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457B1 -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457B1
KR100748457B1 KR1020070040580A KR20070040580A KR100748457B1 KR 100748457 B1 KR100748457 B1 KR 100748457B1 KR 1020070040580 A KR1020070040580 A KR 1020070040580A KR 20070040580 A KR20070040580 A KR 20070040580A KR 100748457 B1 KR100748457 B1 KR 10074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ocker
cam
solenoi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원
김상백
김현식
진민섭
Original Assignee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457B1/ko
Priority to CN2007800344318A priority patent/CN101517182B/zh
Priority to JP2010502925A priority patent/JP4944990B2/ja
Priority to US12/438,947 priority patent/US20100117378A1/en
Priority to EP07860784.3A priority patent/EP2052122A4/en
Priority to PCT/KR2007/007007 priority patent/WO20081333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폐쇄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 삽입되는 래치 개구부, 상기 래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의 삽입으로 탄력지지되는 래치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커버, 상기 래치 슬라이드를 단속하는 록커, 상기 록커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편, 제어신호에 의해 푸쉬캠을 밀어내고 상기 푸쉬캠은 회전 캠을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 편을 좌우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록커와 슬라이편과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비정상적인 래치의 이탈에 대하여 탄력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락커를 강제적으로 인입시켜 유동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단락시키는 락커 인입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푸쉬 캠을 작동시키고, 상기 푸쉬 캠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캠의 편심되도록 구성한 편심부에 의해 락커를 상하로 작동되도록 하여 래치를 구속하는 래치 슬라이드를 단속하는 락커를 제공하여 단순화할 수 있어서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래치의 이탈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가전제품의 동작으로 멈출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제공을 할 수 있다.
도어, 솔레노이드, 회전캠, 래치, 래치 슬라이드

Description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A door-lock equipment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캠과 회전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와 캠 하우징(700)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
도 6a는 도 6의 A-A'의 래치가 삽입되기 전의 단면도.
도 6b는 도 6의 A-A'의 래치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6c는 도 6의 A-A'의 록킹이 설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7a는 도 6b의 사시도
도 7b는 도 6c의 사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의한 다른 형태의 락커 인입부의 사시도.
도 8a는 도 8에 따른 래치가 삽입되었을 경우의 락커 인입부의 동작도.
도 8b는 도 8에 따른 래치가 강제 이탈 되었을 경우의 동작도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래치 200...하우징
300...커버 310...래치 개구부
301...락커 개구부
400...래치 슬라이드 410...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
420...래치 삽입구 421...래치 지지부
430...락커 걸림부 440...락커 인입부 걸림홈
500..접점부 510...유동 플레이트
520...고정 플레이트 511...락커 인입부
551, 560...PTC
600...솔레노이드 610...솔레노이드 플랜저
620...보빈 630...솔레노이드 케이스
700...캠 하우징 710...푸쉬캠
720...회전캠 730...회전캠 스프링
750..슬라이드 편 751...슬라이드 편 스프링
800...락커 810...유동 플레이트 삽설부
900, 901...락커 인입부 910, 911...돌출부
920...래치 당접부 921...리브 당접부
930, 931...힌지 통공 940...래치 슬라이드 결속부
960...전방 리브 961...후방 리브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신호의 입력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푸쉬 캠을 작동시키고, 상기 푸쉬 캠의 작동에 따라 회전캠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드 편을 좌우로 상하로 작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편의 상하 작동에 의해 래치 슬라이드를 구속하여 래치를 단속하고, 비정상적인 래치의 이탈에 대하여 유동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단락시켜 가전제품의 동작을 즉각적으로 멈추게 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세탁기, 세척기, 거조기, 주방용 스토브, 전자레인지) 등에 있어서, 특정 상황에 대해서만 각 제품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락 장치가 구비된다. 