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233B1 -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233B1
KR100749233B1 KR1020060023057A KR20060023057A KR100749233B1 KR 100749233 B1 KR100749233 B1 KR 100749233B1 KR 1020060023057 A KR1020060023057 A KR 1020060023057A KR 20060023057 A KR20060023057 A KR 20060023057A KR 100749233 B1 KR100749233 B1 KR 10074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gelica
dicusinol
hydroxid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재
권성필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에이지아이
Priority to KR102006002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한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참당귀(또는 토당귀, Angelica gigas Nakai)에 80~100%(v/v)의 에탄올을 당귀 무게의 3~8배수 가하고, 가성소다 또는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등을 0.001~0.5%(w/v) 농도가 되도록 가하여 용액의 pH를 9~14사이가 되는 알칼리성이 되게 하고, 온도 40~75℃에서 1~8시간 동안 추출하거나, 가성소다, 수산화 칼륨 또는 수산화 칼슘을 가하지 않고, 당귀 추출액을 제조한 다음 그 여액에 가성소다, 수산화 칼륨 또는 수산화 칼슘을 가하여 용액의 pH를 9~14사이의 알칼리성으로 맞추고, 이를 온도 40~75℃에서 1~8시간 동안 처리하여 추출물 중의 디커시놀의 함량을 10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귀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당귀추출물로서 디컬신 : 디커시놀의 함량의 비가 20~400 : 1이 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17433570-pat00001
참당귀, 알칼리, 디컬신, 디커시놀, 주정

Description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and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도1은 당귀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디컬신의 화학 구조식이며
도2는 본 발명에서 함량을 높인 디커시놀의 화학구조식임.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는 미나리(Umbelliferae)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으로 토당귀(Angelica gigas Nakai, 참당귀)와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 왜당귀) 및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를 일컫는 한약재로 참당귀는 한국에서, 왜당귀는 일본 북부에서 중국당귀는 감숙, 운남, 섬서, 사천, 귀주 등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다(작물시험장, 1998. 시험연구보고서(특,약작편)). 약재로서의 용도로는 냉증, 빈혈과 같은 부인과 질환에 주로 쓰이며 혈행을 수월하게 하며 조혈 및 혈류의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약의 보혈제로 주로 사용되는 당귀는 굵은 뿌리에서 원줄기가 자라는데 높이는 80~90Cm가량이며 잔가지를 많이 내며 줄기와 잎자루는 자흑색을 띤다. 잎은 진녹색으로 어긋달리고, 2~3회의 삼출복옆으로 3~5갈래로 나누어진다. 뿌리는 짧으나 주근으로 잔뿌리를 많이 달고 있고 전초에는 강한 특유의 방향이 있다.
당귀는 예로부터 한약재 중 독성이 없다고 여겨지는 상약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한약의 경우 뜨거운 열수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며 그 효용에 관한 연구로는 김수민 등이 지질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보고하였으며(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998.) 강순아 등이 메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보고하였고(2004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P4-6;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 1112-8, 2004)), 이선영 등이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 총페놀류 화합물, nitrite 제거능 등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고 하였다(Food Sci. Biotechnol., 12(5), 491-6, 2003). 당귀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decursin, decursinol, decursionl angelate, essential oils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 성분의 효능으로 안경섭 등은 당귀 추출물에 함유된 디커시놀 안젤레이트 및 디커신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pretein kinase C를 활성화하는 것에 기인한다는 보고를 하였으며(1996년 춘계학술대회, P89), 이상현 등이 역시 이들 성분의 항암효능을 보고하였고(Arch. Pharm. Res. 26(9), 727-30, 2003), 이용욱 등은 이들 성분 및 nodakenin의 혈소판 응고방지 및 혈액응고 방지 효능을 보고 하였으며(Arch. Pharm. Res., 26(9), 723-6, 2003), 윤경원 등은 참당귀와 왜당귀의 메탄올 추출물의 유기용매에 대한 분획을 이용한 항균활성을 보고하였으며(Korean J. Plant Res., 17(3) 278-82, 2004), 이상현 등은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보고하였으며(Arch. Pharm. Res. 26(6), 449-52, 2003), 황진봉 등은 당귀 추출물 중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단백질 18.1%(w/w), 지질 8.9%(w/w), 탄수화물 57%(w/w) 등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Korean J. Food Sci. Technol., 29(6), 1113-8, 1997), 노봉수 등은 당귀의 향기성분을 전자코(Surface acoustic wave sensor)를이용하여분석한 결과를 보고하였으며(Korean J. Food Sci. Technol., 35(1), 144-8, 2003), 조민구 등은 당귀의 휘발성 정유성분의 함량 및 그 구성성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으며(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5), 352-7, 2003), 곽재진 등은 당귀의 oleoresin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보고하였다(J. Korean Soc. Tobacco Sci., 20(2), 210-7, 1998).
