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370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370B1
KR100751370B1 KR1020060021847A KR20060021847A KR100751370B1 KR 100751370 B1 KR100751370 B1 KR 100751370B1 KR 1020060021847 A KR1020060021847 A KR 1020060021847A KR 20060021847 A KR20060021847 A KR 20060021847A KR 100751370 B1 KR100751370 B1 KR 10075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substrate
electrode portions
discharge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항
장태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Landscapes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방전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광 반사휘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방전공간을 복수의 방전셀들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기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제1 방전전극부들과, 상기 제1 방전전극부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전극부들을 구비한 X 전극; 상기 제1 기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방전전극부들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방전전극부들과, 상기 제2 방전전극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전극부들 구비하고, 상기 X 전극과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Y 전극; 상기 제2 기판을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전전극부들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도포되며, 적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및 청색 발광 형광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의 폭이 상기 적색 또는 녹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의 폭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부분 분해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0: 제1 기판 111: 제1 방전전극
111a, 111b, 111c: X 전극측 방전전극부
111d, 111e, 111f: X 전극측 연결전극부
112: 제2 방전전극부
112a, 112b, 112c: Y 전극측 방전전극부
112d, 112e, 112f: Y 전극측 연결전극부
114: 방전셀 115: 제1 유전체층
116: 보호층 120: 제2 기판
121, 122: 어드레스전극 123: 제2 유전체층
124: 격벽 125: 형광체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투명전극을 구비하지 않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색온도를 향상시키며, 방전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외광 반사휘도를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을 갖는 고화질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서 가스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공간을 복수의 방전셀로 구획하는 격벽, 방전셀 내에 충전되어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가스, 방전셀 내에 도포되는 형광체 및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들을 구비한다.
각 방전셀에는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 형광체(이하, R,G,B 형광체라고 하며, R,G,B 형광체가 각각 도포된 방전셀을 각각 R,G,B 방전셀이라 한다) 중 어느 하나의 형광체로 이루어진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광체층들은 R, G, B 형광체가 연속적으로 인접해 있는 각 방전셀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도포됨으로써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들간에 인가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하여 방전셀 내의 방전가스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방전가스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 이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생시킴으로서 화상을 구현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로서 휘도와 색온도가 있다. 휘도(brightness)는 밝기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높은 휘도일수록 바람직하다. 그리고, 색온도(color temperature)는 색이 얼마나 뜨거운 느낌을 주는지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밝고 차가우며 푸른색을 띄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푸른 빛을 띄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는 높은 색온도가 요구된다. 그런데, 상기 RGB 형광체중 B 형광체는 방전 가스의 특성에 의하여 G나 R 형광체에 비하여 발광 효율이 낮고 휘도가 낮다. 일반적으로 RGB 형광체간의 휘도비는 약 28:62:10이다. 이러한 각 형광체별 휘도의 차이는 색온도(color temperature)를 낮게 만들므로 색온도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 색온도의 보정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감마 조정을 통하여 색온도를 향상시키는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이 있다. 감마 보정은 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R 방전셀과 G 방전셀에서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보정이다. 이를 위하여 감마 보정에서는 R 방전셀과 G 방전셀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의 계조값을 디지털화하기 이전에 낮추는 보정을 한다. 이러한 보정을 행함으로써, R 방전셀과 G 방전셀의 최고 휘도를 내는 유지 펄스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휘도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색온도가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휘도를 희생하여 색온도를 향상시키는 방식이므로 플 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휘도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R 방전셀과 G 방전셀의 최고 밝기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유지 펄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계조(gray scale)표현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색온도를 보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각 R,G,B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의 배치를 달리하여 R 방전셀, G 방전셀 및 B 방전셀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만드는 비대칭 방전셀 구조가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휘도가 높은 G 방전셀의 크기를 다른 방전셀에 비하여 작게 하는데, 그럼으로써 G 방전셀의 방전공간이 줄어들고 약한 방전이 일어나서 G 방전에서의 휘도를 줄여서 색온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어드레스 방전이나 유지 방전 과정에서 R, G, B 방전셀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되어 방전의 불균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오방전이 발생하거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한 전압 설계 마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방전셀의 유지방전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색온도 및 방전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광 반사휘도를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방전공간을 복수의 방전셀들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기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제1 방전전극부들과, 상기 제1 방전전극부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전극부들을 구비한 X 전극; 상기 제1 기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방전전극부들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방전전극부들과, 상기 제2 방전전극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전극부들 구비하고, 상기 X 전극과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Y 전극; 상기 제2 기판을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전전극부들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도포되며, 적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및 청색 발광 형광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의 폭이 상기 적색 또는 청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의 폭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시한다.