즉, 도어 개방에 따른 안전을 위해 특정한 상황에서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전제품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을 위해 가전제품이 작동중일 경우에는 도어는 폐쇄되어야 한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에 따라 많은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래치(latch, 걸쇠)를 단속함에 있어서 삽입된 래치를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따라 두개의 연속 톱니바퀴를 회전시켜 슬라이드를 단속하는 도어락 장치(미국특허 6334637 B1, 가전기기의 도어 잠금 및 잠금해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공지된 도어락 장치는 락커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솔레노이드의 왕복운동을 톱니바퀴에 전달하고 상기 톱니바퀴의 톱니 사이에 당접한 락커를 작동시켜서 래치를 단속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지된 도어락 장치는 톱니바퀴의 이가 서로 다른 두개의 톱니바퀴를 결합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작동하는 것으로, 톱니바퀴에 의한 도어락 장치의 부피가 증가되고, 톱니바퀴의 회전에 따른 락커의 오작동이 자주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에 의해 푸쉬 캠을 작동시키고, 상기 푸쉬 캠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캠의 편심되도록 구성한 편심부에 의해 락커를 상하로 작동되도록 하여 래치를 구속하는 래치 슬라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락커의 작동을 단순화하여 제작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따른 목적은 비정삭적으로 래치가 이탈되었을 경우에 가전제품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도어락 장치에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폐쇄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가 삽입되는 래치 개구부, 상기 래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의 삽입으로 탄력지지되는 래치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커버, 상기 래치 슬라이드를 단속하는 록커, 상기 록커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편, 제어신호에 의해 푸쉬캠을 밀어내고 상기 푸쉬캠은 회전 캠을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 편을 좌우로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상기 록커와 슬라이편과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접점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비정상적인 래치의 이탈에 대하여 탄력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락커를 강제적으로 인입시켜 유동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단락시키는 락커 인입부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1)의 외부 구성을 살펴보면, PTC(정저항온도계수)를 수납하는 PTC 수납부(550)와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스위치 접점부(500)를 포함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래치(100)가 삽입되는 래치 개구부(310)를 구비하는 커버(300), 상기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삽입되는 래치(100)에 밀리도록 구성되되 탄력지지 되도록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로 구성된 래치 슬라이드(400), 비정상적인 래치의 이탈에 대하여 탄력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락커(800)를 강제적으로 인입시켜 유동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단락시키는 락커 인입부(9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자세히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1)에는 PTC 수납부(550)와 접점부(500) 및 솔레노이드(600)와 상기 솔레노이드(600)에 의해 작동되는 캠하우징(700), 상기 캠하우징(700)에 의해 작동되는 락커(800)가 설치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과 결합되되 래치(100)가 삽입되는 래치 개구부(310)를 구비하는 커버(300); 상기 커버의 상단에는 상기 락커(800)의 상하 동작에 의해 출입하는 락커 개부구(301)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되는 래치(100)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되되 탄력지지 되도록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가 마련된 래치 슬라이드(400), 커버(300)와 힌지 결합하여 래치(100)의 삽입에 의해 힌지 이동하는 락커 인입부(900)를 설치하되, 상기 락커 인입부(90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서 래치(10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도록 설치하고 락커(800)의 상부에는 래치의 비정상적인 이탈에 대하여 토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상기 래치(800)를 강제적으로 인입시키는 돌출부(910)가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락커 인입부(900)를 탄력지지하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의 구성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 미표시하였다.
상기 PTC 수납부(550)에는 솔레노이드 접점(a)과 솔레노이드 접점(b)이 내설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접점(a, b)사이에는 PTC(551)가 설치된다.
상기 접점부(500)에는 바이메탈 접점(c), 상시 솔레노이드 접점의 타측 접점(d), 접점(e), 고정 플레이트 접점(f)이 설치된다.
상기 바이메탈 접점(c)의 끝단부에는 바이메탈(570)과 유동 플레이트(510)이 설치되되 상기 유동 플레이트(510)와 바이메탈(570) 사이에는 PTC(560)가 설치된다.
