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703B1 -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703B1
KR100749703B1 KR1020057019783A KR20057019783A KR100749703B1 KR 100749703 B1 KR100749703 B1 KR 100749703B1 KR 1020057019783 A KR1020057019783 A KR 1020057019783A KR 20057019783 A KR20057019783 A KR 20057019783A KR 100749703 B1 KR100749703 B1 KR 10074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tring
decoded
code
signal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268A (ko
Inventor
아츠시 무라시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73Transcoding, i.e. converting between two coded representations avoiding cascaded coding-decoding

Abstract

음성 복호 장치 (1) 는,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하고,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음성을 어느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얻은 부호를, 다른 방식에 의해 복호 가능한 부호로 저연산량으로 변환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CODE CONVERSION METHOD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배경기술
본 발명은, 음성 신호를 저 비트 레이트로 전송 또는 축적하기 위한 부호화 및 복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을, 어떤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얻은 부호를 다른 방식에 의해 복호 가능한 부호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음성 신호를 중, 저 비트 레이트에서 고능률로 부호화하는 방법으로서, 음성 신호를 선형예측 (Linear Prediction : LP) 필터와 그것을 구동하는 여진 신호로 분리하여 부호화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의 하나로서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ELP) 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 M. R. Schroeder and B.S Atal: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 High quality speech at very low bit rates, "Proc.of IEEE Int. Conf.on Acoust.,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p.937-940,1985). CELP 는, 입력 음성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LP 계수가 설정된 LP 필터를, 입력 음성의 피치 주기를 나타내는 적응 코드북 (Adaptive Codebook : ACB) 과, 난수나 펄스로 이루어진 고정 코드북 (Fixed Codebook : FCB) 의 합으로 표시되는 여진 신호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합성 음성 신호를 얻는 수법이다. 상기 ACB 성분과 상기 FCB 성분에는 각각 게인 (ACB 게인과 FCB 게인) 을 곱하는 연산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예를 들어, 3G 이동체망과 유선 패킷망 사이의 상호 접속을 상정한 경우, 각 망에서 사용되는 표준 음성 부호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접속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한 해결수법으로서, 탠덤 (tandem) 접속이 고려되고 있다.
여기서, 도 5 를 참조하면, 도 5 에는, 제 1 음성 부호화 방식 (방식 1) 을 사용하여 음성을 부호화하여 얻은 부호 (제 1 부호열) 를, 제 2 방식 (방식 2) 에 의해 복호 가능한 부호 (제 2 부호열) 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장치의 구성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탠덤 접속에 근거하는 종래의 부호 변환 장치를, 도 5 를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음성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 방법에 관해서는, 상기 기술한 비특허문헌 1 또는 3GPP 사양서 (3rd generation Party : Technical Specification) 등에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 "AMR speech codec ; Transcoding functions" 3GPP TS26.090 4장). 여기서, 부호열은, 음성 부호화 복호의 처리 단위인 프레임 주기 (예를 들어, 20 msec 주기) 로 입출력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낸 음성 복호 장치 (1A) 는, 입력 단자 (3) 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부호열로부터 부호화 방식 1 에 대응한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음성 신호 또는 잡음 등의 비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신호를 제 1 복호 신호로서, 음성 부호화 장치 (2A) 와 음성 검출 장치 (5) 로 출력한다.
음성 검출 장치 (5) 는, 음성 복호 장치 (1A)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신호를 입력하고, 제 1 복호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하고, 그 구별에 따른 음성 검출 결과 플래그를 음성 부호화 장치 (2A) 로 출력한다. 음성 검출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3GPP 사양서 등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는다 (비특허문헌 3 "AMR speech codec ; Voice Activity Detector (VAD)" 3GPP TS26.094 3장).
음성 부호화 장치 (2A)는, 음성 복호 장치 (1A)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신호와 음성 검출 장치 (5) 로부터 출력된 음성 검출 결과 플래그를 입력한다. 음성 검출 결과 플래그로부터 제 1 복호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구별 가능하며, 음성 부호화 장치 (2A) 는, 이 음성 검출 결과 플래그에 따라 음성 신호 또는 비음성 신호를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얻어지는 부호열을 제 2 부호열로서 출력 단자 (4) 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으로 도 5 의 설명을 끝낸다.
