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422B1 -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422B1
KR100748422B1 KR1020050025412A KR20050025412A KR100748422B1 KR 100748422 B1 KR100748422 B1 KR 100748422B1 KR 1020050025412 A KR1020050025412 A KR 1020050025412A KR 20050025412 A KR20050025412 A KR 20050025412A KR 100748422 B1 KR100748422 B1 KR 10074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ing
display
target character
display tim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833A (ko
Inventor
미키오 사이토
다카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고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도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고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도꾜 filed Critical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7Special input arrangements or commands for improving display capabi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특정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그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대상 문자열과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부 (50) 와,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하는 표시시간 결정부 (56) 와,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검출부 (52) 를 포함하며,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에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기억부 (50) 로부터 읽어내고, 읽혀진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단축하는 처리도 실시하고, 표시대상 문자열을 그 표시대상 문자열의 단축된 표시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표시부 (5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대상 문자열, 검출대상 문자열, 표시시간 결정수단

Description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STRING DISPLAY SYSTEM, STRING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기능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 처리의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에 기억되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에 기억되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12 : 버스
14 : CPU 16 : 화상 처리부
18 : 모니터 20 : 메인 메모리
22 : 입출력 처리부 24 : 통신부
26 : 키보드 28 : 컨트롤러
30 : 마우스 32 : 음성 처리부
34 : 스피커 36 : 마이크
38 : 외부기억장치 40 : 캐릭터
42 : 대사 50 : 기억부
52 : 검출부 54 : 취득부
56 : 표시시간 결정부 58 : 표시부
본 발명은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서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하는 것이 HMI (Human Machine Interface) 의 하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하는 시스템에서는, 표시대상 문자열을 일정시간 표시한 후 컴퓨터 화면상에서 소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문자열 표시 시스템에서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내용에 따라 그 표시시간이 변경되는 경우는 없어, 미리 정해진 표시시간에 걸쳐 표시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읽는 사람에 따라 다 읽기 전에 사라져버리거나 반대로 표시시간이 너무 길어 지루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점에서, 표시하는 메시지 문자열에 기초하여 결정된 표시시간에 걸쳐 그 문자열을 표시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4475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장 중에는 연속하는 복수의 문자가 한 덩어리로서 특정한 의미를 갖는 특정 문자열 (단어, 구 등) 이 있다. 이러한 특정 문자열은 표시대상 문자열을 몇 번이나 표시하는 동안에 동일한 특정 문자열이 몇 번이나 반복 표시되는 경우도 많다. 그 경우, 표시대상 문자열을 읽는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그 표시대상 문자열을 읽는 사람이 그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그 특정 문자열 부분을 읽는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가 있다. 즉, 익숙해져 그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표시시간을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드시 사람이 읽는 속도에 알맞은 표시시간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정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그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1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인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하는 표시대상 문자열 취득수단,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검출수단,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서 읽어내는 표시횟수 독출수단,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읽어내는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표시시간 결정수단, 및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을 그 표시대상 문자열의 상기 결정된 표시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이 포함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자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하는 표시시간 임시결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읽어내는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시간 임시결정수단에 의해 임시결정되는 표시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그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이 포함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상기 문자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대응시켜 표시시간 단축률을 기억하는 표시시간 단축률 기억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읽어내는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대응시켜 상기 표시시간 단축률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상기 표시시간 단축률을 그 검출대상 문자열 부분에 관한 표시시간에 승산한 값에 기 초하여 상기 표시시간 임시결정수단에 의해 임시결정되는 상기 표시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대응하는 단축률로 표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문자열 표시방법은,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하는 단계, 1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인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이며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서 읽어내는 단계, 상기 읽어내는 단계에서 읽혀진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을, 그 표시대상 문자열의 상기 결정된 표시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억매체는,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하는 표시대상 문자열 취득수단, 1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인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이며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검출수단,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서 읽어내는 표시횟수 독출수단, 및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읽어내는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표시시간 결정수단으로서 컴 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10) 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 컴퓨터 (1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문자열 표시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컴퓨터 (10) 는 범용 또는 전용 정보처리장치이며, 예를 들어 종래 공지된 PC, 게임 단말, 휴대전화 단말, 휴대정보 단말, 정보가전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10) 는 같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 (14), 화상 처리부 (16), 메인 메모리 (20), 입출력 처리부 (22) 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버스 (12) 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처리부 (22) 에는 통신부 (24), 키보드 (26), 컨트롤러 (28), 마우스 (30), 음성 처리부 (32), 외부기억장치 (38) 가 접속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 (16) 에는 모니터 (18) 가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 (18) 에는 디스플레이, 전광 게시판 등으로 대표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통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 (32) 에는 스피커 (34), 마이크 (36) 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기억장치 (38) 에는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CD-RW, DVD-RAM, USB 플래시 메모리, ROM 카드, 착탈식 하드디스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모든 정보기억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부기억장치 (38) 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한다.
