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692B1 - 벨트용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92B1
KR100748692B1 KR1020060106651A KR20060106651A KR100748692B1 KR 100748692 B1 KR100748692 B1 KR 100748692B1 KR 1020060106651 A KR1020060106651 A KR 1020060106651A KR 20060106651 A KR20060106651 A KR 20060106651A KR 100748692 B1 KR100748692 B1 KR 10074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ver
buckle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부
Original Assignee
박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부 filed Critical 박상부
Priority to KR102006010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nap-a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고정과 풀림이 용이한 벨트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벨트용 버클은 본체, 커버, 상기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동판, 및 상기 회동판이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좌우 측면판과 상기 커버의 좌우 측면판이 접촉하게 되는 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가 본체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클, 벨트

Description

벨트용 버클{BUCKLE FOR BE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 본체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 커버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 회동판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식 버클 커버를 이용한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의복, 특히 바지의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벨트의 양 끝부분을 결속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버클의 한쪽 끝은 벨트의 한쪽 끝과 결합되고, 다른 한쪽에는 벨트의 다른 쪽 끝부분을 결속하기 위한 수단이 갖 추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벨트를 착용할 때에는 착용하는 자의 신체 사이즈(바지의 경우에는 허리 사이즈)의 차이에 따라 벨트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종전에 주로 사용되던 구멍 간격을 이용하여 벨트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벗어나서, 임의로 좁은 간격에서 선택하여 조정하고자 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알려진 벨트용 버클의 경우,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 버클에 장착되어 있는 걸림 장치를 작동시켜 사용해 왔는데, 즉 레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걸림쇠가 해제될 수 있도록 회전시켜서 벨트의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벨트의 조임 조절 장치, 즉 벨트용 버클은 대개 강철과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재로 이루어진 벨트용 버클은 내구성이 높고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나,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와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패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식 벨트 커버를 이용하여 벨트의 고정과 풀림을 비교적 단순한 방법으로도 세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벨트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을 통해 다양한 패션 요구에 부응하는 벨트용 버 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벨트용 버클은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바닥판 및 측면판을 포함하여 형성된 본체;
덮개판 및 측면판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판과 상기 덮개판이 마주 보며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동판; 및
상기 회동판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판이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판과 상기 커버의 측면판이 접촉하게 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또는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커버가 본체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판과 상기 커버의 덮개판의 하부면 간의 소정의 간격은 일반적인 벨트의 두께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은 벨트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안내홈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회동판과 상기 커버의 덮개판의 하부면 간의 간 격이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의 측면판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결속부는 상기 안내홈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판은 그 상부를 고무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커버 및 본체는 각각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은 실제 구현되는 벨트용 버클과는 그 축척비율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벨트용 버클(1)은 벨트 연결부(2) 등 벨트의 한 쪽 끝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벨트용 버클을 구성하는 부품은 크게 본체(10), 커버(20), 회동판(30), 및 탄성부재(40)로 구분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본체 및 커버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벨트용 버클의 본체(10)는 바닥판(12) 및 좌우 측면판(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판(14)은 바닥 판(12)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위를 향해 형성되는 형태로 할 수 있으며, 바닥판과 일체를 이루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본체의 좌우 측면판(14)에는 두 쌍의 돌출부(16)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한 쌍으로만 형성되거나 한 쪽 측면에만 돌출부를 구비하는 등, 커버의 안내홈(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것과 반대로, 본체의 측면판에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커버(30)의 측면판에 상기와 같은 돌출부를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체(10)와 결합되는 벨트용 버클의 커버(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판(22) 및 좌우 측면판(24)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20)는 상기 본체(10)와 결합하게 되며, 이 때 상기 본체의 바닥판(12)을 커버의 덮개판(22)이 마주 보며 덮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는 각각 플라스틱과 같이 가볍고 연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체와 커버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 본체와 커버의 소재 자체를 유연성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커버(20)를 본체(10)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한 플라스틱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커버를 필요에 따라 교체해 가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투명한 재질로 하는 경우에는 버클 내의 결합 메커니즘이 관찰 가능하여, 새로운 미감을 가져오는 효과도 있다.
