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058A -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058A
KR20030062058A KR1020020002470A KR20020002470A KR20030062058A KR 20030062058 A KR20030062058 A KR 20030062058A KR 1020020002470 A KR1020020002470 A KR 1020020002470A KR 20020002470 A KR20020002470 A KR 20020002470A KR 20030062058 A KR20030062058 A KR 2003006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angelica
composition
decosino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680B1 (ko
Inventor
이희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젠하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젠하베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젠하베스트
Priority to KR10-2002-000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6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로 제조된 숙취 해소제 및 숙취 해소용 음료는 과도한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를 효과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uring hangover containing decursinol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데커시놀을 함유함으로써 숙취를 억제 및 제거시킬 수 있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음을 한 후 경험하게되는 숙취(hangover)는 알코올이 완전히 대사되지 않아 생기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간에는 알코올 분해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와 알데히드 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가 존재하여 인체 내에 유입된 알코올을 독성이 없는 아세테이트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러한 아세테이트는 이후 구연산 회로(TCA cycle)로 유입되며, 결과적으로 체내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지 않는다.
그러나, 알코올의 섭취량이 높을 경우, NAD가 NADH로 환원되어 NADH/NAD의비율이 높아지게 되어, 구연산 회로의 활성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체내에 알코올 대사과정의 중간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된다. 또는, ALDH가 부족하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중간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테이트로 전환되지 않는데, 이 아세트알데히드는 독성이 매우 강하며,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숙취 후의 두통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숙취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콩나물, 북어, 녹두 등이 음주 후의 숙취 해소용 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콩나물에는 ALDH의 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간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된 숙취 해소용 음료도 시판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8-076168호 및 공개특허 제 1997-000075호에는 녹두를 첨가한 간기능 보호 식품이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0-68382호 및 제 1999-58335호에는 다양한 한방 재료를 사용한 숙취 제거용 음료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58964호에는 배와 호깨나무를 이용한 숙취 제거용 음료가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 181168호에는 오리나무와 마가목 추출물로 이루어진 숙취 해소용 천연차가 개시되어 있는 등 숙취 해소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주 후 숙취 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숙취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는 치료제나 음료의 개발은 그 요구에 비하여 아직까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혈중 알코올 감소 또는 제거 효과를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숙취를 억제하고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 숙취 제거제 및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데커시놀은 문헌(Merck index 등)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거나, 상업적으로 입수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당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근경에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95% 에탄올을 가하고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에서 15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감압 건조시킨 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Nakai), 왜당귀(Angelica acutilobaKitagawa) 또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Diels)일 수 있으나, 참당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리된 데커시놀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첨가한 숙취 해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제로 데커시놀을 직접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당업계에 공지된 의약품 제조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첨가하여 가공 및 제조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담체의 예로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취 해소제에는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제는 투여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제는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경구투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제로 사용되는 데커시놀의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0㎎/㎏의 범위이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과 같은 여러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데커시놀 5 중량부, 구연산 0.2 중량부, 사과산 0.005 중량부, 과당 2 중량부를 첨가하여 당도 10 Brix 정도의 음료제품을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귀 추출물로부터 데커시놀의 분리
잘게 썬 참당귀 근경 1kg에 80% 메탄올 2ℓ를 가하고 40℃의 항온수조(water bath)상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추출물을 모으고 감압 환류 냉각관을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수분을 증발시킨 후, 감압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당귀 추출물 290g을 얻었다.
