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46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464B1
KR100749464B1 KR1020050091201A KR20050091201A KR100749464B1 KR 100749464 B1 KR100749464 B1 KR 100749464B1 KR 1020050091201 A KR1020050091201 A KR 1020050091201A KR 20050091201 A KR20050091201 A KR 20050091201A KR 100749464 B1 KR100749464 B1 KR 10074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buffer zone
phosphor
buffer
rea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310A (ko
Inventor
한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464B1/ko
Priority to JP2006264307A priority patent/JP4435131B2/ja
Priority to EP06121509A priority patent/EP1770749B1/en
Priority to DE602006012257T priority patent/DE602006012257D1/de
Priority to US11/529,873 priority patent/US7683544B2/en
Priority to CN2006101412324A priority patent/CN1941259B/zh
Publication of KR2007003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464B1/ko
Priority to US12/655,770 priority patent/US81386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8Dummy spacers, e.g. in a non display reg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 격벽 높이의 이상 증가를 방지하여, 방전성을 개선하고 패널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단일 구획으로 이루어지는 완충구역을 포함한다.
완충구역, 비표시영역, 격벽, 단일, 균일성, 방전성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과 프리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의 일 부분에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에 형광체 페이스트가 도포된 상태의 평면도와, 도5의 Ⅶ-Ⅶ 선에 따른 세로 격벽부재 및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도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에 형광체 페이스트가 도포된 상태의 평면도와, 도5의 Ⅸ-Ⅸ 선에 따른 세로 격벽부재 및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은 도9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광체 디스펜서(dispenser) 공정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 격벽 높이의 이상 증가를 방지하여, 방전성을 개선하고 패널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여기된 형광체에 의해 나오는 가시광선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공간에 설치된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이 전극들 사이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고, 이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되는 진공자외선으로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이 형광체가 안정화되면서 발생되는 가시광선으로 화상을 구현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배면기판과, 이 배면기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들, 이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유전층, 이 유전층 상에 형성되어 방전거리를 유지시키고 방전셀들 사이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방지하는 다수의 격벽, 이 격벽의 표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기판과, 이 전면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직교하는 방전유지전극들, 이 방전유지전극을 덮는 유전층, 이 유전층을 을 덮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전면기판과 배면기판은 서로 봉입되고, 방전셀 내에 네온 및 제논 등의 불활성 가스를 충전하며, 이 불활성 가스는 플라즈마 방전시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배면기판에 격벽을 형성한 후, 형광체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 형광체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형광체 페이스트(paste)를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다수의 노즐들을 통하여 분사하는 방법을 일례로 들 수 있다.
이 디스펜서 공정시, 노즐에서 분사되는 형광체 페이스트는 이 공정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 더미 영역의 더미 격벽 위에 토출되어, 이 부분에서 더미 격벽의 높이를 이상(異常)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패널의 양 끝에서 더미 격벽의 높이가 이상 증가됨에 따라, 배면기판과 전면기판을 상호 봉입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걸쳐, 패널의 균일성이 저하된다.