한편, 도 3에 의하면, 커버의 좌우 측면판(24)에는 본체의 측면판(14)의 형성된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안내홈(26)을 한 쌍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안내홈(26)의 형태 및 개수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16)의 형태 및 개수와 대응되어, 상기 커버(20)와 본체(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6)가 상기 안내홈(26)에 삽입되어, 안내홈의 방향에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안내홈(26)이 벨트의 삽입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20)를 벨트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커버의 덮개판(22)의 하부면은 본체의 바닥판(12)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의 측면판에는 안내홈을 형성하고 커버(30)의 측면판에 이왕 대응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하는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버클 커버(20)가 안내홈(26)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안내홈(26)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불안정한 위치를 갖게 되는 수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측면판(14)에 한 쌍의 결속부(50)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속부(50)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커버의 측면판(24)에 위치하고 상기 결속부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이나 철로 형성된 결속대응부(52)와 결속하게 된다.
이들 결속부(50)는 커버의 안내홈(26)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측면판(24)은 안내홈(26)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본체의 측면판(14)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결속부(50)의 위치가 설정된 경우에는 본체의 돌출부(16)는 커버의 안내홈(26)의 양쪽 끝 부분 중에서 한 위치에서 고정될 것이다.
이러한 결속부(50)와 결속대응부(52)는 도면에서 나타낸 것과 반대로, 결속부가 커버의 측면판(24)에 형성되고 결속대응부(52)가 본체의 측면판(14)에 형성되는 것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 회동판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회동판(30)은 버클의 본체(10)에 연결되어 위치한다.
그 구체적인 예로, 상기 회동판(30)은 회전판(32)과 회전축(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34)이 본체에 형성된 회동판홈(18)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벨트가 버클의 커버(20)와 본체(1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진행되는 경우, 벨트의 끝 부분은 본체에 위치한 회동판(30)의 회전판(32)과 접촉하게 되고, 계속 벨트를 삽입하는 경우 벨트는 회전판(32)을 밀고 들어가게 된다. 이때, 회동판(30)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부분, 즉 회전축(34)에는 탄성부재(40)가 위치하여, 상기 회동판(30)을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버클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탄성부재(40)로는 도면에서와 같은 비틀림 스프링이 대표적이며, 탄 성부재의 위치에 따라 기타 용수철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도 사용 가능하다.
벨트가 삽입되어 회동판(30)과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서 회동판의 상부, 즉 회전판(32)의 상부를 고무패킹(36)으로 덮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무패킹에 요철 형태(미도시함)를 형성시켜서 마찰력을 더 높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벨트용 버클의 사용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판(30)을 구비한 버클의 본체(10)에 버클 커버(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벨트가 버클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본체(10)의 바닥판과 커버(20)의 덮개판의 사이로 벨트가 삽입되며, 벨트의 끝 부분은 본체에 위치한 회동판(30)의 회전판(32)과 접촉하게 되고, 계속 벨트를 삽입하는 경우 벨트는 회전판(32)을 밀고 들어가게 된다. 이때, 회동판(30)이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부분, 즉 회전축(34)에는 탄성부재(40)가 위치하여, 상기 회동판(30)을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판(30)이 복원되면, 벨트와 회동판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은 평상 시에 벨트를 버클 내에서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상기 회동판(30)의 상단은 상기 커버의 덮개판(22)의 하부면으로부터 일반적인 벨트의 두께보다 작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회동판(30)의 상부를 고무로 형성하는 것도 이러한 효과를 가져온다.