당귀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유기용매 또는 물을 이용하였으며 성분의 동정 또는 효능의 관찰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 및 분획물을 이용하였다. 이선영은 당귀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공정을 연구하였고(J. Korean Soc. Food Sci. Nutr., 29(3), 442-7, 2000), 이미숙 등은 열수 및 주정을 이용한 당귀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Korean J. Food & Nutr., 14(6), 543-7, 2001).
당귀의 경우 탄수화물의 함량이 추출물의 중량비로 50%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Korean J. Food Sci. Technol., 29(6), 1113-8, 1997) 포도당, 과당, 설탕 등의 단당류 및 이당류의 함량은 0.5%(w/w) 수준으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함유된 당성분이 고분자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Young S. Park 등이 당귀에 함유된 다당류인 안젤란의 줄기세포의 분화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4), 2002).
당귀는 오랫동안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므로 관련 기술을 상업화 하기 위하여 특허를 출원한 기술도 매우 다양하다.
한국한의학 연구원은 한국특허 0519456에서 당귀를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을 억제하는 추출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겟웰바이오는 한국특허 0427704에서 당귀의 데커시놀을 함유하는 위점막손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내추럴엔도텍은 한국특허 0480970에서 당귀추출물을 이용한 다이옥신류의 길항제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싸이제닉은 한국특허 0397950에서 디커시놀을 함유하는 진통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싸이젠하베스트는 한국특허 0448680에서 디커시놀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세창은 한국특허 출원 10-2003-0074646에서 당귀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세영 등은 한국특허 0504405에서 디커신을 함유하는 신장독성 억제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한국특허 0441644에서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류인 안젤란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싸이제닉은 한국특허 출원 10-2000-0060196에서 데커시놀을 함유하는 패혈성 쇼크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학교법인 인하학원은 한국특허 0385092에서 참당귀 뿌리세포 배양을 통한 당귀의 유용성분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한국특허 0252194에서 참당귀의 펙틴질 다당류의 분리 및 면역증강제로서의 용도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일약품(주)는 한국특허 0187881에서 디커시놀안젤레이트를 함유하는 항암제의 제조법을 제시하고 있으 며, 한국식품연구원은 한국특허 0059142에서 당귀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은 한국특허 0132609에서 당귀과립차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현준은 한국특허 0003649에서 당귀로부터 항결핵제의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위재율은 한국특허 0002596에서 석유에텔 및 중성 초산연을 사용한 당귀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김한승은 한국특허 0003195에서 당귀의 정유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pH를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한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상필 등은 한국특허출원 10-2004-0046403에서 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배뇨장애 치료제 및 부종치료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엠디바이오알파는 한국특허출원 10-2004-0036199에서 당귀추출물을 이용한 당뇨병치료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김형완 등은 한국특허 출원 10-2005-0079103에서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안젤레이트를 함유하는 혈관이완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주)에스티씨나라는 한국특허 출원 10-2005-0087384에서 당귀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치매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엘컴사이언스는 한국특허 출원 10-2004-0008975에서 당귀를 함유하는 복합추출물로서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활성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한국특허 0176413에서 항암제로서의 디커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약리활성이 높은 디커시놀을 고비율로 함유하는 당귀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지금까지는 당귀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수확한 당귀를 건조하지 않고, 수분이 많은 상태에서 압착하여 추출물을 얻는 압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장치와 조작은 간단하지만 수율이 낮다. 