상기의 PTC(551, 560)는 일정한 온도이하에서는 전기가 통과되고,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단락되는 성질의 반도체 소자로 전류가 급격히 많이 흐르게 되면 단락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접점(a, b)이 연결되고 접점(e)에 의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600)는 솔레노이드 케이스(630)과 전선이 감겨져 있는 보빈(620, bobbin)의 중심부에 솔레노이드 플렌저(610, plunger)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플랜저(610)의 끝단은 캠하우징(700)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하우징(700)의 내부에는 푸쉬캠(710)과 상기 푸쉬캠(710)의 왕복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캠(72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캠(720)의 끝단에는 중심축에 편심되도록 구성된 편심부(721, 도 4참조)가 마련되되 상기 푸쉬캠(710)과 탄력지지되도록 회전캠 스프링(7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편심부(721)의 외접면과 당접하도록 슬라이드편(75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편(750)과 회전캠(720)의 편심부(721)과 항상 당접하도록 슬라이드편 스프링(751)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편(750)은 락커(800)와 빗각설치된다.
상시 락커(800)는 유동 플레이트 삽설부(810)가 마련되어 상기 유동 플레이트(510)의 락커 인입부(511)가 삽설되어 설치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상기 구성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300)가 결합되는데,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설치된 락커(800)의 상하 작동에 따라 상기 락커(800)가 출입하는 락커 개구부(301)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는 래치 슬라이드(400)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에는 커버(300)의 래치 개구부(310)와 연통되어 상기 래치(100)가 삽입되는 래치 삽입구(420)와 상기 래치(100)가 삽입됨에 따라 밀리면서 상기 락커 개구부(301)를 개방하고 상기 락커(800)가 돌출되어 상기 래치 슬라이드가 단속되는 락커 걸림부(430), 상기 락커(800)의 인입과 래치(100)의 인출에 따라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를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스프링이 내설된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커버(300)에 힌지 결합하여 래치(100)의 삽입에 의해 힌지 이동하는 락커 인입부(900)를 설치하되, 상기 락커 인입부(90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서 래치(10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하고 락커(800)의 상부에는 래치의 비정상적인 이탈에 대하여 토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상기 래치(800)를 강제적으로 인입시키는 돌출부(910)가 구성된다.
상기의 락커 인입부(900)에는 래치 슬라이드 결속부(940)와 상기 래치 슬라이드 결속부(940)에 치합되는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에 락커 인입부 결속홈(440)을 마련하여 정상적인 래치(100)의 이탈에 대하여 래치 슬라이드(400)가 락커 인입부(900)에 결속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 중에서 종래의 톱니바퀴의 구성을 대체하는 캠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푸쉬캠과 회전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캠과 회전캠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푸쉬캠(710)은 내부가 통개되어 돌기(712)와 톱니부(711)를 구비하고 회전캠(720)은 빗각부(722)와 편심되도록 구성된 편심부(721)로 구성되되 상기 편심부(721)에는 상기 회전캠(720)과 푸쉬캠(710)이 서로 당접되도록 하우징(200) 내측벽에 탄성지지된 회전캠 스프링(730)이 설치되는 회전캠 스프링 지지구(731)로 구성된다.
상기의 회전캠(720)에 설치되는 빗각부(722)는 상기 회전캠(720)의 외주면 120°씩에 한 개씩 설치하여 3개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플랜저(610)는 캠 하우징(700)의 내부의 푸쉬캠(710)을 밀어내고 상기 푸쉬캠(710)은 상기 회전캠(720)을 밀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캠(720)을 120°회전시킨다.