그리고,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전극들의 폭이 상기 적색 또는 청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전극들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분리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패널(100)과 배면 패널(200)을 구비하며, 전면 패널(100)과 배면 패널(200)은 정렬되어 합착된다.
전면 패널(100)을 구성하는 제1 기판(110)에는 복수의 유지전극쌍(111, 112) 이 제1 기판(110)을 가로질러 길게 연장된어 형성된다. 하나의 유지전극쌍(111, 112)은 X 전극(111)과 Y 전극(112)으로 구성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X 전극(111)은 X 전극측 제1 방전전극부(111a), X 전극측 제2 방전전극부(111b) 및 X 전극측 제3 방전전극부(111c)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X 전극이 세 개의 방전전극부(111a,111b,111c)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X 전극측의 방전전극부(111a,111b,111c)와 Y 전극측의 방전전극부(112a,112b,112c)가 유지방전시 방전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간격을 유지하고 전류를 흘려주기만 하면 상관없다. 따라서, 방전전극부(111a,111b,111c)의 개수는 중요하지 아니하며, 2개 또는 4개의 방전전극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전전극부(111a)와 제2 방전전극부(111b)는 연결전극부(111d,111e,111f)와 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전극부(111d,111e,111f)는 R 방전셀(114a), G 방전셀(114b) 및 B 방전셀(114c)의 각각 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G 방전셀(114b)에 대응하는 X 전극측 연결전극부(111e)의 폭은 R 방전셀(114a) 또는 B 방전셀(114c)에 대응하는 X 전극측 연결전극부(111d, 111f)의 폭보다 넓다.
한편, X 전극측의 제1 방전전극부(111a)의 중앙부는 방전셀(114a, 114b, 114c)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Y 전극(112)과의 유지방전시 X 전극측의 제1 방전전극부(111a)와 Y 전극측의 제1 방전전극부(112a) 사이에 롱 갭(long gap)을 형성함으로써 방전공간을 늘려서 발광 효율을 높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X 전극측의 제1 방전전극부(111a)에 굴곡이 형성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Y 전극(112)은 Y 전극측 제1 방전전극부(112a), Y 전극측 제2 방전전극부(112b) 및 Y 전극측 제3 방전전극부(112c)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Y 전극이 세 개의 방전전극부(112a,112b,112c)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X 전극측의 방전전극부(111a,111b,111c)와 Y 전극측의 방전전극부(112a,112b,112c)가 유지방전시 방전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간격을 유지하고 전류를 흘려주기만 하면 상관없다. 따라서, 방전전극부의 개수는 중요하지 아니하며, 2개 또는 4개의 방전전극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전전극부(112a)와 제2 방전전극부(112b)는 연결전극부(112d,112e,112f)와 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전극부(112d,112e,112f)는 R 방전셀(114a), G 방전셀(114b) 및 B 방전셀(114c)의 각각 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G 방전셀(114b)에 대응하는 Y 전극측 연결전극부(112e)의 폭은 R 방전셀(114a) 또는 B 방전셀(114c)에 대응하는 Y 전극측 연결전극부(112d, 112f)의 폭보다 넓다. 그리고, X 전극(111)에서와 마찬가지로 Y 전극측의 제1 방전전극부(112a)의 중앙부는 방전셀(114)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X 전극(111) 및 Y 전극(112)은 불투명이면서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전극이다. X 전극(111) 및 Y 전극(112)의 소재에 있어서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전기전 도성이 좋은 Cr-Cu-Cr, Ag등의 성분을 포함한 불방전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전극(111)과 Y 전극(112)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 격벽(124a)보다 방전셀(114)의 중앙부쪽으로 배치된다. 즉, X 전극측의 제3 방전전극부(111c)와 Y 전극측의 제3 방전전극부(112c)가 방전셀(114)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X 전극(111) 또는 Y 전극(112)의 일부가 가로 격벽(124a)의 일부분과 겹치면서 방전셀(114)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이중 격벽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 수 있다. 이중 격벽 구조란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방전셀(114)들의 상부와 하부에 실제로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비방전셀이 존재하는 구조이다. 