상기 당귀 추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로 용매 계통 분획(solvent fractionation)하여 분별 추출하였다. 이중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10g)을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의 혼합 용액(1:1)에 녹인 후 여기에 10% 수산화칼륨 30ml를 가하고 80℃에서 2일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환류시킨 반응액에 물 100ml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ml을 첨가한 후, 분별 추출하는 과정을 4회 반복하였다. 이때 극성 물질인 수산화칼륨은 수층으로 옮겨가고, 반응 산물이 되는 데커시놀은 에틸 아세테이트층으로 옮겨간다.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실리카겔 SiO2: 250g, 전개용매 ; 핵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라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용출된 용출액을 박막 크로마토그라피(전개용매 ; 핵산:에틸 아세테이트=1:1)로 확인하였으며, UV 램프를 이용하여 254 및 365nm에서 파란색의 형광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 분획을 모은 후 감압 농축하였다(이때 농축물의 Rf값은 0.2이었다.). 이 농축물을 대상으로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3회 실시하여(핵산: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비는 각각 3:1, 2:1, 1:1), 결과적으로 고순도의 물질 3.7g을 얻었으며, NMR을 이용하여 구조를 분석한 결과, 상기 물질이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데커시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H-NMR(400MHz, CDCl3) : δ1.37(3H, s), 1.39(3H, s), 2.83 (1H, dd, J=4.9, 16.6Hz), 3.10(1H, dd, J=5.9, 16.6Hz), 3.87(1H, dd, J=4.9, 5.9 Hz), 6.22 (1H, d, J=9.5 Hz), 6.78(1H, s), 7.18 (1H, s), 7.57 (1H, d, J=9.5)
분자량 : 246.2653
회전율 [α]17D = +173.1 (CHCl3)
성상 : 담황색 프리즘 (light-yellow prism)
융점 : 178 [메탄올]
<실시예 2>
데커시놀의 숙취 해소 효과
2-1) 데커시놀 및 알코올의 투여
6주령의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랫트 수컷(대한 바이오링크) 150마리를 10일 동안 온도 23 ±2℃, 상대습도 50 ±5%, 조도 150-300 룩스(Lux) 조건의 실험실에서 검역, 순화시킨 후, 건강한 동물들만을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료로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삼양사료주식회사)를 자유 섭취시켰으며, 음용수로는 지하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순화 기간 중 이상이 관찰되지 않은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한 후, 5g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평균 체중에 가까운 동물 144마리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동물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24마리씩 3군으로 분배하였고, 1군은 증류수만을 투여하는 음성대조군으로, 1군은 숙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고 알려진(Wieseet al.,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2(11);897-902, 2000) 피리티옥신(pyrithyoxin, Sigma, Co. Ltd.)을 투여하는 양성대조군으로, 나머지 1군은 데커시놀을 투여하는 시험군으로 책정하였다.
시험군에는 데커시놀 41.7mg을 주사용 증류수(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에 현탁한 용액 10ml을, 음성대조군에는 증류수 10ml을, 양성대조군에는 피리티옥신 66.7mg을 증류수에 현탁한 용액 10ml을 각각 경구투여 방법으로 랫트의 위내에 주입하였다. 투여 1시간 후, 25%(w/v) 알코올 용액 10ml을 경구투여하였다.
2-2) 채혈 및 혈청의 분리
알코올 투여 후 각각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째에, 동물들로부터 3ml씩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상기 혈액을 혈청분리관에 옮긴 후, 뚜껑을 닫아 밀폐시킨 상태에서 15-20분 동안 실온에서 정치하였다.
실온에서 정치된 혈액을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혈청은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기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2-3) 알코올 농도의 측정
냉동 보관된 혈청을 얼음 위에서 해동될 때까지 정치하였다. 혈청이 해동되는 동안에 알코올 측정 키트인 NAD-ADH 어세이 바이알(NAD-ADH assay vial, Sigma)에 글리신 완충용액(Sigma) 3.0ml을 첨가하고 가볍게 흔들면서 혼합시켰다. 블랭크액(증류수), 표준 알코올 용액(standard alcohol solution 0.08%, Sigma), 그리고 상기 혈청 시료들을 각각 10㎕씩 취해 각각의 바이알(vial)에 넣고, 뚜껑을 즉시 닫은 후 부드럽게 잘 섞은 후, 37℃ 항온 수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되는 즉시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 Versamax plus384, 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3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광도를 이용한 알코올 농도의 산출은 시그마(Sigma)사의 매뉴얼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알코올(mg/dl) = 시료의 흡광도/표준용액 흡광도 ×80
각 개체별로 얻어진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나타내었다. 통계처리는 t-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시험군과 비교를 하였고, 유의성은 P<0.05에서 검사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mg/dl)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음성대조군 148 ±20 205 ±7 176 ±8 108 ±8
양성대조군 161 ±13 196 ±36 166 ±11 125 ±26
시험군 108*±32 120**±27 134**±22 101 ±28
* : P<0.05 ** : P<0.01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의 경우, 최대 혈중 알코올 농도는 205mg/dl이었고, 알코올 투여 개시부터 4시간까지의 AUC(Area Under the Curve)는 599.8mg/dlㆍhr이었다. 양성대조군의 경우는, 최대 혈중 알코올 농도가 196mg/dl, 알코올 투여 개시부터 4시간까지의 AUC는 601.6mg/dlㆍhr로 음성대조군의 100%이었다.