상기의 푸쉬캠(710)의 푸쉬 동작에 따른 회전캠(720)의 회동방향을 당업자의 실시예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단면도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와 캠 하우징(700)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솔레노이드(600)는 솔레노이드 케이스(630)와 전선이 권취된 보빈(620)의 내부에 솔레노이드 플랜저(610)가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600)에 전기 신호가 입력되면 솔레노이드 플랜저(610)는 캠 하우징(700)의 내부에 설치된 푸쉬캠(710)을 밀게된다. 상기 푸쉬캠(710)은 상기 회전캠(720)을 밀면서 상기 푸쉬캠(710)의 톱니부(711)와 돌기(712)에 의해서 상기 회전캠(720)의 빗각부(722)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a, 6b 및 도 6c는 도 6의 A-A'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래치가 삽입되기 전의 단면도, 래치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록킹이 설정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b의 사시도 및 도 6c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도면 중 도 6a, 도 6b, 도 6c에서 락커 인입부(90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첨부된 도 7a 및 도 7b에 의해서 당업자라면 작동의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캠(720)에 형성된 편심부(721)의 최상정점과 슬라이드편(750)이 당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편(750)은 락커(800)를 교지한 상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 설치된 래치 슬라이드(400)는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에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지지되어 있다.
도어를 닫는 동작에 의해 래치는 커버(300)의 래치 개구부(310)를 관통하여 래치 슬라이드(400)의 래치 삽입부(420)에 삽입(도 6b, 도 7a)되게 된다. 상기 래치(100)가 삽입되면서 래치(100)의 걸림부가 래치 슬라이드(400)의 래치 지지부(421)에 당접되면서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를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밀게 된다. 동시에 상기 래치(100)의 삽입으로 상기 래치(100)는 락커 인입부(900)의 래치 당접부(920)에 당접하여 회동하고 래치 슬라이드 결속부(940)는 래치 슬라이드(400)의 락커 인입부 결속홈(440)에서 이탈되어 래치 슬라이드(400)가 밀려지고 상기 락커 인입부(900)의 돌출부(920)는 래치 슬라이드(400)에서 상부로 이격된다.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 통개 설치되어 락커(800)가 돌출될 수 있는 락커 개구부(301)가 나타난다.
래치(100)가 삽입된 상태 즉,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솔레노이드(600)에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 플랜저(610)는 푸쉬캠(710)을 밀게되고 상기 푸쉬캠(710)에 당접되어 있는 회전캠(720)을 밀면서 회전시킨다.
상기의 회전캠(720)의 회전에 의해 편심부(721)는 120°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부(721)에 당접된 슬라이드편(750)은 슬라이드편 스프링(751)에 의해 상기 편심부(721)의 외주면따라 도면에 첨부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밀려나고 락커(800)는 유동 플레이트(510)의 락커 인입부(511)와 결속만 존재한다.
상기의 작용상태에서 가전제품의 동작버튼에 의해 바이메탈(570)에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바이메탈(570)은 상기 유동 플레이트(510)를 위로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에 의해 결속된 락커(800)가 상부로 동작하여 커버(300)의 상부에 돌출(도 6c, 도 7b)된다.
상기 락커(800)가 커버(300)의 상부로 돌출됨에 따라 래치 슬라이드(400)는 고정된 상태가 되어 래치(100)는 래치개구부(310)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솔레노이드(600)에 제어신호(전기신호)가 인가되면 회전캠(720)은 120°회전하게 되지만 여전히 래치(100)는 잠금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의 잠금상태에서 두 번의 제어신호가 솔레노이드(600)에 인가되면 회전캠(720)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편심부(721)에 의해 슬라이드편(750)을 밀어내고 상기 밀림에 의해 슬라이드편(750)은 락커(800)를 인입하여 래치슬라이드(400)가 자유롭게 된다.
락커 인입부(9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가 강제적으로 열리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만약의 경우도 고려해볼 필요성이 있다.
래치(100)는 래치(100)의 자체의 마모 및 래치를 결속하는 부속품의 결속장치의 풀림 등에 의해서 강제 이탈될 수 있지만, 도어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 래치(100)가 이탈될 수 있다.
즉,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은 가전제품의 운용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도어의 이탈은 큰 위험을 동반한다.
따라서 가전제품의 동작하는 과정에 비정상적으로 이탈되는 도어에 작동되는 전자제품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해서는 유동 플레이트(510)와 고정 플레이트(520)를 강제적으로 분리시켜야 한다.
이러한 구성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 7a, 도 7b에 의해 설명한다.