컴퓨터 (10) 의 모니터 (18) 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 2 에 나타낸다. 그 도면은 그 컴퓨터 (10) 를, 컴퓨터 (10) 에 의해 취득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을 모니터 (18) 에 표시함으로써 컴퓨터 (10) 와 그 컴퓨터의 대화 (interactive interface) 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은 대화에서 사용되는 문자열이 모니터 (18) 에 표시되는 표시시간을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특정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특정 문자열을 몇 번이나 읽음으로써 그 특정 문자열에 익숙해진다는 인간의 특성에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컴퓨터 (10) 의 사용자가 특정 문자열을 읽는 것에 익숙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특정 문자열의 표시시간은 길어져, 그 사용자는 「빨리 읽어야 한다」는 등의 강박관념 없이 컴퓨터 (10) 의 화면에 차례로 표시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을 안심하고 천천히 읽을 수 있다. 반대로 그 사용자가 특정 문자열을 읽는 것에 익숙해진 상태에서는, 그 특정 문자열의 표시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할 일 없이 기다리는 시간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사용자는 「표시가 늦게 변한다」는 등의 조급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안심하고 그 문자열을 읽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컴퓨터 (10) 에서 대화형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같은 도면에 나타내는 대화형 게임에서는, 컴퓨터 (10) 가 표시하는 표시대상 문자열이 그 게임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 (40) 의 대사 (42) 로서 차례로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 컴퓨터 (10) 사용자는 안심하고 그 대사를 읽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10) 에서의 기능 블록도를 도 3 에 나타낸다. 컴퓨터 (10) 는, 기능적으로는 기억부 (50), 검출부 (52), 취득부 (54), 표시시간 결정부 (56), 표시부 (5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은 컴퓨터 (10) 에서 소정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그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정보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외부기억장치 (38) 에 의해 읽힌다. 또 기억부 (50) 에서 기억되는 데이터는 물리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 (20) 등의 기억장치 또는 매체에 기억된다.
기억부 (50) 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검출대상 문자열은, 검출부 (52) 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이다. 또한 표시횟수는, 표시부 (58) 에서 검출대상 문자열이 표시될 때마다 갱신되는, 그 검출대상 문자열이 표시된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도 5 는 기억부 (50) 에서 기억되는 테이블의 구체적인 예이다. 이 테이블에서는, 검출대상 문자열과 표시횟수가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또 검출대상 문자열은, 예를 들어 사람 손으로 입력되어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처리가 게임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입력하도록 해도 되며, 키보드 (26), 컨트롤러 (28), 마우스 (30) 및 마이크 (36)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 (10)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기억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테이블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 (50) 는 그 검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문자의 수와, 뒤에 설명하는 취득부 (54) 에서 취득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에서 그 검출대상 문자열이 사용되고 있는 횟 수 (도 5 에서는 「표시대상 문자열 내의 사용횟수」라 함) 도 그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리고, 기억부 (50) 는 표시횟수와,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부 (58) 에서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시간의 단축률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도 6 에 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6 에서는 표시횟수와 단축률을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취득부 (54) 는, 표시부 (58) 에서 모니터 (18) 에 표시되는 대상이 되는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컴퓨터 (10) 에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 그 게임 프로그램이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열을 취득한다. 또 다른 컴퓨터로부터 통신부 (24) 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그 표시대상 문자열을 검출부 (52) 및 표시시간 결정부 (56) 로 출력한다.
