정된 고압호스(1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일 제거기는 추진체(135)에 의해 고압호스(116)가 일정 궤적을 그리며 추진되는 과정에서 고압호스(116)의 선단에 고정된 노즐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사되므로 직선배관은 물론이고 곡관까지도 배관의 내벽에 끼인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스케일 제거기는 먼저 호스(129)를 통해서 스위블 죠인트(121) 내부로 기체가 공급되고 스위블 죠인트(121)로 공급된 기체는 고압호스(116)를 통해 이동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케일 제거기는 스위블 죠인트(121)와 호스(129)가 90° 엘보우 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호스(129)를 통해 스위블 죠인트(121) 내로 기체가 공급되어 고압호스(116)를 통해 이동되게 될 때 많은 손실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케일 제거기는 스위블 죠인트(121)와 호스(129)가 90° 엘보우 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이물질이 축적되어 스위블 죠인트(121)로의 유체의 이동에 방해가 되므로 노즐의 분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되는 유체의 손실을 방지하여 고압으로 물을 분사되도록 하여 고강도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의 파손을 방지하고 연결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마모가 적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 상기 에어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에어모터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 상기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되며 물을 펌핑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직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고압호스;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무단 변속기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스위블 조인트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고압호스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추진체; 상기 고압호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호스 내로 펌핑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무단 변속기의 축 단부에 구비된 구동 스프라켓; 상기 스위블 조인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연동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여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스프라켓에 전달시키는 연결 체인;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며 축 단부에 워엄이 형성된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와 워엄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모터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 상기 에어모터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 상기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되며 물을 펌핑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직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고압호스; 상기 스위블 조인트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된 고압호스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워엄과 치합되는 워엄기어; 상기 고압호스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추진체; 상기 고압호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호스 내로 펌핑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본 발명의 추진체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 어 고압호스를 감싸며 상기 고압호스의 전후진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어 회전에 의해 상기 고압호스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3개의 추진롤러; 상기 3개의 추진롤러 중 어느 하나의 추진롤러가 구비되며 이 추진롤러가 고압호스와 접하도록 하거나 상기 고압호스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에 구비된 추진롤러가 상기 고압호스와 접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위블 조인트와 고압호스는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추진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스케일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는 프레임(10);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에어모터(20); 에어모터(2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21); 에어모터(20)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30); 펌프(40); 상기 펌프(40)와 직결되는 스위블 조인트(50); 펌프(40)에 의해 물이 펌핑되는 고압호스(60); 상기 스위블 조인트(50)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70); 상기 고압호스(60)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추진체(80); 상기 고압호 스(60) 내로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90); 상기 프레임(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11); 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에어모터(20)와 무단 변속기(30)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11)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모터(20)는 상기 프레임(10) 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되게 된다. 상기 에어모터(20)에는 상기 에어모터(2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2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21)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절환밸브(21)는 상기 고압호스(60)가 전진하면서 배관(1)내에 끼인 고강도 스케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선단에 고정된 분사부(90)에 스케일(2)에 끼여 추진되지 않을 경우 에어모터(20)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고압호스(60)를 배관(1)으로부터 강제로 빼낼 때 사용되게 된다.
상기 에어모터(20)의 축은 무단 변속기(30)와 연결된다.
상기 무단 변속기(30)는 상기 에어모터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40)는 상기 프레임과는 별도로 설치되며 고압의 물을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40)는 차량 등에 탑재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펌프(40)는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50)를 거쳐 스위블 조인트(50)와 연결된 고압호스(60)를 통해 물이 펌핑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펌프(40)에 의해 펌핑된 물이 90° 엘보우를 통해 펌핑되어 유체손실을 가져오게 되며 분사력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펌프(40)를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손실이 거의 없도록 하여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40)를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직결식으로 됨으로써 연결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마모가 적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압호스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고압호스(60)는 착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호스(60)는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되어 상기 펌프(40)에 의해 물이 펌핑되게 된다. 상기 고압호스(60)의 단부에는 상기 고압호스(60) 내로 펌핑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90)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70)는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무단 변속기(3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고압호스(60)와 연결된 상기 스위블 조인트(50)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70)가 스위블 조인트(5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된 고압호스(60)가 회전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장치(70)는 고압호스(60)와 직결된 스위블 조인트(5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체인구동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구성은 상기 무단 변속기(30)의 축 단부에 구비된 구동 스프라켓(71)과,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연동되는 종동 스프라켓(72) 및 상기 구동 스프라켓(71)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72)을 연결하여 구동 스프라켓(71)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스프라켓(72)에 전달시키는 연결 체인(73)으로 되 어 있다.
