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129B1 -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129B1
KR100749129B1 KR1020060106739A KR20060106739A KR100749129B1 KR 100749129 B1 KR100749129 B1 KR 100749129B1 KR 1020060106739 A KR1020060106739 A KR 1020060106739A KR 20060106739 A KR20060106739 A KR 20060106739A KR 100749129 B1 KR100749129 B1 KR 10074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uel cell
electrode
polybenzylimidazol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기
김완근
조기윤
정호영
성경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106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8668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96Pressing, rolling,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은 고분자 막과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단위셀 계면의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고온의 무수 상태에서도 이온전도 특성, 계면 특성 및 장기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졸겔법, 폴리벤질이미다졸

Description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Electrolyt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omprising polybenzimidazole type polymer binder,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omprising the electroly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고온용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분자 슬러리의 가수분해에 의한 변화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전극의 백금 촉매 분산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에서 제조된 고분자 바인더의 수소 이온 전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신규의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 지지체 뿐만 아니라 이온 전도체의 역할을 수행하여 종래 바인더가 없는 전극에 비해 고분자 막과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단위셀 계면의 전기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고온의 무수 상태에서도 이온전도 특성, 계면 특성 및 장기 안정성을 향상 시킨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기존 고온용 전극의 경우 바인더가 없는 전극, 혹은 나피온을 바인더용 고분자로서 이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를 바인더로 적용하는 경우 낮은 용해 특성 때문에 적용상 곤란하여, 현재에는 저분자 물질만이 백금 촉매의 바인더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저분자 물질은 장기 안정성에 문제가 되어왔다.
또한, 대부분의 공정이 고분자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와 다른 용매를 전극의 제조과정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극제조시 공정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를 바인더로 하고, 이에 백금 촉매를 분산시켜 얻어지는 혼합물은 고온의 무수 상태에서도 수소 이온 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이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제조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며 고온의 무수 상태에서도 수소 이온 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신규의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또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 막에 부착되고,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를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막과,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을 압착하여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이 부착된 전해질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은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한다.
금속촉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i, S, Ni, Au, Ce, Mn, Zn, Au, Al, Ru, Ga, V, Fe, Co, Cu 등으로부터 1종 혹은 2종 이상의 합금 등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백금촉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6079839185-pat00001
<반응식 2>
Figure 112006079839185-pat00002
상기 반응식 1 및 2에 나타낸 단량체는 각각 3,3'-디아미노벤지다인(3,3'-diaminobenzidine) 및 이소프탈릭산(isophthalic acid)을 공단량체로 한 경우와, 3,4-디아미노벤조익산을 단량체로 하는 경우가 예시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의 제조를 위해 제시된 일예에 불과한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외에도 폴리벤즈옥사졸, 폴리벤조티아졸 등을 단량체로 하여 제조되어지는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역시 본 발명에 사용되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상기 본 발명의 예시를 통해 자명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의 고유점도는 고유점도와 고분자의 분자량이 비례하는 성질을 감안하여 너무 낮은 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촉매층에서 분해되어 용출되거나 누출될 수 있기에 2~10 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촉매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젤 상태의 폴리이미다졸계 고분자 전해질에 분산되어지고, 이 혼합물은 슬러리 상태에서 기체확산층, 예를 들어 카본페이퍼 상에 도포되어 전극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폴리포스포릭산(PPA)가 사용되며, 촉매의 분산을 위해 포스포릭산(PA)를 사용한다. 이때 포스포릭산은 전극내에서 수소이온이 지나가는 매질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대비 포스포릭산의 도핑률이 1~60 몰%로 조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슬러리 상태의 혼합물을 기체확산층으로 되는 물질, 예로 카본페이퍼 상에 도포한 후, 합성시 사용된 용매 즉, 폴리포스포릭산(PPA)를 가수분해하여 포스포릭산으로 변환시키는 가수분해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체확산층에 도포되어지는 금속촉매를 함유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는 0.1~5 mg/㎠의 양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압착되어 막/전극 복합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막/전극 접합체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전해질 막은 현재 상용 고온 연료전지용 폴리벤질이미다졸계 전해질 막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압착과정은 전극을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대면시켜 열가압 프레스로 압력 100~2,000psi로 가압하여 수행되어질 수 있으며, 열가압 프레스시 온도는 80~200℃에서 1~10분 동안 수행되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슬러리는 도면 3에서와 같이 분산상태가 매우 균일하며, 또한 향상된 고온 안정성과 계면 접착성을 보였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바인더의 성능을 결정하는 수소 이온 전도 특성 역시 매우 우수함을 보 여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은 고분자 연료전지에 적용되어질 수 있으며,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이 이외에도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1-0022355호, 10-2001-0071682호, 10-2002-0062726호, 10-2004-0088015호 등에 기재된 연료전지 등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다만, 상기 구성에서 전극 부분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으로 대체될 수 있음) 등도 본 발명을 위하여 인용된다.