검출부 (52) 는, 입력된 표시대상 문자열에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표시대상 문자열에 검출대상 문자열과 일치하는 부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입력된 표시대상 문자열에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표시대상 문자열에서 그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었다고 하여 그 검출대상 문자열을 표시시간 결정부 (56) 로 출력한다.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취득부 (54) 로부터 입력된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예를 들어 표시대상 문자열의 내용에 따라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해도 되고, 문자열의 내용에 관 계없이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해도 된다. 표시시간 결정부 (56) 가 표시대상 문자열의 내용에 따라 임시결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표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에 소정의 가중치 부여 상수를 승산함으로써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해도 된다. 이 때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문자종마다 상이한 가중치 부여 상수를 승산해도 된다. 그리고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문자종의 연속마다 상이한 가중치 부여 상수를 승산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표시시간이 표시대상 문자열의 실제 표시시간이 된다.
그리고,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검출부 (52) 로부터 입력된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응하여 기억부 (50) 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수 및 표시횟수를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취득한 표시횟수에 따라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단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예를 들어 먼저 그 검출대상 문자열 부분에 관한 표시시간을 계산한다. 즉, 그 검출대상 문자열을 단독으로 표시대상 문자열로 한 경우에 임시결정되는 표시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표시대상 문자열의 임시결정된 표시시간으로부터 그 검출대상 문자열 부분에 관한 그 표시시간에 소정 단축률을 승산하여 얻어지는 값을 감산한다. 이 때, 소정 단축률은 취득한 표시횟수에 대응하여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단축률을 읽어냄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테이블이 표시횟수의 범위와 단축률을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취득한 표시횟수가 포함되는 범위에 대응된 단축률을 읽어냄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표시시간 결 정부 (56) 는 임시결정한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기억부 (50) 에서 그 검출대상 문자열과 대응하여 기억되는 표시대상 문자열 내의 사용횟수를 1 증가시킨다. 즉, 표시대상 문자열 내에서 1회 사용된 것을 기억한다.
검출부 (52) 와 표시시간 결정부 (56) 에서,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여 그 검출대상 문자열에 따라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갱신하는 상기 처리는, 표시대상 문자열 중에 검출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의 검출횟수만큼 반복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동일한 검출대상 문자열이 표시대상 문자열 중에 복수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하여 표시시간이 갱신된다. 물론, 동일한 검출대상 문자열이 표시대상 문자열 중에 포함되는 수에 따라 처리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처리는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 전부에 대하여 반복된다. 그리고,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전회 갱신된 결과의 표시시간으로부터 검출대상 문자열부분에 관한 표시시간에 소정의 단축률을 승산한 값을 감산하는 처리를 함으로써 표시시간을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은 그 표시대상 문자열에서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될 때마다 계속 갱신된다. 그리고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반복 처리가 모두 종료된 시점에서의 표시시간을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으로서 결정하여, 표시대상 문자열과 함께 표시부 (58) 에 출력한다.
표시부 (58) 는, 입력된 표시대상 문자열을 입력된 표시시간 동안 모니터 (18) 에 표시한다. 즉 표시부 (58) 는, 입력된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 개시함 과 함께 시간 계측을 개시하여, 표시하고 있는 시간이, 입력된 표시시간에 이른 경우에 그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를 정지한다.
상기 처리의 더 구체적인 예를 도 4 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컴퓨터 (10) 는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한다 (S100). 그리고 컴퓨터 (10) 는 변수 T 의 기억영역을 확보하여, 표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에 상수 W 를 승산한 값을 T 에 대입한다 (S102). 이 W 는 가중치 부여 상수이고, 표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에 W 를 승산함으로써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T 는 그 임시결정된 표시시간에 상당한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10) 는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T 를 임시결정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이렇게 하여 T 를 임시결정한다. 그리고 컴퓨터 (10) 는 기억부 (50) 에 등록함으로써 기억되어 있는 검출대상 문자열의 수를 반복 횟수로 하여, 앞으로 설명하는 S106 에서 S120 의 처리를 반복한다 (S104, S122).