다음으로 수증기를 이용하여 증류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100℃ 이상에서 추출하므로 열에 민감한 성분은 파괴되거나 분해되기 쉬우며,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법은 유효성분의 추출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추출 용매의 사용량이 많고, 용매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추출법은 추출속도가 빠르며 용매의 소비도 최소화 할 수 있으나 설비를 대형화 하기 어려우며 설비가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추출법도 알려져 있으나 역시 장비가 비싸고, 대형화가 상대적으로 곤란하며 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당귀 추출물의 제조는 대부분 물 또는 에탄올, 에테르, 헥산 등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추출물의 조성은 주로 별다른 정제공정 없이 단순한 복합물로 다른 약재의 추출물과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당귀 추출물에서 별도로 다당류를 분리하거나, 유효성분으로 널리 알려진 디커신, 디커시놀, 디커시놀 안젤레이트 등을 분리하는 공정에 관한 연구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귀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추출물 중의 디커시놀 성분의 함량을 높인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디커시놀의 함량을 높인 당귀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디커시놀은 그 약리적 효능이 뛰어나 항암, 치매, 진통, 혈액순환, 항균, 혈소판응고방지 등 다양한 방면에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참당귀에는 디컬신, 디커시놀, 디커시놀 안젤레이트 등이 주요 약리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디커시놀의 함량은 추출액 중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할 때 0.001~0.05%(w/w)로 매우 낮으며, 추출물 중의 디커신 : 디커시놀의 함량의 비가 800~4,000 : 1 수준으로 디커신에 비하여 디커시놀의 함량이 극미량으로 매우 낮아 약리적 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당귀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디커시놀의 함량을 증가시킨 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디커시놀의 함량을 높인 참당귀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참당귀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알칼리 조건하에서 가수분해하면 디커시놀이 생성될 수 있음을 이용하여 참당귀(또는 토당귀)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면서 동시에 추출액의 pH를 알칼리성으로 바꿀 수 있는 가성소다(Sodium hydroxide),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 칼슘(Calcium hydroxide), 생석회(Calcium oxide)등을 첨가하고, 추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참당귀에 함유된 디커신 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의 일부가 가수분해 되어 디커시놀이 생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커신은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와 화학적 구성성분은 동일하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는 구조 이성질체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물질이며, 디커시놀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물질이다. 디커신(또는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은 디커시놀의 수산화기(-OH)가 에스테르화 된 것으로 이러한 에스테르의 경우 알칼리 조건하에서 가수분해하는 방법에 의하여 알콜(-OH의 형태) 과 아세트산(-COOH의 형태)의 형태로 분해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원리를 당귀 추출물의 제조에 적용하여 디커시놀의 함량을 높인 참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건조시킨 당귀에 80~100%(v/v) 순도의 에탄올을 무게 대비 3~8배수 첨가하고, 여기에 가성소다(Sodium hydroxide), 수산화 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 칼슘(Calcium hydroxide), 생석회(Calcium oxide) 등을 0.001~0.5%(w/v)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다. 이때 추출용액의 pH는 9~14의 범위가 된다. 추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추출액의 온도를 40~70℃가 되게 하고, 잘 저어주면서 1~8시간 동안 추출한다. 용액의 pH를 알칼리성이 되게 하는 물질로 상기의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생석회 등을 첨가 할 수 있으며 이외에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바륨 등을 알칼리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중 가장 좋게는 제조하는 당귀 추출물이 식품용으로 사용하기 용이하게 하려면 수산화 나트륨이 가장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첨가하는 양은 추출용매의 부피를 기준으로 0.001~0.5%(w/v)의 농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첨가하는 알칼리제의 농도를 0.001%(w/v)이하로 할 경우 추출액 중의 디커시놀의 농도증가가 너무 미미하며, 0.5%(w/v)이상으로 할 경우 디커신 및 디커시놀 안젤레이트의 95%가 디커시놀로 분해되어 디커신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며 추출액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도 3 크로마토그램 참고). 도3의 크로마토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디커신의 피크가 나오는 20.2분대에 거의 피크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대부분의 디커신이 분해됨을 알 수 있다. 도4의 크로마토 그램은 알칼리제를 첨가하지 않고 기존의 방법으로 추출한 경우의 결과이다. 이 경우 20.3분대에서 디커신의 피크가 매우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추출하는 온도는 추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는 용매가 주정을 희석한 것이므로 추출시 발생하는 증기압으로 인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에탄올의 끓는 점인 78℃ 이하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를 40~70℃로 하며, 추출시간은 통상적인 추출수율 및 디커시놀의 생성정도를 고려하여 1~8시간으로 하였다. 1시간 보다 짧을 경우 추출수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디커시놀의 생성량이 낮아지며, 8시간 이상으로 길게 하는 경우 추출수율의 추가적인 증가가 없고, 오히려 디커신이 지나치게 많이 분해되어 다량의 디커시놀이 생성되게 되거나 추가적인 분해가 일어나 디커신, 디커시놀의 양이 모두 저하되게 된다.