한편, 데커시놀 투여군에서의 최대 혈중 알코올 농도는 134mg/dl, 알코올 투여 개시부터 4시간까지의 AUC는 445.6mg/dlㆍhr로 음성대조군의 74%이었다. 데커시놀 투여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 후, 1시간째 알코올을 43% 이상 저하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데커시놀을 투여한 시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가 낮게 관찰되었고, 혈중 최고 농도 도달시간을 지연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데커시놀 5 중량부, 구연산 0.2 중량부, 사과산 0.005 중량부, 과당 2 중량부를 첨가하여 당도 10 Brix 정도의 음료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데커시놀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제 및 숙취 해소용 음료는 과도한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를 효과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다.

Claims (6)

  1.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커시놀은 당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근경에 저급 알코올을 가하고, 30-55℃에서 30분-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Nakai), 왜당귀(Angelica acutilobaKitagawa) 또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Die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데커시놀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제.
  6.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KR10-2002-0002470A 2002-01-16 2002-01-16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044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470A KR100448680B1 (ko) 2002-01-16 2002-01-16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470A KR100448680B1 (ko) 2002-01-16 2002-01-16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058A true KR20030062058A (ko) 2003-07-23
KR100448680B1 KR100448680B1 (ko) 2004-09-16

Family

ID=3221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470A KR100448680B1 (ko) 2002-01-16 2002-01-16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6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908A1 (en) * 2006-01-19 2007-07-26 Yong Jin Park A method for preparing decursinol from angelica gigas with high yield
KR100749233B1 (ko) * 2006-03-13 2007-08-13 (주)에이지아이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44397B1 (ko) * 2007-09-21 2010-02-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00112352A (ko) * 2019-03-22 2020-10-05 박재규 참당귀 추출물로부터 쿠마린 유도체의 합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458A (ko) * 1997-09-12 1999-04-06 이석일 숙취제거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10036048A (ko) * 1999-10-05 2001-05-07 천경호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908A1 (en) * 2006-01-19 2007-07-26 Yong Jin Park A method for preparing decursinol from angelica gigas with high yield
KR100749233B1 (ko) * 2006-03-13 2007-08-13 (주)에이지아이 참당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44397B1 (ko) * 2007-09-21 2010-02-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00112352A (ko) * 2019-03-22 2020-10-05 박재규 참당귀 추출물로부터 쿠마린 유도체의 합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680B1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8932B2 (en) Medicinal composition of amaranth extract origin having enriched nitrate content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05610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07053865A9 (en) Pharmaceutical use of a compound
MX2008012230A (es) Composicion de extracto de plantas naturales para la prevencion y recuperacion de hiperlipidemia y de trastornos cerebrovasculares, te natural que la contiene como ingrediente activo, y metodo para preparar el te natural.
FR2905854A1 (fr) Composition a base de xanthoxylin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KR100834348B1 (ko) 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JP2020514285A (ja) 龍眼肉抽出物を含有する二日酔い予防または解消用組成物
WO2006131932A1 (en) Herbal formulation capable of preventing alcohol-induced hangover,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0448680B1 (ko)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0661132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3022B1 (ko)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JP4247422B2 (ja) アルドースリダクターゼ阻害作用剤
KR100473530B1 (ko)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20067062A (ko) 클로로젠산 및 루틴이 강화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황칠나무 추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6361B1 (ko) 참당귀로부터 분리된 신규 생리 활성 물질, 이의 추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00026785A (ko) 알코올대사 생약 촉진제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RU2178706C2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сбор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алкогольного абстинентного синдрома и алкогольного гепатита
KR100413963B1 (ko) 쿠마린 유도체의 항치매제로서의 용도 및 이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2661871B1 (ko) 숙취 예방 또는 개선용 음료 조성물
EP2563377A1 (en) Treatment of cartilage resorption
RU2203081C1 (ru) Препарат ислацет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туберкулез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0649121B1 (ko) 배초향 정유 및 케토코나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진균제
RU2223110C1 (ru) Противоишемический растительный препарат мелилотин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