래치(100)의 삽입에 의해 래치 슬라이드(400) 상부로 커버(300)에 힌지 결합하여 락커 인입부(900)를 설치하되, 상기 락커 인입부(90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서 래치(10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커 인입부(900)는 커버(300)와 힌지 통공(930)을 통하여 힌지 결합하되 래치(100)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표시), 락커(800)를 인입시키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910)와 래치(100)의 삽입에 의해 힌지 이동하여 돌출부(910)가 락커 개구부(301)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래치 당접부(920)로 구성된다.
상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래치(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강제적인 힘에 의해 이탈되면 래치 슬라이드(400)는 락커(8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의 상태에서는 락커(800)가 상부로 상승된 상태로 유동 플레이트(510)와 고정 플레이트(910)가 서로 접촉된 것으로 가전제품이 작동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 플레이트(920)와 고정 플레이트(910)를 강제적으로 단락시켜야 가전제품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래치(100)가 비정상적으로 이탈되면 상기의 락커 인입부(900)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원상복귀 함과 동시에 상기 락커 인입부(900)의 돌출부(910)가 락커(800)를 타격하여 커버(30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상기의 락커(800)는 내부로 인입되면서 유동 플레이트(510)와 고정 플레이트(520)를 단락시킨다.
따라서 가전제품은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 슬라이드(400)는 상기 락커 인입부(900)의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래치(100)의 재 삽입으로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는 다시 래치(100)에 귀속하게 된다.
정상적인 작동에 의해 래치(100)가 이탈되게 되면 래치 슬라이드(400)가 먼저 작동하여 원상복귀하면서 상기 락커 인입부(900)의 돌출부(910)는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의 상단면에 당접되게 된다.
도 8,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다른 형태의 락커 인입부, 도 8에 따른 래치가 삽입되었을 경우의 락커 인입부의 동작도, 래치가 강제 이탈 되었을 경우의 동작도에 대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락커 인입부(901)는 커버(100)에 둘출 형성된 힌지 결합 돌출부(932, 933)에 힌지 결합 통공(931)과 연통되도록 힌지결합되되, 상기 락커 인입부(901)의 축 하방에는 래치 슬라이드(400)에 형성되어 일정각의 경사각을 가지는 전방 리브(960)와 후방 리브(961)에 대응하는 리브 당접부(921)와 락커(800)의 상부를 타격하는 돌출부(911)가 구비되고, 상기 락커(800)를 타격하도록 탄성지지되는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표시)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생략하였다.
이에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의 전방 리브(960)와 후방 리브(961)는 래치 슬라이드에 고정 부착되며 일정한 경사각을 가진다.
상기의 경사각을 따라 락커 인입부(901)의 리브 당접부(921)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고 상기의 이동에 대하여 락커 인입부(901)는 힌지 회동하게 된다.
즉, 래치(100)가 삽입되면서 래치 슬라이드(400)를 밀게 되고, 상기 미는 동작에 의해 락커 인입부(901)의 리브 당접부(921)는 전방 리브(960)의 경사각을 따라 회동(도 8a 참조)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가전제품의 동작하게 되면 락커(800)는 돌출된다. 정상적인 동작 신호가 인가되면 락커(800)는 다시 원상 복귀하여 내부로 삽입되고 가전제품은 동작을 멈춘며, 래치 슬라이드(400)는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에 의해 밀려져서 락커 인입부(901)의 리브 당접부(921)는 후방 리브(961)의 경사각을 따라 힌지 회동한다.
또한 정상적인 동작에 따라 래치(100)가 삽입되면, 락커 개구부(301, 도 3 참조)와 락커 걸림부(430, 도 3 참조)의 간격(D)이 형성된다.