상기 추진체(80)는 상기 고압호스(60)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진체(80)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대(81)와, 상기 지지대(81)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고압호스(60)를 감싸며 상기 고압호스(60)의 전후진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어 회전에 의해 상기 고압호스(6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3개의 추진롤러(82)와, 상기 3개의 추진롤러(82) 중 어느 하나의 추진롤러(82)가 구비되며 이 추진롤러(82)가 고압호스(60)와 접하도록 하거나 상기 고압호스(6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분리판(83) 및 상기 분리판(83)에 구비된 추진롤러(82)가 상기 고압호스(60)와 접하도록 상기 지지대(81)에 고정시키는 고정레버(8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추진롤러(82)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됨으로써 회전되는 고압호스(6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추진롤러(82)는 고압호스(60)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 반대방향으로 각도를 이루게 된다.
도 6의 (A)에서는 고압호스(60)가 전진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의 (B)에서는 고압호스(60)가 후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고압호스(60)를 전진시키는 분리판(83)을 상기 지지대(81)에 고정레버(84)로 고정시키게 되면 추진롤러(82)에 의해 고압호스(60)가 전진되게 되며, 반대로 상기 고압호스(60)를 후진시키는 경우에는 고압호스(60)를 전진시키는 분리판(83)을 이격시키고 후진시키는 분리판(83)을 지지대에 고정레버(84)로 고정시키면 전진시와 반대방향의 각도를 이루는 추진롤러(82)에 의해 고압호스(60)가 후진되게 된다.
상기 고압호스(60)를 전진시킬 경우에는 상기 분리판(83)을 전진시키는 추진롤러(82)가 감싸도록 고정레버(84)로 고정시키게 되면 고압호스(60)가 서서히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갖게 된다.
상기 분사부(90)는 상기 고압호스(6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호스(60) 내로 펌핑된 고압의 물을 노즐에 의하여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호스(60)는 상기 동력전달장치(7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추진체(80)에 의해 전진하게 되어 배관내의 고강도 스케일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부(90)는 전진방향의 분사구 외에 상기 고압호스(60) 내로 펌핑된 물이 배관의 내주면으로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방사형으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거된 스케일이 배관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관의 후방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호스(60)는 플랙시블(flexible)하여 곡관인 경우에도 상기 추진체(80)에 의해 지속적으로 추진력을 갖으며 배관(1)내의 고강도 스케일(2)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스위블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는 에어모터(20)의 축 단부에 워엄(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블 조인트(50)에는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된 고압호스(6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워엄(22)과 치 합되는 워엄기어(51)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에어모터(20)가 회전하게 되면 에어모터(20)의 축 단부에 형성된 워엄(2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워엄(22)과 치합되는 워엄기어(51)가 회전되게 되며, 워엄기어(51)와 결합된 스위블 조인트(5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된 고압호스(60)가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에어모터(20)는 스위블 조인트(50)의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전술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와는 달리 스위블 조인트의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무단 변속기(30)는 상기 에어모터(20)와 워엄(22)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모터(20)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블 조인트(50)는 고압호스가 결합되는 방향에 워엄기어(51)가 결합되게 되어 연동되게 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된 고압호스(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고압호스(60)의 전진 및 후진은 추진체(80)에 의해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외의 프레임(10), 방향전환밸브(21), 고압호스(60), 추진체(80), 분사부 및 이동바퀴(11)의 구성은 전술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의 에어모터와 변속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형태의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는 에어모터(20)가 변속기(30)와 연결되며, 변속기(30)의 축 단부에 구동기어(31)가 형성되어 있고, 감속기(35)에는 상기 구동기어(31)에 의해 감속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36)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36)에는 축공(37)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37)에는 상기 스위블 조인트(50)가 관통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50)는 상기 종동기어(36)와 연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위블 조인트(50)와 직결된 고압호스(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는 종래에서와 같이 엘보우 형태로 되어 유체를 펌핑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펌프와 고압호스를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유체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압으로 물을 분사되도록 하여 배관 내에 달라붙은 고강도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분사력이 향상되고, 스위블 조인트 내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방지되며 펌프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펌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결식으로 됨으로써 연결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마모가 적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압호스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
    상기 에어모터의 축과 연결되어 에어모터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