즉, 방전셀의 가로 격벽(124a)이 이중으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비방전셀의 크기는 방전셀의 크기에 비하여 훨씬 작으므로 실질적으로 해상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아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G 형광체가 도포된 G 방전셀(114b)에 대응하는 X 전극측 연결전극부(111e) 및 Y 전극측 연결전극부(112e)의 폭이 다른 방전셀에 대응하는 X 전극측 연결전극부(111d, 111f) 및 Y 전극측 연결전극부(112d, 112f)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G 방전셀(114b)에서의 개구율이 감소됨으로써 유지 방전동안 인가되는 하나의 유지펄스에 해당하는 발광되는 광의 양 즉, 단위광이 감소된다. 그 결과, G 방전셀(114b)의 휘도가 줄어들어 저계조 표현이 용이하고, R 방전셀(114a)과 B 방전셀(114c)에서의 휘도와 비슷해져 전체적으로 색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G 방전셀(114b)에서의 개구율이 감소됨으로써 흑부율이 증가되어 외광 반사휘도를 저감시킨다. 그럼으로써 그럼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R 방전셀(114a)에도 G 방전셀(114b)에서와 같이 R 방전셀(114a)에 대응하는 연결전극부(111d, 112d)의 폭이 B 방전셀(114c)에 대응하는 연결전극부(111f, 112f)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왜냐하면, 방전셀(114)의 휘도 크기를 비교하면 G 방전셀(114b), R 방전셀(114a) 그리고 B 방전셀(114c)의 순서이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여 색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 때, R 방전셀(114a)에 대응하는 연결전극부(111d, 112d)의 폭이 G 방전셀(114b)에 대응하는 연결전극부(111f, 112f)의 폭보다는 작아야 한다.
제1 기판(110)에는 유지전극쌍(111,112)을 매립하도록 제1 유전체층(115)이 도포된다. 제1 유전체층(115)은 절연체로서, 방전할 때에는 콘덴서로 작용한다. 그리고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벽전하가 형성됨으로써 메모리 기능을 수행한다. 방전셀(114)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이 제1 기판(110)측을 투과하여 영상을 형성할 때에는 제1 유전체층(115)은 광 투과율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제1 유전체층(115) 위에는 보호막(116)이 도포되어 있다. 보호막(116)은 방전시 2차 전자의 방출을 증가시켜 방전을 용이하게 하며, 제1 유전체층(115)의 표면을 보호함으로써 유지전극쌍(111,112)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막(116)은 높은 투과성, 내 스퍼터링(sputtering)성, 낮은 방전 전압, 넓은 메모리 마진 및 구동 전압 안정성 등이 요구되는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일 실시예로서 산화 마그네슘(MgO)이 사용될 수 있다.
배면 패널(200)을 구성하는 제2 기판(120)에는 복수의 어드레스전극(121,122)이 유지전극쌍(111,11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기판(120)에는 어드레스전극(121,122)을 매립하는 제2 유전체층(123)이 도포된다. 제2 유전체층(123)은 제1 유전체층(115)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방전셀(114)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이 제1 기판(110)측으로 투과할 때에는 제2 유전체층(123)은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질 필요가 없으며, 가시광을 제1 기판(110)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가시광이 제2 기판(120)측으로 투과되어 나갈 때에는 제2 유전체층(123)은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R 방전셀(114a), G 방전셀(114b) 및 B 방전셀(114c)마다 각각 어드레스전극(121, 122, 121)이 하나씩 배치되는데, 이 중 G 방전셀(114b)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122)의 폭이 다른 방전셀(114a,114c)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121)의 폭보다 크다. 어드레스전극(121,122)과 유지전극의 연결전극부(112d, 112e, 112f)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즉, 어드레스전극(121,122)과 유지전극의 연결전극부(112d, 112e, 112f)는 방전셀(118)의 가로 방향으로의 중심에 위치된다. 그리고, G 방전셀(114b)에서만 어드레스전극(122)과 유지전극의 연결전극부(112e)가 겹지는 부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오방전이나 저방전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G 방전셀(114b)에서 방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G 방전셀(114b)에서 어드레스전 극(122)의 폭이 증가함으로써 G 방전셀(114b)에서 어드레스방전을 개시하는 방전개시전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2 유전체(123)상에는 방전공간을 구획하여 방전셀(114)들을 형성하는 격벽(124)이 형성된다. 격벽(1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격벽(124a)과 세로 격벽(124b)으로 구성된 매트릭스(matrix) 타입 격벽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스트라이프(stripe) 타입의 격벽일 수 있으며,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나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격벽일 수도 있다. 격벽(124)은 전면 패널(100)과 배면 패널(200)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방전셀(118a, 118b, 118c)간의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방지한다.