다음에 컴퓨터 (10) 는 변수 i 의 기억영역을 확보하여 그 변수 i 를 1 로부터 표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까지 1 씩 증가시키면서 S108 에서 S118 의 처리를 반복한다 (S106, S120). 즉, 컴퓨터 (10) 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선두문자에서 말미문자까지 S108 에서 S118 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컴퓨터 (10) 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i 문자를 취득하여 (S108) 표시대상 문자열의 i 문자에서 시작되는 부분이 검출대상 문자열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S110 에서 S114 의 처리를 한다.
먼저 컴퓨터 (10) 는 변수 j 의 기억영역을 확보하여 그 변수 j 를 1 로부터 검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만큼 1 씩 증가시키면서 S112 의 처리를 반복한다 (S110, S114). 또, 문자수에 대해서는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문자수를 읽어냄으로써 취득해도 되고, 본 처리 중에 검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를 계산함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S112 에서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i+j-1 문자와 검출대상 문자열의 j 문자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일하지 않으면 표시대상 문자열의 i 문자에서 시작되는 부분과 검출대상 문자열은 같지 않은 것이 되어, S110 의 루프에서 빠져나와 S106 의 처리로 이동한다. 즉, 표시대상 문자열에서의 다음 문자에서 시작되는 부분과 검출대상 문자열을 비교하기 위하여 S106 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표시대상 문자열의 i+j-1 문자와 검출대상 문자열의 j 문자가 모든 j 에 대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컴퓨터 (10) 는 표시시간 T 를 갱신한다 (S116). 즉 표시대상 문자열의 i 문자에서 시작되는 부분과 검출대상 문자열이 동일한 경우에는 컴퓨터 (10) 는 표시시간 T 를 갱신한다 (S116).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응시켜 기억부 (50) 에 의해 기억되는 표시횟수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 표시횟수에 대응시켜 기억부 (50) 에 의해 더욱 기억되는 단축률도 취득한다. 그리고, 검출대상 문자열의 문자수에 가중치 부여 상수 W 를 승산함으로써 얻어지는 그 검출대상 문자열부분의 표시시간에 그 단축률을 승산한 값을 T 에서 감산한다.
그리고, 기억부 (50) 에서 그 검출대상 문자열과 대응시켜 기억되는 표시대 상 문자열 내의 사용횟수를 1 증가시킨다 (S118).
그리고, 모든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하여 상기 처리가 반복된 후 표시부 (58) 가 표시시간 T 동안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한다 (S124).
그리고, 검출대상 문자열이 표시된 것을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표시횟수에 반영한다. 이를 위해 기억부 (50) 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해 이하와 같은 가산처리를 한다. 즉, 그 표시횟수와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표시대상 문자열 내에서의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사용횟수를 그 표시횟수에 가산한다. 그리고, 표시대상 문자열 내에서의 사용횟수는 0 으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컴퓨터 (10) 는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을 포함하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10) 는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대응하는 단축률로 표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10) 는, 표시시간을 단축할 때의 단축률을 검출대상 문자열의 과거 표시횟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매회의 표시결과를 기억하기 때문에, 표시횟수가 증가할 때마다 컴퓨터 (10) 는 표시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억부 (50) 는 컴퓨터 (10) 와는 별도의 컴퓨터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컴퓨터 (10) 는 그 별도의 컴퓨터와 통신부 (24) 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기억부 (50) 와의 사이에서 입출력 처리를 한다. 특히 서버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게임이나 채팅 시스템 등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 렇게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단축률은 기억부 (50) 에 기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표시횟수를 변수로 하는 함수에 의해 단축률을 계산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표시부 (58) 도 컴퓨터 (10) 와는 별도의 컴퓨터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의 결정과 그 문자열의 표시는 각각 다른 컴퓨터로 실시되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금부터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산입하지 않고 표시시간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표시대상 문자열의 뒷 부분에 있는 검출대상 문자열에 관한 표시시간을 결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즉, 표시대상 문자열의 앞 부분에 있는 검출대상 문자열은 이미 표시된 것으로 하여, 표시시간을 결정할 때 그 앞 부분에 있는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산입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문자열의 표시시간에는 단축에 의해 그 표시시간을 짧게 할 때의 하한을 형성해 둘 수도 있다. 