비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래치(100)가 강제적으로 이탈되면, 래치 슬라이드(400)는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에 의해 밀리게 되고 간격(D)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이동으로 전방 리브(960)에 당접되어 있던 리브 당접부(921)는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표시)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고 동시에 돌출부(911)가 락커(800)의 상부를 타격하여 유동 플레이트(510, 도 3 참조)아 고정 플레이트(520, 도 3 참조)는 단락되어 가전제품은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의 락커 인입부(901)에 따른 리브 당접부(921)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 당접부(921)에는 회동가능한 바퀴형태의 구성물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리브 당접부(921)에 회동 가능한 바퀴형태가 구비된다면 상기의 전방 리브(960) 및 후방 리브(961)의 형태로 상기에 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어야 할 것인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캠에 형성된 편심부는 일측방에 대해서만 편심을 가지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다측방으로 편심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캠의 편심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한정되거나 축소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푸쉬 캠을 작동시키고, 상기 푸쉬 캠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캠의 편심되도록 구성한 편심부에 의해 락커를 상하로 작동되도록 하여 래치를 구속하는 래치 슬라이드를 단속하는 락커를 제공하여 단순화할 수 있어서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비정삭적으로 래치가 이탈되었을 경우에 가전제품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PTC 수납부(550)와 접점부(500) 및 솔레노이드(600)와 상기 솔레노이드(600)에 의해 작동되는 캠하우징(700)과 상기 캠하우징(700)에 의해 작동되는 락커(800)가 설치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과 결합되되 래치(100)가 삽입되는 래치 개구부(310)를 구비하는 커버(300);
    상기 커버(300)의 상단에는 상기 락커(800)의 상하 동작에 의해 출입하는 락커개부구(301)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되는 래치(100)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되되 탄력지지 되도록 래치 슬라이드 스프링부(410)가 마련된 래치 슬라이드(400)로 구성되며,
    상기 솔레노이드(600)는 솔레노이드 케이스(630)과 전선이 감겨져 있는 보빈(620, bobbin)의 중심부에 솔레노이드 플렌저(610, plunger)로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플랜저(610)의 끝단은 캠하우징(700)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하우징(700)의 내부에는 푸쉬캠(710)과 상기 푸쉬캠(710)의 왕복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캠(72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캠(720)의 끝단에는 중심축에 편심되도록 구성된 편심부(721, 도 4참조)가 마련되되 상기 푸쉬캠(710)과 탄력지지되도록 회전캠 스프링(730)이 설치되고, 상기 편심부(721)의 외접면과 당접하도록 슬라이드편(7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캠(720)에 설치되는 빗각부(722)는 상기 회전캠(720)의 외주면 120°씩에 한 개씩 설치하여 3개를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플랜저(610)는 캠 하우징(700)의 내부의 푸쉬캠(710)을 밀어내고 상기 푸쉬캠(710)은 상기 회전캠(720)을 밀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캠(720)을 120°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커버(300)와 힌지 결합하여 래치(100)의 삽입에 의해 힌지 이동하는 락커 인입부(900)를 설치하되, 상기 락커 인입부(900)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서 래치(10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도록 설치하고 락커(800)의 상부에는 래치의 비정상적인 이탈에 대하여 토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상기 래치(800)를 강제적으로 인입시키는 돌출부(910)가 마련된 락커 인입부(90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인입부(900)에는 래치 슬라이드 결속부(940)와 상기 래치 슬라이드 결속부(940)에 치합되는 상기 래치 슬라이드(400)에 락커 인입부 결속홈(44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커버(100)에 둘출 형성된 힌지 결합 돌출부(932, 933)에 힌지 결합 통공(931)과 연통되도록 힌지결합되되, 상기 락커 인입부(901)의 축 하방에는 래치 슬라이드(400)에 형성되어 일정각의 경사각을 가지는 전방 리브(960)와 후방 리브(961)에 대응하는 리브 당접부(921)와 락커(800)의 상부를 타격하는 돌출부(911)가 구비되고, 상기 락커(800)를 타격하도록 탄성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된 락커 인입부(901)를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6.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당접부(921)에는 회동가능한 바퀴형태의 구성물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20070040580A 2007-04-25 2007-04-25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074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80A KR100748457B1 (ko) 2007-04-25 2007-04-25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CN2007800344318A CN101517182B (zh) 2007-04-25 2007-12-31 家用电器的门锁装置
JP2010502925A JP4944990B2 (ja) 2007-04-25 2007-12-31 家電機器用ドアロック装置