또한, 음성 복호 장치 (1A) 에 입력되는 헤더 및 프레임 타입 정보에 관해서도 상세하게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4: "AMR speech codec ; frame structure" 3GPP TS 26.101 4장). 또한, 후술되는 잡음의 부호화 및 복호 방법에 관해서도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5 : "AMR speech codec ; comfort noise aspects" 3GPP TS26.092 5장 및 6장).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부호 변환 장치는, 제 1 부호열로부터 복호된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하는 데에 음 성 검출 장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호 변환 장치의 규모가 커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5 에 나타낸 부호 변환 장치에 개선의 가능성에 관해서, 상기 비특허문헌 1∼5 는 전혀 지적하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장치 규모를 축소할 수 있는 부호 변환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이점 등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부호 변환 방법은, 제 1 방식에 준거하는 제 1 부호열을, 제 2 방식에 준거하는 제 2 부호열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부호 변환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프레임 타입 정보, 그 부호열의 크기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는, 제 1 방식에 준거하는 제 1 부호열을, 제 2 방식에 준거하는 제 2 부호열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하는 음성 복호 회로와,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음성 부호화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부호 변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프레임 타입 정보, 그 부호열의 크기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관련된 부호 변환 프로그램은, 제 1 방식에 준거하는 제 1 부호열을, 제 2 방식에 준거하는 제 2 부호열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에서,
(a)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하는 처리와,
(b)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부호 변환 프로그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프레임 타입 정보, 그 부호열의 크기의 어느 하나를 이 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관련된 기록 매체는, 상기 부호 변환 프로그램을 기록 유지하고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종래의 부호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의 개요와 원리를 설명한 후, 실시예에 관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시된 부호 변환 장치는, 음성 복호 장치 (1) 와, 음성 부호화 장치 (2)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 5 에 나타낸 음성 검출 장치 (5)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음성 복호 장치 (1) 에는, 입력 단자 (3) 를 통해, 제 1 방식에 준거하여, 즉, 제 1 방식에 따라서 부호화된 제 1 부호열이 주어진다. 음성 복호 장치 (1) 는 그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한다.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갖는다.
단계 a :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한다.
단계 b :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출력 단자 (4) 를 통해 제 2 부호열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프레임 타입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그 부호열로부터 복호되는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한다. 이 때문에, 음성 검출 장치가 불필요해져 부호 변환 장치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낸 입력 단자 (3), 출력 단자 (4), 음성 복 호 장치 (1),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결선 방법이 일부에서 상이한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5 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도 5 에 나타낸 구성과의 상이점은, 음성 검출 장치 (5) 에 있어서, 제 1 복호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하는 대신에, 제 1 부호열로부터 얻어진 프레임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그 구별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된 부호 변환 장치에서는 도 5 의 음성 검출 장치 (5) 가 불필요해진다.
음성 복호 장치 (1) 는, 입력 단자 (3) 를 통해 제 1 부호열을 받는다. 그 제 1 부호열은, 여기서는, 제 1 부호방식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음성 복호 장치 (1) 는 제 1 부호방식에 따른 방식 1 의 복호화 방식에 의해 음성 신호 또는 잡음 등의 비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신호를, 제 1 복호 신호로서, 음성 부호화 장치 (2) 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제 1 부호열은, 헤더와 페이로드로 이루어진다. 그 헤더에는, 프레임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에 의해 그 부호열로부터 복호되는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무음이나 잡음)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구별 가능하며, 음성 복호 장치 (1) 는, 이 프레임 타입 정보에 따라, 음성 신호 또는 비음성 신호 (잡음 신호) 를 생성한다.
음성 복호 장치 (1) 는, 프레임 타입 정보를, 음성 부호화 장치 (2) 로 출력한다. 여기서, 헤더 및 프레임 타입 정보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비특허문헌 4 를 참조할 수 있다.
페이로드는,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상당할 때,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음성 파라미터) 에 대응하는 부호로 이루어진다.
한편,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할 때는, 페이로드는 잡음신호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잡음 파라미터) 에 대응하는 부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페이로드에는 아무것도 포함되지 않거나의 어느 하나인 것이 많다.