    상기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되며 물을 펌핑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직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고압호스;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무단 변속기와 연동되도록 상기 무단 변속기의 축 단부에 구비된 구동 스프라켓, 상기 스위블 조인트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연동되는 종동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여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 스프라켓에 전달시키는 연결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위블 조인트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고압호스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추진체;
    상기 고압호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호스 내로 펌핑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펌프, 스위블 조인트 및 고압호스는 순차적으로 일직선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며 축 단부에 워엄이 형성된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와 워엄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모터의 회전을 변속시키는 무단 변속기;
    상기 에어모터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로를 변경하여 에어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밸브;
    상기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되며 물을 펌핑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직결되는 스위블 조인트;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고압호스;
    상기 스위블 조인트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와 직결된 고압호스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워엄과 치합되는 워엄기어;
    상기 고압호스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추진체;
    상기 고압호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호스 내로 펌핑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바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펌프, 스위블 조인트 및 고압호스는 순차적으로 일직선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024092A 2006-03-15 2006-03-15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KR10075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92A KR100752116B1 (ko) 2006-03-15 2006-03-15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92A KR100752116B1 (ko) 2006-03-15 2006-03-15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116B1 true KR100752116B1 (ko) 2007-08-24

Family

ID=3861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092A KR100752116B1 (ko) 2006-03-15 2006-03-15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1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943B1 (ko) 2010-02-18 2010-12-02 듀라케미 (주) 관체의 2액형 도장장치
KR101020651B1 (ko) 2010-12-01 2011-03-09 (주)우암건설 관로 내부의 스케일 제거공법
KR200457770Y1 (ko) 2010-09-20 2012-01-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폐기물 공급배관의 막힘 방지장치
CN108325956A (zh) * 2018-03-20 2018-07-27 中国石油集团渤海石油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大口径钢管内壁除尘除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2684U (ko) 1987-01-30 1988-08-09
KR20020090170A (ko) * 2002-08-17 2002-11-30 유한기술주식회사 배관내 스케일 제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2684U (ko) 1987-01-30 1988-08-09
KR20020090170A (ko) * 2002-08-17 2002-11-30 유한기술주식회사 배관내 스케일 제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943B1 (ko) 2010-02-18 2010-12-02 듀라케미 (주) 관체의 2액형 도장장치
KR200457770Y1 (ko) 2010-09-20 2012-01-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폐기물 공급배관의 막힘 방지장치
KR101020651B1 (ko) 2010-12-01 2011-03-09 (주)우암건설 관로 내부의 스케일 제거공법
CN108325956A (zh) * 2018-03-20 2018-07-27 中国石油集团渤海石油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大口径钢管内壁除尘除锈装置
CN108325956B (zh) * 2018-03-20 2023-04-18 中国石油集团渤海石油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大口径钢管内壁除尘除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341B1 (ko) 노후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0656095B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관로세척장치
CN106513390B (zh) 一种管道清洗方法及所用的遥控旋洗式管道清洗机器人
KR100752116B1 (ko) 고강도 스케일 제거장치
KR101913373B1 (ko) 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공법
US6128799A (en) Conduit interior smoothing device
KR100863263B1 (ko) 노후관로 갱생장치 및 방법
KR101831271B1 (ko) 관로 보수장치
KR100730374B1 (ko) 관로의 세척장치
KR102259539B1 (ko) 고압에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0991297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
JP5526310B2 (ja) 配管内作業装置および方法
KR101364473B1 (ko) 다목적 수중 청소로봇
CN112893346A (zh) 一种管内复合式可视化自动化除垢装置及除垢方法
KR100883682B1 (ko) 각관 표면 세척 장치
KR101709528B1 (ko) 스케일 제거장치
KR20070105231A (ko) 하이드로 블래스팅 세륜기
KR100528682B1 (ko) 토양굴삭공구, 스위블, 접속장치 및 지반개량공법
CN217070005U (zh) 一种自走式管道内部清洗装置
KR100479380B1 (ko) 배관내 스케일 제거기
CN102864837A (zh) 一种新型多功能机械清理排污管道装置
CN113653173A (zh) 一种基于市政工程的排水管道污泥处理装置
KR102025829B1 (ko) 관로 지장물 제거장치
KR20110002824U (ko) 유체공급 노즐 스크레이퍼
CN219442785U (zh) 一种水利工程用管道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