US12/438,947 US20100117378A1 (en) 2007-04-25 2007-12-31 Door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me appliance
EP07860784.3A EP2052122A4 (en) 2007-04-25 2007-12-31 DOOR 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CATION
PCT/KR2007/007007 WO2008133392A1 (en) 2007-04-25 2007-12-31 A door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80A KR100748457B1 (ko) 2007-04-25 2007-04-25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457B1 true KR100748457B1 (ko) 2007-08-10

Family

ID=3860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580A KR100748457B1 (ko) 2007-04-25 2007-04-25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17378A1 (ko)
EP (1) EP2052122A4 (ko)
JP (1) JP4944990B2 (ko)
KR (1) KR100748457B1 (ko)
CN (1) CN101517182B (ko)
WO (1) WO20081333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357B1 (ko) 2007-12-12 2008-03-05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1007232B1 (ko) 2008-10-28 2011-01-13 주식회사 삼코 자동 드럼세탁기의 도어록킹장치
CN103668888A (zh) * 2013-12-10 2014-03-26 广州澳森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启的洗衣机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80224A1 (it) * 2008-03-25 2009-09-26 Bitron Spa Apparecchiatura elettrica con porta provvista di un dispositivo di bloccaggio a comando elettrico
US9260893B1 (en) * 2009-04-16 2016-02-16 Interlock Usa, Inc. Window lock
US8727393B2 (en) * 2009-04-16 2014-05-20 Interlock Usa, Inc. Window lock
CN102191894B (zh) * 2010-03-11 2015-07-01 东莞安联电器元件有限公司 门锁组件
EP2655724B1 (en) * 2010-12-24 2017-03-08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comprising a lock
US10267064B2 (en) 2011-10-12 2019-04-23 Zephyr Lock, Llc Lock with linearly operating latch
CN103361931B (zh) * 2012-04-01 2017-01-2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4420724B (zh) * 2013-08-23 2016-12-2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门锁和具有该门锁的家用电器
WO2015187223A1 (en) * 2014-06-03 2015-12-10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lock for home appliance with hook sensing mechanism
CN104562579B (zh) * 2015-01-05 2017-03-15 慈溪市晨阳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门盖结构
CN106012442B (zh) * 2016-07-28 2018-03-16 温州天健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门锁
IT201600124504A1 (it) * 2016-12-09 2018-06-09 Bitron Spa Dispositivo blocco-porta con sistema di sicurezza.
CN110409915B (zh) * 2018-04-28 2021-01-1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阻尼门锁及家用电器
US10986976B2 (en) * 2018-06-25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door latch assembly
CN112112494B (zh) * 2019-06-21 2022-01-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门锁结构及应用有该门锁结构的清洗机
CN112065174B (zh) * 2020-09-19 2021-12-10 湖南省美老大幼教用品有限公司 一种箱包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5342A (ja) * 1991-01-25 1993-08-24 Moulinex Sa マイクロ波オーブンの始動待機位置設定装置
KR20040096143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응급조치 제어 방법
KR20050111043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4591A (en) * 1958-10-16 1961-12-26 Gen Electric Laundry machine
US3659068A (en) * 1970-09-23 1972-04-25 Heath Co Microwave oven safety interlock
US3859979A (en) * 1974-02-01 1975-01-14 Tappan Co Oven door lock
US3969788A (en) * 1975-07-14 1976-07-20 Mccullough Richard C Door lock hinge
US4286811A (en) * 1978-03-15 1981-09-01 Schantz Spencer C Bimetal actuated locking device
US4321445A (en) * 1980-01-28 1982-03-23 Whirlpool Corporation Door latch interlock system for microwave oven
US4523062A (en) * 1983-05-02 1985-06-11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appliance programming
EP0410683A3 (en) * 1989-07-26 1992-05-13 Asc Incorporated Power latch system
US5775142A (en) * 1996-12-03 1998-07-07 Kim; Jitae Electronic door lock
US6325429B1 (en) * 1998-10-23 2001-12-04 Randall C. Oxley Electrically operated door lock
IT1303590B1 (it) * 1998-12-18 2000-11-14 Bitron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e sbloccaggio del portello di un apparecchioelettrodomestico.