이러한 점에서, 음성 구간과 비음성 구간에서는 페이로드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 대신에, 페이로드의 크기, 또는, 제 1 부호열의 크기를 사용함으로써, 그 부호열로부터 복호되는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할 수도 있다.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음성 복호 장치 (1) 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복호 신호와, 프레임 타입 정보를 입력한다. 도 5 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의 음성 검출 결과 플래그와 동일하게, 프레임 타입 정보로부터 제 1 복호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 가능하며,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이 프레임 타입 정보에 따라, 음성 신호 또는 잡음 신호를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열을 제 2 부호열로서 출력 단자 (4) 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프레임 타입 정보에 있어서의 음성과 비음성에 대응하는 표현과, 종래예의 음성 검출 장치 (5) 에서 사용되는 음성 검출 결과에 있어서의 음성과 비음성에 대응하는 표현을 미리 관련지어 놓아도 된다. 이 경우, 이 관련성에 근거하여, 음성 복호 장치 (1) 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입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검출 결과를,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입력하게 되고, 도 5 의 종래의 부호 변환 장치를 구성하는 음성 복호 장치 (1A) 및 음성 부호화 장치 (2A) 에 수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표준 방식에 준거한 음성 복호 장치 (1A) 와 음성 부호화 장치 (2A) 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호 변환 장치를 구성하는 음성 복호 장치 (1) 와 음성 부호화 장치 (2) 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 복호 장치 (1) 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와, 음성 복호 회로 (12) 와, 잡음 복호 회로 (13) 와, 제 1 전환기 (1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제 2 전환기 (21) 와, 음성 부호화 회로 (22) 와, 잡음 부호화 회로 (23) 와, 헤더 정보 부가 회로 (2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는, 입력 단자 (3)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부호열로부터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리한다. 이 경우, 그 헤더에는, 프레임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 음성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를 음성 복호 회로 (12) 로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파라미터에는, 예를 들어, LP (선형 예측) 계수, ACB (적응 코드북), FCB (고정 코드북), ACB 게인 및 FCB 게인이 있고,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를 제 1 LP 계수 부호, 제 1 ACB 부호, 제 1 FCB 부호, 제 1 게인 부호로 한다.
한편,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잡음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를 잡음 복호 회로 (13) 로 출력한다. 여기서, 잡음 파라미터에는, 예를 들어, LP 계수 및 프레임 에너지가 있고,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를 제 1 LP 계수 부호와 제 1 프레임 에너지 부호로 한다.
음성 복호 회로 (12) 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로부터 출력되는 제 1 LP 계수 부호, 제 1 ACB 부호, 제 1 FCB 부호, 제 1 게인 부호를 입력하고, 이들의 부호로부터 방식 1 의 복호화 방식에 의해 음성을 복호하고, 복호된 음성을 제 1 복호 음성으로서 제 1 전환기 (14) 로 출력한다.
잡음 복호 회로 (13) 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로부터 출력되는 제 1 LP 계수 부호 및 제 1 프레임 에너지 부호를 입력하여, 이들의 부호로부터 방식 1 의 복호화 방식에 의해 잡음을 복호하고, 복호된 잡음을 제 1 복호 잡음으로서 제 1 전환기 (14) 로 출력한다. 여기서, 잡음의 복호화 방식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비특허문헌 5 의 제 6 장을 참조할 수 있다.
제 1 전환기 (14) 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입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음성 복호 회로 (12)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전환기 (21) 로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잡음 복호 회로 (13)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잡음을 제 2 전환기 (21) 로 출력한다.
제 2 전환기 (21) 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입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제 1 전환기 (14)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음성을 음성 부호화 회로 (22) 로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제 1 전환기 (14)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잡음을 잡음 부호화 회로 (23) 로 출력한다.
음성 부호화 회로 (22) 는, 제 2 전환기 (21)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 음성을 입력하고, 이것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LP 계수 부호, ACB 부호, FCB 부호, 게인 부호를 얻는다. 그리고, 이들 부호를 제 2 LP 계수 부호, 제 2 ACB 부호, 제 2 FCB 부호, 제 2 게인 부호로서 헤더 정보 부가 회로 (24) 로 출력한다.
잡음 부호화 회로 (23) 는, 제 2 전환기 (21) 로부터 출력된 제 1 복호잡음을 입력하고, 이것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LP 계수 부호, 프레임 에너지 부호를 얻는다. 그리고, 이들 부호를 제 2 LP 계수 부호, 제 2 프레임 에너지 부호로서, 헤더 정보 부가 회로 (24) 로 출력한다. 여기서, 잡음의 부호화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비특허문헌 5 의 제 5 장 등을 참조할 수 있다.