추출횟수는 2차 추출까지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추출수율을 높여 경제성을 높인다는 측면이 가장 강하다. 다만, 2차 추출의 경우 알칼리제를 첨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1차 추출시 첨가한 알칼리제로 인하여 디커시놀이 충분히 생성되었으므로 추가적인 생성이 불필요하며 2차 추출시에는 1차 추출시에 첨가한 알칼리제가 미량이 당귀박에 남아 있어 2차 추출시에도 소량의 디커시놀이 생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한 당귀 추출물 중의 디커신 : 디커시놀의 함량비는 기존의 추출공정(알칼리제 없이 추출한 경우)이 800~4,000 : 1인 것에 반하여 20~400 : 1로 디커시놀의 함량이 최대 200배 가량까지 증가된다. 2차 추출의 경우 당귀박에 남아있는 알칼리제로 인하여 미량의 디커신이 디커시놀로 분해된 산물을 얻을 수 있다. 디커시놀 함량이 증가된 참당귀 추출물은 이렇게 얻어진 추출액 을 진공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면 얻어진다.
디커시놀이 다량 함유된 참당귀 추출물을 얻는 방법으로 알칼리 조건하에서 디컬신의 가수분해를 이용하는 방법 중 추출액에 알칼리제를 투입하지 않고 추출이 완료된 액에 알칼리제를 투입한 후 이를 가온하면서 가수분해 하는 방법에 의하여서도 상기의 디커시놀 함량이 증가된 참당귀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용되는 조건은 상기의 추출액에 알칼리화제를 투입하여 추출하는 조건과 동일하며 그 결과 역시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매로 희석 주정을 사용하였으나, 당귀 추출물의 제조시 물추출도 가능하다.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에도 알칼리제의 첨가가 가능하며 주정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와 거의 유사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참당귀에 함유된 정유성분 등은 비 수용성이므로 물추출시는 추출수율이 저하되며 당귀 고유의 향도 주정추출물에 비하여 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정을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국내산 참당귀를 경동시장에서 10Kg을 자연건조된 것을 구입하고, 이중 500g을 취한 다음, 주정을 희석하여 에탄올의 농도를 90%(v/v)로 맞춘 다음, 이를 2.0L를 가하고, 가성소다(수산화 나트륨)를 0.1%(w/v) 농도가 되도록 2.0g을 가하여 65℃에서 5시간 동안 저어주면서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액을 따라내고, 다시 희석한 주정을 2.0L를 가하고, 가성소다의 첨가없이 추출하여 여액을 얻었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1.에 보였다. 이들 추출액을 합하여 진공농축한 결과 디커시놀 함량이 증가된 당귀추출물 95g을 얻었으며, 이들 추출물 중의 디커신 : 디커시놀의 함량비는 44 : 1 이었다.
추출액 중의 디커신, 디커시놀의 농도비교
1차 추출액 2차 추출액
디커신(ppm) 2340 750
디커시놀(ppm) 70 5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참당귀 500g을 가성소다의 첨가 없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표2에 그 결과를 보였다. 도5에 HPLC 크로마토 그램을 보였다. 4.61분대의 피크가 디커시놀을 나타내며 그 response가 매우 약함을 알 수 있다.