본 발명의 보다 확실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제조 단계가 보다 구체화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PBI 백금 촉매 슬러리 제조
(1) 폴리벤지이미다졸 합성
먼저, 3구 반응기를 질소 분위기로 만들고 용매인 폴리포스포릭산(polyphosphoric acid)에 3,3'-디아미노벤지다인(3,3'-diaminobenzidine) 및 이소프탈릭산(isophthalic acid) 단량체를 용매대비 각각 2.5wt% 첨가하여 200℃에서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고분자 바인더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백금 촉매분산
상기 과정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바인더 용액은 점도가 매우 높아 백금 촉매를 분산하기 어려워,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적당량의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에 백금 촉매를 먼저 분산시켰다. 분산된 백금 촉매 슬러리를 고분자 바인더 용액과 혼합하였다.
(3) 가수분해에 의한 고분자 슬러리 제조
상기 과정 (2)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탄소페이퍼에 0.5mg/㎠ 도포한 후 대기 중에 36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이에 의해 대기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폴리포스포릭산(polyphosphoric acid)은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으로 가수분해되었다. 이렇게 제조한 전극을 고온용 고분자 전해질과 열압착시켜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ABPBI 백금 촉매 슬러리 제조
(1) 폴리벤지이미다졸 합성
먼저, 3구 반응기를 질소 분위기로 만들고 용매인 폴리포스포릭산(polyphosphoric acid)에 3,4-디아미노벤조익산(3,4-diaminobenzoic acid) 단량체를 용매대비 5wt% 첨가하여 200℃에서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고분자 바인더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백금 촉매분산
상기 과정 (1)에서 제조된 고분자 바인더 용액은 점도가 매우 높아 백금 촉매를 분산하기 어려워, 상대적으로 점도가 낮은 적당량의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에 백금 촉매를 먼저 분산시켰다. 분산된 백금 촉매 슬러리를 고분자 바인더 용액과 혼합하였다.
(3) 가수분해에 의한 고분자 슬러리 제조
상기 과정 (2)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탄소페이퍼에 0.5mg/㎠ 도포한 후 대기 중에 36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이에 의해 대기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폴리포스포릭산(polyphosphoric acid)은 포스포릭산(phosphoric acid)으로 가수분해되었다. 이렇게 제조한 전극을 고온용 고분자 전해질과 열압착시켜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슬러리의 시간에 따른 가수분해 확인
상기에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고분자 슬러리의 가수분해를 확인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P-NMR을 분석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백금 촉매의 분산 확인
상기에서 제조된 고분자 백금 촉매 슬러리를 카본페이퍼에 도포한 후 그 분산 정도를 SEM으로 확인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고분자 바인더의 전도도 특성 확인
상기에서 제조된 고분자 바인더의 경우 150℃에서 전도도가 3.2 X 10-1 S/cm 로 측정되었고, 이는 나피온(1 X 10-1 S/cm)보다 우수한 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전도도 특성은 도 4에 나타내었다.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젤 고분자 전극 조성물로 전극을 제조하면, 고온의 무수 상태에서도 수소 이온 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계면 안정성이 향상되어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전극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9)

  1.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촉매는 백금촉매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의 고유점도는 2~10 dl/g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4. 제 1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대비 산의 도핑률이 10~60 몰%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
  5.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 막에 부착되고,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6. 제 5항에 있어서, 금속촉매는 백금촉매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7. 제 5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의 고유점도는 2~10 dl/g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8. 제 5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대비 산의 도핑률이 10~60 몰%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9. 금속촉매를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폴리포스포릭산 용액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내 폴리포스포릭산을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금속촉매는 백금촉매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의 고유점도는 2~10 dl/g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슬러리의 제조시 백금촉매는 포스포릭산에 분산된 상태의 용액 형태로 폴리포스포릭산 용액에 혼합되어지는 고분자 연료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대비 산의 도핑률이 10~60 몰%인 고분자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14. 고분자 전해질막과,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을 압착하여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압착과정은 열가압 프레스 압력 100~2,000psi로 수행되어지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열가압 프레스 온도는 80~200℃에서 수행되어지는 고분자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17. 고분자 전해질막에 금속촉매 및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이 부착된 전해질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료전지.