헤더 정보 부가 회로 (24) 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입 정보를 입력하여, 그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음성 부호화 회로 (22) 로부터 출력된 제 2 LP 계수 부호, 제 2 ACB 부호, 제 2 FCB 부호, 제 2 게인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고, 이것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자 (4) 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잡음 부호화 회로 (23) 로부터 출력된 제 2 LP 계수 부호, 제 2 프레임 에너지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고, 이것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자 (4) 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에서, 헤더 및 프레임 타입 정 보의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비특허문헌 4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끝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호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 과, 도 1 또는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성 복호 장치 (1) 는 입력 단자 (3) 로부터 제 1 부호열을 입력한다 (단계 S1).
음성 복호 장치 (1) 는, 입력된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한다 (단계 S2).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복호 장치 (1) 에서는, 입력 단자 (3) 로부터 입력된 제 1 부호열로부터 프레임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리하여,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 음성 복호 회로 (12) 에서 음성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를 제 1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음성을 복호하여, 복호된 음성을 제 1 복호 음성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잡음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를 제 1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 방식에 의해 잡음을 복호하여, 복호된 잡음을 잡음 복호 회로 (13) 에서 제 1 복호 잡음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음성 복호 장치 (1) 는,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제 1 복호 잡음을 출력하도록 제 1 전환부 (14) 에서 전환 제어한다.
한편,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단계 S3).
도시된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음성 복호 장치 (1) 의 헤더 정보 추출 회로 (11) 로부터 프레임 타입 정보를 받아, 프레임 타입 정보로부터 음성 구간에 대응하는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하는지를 판별한다.
음성 부호화 장치 (2) 는, 그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한다 (단계 S4).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음성 부호화 회로 (22) 에서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로서 출력하고, 한편,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제 1 복호 잡음을 잡음 부호화 회로 (23) 에서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로서 출력 단자 (4) 를 통해 출력한다 (단계 S5).
보다 상세하게는, 헤더 정보 부가 회로 (24) 에 있어서, 프레임 타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 음성 복호 장치 (1) 로부터의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한 제 2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여, 그 페이로드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하며,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음성 복호 장치 (1) 로부터의 제 1 복호 잡음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한 제 2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여, 그 페이로드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 자 (4) 로부터 출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부호 변환 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 등의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 제어 방식) 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의 부호 변환처리를,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 등의 처리 장치 (컴퓨터) 로 실현하는 경우의 장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록 매체 (36) 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 (31) 에 있어서, 제 1 부호화 복호 장치에 의해 음성을 부호화하여 얻은 제 1 부호열을 제 2 부호화 복호 장치에 의해 복호 가능한 제 2 부호열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 기록 매체 (36) 에는,
(a)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제 1 복호화 방식에 의해 제 1 복호 음성을 생성하는 처리와,
(b) 상기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복호 음성을 제 2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기록 매체 (36) 로부터 그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 판독 장치 (35), 기록 매체 판독 장치 인터페이스 (34) 를 통해 메모리 (33) 에서 판독하여 CPU (32) 는,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마스크 ROM 등,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해도 되고, 기록 매체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 외에, CD-ROM, FD, Digital Versatile Disk (DVD), 자기테이프 (MT), 가반형(可搬型) HDD 등의 매체 외에, 예를 들어, 서버 장 치로부터 컴퓨터로 그 프로그램을 통신 매체 전송하는 경우 등, 프로그램을 담지하는 유선, 무선으로 통신되는 통신 매체 등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원리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이면 이룰 수 있는 각종 변형,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부호화 방식이 서로 다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부호화 방식이 동일한 경우에 적용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부호열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할 때, 프레임 타입 정보와 제 1 부호열의 쌍방을 사용하여 구별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 변환 장치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부호열에 포함된 프레임 타입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그 부호열로부터 복호되는 신호가 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 비음성 구간에 상당하는 것인지를 구별하도록 구성하여, 음성 검출 장치를 필요없게 하였기 때문이다.

Claims (14)

  1. 제 1 부호열을 받아, 상기 제 1 부호열을 제 2 부호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부호 변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복호된 신호를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프레임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에, 음성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의 음성 신호를 상기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하여,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복호된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잡음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의 잡음을 상기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하여, 복호된 잡음을 상기 복호된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을 출력하며, 상기 프레임 타입 정보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복호된 잡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복호된 잡음을 상기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에,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한 제 2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여, 상기 페이로드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상기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복호된 잡음을 상기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한 제 2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여, 상기 페이로드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상기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방법.