1차 추출액 2차 추출액
디커신(ppm) 3115 810
디커시놀(ppm) 0.36 0.01
상기 실시예 1의 결과와 비교예1의 결과를 비교하면 1차 추출액의 경우 디커시놀의 함량이 194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성소다의 농도를 0.6%(w/v)로 하고 추출하였을 경우 추출 중의 디커신 및 디커시놀의 농도를 표3에 보였다. 이 경우 대부분의 디커신은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커시놀 역시 분해되어 그 생성량이 실시예 1에 비하여 오히려 적어졌음을 알 수 있다.
1차 추출액 2차 추출액
디커신(ppm) 11 2
디커시놀(ppm) 33 5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참당귀 500g을 알칼리화제의 첨가없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2차에 걸쳐 추출하여 추출액을 3.5L를 얻었다.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첨가한 수산화 나트륨을 3.5g 가하고, 60℃에서 3시간동안 가수분해 하였다. 그 결과 디커시놀 함량이 비교예 1에 비하여 269배 증가된 참당귀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도6에 HPLC 크로마토그램을 보였다. 4.598분대의 피크가 도5와 비교하면 매우커졌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추출공정인 알칼리 추출 참당귀 추출물은 디커시놀의 함량이 약200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기존의 단순 주정 추출물에 비하여 디커시놀이 가지는 약리활성을 보다 강력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강력한 약리효능을 가진 디커시놀을 고함유하는 참당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참당귀가 한의학에서 매우 다양한 약효를 가진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만큼 기능성 식품으로서도 그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당귀 추출물은 이러한 당귀의 식품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극대화 시켜주는 것으로 항암, 면역, 진통, 혈행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진 건강기능식품의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하고, 건강기능식품의 세계화를 통한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참당귀에 80~100%(v/v)의 에탄올을 무게대비 3~8배수 가하고, 여기에 알칼리화제를 첨가한 다음, 이를 가온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상기 청구항 1에서 첨가하는 알칼리화제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생석회,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바륨 중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상기 청구항 1에서 알칼리화제를 첨가하여 농도가 0.001~0.5%(w/v)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상기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참당귀 추출물.
  5. 상기 청구항 4의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용 조성물.
KR1020060023057A 2006-03-13 2006-03-13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74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057A KR100749233B1 (ko) 2006-03-13 2006-03-13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057A KR100749233B1 (ko) 2006-03-13 2006-03-13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233B1 true KR100749233B1 (ko) 2007-08-13

Family

ID=3860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057A KR100749233B1 (ko) 2006-03-13 2006-03-13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820A (ko) 2014-10-08 2016-05-13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프로폴리스, 마카, 당귀 추출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673A (ko) * 1999-04-13 2000-11-25 이희설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당귀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30062058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싸이젠하베스트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673A (ko) * 1999-04-13 2000-11-25 이희설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당귀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30062058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싸이젠하베스트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820A (ko) 2014-10-08 2016-05-13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프로폴리스, 마카, 당귀 추출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ández-Hernández et al. Rambutan (Nephelium lappaceum L.):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Eleazu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the leaves of five Nigerian medicinal plants
Muhammad et al. The morphology, extractions, chemical constituents and uses of Terminalia chebula: A review
Khiraoui et al. Nutrition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natural sweeteners of six cultivars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leaves grown in Morocco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6329A (ko)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흑대추의 제조방법
KR100775741B1 (ko) 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US20110003017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Extract from Angelica Gigas Nakai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KR100872588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성물
KR101706017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JP2006006318A (ja) 味覚修飾剤
Gharb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two different extracts from Doum (Hyphaene thebaica) fruits
KR100749233B1 (ko)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80024421A (ko)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KR102002080B1 (ko)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Liang et al. Phytochemistry and health functions of Zanthoxylum bungeanum Maxim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 et Zucc as pharma-foods: A systematic review
KR101073478B1 (ko) 천마, 오가피, 천궁 및 당귀가 혼합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140056123A (ko)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Mahato et al. Medicinal Uses with Immense Economic Potenti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Aegle marmelos: A Concise Review
KR101646516B1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Pathak et al. Value‐Added Products from Guava Waste by Biorefinery Approach
KR20130057145A (ko) 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활성 조성물
KR101526876B1 (ko) 오가피 잎 추출물의 새로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잎 추출물
Martín et al. Potential applications of Moringa oleifera. A critical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