또한, 배면기판과 전면기판 사이의 갭 증가로 인하여,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 인접하는 표시영역의 방전셀들에서 크로스 토스가 발생되는 등, 방전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 격벽 높이의 이상 증가를 방지하여, 방전성을 개선하고 패널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 단일 구획으로 이루어지는 완충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2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 내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뻗는 격벽부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 내에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 혼재층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격벽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영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제1 가로 격벽부재, 상기 제1 가로 격벽부재의 상기 제2 방향 양쪽 끝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세로 격벽부재와 제2 세로 격벽부재, 및 상기 제1 세로 격벽부재의 끝과 상기 제2 세로 격벽부재의 끝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2 가로 격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양쪽 끝의 상기 표시영역 부근에 형성되는 상기 완충구역 각각에는,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 혼재층이 존재하는 완충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과의 경계로부터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는 프리트(flit) 라인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제1 가로 격벽부재, 및 상기 제1 가로 격벽부재의 상기 제2 방향 양쪽 끝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세로 격벽부재와 제2 세로 격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 내에 도포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표시영역으로 접근할 수록 최고점으로부터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완충구역 내에 도포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표시영역에서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가로 격벽부재와 세로 격벽부재 중 상기 세로 격벽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면서 표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비표시영역을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적어도 한 쌍의 방전셀들 폭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폭을 갖는 더미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셀들은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방전셀의 단위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더미셀들로 형성되는 제1 완충구역, 상기 제1 완충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완충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더미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더미셀들로 형성되는 제2 완충구역, 및 상기 제2 완충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완충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더미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더미셀들로 형성되는 제3 완충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완충구역은 하나의 더미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구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표기영역의 상기 방전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구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방전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완충구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방전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완충구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제2 완충구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을 상기 비표시영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는 상기 제3 완충구역 각각은,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더미셀에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 광체 혼재층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1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더미셀 각각은,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본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을 구비한다. 이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은 그 사이에 격벽(16)을 구비하여, 서로 봉입(封入)된다. 이 격벽(16)은 양 기판(10, 20) 사이에서 방전셀들(18)을 구획한다. 이 방전셀들(18) 내에는 진공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체층(19)이 형성되고, 방전가스(일례로 네온(Ne)과 제논(Xe) 등을 포함하는 혼합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이 격벽(16)은 방전셀들(18)을 스트라이프형 구조(미도시) 또는 매트릭스 구조(도1 참조)로 구획할 수 있다. 스트라이프형 구조에서, 격벽(16)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세로 격벽부재들로 형성된다(미도시). 매트릭스 구조에서, 격벽(16)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 격벽부재들(16a)과, 이 세로 격벽부재(16a)와 교차하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격벽부재들(16b)로 형성된다.
이 격벽(16)으로 구획되는 방전셀들(18) 중, 특정 방전셀들(18)을 선택하고, 이어서 선택된 방전셀들(18)을 구동시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각 방전셀들(18)에는 이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전극(12)과 한 쌍의 표시전극(31, 32)이 서로 교차하는 y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전극(12)은 배면기판(10)에서 방전셀들(18)에 대응하도록 y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어 유전층(13)으로 덮여진다. 표시전극(31, 32)은 어드레스전극(12)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전면기판(20)에 y축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어, 유전층(33)과 보호막(34)으로 덮여진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와 같이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방전셀들(18)을 포함하는 표시영역(DA)과, 이 표시영역(D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화상을 구현하지 않는 비표시영역(UD)으로 구성된다(도2 참조).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비표시영역(UD)은 표시영역(DA)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의미를 가지는 비표시영역(UD)은 표시영역(DA)의 y축 방향으로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는 영역이다.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과 각각 단일 부분을 가지는 구조로 배치된다. 이 중첩되는 경계 라인에 도포되는 프리트(frit) 라인(FL)을 따라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은 서로 부착된다.
이 표시영역(DA)의 각 방전셀들(18R, 18G, 18B) 내에는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층(19R, 19G, 1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형광체층(19R, 19G, 19B)은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에 의하여 각각의 형광체 페이스트를 해당 방전셀(18R, 18G, 18B)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시, 형광체 페이스트의 도포는 비표시영역(UD)의 y축 방향 한쪽 끝 주위에서 시작하여 반대쪽 끝 주위에서 끝난다. 따라서 비표시영역(UD)의 양쪽에서 즉, 형광체 페이스트의 도포를 시작하는 지점이나 끝나는 지점에서, 형광체 페이스트 토출 양의 비안정화로 인하여 소정량 이상의 형광체 페이스트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비안정화된 양으로 형광체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비표시영역(UD)에는 완충구역(BA)이 구비되어 있다. 이 완충구역(BA)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영역(DA)의 4변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나, 형광체 페이스트의 도포 방향인 y축 방향의 2변에 즉, y축 방향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이 완충구역(BA)은 토출되는 형광체 페이스트 양의 안정화를 유도하도록 표시영역(DA)의 외측에 단일 구획으로 이루어진다. 이 단일 구획이라 함은, 제1 세로 격벽부재(26a)와 제2 세로 격벽부재(27a) 그리고 제1 가로 격벽부재(26b)와 제2 가로 격벽부재(27b)가 사각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완충구역(BA)을 구획하고 있는 구조 일 뿐, 이 완충구역(BA) 내에는 별도의 세로 격벽부재(y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격벽부재) 또는 가로 격벽부재(x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격벽부재)가 없는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이 완충구역(BA)은 표시영역(DA)의 x축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영역(DA)의 x축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 형광체 페이스트 토출 양의 안정화가 유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세로 격벽부재(26a)와 제2 세로 격벽부재(27a)는 표시영역(DA)의 x축 방향 양쪽 끝에서 y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제1 가로 격벽부재(26b)는 표시영역(DA)과 완충구역(BA)의 경계선에 형성되어 제1 세로격벽부재(26a)와 제2 세로 격벽부재(27a) 각각의 끝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2 가로 격벽부재(27b)는 완충구역(BA)의 끝에 형성되어, 제1 세로 격벽부재(26a)와 제2 세로 격벽부재(27a) 각각의 끝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단일 구획으로 이루어지는 완충구역(BA)은 표시영역(DA)에서 토출되는 것 보다 많은 양으로 토출되는 형광체 페이스트를 제1 세로 격벽부재(26a), 제2 세로 격벽부재(27a), 제1 가로 격벽부재(26b), 및 제2 가로 격벽부재(27b)로 규정되는 영역의 유전층(13) 상에 도포되게 한다.