  5. 제 1 부호열을 받아, 상기 제 1 부호열을 제 2 부호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부호 변환 장치로서,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된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복호 장치, 및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된 신호가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 구별하고, 상기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복호된 신호를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상기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음성 부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복호 장치는,
    헤더 정보 추출 회로, 음성 복호 회로, 잡음 복호 회로, 및 제 1 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 정보 추출 회로는,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프레임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헤더와 페이로드를 분리하여,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에, 음성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를 상기 음성 복호 회로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잡음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호를 상기 잡음 복호 회로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복호 회로는, 상기 헤더 정보 추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부호열를 받아,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상기 복호화 방식에 의해 음성 신호를 복호하여,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상기 복호된 신호로서 상기 제 1 전환기로 출력하고,
    상기 잡음 복호 회로는, 상기 헤더 정보 추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부호열를 받아,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상기 복호화 방식에 의해 잡음을 복호하여, 복호된 잡음을 상기 복호된 신호로서 상기 제 1 전환기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전환기는, 상기 헤더 정보 추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타입 정보를 받고,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음성 복호 회로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잡음 복호 회로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잡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부호화 장치는,
    제 2 전환기, 음성 부호화 회로, 잡음 부호화 회로, 및 헤더 정보 부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환기는, 상기 음성 복호 장치의 상기 헤더 정보 추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제 1 부호열의 크기를 받아,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제 1 전환기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신호를 상기 음성 부호화 회로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제 1 전환기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잡음을 상기 잡음 부호화 회로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부호화 회로는, 상기 제 2 전환기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신호를 받아, 그 복호된 신호를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상기 복호된 신호를 제 2 부호열로서, 상기 헤더 정보 부가 회로로 출력하고,
    상기 잡음 부호화 회로는, 상기 제 2 전환기로부터 출력된 복호된 잡음을 받아, 그 복호된 잡음을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상기 복호된 잡음을 제 2 부호열로서, 상기 헤더 정보 부가 회로로 출력하며,
    상기 헤더 정보 부가 회로는, 상기 음성 복호 장치의 상기 헤더 정보 추출 회로로부터 출력된 제 1 부호열의 크기를 받아, 그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에, 상기 음성 부호화 회로로부터 출력된 제 2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고, 상기 페이로드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상기 제 2 부호열을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가 비음성 구간에 대응할 때는, 상기 잡음 부호화 회로로부터 출력된 제 2 부호를 페이로드로 하고, 상기 페이로드에 헤더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상기 제 2 부호열을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장치.
  9. 제 1 부호열을 받아, 상기 제 1 부호열을 제 2 부호열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장치를 구성하여, 프로그램 제어되는 프로세서 장치에서,
    (a) 상기 제 1 부호열로부터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된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 및
    (b) 상기 제 1 부호열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가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 구별하고, 그 구별에 근거하여, 상기 복호된 음성 신호를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제 2 부호열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 변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삭제
  11. 삭제
  12.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제 1 부호열을 제 2 부호열로 변환하는 부호 변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부호열의 페이로드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부호열이 음성 신호인지 비음성 신호인지를 구별하여, 그 구별에 따라 상기 제 1 부호열을 복호한 후,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제 1 부호열을 상기 제 2 부호열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열과 상기 제 2 부호열은 서로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열과 상기 제 2 부호열은 동일한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방법.