그 하한은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문자의 수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검출대상 문자열마다 하한을 형성하고, 그 하한은 검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문자의 수에 따라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 (50) 는, 검출대상 문자열이 전회 표시되었을 때의 시각을 검출대상 문자열에 대응시켜 기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할 때, 현재시각과 검출대상 문자열이 전회 표시되었을 때의, 기억부 (50) 에 의해 기억되는 시각의 차를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시간 결정부 (56) 는 그 검출대상 문자열이 전회 표시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인 그 차에 따라 단축률을 결정한다. 즉, 예를 들어 경과시간이 길면 단축률을 작게 하는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표시시간을 너무 짧지 않게 한다. 이로써 특정 문자열을 몇 번이나 읽음으로써 그 특정 문자열에 익숙해지지만, 시간이 갈수록 잊어버린다는 인간의 특성에 대응한 표시시간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7문자 이상의 긴 단어에 대해서는, 짧은 단어에 비하여 익숙해질 때까지 읽는 횟수가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단어의 길이에 따라 단축률을 작게 하거나 또는 단어가 긴 경우에는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표시횟수의 범위를 크게 하거나 또는 표시시간의 결정처리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검출대상 문자열의 구성문자의 종류, 예를 들어 한자, 가타카나, 알파벳 등에 따라 단축률을 작게 하거나 또는 단어가 긴 경우에는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표시횟수의 범위를 크게 하거나 또는 표시시간의 결정처리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기억부 (50) 에 기억되는 표시횟수의 범위를 다르게 한 경우에는 다르게 한 대상에 따른 도 6 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준비해 두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예를 들어 검출대상 문자열로서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에 공통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공통되는 부분은 표시횟수가 매우 많아지는 경우 등도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를 고려하여 공통되지 않는 부분의 표시횟수에 따라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따라 그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 는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Claims (5)

  1. 표시대상 문자열을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1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인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하는 표시대상 문자열 취득수단;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검출수단;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서 독출하는 표시횟수 독출수단;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독출한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표시시간 결정수단; 및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을, 그 표시대상 문자열의 상기 결정된 표시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문자열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임시결정하는 표시시간 임시결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독출한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시간 임시결정수단에 의해 임시결정되는 표시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그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대응시켜 표시시간 단축률을 기억하는 표시시간 단축률 기억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시간 결정수단은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독출한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에 대응시켜 상기 표시시간 단축률 기억수단에 의해 기억되는 상기 표시시간 단축률을 그 검출대상 문자열 부분에 관한 표시시간에 승산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시간 임시결정수단에 의해 임시결정되는 상기 표시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표시 시스템.
  4.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하는 단계;
    1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인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이며,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서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 단계에서 독출한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을 그 표시대상 문자열의 상기 결정된 표시시간에 걸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표시방법.