  18. 제 17항에 있어서, 금속촉매는 백금촉매인 고분자 연료전지.
  19. 제 17항에 있어서, 폴리벤질이미다졸계 고분자의 고유점도는 2~10 dl/g인 고분자 연료전지.
KR1020060106739A 2006-10-31 2006-10-31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074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739A KR100749129B1 (ko) 2006-10-31 2006-10-31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739A KR100749129B1 (ko) 2006-10-31 2006-10-31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129B1 true KR100749129B1 (ko) 2007-08-13

Family

ID=3860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739A KR100749129B1 (ko) 2006-10-31 2006-10-31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96B1 (ko) 2011-04-11 2013-08-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벤즈이미다졸리움 및 폴리벤즈이미다졸리움 기반 고체 전해질
KR101862377B1 (ko) 2017-03-29 2018-05-29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다공성 탄소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439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US6083641A (en) 1998-05-08 2000-07-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Titanium carbide bipolar plat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KR20050116435A (ko) * 2004-06-07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KR20060085102A (ko) * 2005-01-22 2006-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벤지이미다졸 촉매 바인더, 그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막전극접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1439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US6083641A (en) 1998-05-08 2000-07-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Titanium carbide bipolar plat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KR20050116435A (ko) * 2004-06-07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KR20060085102A (ko) * 2005-01-22 2006-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벤지이미다졸 촉매 바인더, 그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막전극접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96B1 (ko) 2011-04-11 2013-08-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벤즈이미다졸리움 및 폴리벤즈이미다졸리움 기반 고체 전해질
KR101862377B1 (ko) 2017-03-29 2018-05-29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다공성 탄소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Study of poly (vinyl alcohol)/titanium oxide composite polymer membranes and their application on alkaline direct alcohol fuel cell
KR101329494B1 (ko) 이온 전도성 막
JP2010538416A (ja) 高分子形燃料電池に用いられる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電解質膜
KR101392230B1 (ko) 폴리머 바인더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알칼리 멤브레인 연료전지
Park et al. Mechanical stability of H3PO4-doped PBI/hydrophilic-pretreated PTFE membranes for high temperature PEMFCs
WO2004017446A1 (ja) 燃料電池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7388035B2 (en) Method for preparing poly(2,5-benzimidazole)
JP4107116B2 (ja) プロトン伝導性材料、プロトン伝導性材料膜、及び燃料電池
US20030194593A1 (en)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CN101346314A (zh) 新的金属(ⅲ)-铬-磷酸盐配合物及其用途
JP4987857B2 (ja) 重合体分散物及び電気触媒インク
US7947410B2 (en) Fuel cell electrodes with triazole modified polymers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incorporating same
KR100749129B1 (ko) 폴리벤지이미다졸계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고분자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Zhang et al. Poly (vinylidene fluoride) based anion conductive ionomer as a catalyst binder for application in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JP2001160407A (ja) プロトン伝導性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高分子固体電解質、ならびに電極
KR101654830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N109860633B (zh) 一种有序介孔催化层及膜电极的制备方法和用途
Dang et al. A durable polyvinyl butyral-CsH2PO4 composite electrolyte for solid acid fuel cells
KR20100020050A (ko) 자기치유 연료전지 분리판 제조용 혼합조성물 및 연료전지 분리판
AU2002356654B2 (en) Fuel cell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thereof
JP4596163B2 (ja) 混合伝導体
US20240186532A1 (en) Fuel cell electrode with high gas permeability,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ame
Hooshyari et al. New nanocomposite membranes based on polybenzimidazole with improved fuel cell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s
KR101558536B1 (ko) 하이퍼브랜치 폴리머,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KR20100072967A (ko) 가지형 공중합체 전해질 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