KR1020057019783A 2003-04-22 2004-04-22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 KR100749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7421 2003-04-22
JPJP-P-2003-00117421 2003-04-22
PCT/JP2004/005802 WO2004095424A1 (ja) 2003-04-22 2004-04-22 符号変換方法及び装置と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268A KR20050122268A (ko) 2005-12-28
KR100749703B1 true KR100749703B1 (ko) 2007-08-16

Family

ID=3330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783A KR100749703B1 (ko) 2003-04-22 2004-04-22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47431B2 (ko)
EP (1) EP1617415B1 (ko)
JP (1) JP4737416B2 (ko)
KR (1) KR100749703B1 (ko)
CN (1) CN1774742B (ko)
CA (1) CA2522492A1 (ko)
DE (1) DE602004025688D1 (ko)
WO (1) WO2004095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123A (ja) * 2002-10-23 2004-05-27 Nec Corp 符号変換方法、符号変換装置、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憶媒体
JP4793539B2 (ja) * 2005-03-29 2011-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変換方法及び装置と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記憶媒体
US9953660B2 (en) * 2014-08-19 2018-04-24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andeming effects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997A (ja) * 1994-11-21 1996-06-07 Hitachi Ltd 符号変換装置および符号変換システム
US20030065508A1 (en) 2001-08-31 2003-04-03 Yoshiteru Tsuchinaga Speech transcoding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299A (ja) 1985-02-06 1986-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デツク変換装置
JPS62123843A (ja) * 1985-11-25 1987-06-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方式
JP3199582B2 (ja) * 1994-10-27 2001-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音声伝送装置
JP3132636B2 (ja) 1995-04-07 2001-02-05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データ変換装置
JP2757818B2 (ja) * 1995-04-20 1998-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補助データ処理回路
JPH1011100A (ja) 1996-06-19 1998-01-16 Yamaha Corp 音声発音装置
US5995923A (en) * 1997-06-26 1999-11-30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oice quality of tandemed vocoders
CN1239569A (zh) * 1997-09-30 1999-12-22 西门子股份公司 一种编码语音信号的方法
US6044070A (en) * 1997-10-15 2000-03-28 Ericsson Inc. Remote connection control using a tunneling protocol
JP2000078274A (ja) 1998-08-18 2000-03-14 Denso Corp 可変レ―ト符号化システムのためのメッセ―ジ記録装置および可変レ―ト符号化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ズ縮小メッセ―ジを記録する方法
FI105635B (fi) * 1998-09-01 2000-09-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taustakohinainformaation lähettämiseksi tietokehysmuotoisessa tiedonsiirrossa
FI991605A (fi) 1999-07-14 2001-01-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puhekodaukseen ja puhekoodaukseen tarvittavan laskentakapasi teetin vähentämiseksi ja verkkoelementti
JP3784583B2 (ja) 1999-08-13 2006-06-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蓄積装置
EP1094446B1 (en) * 1999-10-18 2006-06-07 Lucent Technologies Inc. Voice recording with silence compression and comfort noise gener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JP3954288B2 (ja) 2000-07-21 2007-08-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音声符号化信号変換装置
JP2002149196A (ja) 2000-08-25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送信装置および信号送信方法
JP2002202799A (ja) * 2000-10-30 2002-07-19 Fujitsu Ltd 音声符号変換装置
US20030028386A1 (en) * 2001-04-02 2003-02-06 Zinser Richard L. Compressed domain universal transcoder
JP4370802B2 (ja) * 2003-04-22 2009-11-25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997A (ja) * 1994-11-21 1996-06-07 Hitachi Ltd 符号変換装置および符号変換システム
US20030065508A1 (en) 2001-08-31 2003-04-03 Yoshiteru Tsuchinaga Speech transcod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2492A1 (en) 2004-11-04
US7747431B2 (en) 2010-06-29
US20060224389A1 (en) 2006-10-05
KR20050122268A (ko) 2005-12-28
CN1774742A (zh) 2006-05-17
EP1617415B1 (en) 2010-02-24
EP1617415A1 (en) 2006-01-18
CN1774742B (zh) 2010-05-26
JP4737416B2 (ja) 2011-08-03
DE602004025688D1 (de) 2010-04-08
JPWO2004095424A1 (ja) 2006-07-13
WO2004095424A1 (ja) 2004-11-04
EP1617415A4 (en)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031B1 (ko) 음성합성방법및장치그리고음성대역확장방법및장치
KR100672878B1 (ko) 음성 부호화 복호 방식간의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그기억 매체
JP2002268696A (ja) 音響信号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793539B2 (ja) 符号変換方法及び装置と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記憶媒体
JP4231987B2 (ja) 音声符号化復号方式間の符号変換方法、その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749703B1 (ko) 부호 변환 방법 및 장치와 기록 매체
JP4396524B2 (ja) 符号変換方法及び装置
KR101013642B1 (ko) 부호 변환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부호 변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3496618B2 (ja) 複数レートで動作する無音声符号化を含む音声符号化・復号装置及び方法
EP1717796B1 (en) Method for converting code and code conversion apparatus therefor
JP2004061558A (ja) 音声符号化復号方式間の符号変換方法及び装置とその記憶媒体
JP3418803B2 (ja) 音声符号復号化装置
EP15364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de conversion between voice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storage medium thereof
JP2004046232A (ja) 音声復号化装置及び音声復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