  5. 표시대상 문자열을 취득하는 표시대상 문자열 취득수단;
    1 이상의 문자로 구성되는 문자열인 검출대상 문자열과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이며,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는 검출대상 문자열을 검출하는 검출대상 문자열 검출수단;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이 검출되는 경우 그 검출대상 문자열의 표시횟수를 상기 검출대상 문자열 기억수단에서 독출하는 표시횟수 독출수단; 및
    상기 표시횟수 독출수단이 독출한 상기 표시횟수에 따라 상기 표시대상 문자열의 표시시간을 결정하는 표시시간 결정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050025412A 2004-03-30 2005-03-28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KR100748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0387 2004-03-30
JP2004100387A JP3686927B1 (ja) 2004-03-30 2004-03-30 文字列表示システム、文字列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833A KR20060044833A (ko) 2006-05-16
KR100748422B1 true KR100748422B1 (ko) 2007-08-10

Family

ID=3500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412A KR100748422B1 (ko) 2004-03-30 2005-03-28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97482B2 (ko)
EP (1) EP1739652B1 (ko)
JP (1) JP3686927B1 (ko)
KR (1) KR100748422B1 (ko)
CN (1) CN100474392C (ko)
DE (1) DE602005013942D1 (ko)
TW (1) TWI264701B (ko)
WO (1) WO2005098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3035A1 (en) * 2005-08-05 2007-02-08 Neeraj Sharma Str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compatible with the hindi language
US20110313756A1 (en) * 2010-06-21 2011-12-22 Connor Robert A Text sizer (TM)
US11188715B2 (en) * 2016-12-28 2021-11-30 Razer (Asia-Pacific) Pte. Ltd. Methods for displaying a string of text and wearable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276A (ja) * 1989-09-20 1991-05-02 Fujitsu General Ltd オンスクリーン制御装置
JPH05128355A (ja) * 1991-11-07 1993-05-25 Brother Ind Ltd 自動販売機
JPH05252460A (ja) * 1992-03-06 1993-09-28 Sony Corp 画面内表示情報の表示時間選択装置
JP2003144758A (ja) * 2001-11-15 2003-05-20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Yokyo Inc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サーバ、ゲーム端末、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4077A (en) * 1987-10-06 1990-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help information displayed in an online interactive system
US20010038391A1 (en) * 1997-01-28 2001-11-08 Hideo Fukuchi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6462759B1 (en) * 1999-02-25 2002-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computer display screen window
US7107530B2 (en) * 2002-08-26 2006-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a tooltip based on content within the toolt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6276A (ja) * 1989-09-20 1991-05-02 Fujitsu General Ltd オンスクリーン制御装置
JPH05128355A (ja) * 1991-11-07 1993-05-25 Brother Ind Ltd 自動販売機
JPH05252460A (ja) * 1992-03-06 1993-09-28 Sony Corp 画面内表示情報の表示時間選択装置
JP2003144758A (ja) * 2001-11-15 2003-05-20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Yokyo Inc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サーバ、ゲーム端末、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79052A (ja) 2005-10-13
JP3686927B1 (ja) 2005-08-24
CN100474392C (zh) 2009-04-01
EP1739652A1 (en) 2007-01-03
DE602005013942D1 (de) 2009-05-28
EP1739652B1 (en) 2009-04-15
EP1739652A4 (en) 2007-12-12
CN1965345A (zh) 2007-05-16
US7397482B2 (en) 2008-07-08
TWI264701B (en) 2006-10-21
TW200532643A (en) 2005-10-01
KR20060044833A (ko) 2006-05-16
WO2005098814A1 (ja) 2005-10-20
US20050248559A1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98060B (zh) 语音的纠错处理方法和装置、用于语音的纠错处理的装置
CN108053839B (zh) 一种语言练习成果的展示方法及麦克风设备
KR100620305B1 (ko)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0815731B1 (ko) 음성 인식 방법 및 음성 인식 장치
JP2000262747A5 (ko)
CA2509010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ext disambiguation
US8393962B2 (en)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and game device
KR100748422B1 (ko) 문자열 표시 시스템, 문자열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US10096257B2 (en)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A260373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ext disambiguation employing advanced editing feature
CN111090383B (zh) 一种指令识别方法及电子设备
JP3694517B1 (ja) 文字列表示システム及び特定文字列抽出システム
CN111953860A (zh) 扫描方法、装置、扫描笔和存储介质
JP7315176B2 (ja) セリフ分析プログラム、セリフ分析方法、およびセリフ分析システム
CN112541651B (zh) 电子设备、发音学习方法、服务器装置、发音学习处理系统及记录介质
JP3288738B2 (ja) 自然言語処理装置及び方法
CN111026872A (zh) 一种关联听写方法及电子设备
CN113658609B (zh) 关键字匹配信息的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WO2023073886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N112541651A (zh) 电子设备、发音学习方法以及服务器装置
JP3956730B2 (ja) 言語処理装置
CN114692627A (zh) 技能别称的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0187497A (ja) 音声による言語入力装置
CN114495929A (zh) 一种语音培训识别方法及系统
CN113920803A (zh) 一种错误反馈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