JP2001204991A (ja) * 1999-12-29 2001-07-31 Lg Electronics Inc ドラム洗濯機のドアロックスイッチアセンブリ
DE10154850C1 (de) * 2001-11-08 2003-06-18 Ellenberger & Poensgen Türverriegelung
CN1316107C (zh) * 2002-07-05 2007-05-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机用门锁开关组合的门被锁状态下的滑座固定装置
CN1536139A (zh) * 2003-04-11 2004-10-1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盖子闭锁装置
ITTO20030554A1 (it) * 2003-07-17 2005-01-18 Eltek Spa Dispositivo di attuazione e/o bloccaggio per apparecchi elettrodomestici avente un migliorato sistema di controllo dell'attuazione.
JP4538221B2 (ja) * 2003-12-19 2010-09-08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車両ドアの自動閉止装置
CN2716313Y (zh) * 2004-09-08 2005-08-10 温州耀华电讯有限公司 洗衣机电控延时门锁安全装置
CN2780806Y (zh) * 2005-04-13 2006-05-17 张家港华杰电子有限公司 洗衣机用开关装置
US7441374B2 (en) * 2005-06-30 2008-10-28 Hi-Lex Corporation Door module plate with handle
KR200414575Y1 (ko) * 2005-12-19 2006-04-26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도어안전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5342A (ja) * 1991-01-25 1993-08-24 Moulinex Sa マイクロ波オーブンの始動待機位置設定装置
KR20040096143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응급조치 제어 방법
KR20050111043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357B1 (ko) 2007-12-12 2008-03-05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1007232B1 (ko) 2008-10-28 2011-01-13 주식회사 삼코 자동 드럼세탁기의 도어록킹장치
CN103668888A (zh) * 2013-12-10 2014-03-26 广州澳森液压元件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启的洗衣机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4990B2 (ja) 2012-06-06
EP2052122A4 (en) 2014-10-08
US20100117378A1 (en) 2010-05-13
CN101517182A (zh) 2009-08-26
CN101517182B (zh) 2012-07-18
WO2008133392A1 (en) 2008-11-06
JP2010523856A (ja) 2010-07-15
EP2052122A1 (en)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4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US10914026B2 (en) Door lock for home appliance with hook sensing mechanism
EP2734666B1 (en) Interlock mechanism for the closing door of washing machines or tumble dryers
CN109162068B (zh) 用于洗衣机的门锁
EP1621658B1 (en) A door locking device for a domestic appliance
EP1726750B1 (en) A device for locking the porthole door of a washing machine
KR100793146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안전 차단 방법 및 그 장치
EP3717687B1 (en) Door-lock for home appliances
EP2834829B1 (en) Door locking device with integrated door sensing switch
EP3808888B1 (en) Improved door locking device
CN107227586B (zh) 电器门锁、电磁门锁组件及电器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0856683B1 (ko)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EP2532814B1 (en) Emergency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WO2009061628A1 (en) Appliance latch with compact form factor
EA020702B1 (ru) Дверь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и способ её запирания
CN110984703B (zh) 一种感应式门锁
KR102356893B1 (ko) 가전제품 오토오픈 도어락 장치
CN114737830B (zh) 门锁装置及烹饪电器
CN112998517B (zh) 烹饪器具
KR101870194B1 (ko) 키의 푸쉬 방식만으로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잠금 해제장치
KR200452305Y1 (ko) 강제 잠금버튼 기능이 일체화된 손잡이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558979B1 (ko) 스위칭 자물쇠
KR200418817Y1 (ko) 자동 도어록 잠금장치
KR20210151409A (ko)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