이 완충구역(BA)은 단일 구획으로 형성되므로 형광체 혼재층(29)을 구비하게 된다(도6, 도7의 제3 완충구역(BA33)의 형광체 혼재층(29c)에 해당한다). x축 방향으로 이웃하여 토출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 페이스트는 완충구역(BA) 내에서 서로 섞인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섞인 상태로 존재하는 형광체 페이스트는 형광체 혼재층(29)을 형성하게 된다.
이 완충구역(BA)에서 토출되는 형광체 페이스트의 양은 표시영역(DA)에서 토출되는 형광체 페이스트의 양보다 많다. 그러나 이 완충구역(BA)에서는 별도의 격벽부재가 없기 때문에, 형광체 페이스트는 격벽부재 상에 도포되지 않고, 단순히 유전층(13) 상에 형광체 혼재층(29)의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 형광체 혼재층(29)의 높이는 표시영역(DA)에서 방전셀들(18)을 구획하는 격벽(16)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도7 참조).
이와 같이 y축 방향 양쪽 끝 주위의 비표시영역(UD) 부분에서 형광체 혼재층(29)의 높이가, 표시영역(DA)에 구비되는 격벽(16)들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 상태로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을 서로 부착하면, 패널 전체에 걸쳐, 패널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 사이 갭이 감소된다. 이로 인하여,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하는 비표시영역(UD)에 인접하는 표시영역(DA)의 방전셀들(18)에서 크로스 토스가 방지되고, 또한 방전성이 향상된다.
도3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UD)의 x축 방향 양쪽 끝 주위에는 더미 영역(DM)이 구비되어 있다. 이 더미 영역(DM)은 표시영역(DA)의 x축 방향 양쪽에서 방전셀들(18)을 형성하는 격벽들(16)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더 예시하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과 프리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실시예는 형광체 혼재층(29)이 형성되는 완충구역(BA20)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는 완충구역(BA20)을 표시영역(DA)과의 경계로부터 프리트 라인(FL)에 까지 걸쳐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도, 완충구역(BA20)은 y축 방향을 따라 표시영역(DA)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된다. 이때, 완충구역(BA20)은 제1 세로 격벽부재(26a)와 제2 세로 격벽부재(27a), 및 제1 가로 격벽부재(26b)로 구획된다.
즉, 이 완충구역(BA20)은 3변이 서로 직각으로 서로 연결되고 표시영역(DA)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1변이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다. 이 완충구역(BA20)의 개방된 변은 프리트 라인(FL)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완충구역(BA20)은 서로 연결되는 제1 세로 격벽부재(26a), 제2 세로 격벽부재(27a), 제1 가로 격벽부재(26b), 및 프리트 라인(FL)으로 구획되어, 단일 구획을 형성하게 된다.