벨트를 버클로부터 풀거나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는, 버클 커버(20)를 안내 홈(26)의 방향에 따라서 움직이면 된다. 이 경우, 안내홈이 벨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커버의 덮개판(22)의 하부면과 회동판(30)의 상단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서 벨트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버클 커버의 움직임에 있어서 그 변동된 위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의 측면판(14)과 커버의 측면판(24) 사이에는 자석과 같은 결속부(50)가 위치하며, 도 1에서 예를 보인 것과 같이, 버클 커버는 평상시에는 A 위치에, 벨트 이동 시에는 B 위치의 결속에 결속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현재로서 실질적이라 고려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식 벨트 커버를 이용하여 벨트의 고정과 풀림을 비교적 단순한 방법으로도 세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을 통해 다양한 패션 요구에 부응하는 벨트용 버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바닥판(12) 및 측면판(14)을 포함하여 형성된 본체(10);
    덮개판(22) 및 측면판(24)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판(12)을 상기 덮개판(22)이 마주 보며 덮도록 구성되는 커버(20);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회동판(30); 및
    상기 회동판(3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판(30)이 벨트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원래 자리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판(14)과 상기 커버의 측면판(24)이 마주하게 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6)와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26)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커버(20)가 본체(10)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6)가 상기 안내홈(26)에 삽입되어,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30)의 상단은 상기 커버의 덮개판(22)의 하부면으로부터 일반적인 벨트의 두께보다 작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용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6)은 벨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20)가 상기 안내홈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회동판(30)의 상단과 상기 커버의 덮개판(22)의 하부면 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의 측면판에는 한 쌍 이상의 결속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결속부(50)는 상기 안내홈(26)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용 버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30)은 그 상부를 고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KR1020060106651A 2006-10-31 2006-10-31 벨트용 버클 KR10074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651A KR100748692B1 (ko) 2006-10-31 2006-10-31 벨트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651A KR100748692B1 (ko) 2006-10-31 2006-10-31 벨트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692B1 true KR100748692B1 (ko) 2007-08-13

Family

ID=3860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651A KR100748692B1 (ko) 2006-10-31 2006-10-31 벨트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2640A2 (ko) * 2010-05-31 2011-12-08 Park Sang Boo 벨트용 버클
KR101176766B1 (ko) 2012-03-20 2012-08-23 채승복 혁대용 버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563Y1 (ko) 2005-11-21 2006-01-31 우성률 혁대용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563Y1 (ko) 2005-11-21 2006-01-31 우성률 혁대용 버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2640A2 (ko) * 2010-05-31 2011-12-08 Park Sang Boo 벨트용 버클
WO2011152640A3 (ko) * 2010-05-31 2012-05-03 Park Sang Boo 벨트용 버클
KR101214653B1 (ko) 2010-05-31 2012-12-24 박상부 벨트용 버클
KR101176766B1 (ko) 2012-03-20 2012-08-23 채승복 혁대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361B2 (en) Mechanical lever buckle for belt and watch strap
US10021955B2 (en) Locking mechanism of a backpack
US4005510A (en) Plastic clip
CN207627482U (zh) 头带结构及其焊接面罩
KR102360737B1 (ko) 시계 팔찌용 걸쇠
TWI524860B (zh) 具有可更換腕帶或皮帶的可攜式物體
CN102553175B (zh) 面部佩戴用具
KR100748692B1 (ko) 벨트용 버클
JP2015123371A (ja) ブレスレットの有効長さを調整するためのデバイスを備えたブレスレット用クラスプ
US7849566B2 (e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KR101425027B1 (ko)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착탈식 버클
US5577300A (en) Strap buckle
CN106942923A (zh) 用于锁止装置以设定接纳在家具主体上的移动式家具部件的设定装置
JP3210707U (ja) ベルト用バックル
JP6707170B2 (ja)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KR20180002153U (ko) 허리띠 및 허리띠용 버클
JP2019093133A (ja) バックル
WO2014033662A1 (en) Calibration system for adjusting straps, such as watch straps or such as belts with locking mechanism
JP5993474B2 (ja) バックル、及びそれを用いたベルト
KR101214653B1 (ko) 벨트용 버클
KR101590931B1 (ko) 의류 허리단 둘레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한 허리단 둘레 조절이 가능한 의류
KR100748691B1 (ko) 벨트 연결 장치
KR200378675Y1 (ko) 버클이 구비된 벨트
KR20190000100U (ko) 허리띠 및 허리띠용 버클
TW201522797A (zh) 滑移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