각 방전셀(114a, 114b, 114c)의 내에는 R 형광체(125a), G 형광체(125b) 및 B 형광체(125c)가 순서대로 도포된다. 형광체층(125)은 격벽(124)에 의해 구획된 방전셀(114) 내벽과 바닥에 도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형광체층(125)에서는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이 흡수됨으로써 여기되는 전자가 다시 안정 상태로 될 때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PL(Photo Luminescence) 발광 메커니즘이 일어나게 된다. R 형광체(125a)로서는 Y0.66Gd0.35BO3:Eu3, Y2O3:Eu 또는 GdBO3:Eu 등을 사용할 수 있다. G 형광체(125b)로서는 Zn2SiO4:Mn, BaAl12O19:Mn, YBO3:Tb 등을 사용할 수 있다. B 형광체(125c)로서는 BaMgAl10O17:Eu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G 형광체 (125b)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의 휘도가 B 형광체(125c)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의 휘도보다 높은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합착한 후에는, 조립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 공간이 공기로 가득 차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내의 공기를 완전히 배기하여, 방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적정한 방전 가스를 채워 넣는다. 방전가스로는 흔히 Ne-Xe, He-Xe, He-Ne-Xe 등의 혼합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유지 방전시 각 방전셀(114)에서는 여기된 방전가스가 안정화 되면서 자외선이 발생하며, 자외선이 각 방전셀(114)에 도포된 R 형광체(125a), G 형광체(125b) 및 B 형광체(125c)를 여기시킨다. 따라서, 각 방전셀(114)에서는 여기된 형광체(125)에서 발생된 적색 가시광, 녹색 가시광 및 청색 가시광이 각각 투과되어 나옴으로써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소들이 모여서 하나의 화상을 형성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지전극쌍(111,112)이 형성된 제1 기판(110)으로 가시광선이 투과되어 화상을 보여주는 반사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제2 기판(120)으로 가시광선이 투과되어 화상을 보여주는 투과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G 방전셀에 대응하는 유지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색온도 및 방전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광 반사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방전공간을 복수의 방전셀들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기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제1 방전전극부들과, 상기 제1 방전전극부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전극부들을 구비한 X 전극;
    상기 제1 기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방전전극부들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방전전극부들과, 상기 제2 방전전극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전극부들 구비하고, 상기 X 전극과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Y 전극;
    상기 제2 기판을 가로질러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방전전극부들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어드레스전극들;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도포되며, 적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및 청색 발광 형광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의 폭이 상기 적색 또는 청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의 폭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의 폭이 상기 적색 또는 청색 발광 형광체층이 도포된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의 폭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방전전극부의 부분과 상기 제2 방전전극부의 부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은 각각 상기 각 방전셀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방전전극부들의 중앙을 연결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전극부들은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X 전극 및 Y 전극들을 매립하도록 상기 제1 기판에 도포되는 제1 유전 체층;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매립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도포되는 제2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유전체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유전체층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21847A 2006-03-08 2006-03-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47A KR100751370B1 (ko) 2006-03-08 2006-03-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47A KR100751370B1 (ko) 2006-03-08 2006-03-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370B1 true KR100751370B1 (ko) 2007-08-22

Family

ID=3861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47A KR100751370B1 (ko) 2006-03-08 2006-03-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3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326A (ja) 1996-09-13 1998-04-10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050298A (ja) 1999-06-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表示装置
JP2002056781A (ja) 2000-05-31 2002-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24887A (ko) * 2000-08-18 2003-03-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방전패널
KR20040048173A (ko) * 2002-12-02 2004-06-07 현대 프라즈마 주식회사 효율적 방전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326A (ja) 1996-09-13 1998-04-10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050298A (ja) 1999-06-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表示装置
JP2002056781A (ja) 2000-05-31 2002-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0024887A (ko) * 2000-08-18 2003-03-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방전패널
KR20040048173A (ko) * 2002-12-02 2004-06-07 현대 프라즈마 주식회사 효율적 방전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607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501054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41317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9184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84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7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0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41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28036A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0601928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302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9646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827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576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9510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243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