이 완충구역(BA20)은 단일 구획을 형성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완충구역(BA20) 내에 도포되는 형광체 혼재층(29)을 구비하게 되고, 이 형광체 혼재층(29)의 높이가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에서 방전셀들(18)을 구획하는 격벽(16)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같은 크기를 가지는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10)을 가지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의 완충구역(BA20)은 제2 가로 격벽부재(27b)를 구비하지 않고, 이 보다 표시영역(DA)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의 프리트 라인(FL)으로 구획되므 로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토출할 때, 형광체 페이스트의 토출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한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제2 가로 격벽부재(27b) 상에 도포되는 형광체 페이스트에 상응하는, 비표시영역(UD)에서의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10) 사이 갭을 줄일 수 있으므로, 패널의 균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형광체 혼재층(29)의 높이는 단일 구역의 완충구역(BA20) 내에서 실질적으로 비표시영역(UD)에서 표시영역(DA)으로 접근할 수록 최고점으로부터 낮아진다.
이 형광체 혼재층(29)의 높이는 상기 표시영역(DA)에서 상기 격벽(16)을 형성하는 세로 격벽부재(16a)와 가로 격벽부재(16b) 중 상기 세로 격벽(16a)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비표시영역(UD)에 더미셀(DC)을 구비한다. 이 더미셀(DC)의 폭(W1, W2, W3)은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방전셀들(18) 폭(W)의 합(W+W)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이 더미셀들(DC)은 표시영역(DA)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큰 폭(W1<W2<W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UD)은 표시영역(DA)으로부터 다수의 완충구역 즉, 제1 완충구역(BA31), 제2 완충구역(BA32), 및 제3 완충구역(BA33)을 포함한다. 제1 완충구역(BA31)은 표시영역(DA)에 연결되어 방전셀들(18)의 단위 폭(W)과 같은 폭(W1)을 가 지는 더미셀들(DC31)로 형성된다. 제2 완충구역(BA32)은 제1 완충구역(BA31)에 연결되어 제1 완충구역(BA31)에 위치하는 더미셀들(DC31)의 폭(W1)보다 큰 폭(W2)을 가지는 더미셀들(DC32)로 형성된다. 제3 완충구역(BA33)은 제2 완충구역(BA32)에 연결되어 제2 완충구역(BA32)에 위치하는 더미셀들(DC32)의 폭(W2)보다 큰 폭(W3)을 가지는 더미셀들(DC33)로 형성된다. 또한 제3 완충구역(BA33)은 단일 구획으로 이루어진다(도3, 도4와 같이).
또한, 제1 완충구역(BA31)에서 y축 방향의 길이(L1)는 표기영역(DA)의 방전셀(18)의 y축 방향의 길이(L)와 같게 형성된다. 제2 완충구역(BA32)에서 y축 방향의 길이(L2)는 표시영역(DA)의 방전셀(18)의 y축 방향의 길이(L)와 같게 형성된다. 제3 완충구역(BA33)에서, y축 방향의 길이(L3)는 표시영역(DA)의 방전셀(18)의 y축 방향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 y축 방향의 길이는 표시영역(DA)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L1<L2<L3, 미도시).
따라서, 제1 완충구역(BA31)의 면적, 제2 완충구역(BA32)의 면적, 및 제3 완충구역(BA33)의 면적은 순차적으로 증대되는 패턴을 가진다. 이와 같은 면적의 패턴은 형광체 페이스트 토출량의 비안정화 정도의 크기에 따라 형광체 혼재층(29)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즉, 형광체 토출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서 토출량이 가장 크게 비안정화된 상태이고, 표시영역(DA)이 가까운 지점에서 토출량이 보다 안정화된 상태인 것을 감안한 것이다.
제3 완충구역(BA33)은 y축 방향을 따라 비표시영역(UD)의 제2 완충구역(BA32)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양 끝 주위에 구비되는 제3 완충구역 (BA33) 각각은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기판의 일 부분에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구성을 포함하므로 형광체 페이스트 도포 과정은 제3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격벽(16)이 형성된 배면기판(10) 상에서 디스펜서(4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이에 구비된 노즐(41)을 통하여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이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시, 형광체 페이스트는 비표시영역(UD)의 제3 완충구역(BA33)에서 도포 시작되어, 제2 완충 구역(BA32)과 제1 완충구역(BA1)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그 토출량이 안정화된다. 이때 각 색상의 형광체 페이스트는 제1, 제2, 제3 완충구역(BA31, BA32, BA33)에서 형광체 혼재층(29)을 형성한다.
표시영역(DA)에서는 안정화된 량으로 토출되어 방전셀들(18)에 각 색상 별로 도포된다.
이 표시영역(DA)을 지나서, 형광체 페이스트는 비표시영역(UD)의 제1 완충구역(BA31), 제2 완충 구역(BA32), 및 제3 완충구역(BA3)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도포가 끝난다. 그리고 형광체 페이스트의 토출량이 다시 비안정화된다. 이때 각 색상의 형광체 페이스트는 제1, 제2, 제3 완충구역(BA31, BA32, BA33)에서 형광체 혼재층(29)을 형성한다.
도7을 참조하면, 배면기판(10)의 제3 완충구역(BA33)에 도포된 형광체 혼재 층(29)은 세로 격벽부재가 없으므로 도포 시작 지점에서 최대 높이를 형성하고, 제2 완충구역(BA2)에 접근하면서 최소 높이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광체 페이스트는 제2 완충구역(BA32)과 제1 완충구역(BA31)으로 이어지면서 혼재된 상태로 세로 격벽부재(47a, 57a)에 도포되어 형광체 혼재층(29)을 형성하고, 토충량의 안정화를 구현한 상태로 표시영역(DA)의 방전셀들(18)에 각각 도포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2 완충구역(BA32)에서 각 세로 격벽부재(47a)의 높이와 형광체 혼재층(29b)의 높이의 합은 표시영역(DA)에서의 각 세로 격벽부재(16a)의 높이와 거의 유사하게 된다.
이때, 세로 격벽부재(47a)와 전면기판(20) 사이에 형성되는 형광체 혼재층(29b)의 높이는 표시영역(DA)에서의 세로 격벽부재(16a)의 높이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10) 사이 갭을 작게 한다.
도9를 참조하면, 배면기판(10)의 제3 완충구역(BA3)에 도포된 형광체 혼재층(29)은 세로 격벽부재(37a)가 있으므로 도7에 비하여, 형광체 페이스트의 도포 시작 지점에서 다소 높게 형성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3 완충구역(BA3)에서 세로 격벽부재(37)의 높이와 형광체 혼재층(29c)의 높이의 합은 표시영역(DA)에서의 각 세로 격벽부재(16a)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 및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다소 불리한 작용 효과를 가지지만, 비표시영역(UD)의 y축 방향 양 끝 주위에 표시영역(DA)의 격벽부재(16)에 연결되는 격벽부재들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하여,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서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를 작게 하므로 보다 우수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표시영역의 둘레에 구비되는 비표시영역에 단일 구획의 완충구역을 구비하여, 이 완충구역에 형광체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위치되게 함으로써, 디스펜서 공정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서 격벽 높이의 이상 증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비표시영역에 인접하는 표시영역의 방전셀들에서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여 방전성을 개선하고, 또한 패널의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단일 구획되는 완충구역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2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 내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뻗는 격벽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 내에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 혼재층이 존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격벽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영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제1 가로 격벽부재,
    상기 제1 가로 격벽부재의 상기 제2 방향 양쪽 끝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세로 격벽부재와 제2 세로 격벽부재, 및
    상기 제1 세로 격벽부재의 끝과 상기 제2 세로 격벽부재의 끝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제2 가로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양쪽 끝의 상기 표시영역 부근에 형성되는 상기 완충구역 각각에는,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 혼재층이 존재하도록 구획되는 완충구역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과의 경계로부터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는 프리트(flit) 라인에까지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영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은,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제1 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제1 가로 격벽부재, 및
    상기 제1 가로 격벽부재의 상기 제2 방향 양쪽 끝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세로 격벽부재와 제2 세로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 내에 도포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격벽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 내에 도포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표시영역으로 접근할 수록 최고점으로부터 낮아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역 내에 도포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표시영역에서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가로 격벽부재와 세로 격벽부재 중 상기 세로 격벽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1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완충구역 각각은,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대향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면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의 사이공간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면서 표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표시영역의 둘레를 따라 비표시영역을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1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웃한 적어도 한 쌍의 방전셀들 폭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폭을 갖는 더미셀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은 상기 표시영역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큰 폭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방전셀의 단위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더미셀들로 형성되는 제1 완충구역,
    상기 제1 완충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완충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더미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더미셀들로 형성되는 제2 완충구역, 및
    상기 제2 완충구역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완충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더미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더미셀들로 형성되는 제3 완충구역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완충구역은 하나의 더미셀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구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표기영역의 상기 방전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구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방전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완충구역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방전셀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완충구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제2 완충구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상기 비표시영역의 양 끝 주위에 형성되는 상기 제3 완충구역 각각은,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더미셀에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체 혼재층이 존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격벽의 평균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혼재층의 높이는 상기 표시영역으로 접근할 수록 최고점으로부터 낮아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1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더미셀 각각은,
    디스펜서 공정으로 형광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91201A 2005-09-29 2005-09-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01A KR100749464B1 (ko) 2005-09-29 2005-09-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64307A JP4435131B2 (ja) 2005-09-29 2006-09-28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06121509A EP1770749B1 (en) 2005-09-29 2006-09-29 Plasma display panel
DE602006012257T DE602006012257D1 (de) 2005-09-29 2006-09-29 Plasmaanzeigetafel
US11/529,873 US7683544B2 (en) 2005-09-29 2006-09-29 Plasma display panel having buffer areas along the periphery of display area
CN2006101412324A CN1941259B (zh) 2005-09-29 2006-09-29 等离子体显示面板
US12/655,770 US8138674B2 (en) 2005-09-29 2010-01-06 Phosphor layer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201A KR100749464B1 (ko) 2005-09-29 2005-09-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310A KR20070036310A (ko) 2007-04-03
KR100749464B1 true KR100749464B1 (ko) 2007-08-14

Family

ID=3744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01A KR100749464B1 (ko) 2005-09-29 2005-09-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83544B2 (ko)
EP (1) EP1770749B1 (ko)
JP (1) JP4435131B2 (ko)
KR (1) KR100749464B1 (ko)
CN (1) CN1941259B (ko)
DE (1) DE60200601225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464B1 (ko) * 2005-09-29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5491020B2 (ja) * 2008-11-26 2014-05-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KR20230121028A (ko) * 2020-12-25 2023-08-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격벽 부착 기판, 파장 변환 기판, 및 디스플레이, 그리고 파장 변환 기판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99A (ko) * 2002-09-04 2004-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더미 격벽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1347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체 도포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5838B2 (ja) 1997-06-13 2007-02-28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蛍光体層形成方法および装置
KR100887040B1 (ko) 2001-04-09 2009-03-0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샌드블라스트를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격벽 형성 방법
JP3769261B2 (ja) 2001-12-19 2006-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形成装置
JP2004103249A (ja) 2002-09-04 2004-04-02 Nec Kagoshima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484645B1 (ko) * 2002-09-23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더미 격벽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285914B2 (en) * 2003-11-13 2007-10-23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PDP) having phosphor layers in non-display areas
KR100589357B1 (ko) * 2003-11-27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체 도포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3161B1 (ko) * 2004-08-30 2006-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33B1 (ko) * 2004-12-10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08B1 (ko) * 2005-03-11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9464B1 (ko) * 2005-09-29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99A (ko) * 2002-09-04 2004-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더미 격벽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1347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체 도포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1259A (zh) 2007-04-04
KR20070036310A (ko) 2007-04-03
US8138674B2 (en) 2012-03-20
JP2007095696A (ja) 2007-04-12
EP1770749A3 (en) 2008-06-04
DE602006012257D1 (de) 2010-04-01
US7683544B2 (en) 2010-03-23
US20070170864A1 (en) 2007-07-26
JP4435131B2 (ja) 2010-03-17
EP1770749A2 (en) 2007-04-04
EP1770749B1 (en) 2010-02-17
CN1941259B (zh) 2011-02-09
US20100109526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4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57B1 (ko) 형광체 도포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H1126026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922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7301B1 (ko) 형광체 도포에 적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66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74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구조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73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997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구조 및 이를 구비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6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22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22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7999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1980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50343A (ko) 해상도 및 색온도를 개선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2006003870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67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7847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