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830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830B1
KR100747830B1 KR1020050015969A KR20050015969A KR100747830B1 KR 100747830 B1 KR100747830 B1 KR 100747830B1 KR 1020050015969 A KR1020050015969 A KR 1020050015969A KR 20050015969 A KR20050015969 A KR 20050015969A KR 100747830 B1 KR100747830 B1 KR 10074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display device
display
gradu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078A (ko
Inventor
이수진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8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요구명령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 또는 화면의 좌측 하단을 기준으로 점차적으로 확대 또는 점차적으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은 거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점차적 확대 및 축소 디스플레이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원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표시기기/점차적/가변적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튜너 102 : 디먹스
103 : 영상신호 처리부 104 : 디스플레이부
105 : 키 입력부 106 : 저장부
107 : 제어부 108 : 외부영상 입력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부가 거울로써 사용이 가능할 뿐더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 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에서 티브이가 대표적으로 포함되며, 이러한 티브이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국 하고 복조 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분리하고 해당 음성 및 영상처리를 거쳐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기기로서, 그 종류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를 비롯하여, 고화질/대화면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LCD, PDP 등을 이용한 티브이도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표시기기로는 PC와 연결되어 PC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모니터 등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액정 화면이 사용되는 영상표시기기에 있어 일반적인 액정화면은 유리나 초자등으로 된 압착 양면 구성의 두겹 유리등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액정이 내포되어 전기적 신호등에 의해 해당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이러한 영상표시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지 여부에 따라 투명한면과 불투명한 면이 나타날 수 있으며, 투명할 경우에는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불투명할 경우 거울면을 형성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표시기기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의 형상이 일정함에 따라 요구 사항이 많아지는 최근 따라 영상신호의 크기를 축소 또는 축소된 영상신호를 다시 확대 시키는등의 작업이 불가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만을 야기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을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점차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을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점차적으로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은 거울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튜너, 디먹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각종 메뉴 및 테두리 종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영상신호가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 또는 좌측 하단을 기준으로 점차적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은 거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점차적 디스플레이를 메뉴상에서 설정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은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점차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 또는 화면의 좌측 하단을 기준으로 점차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거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크기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01)와, 상기 튜너(101)를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에서 영상, 음성 및 부가정보등을 분리하기 위한 디먹스(102)와,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5)와, 상기 키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 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영상신호가 점차적 또는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107)와, 상기 제어부(107)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102)를 통해 분리된 영상신호가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 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03)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3)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에만 디스플레이하고,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제외한 기타 영역은 거울로써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104)와, 동작관련 메뉴 및 기타 정보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6)와, 외부기기를 통해 저장된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외부영상 입력부(10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키 입력부(105)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기 설정된 영상크기에 따라 해당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07)는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표시방법을 메뉴상에서 또는 상기 키 입력부(105)를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07)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3)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튜너(101)를 통해 수신된 영상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점차적 디스플레이를 선택함에 있어 해당 영상이 점차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4)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03)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패널(도시생략)과, 상기 패널 전면에 장착되어 반반사 또는 전반사가 가능하도록 한 반사부(도시생략)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반사부(도시생략)는 반사가 가능한 필름 또는 유리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4) 전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04)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는 즉 사용자가 선택한 테두리 영역 안쪽으로는 해당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반사가 가능함에 따라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점차적 디스플레이를 선택하였을 경우 도 3의 (a)와 같이 수신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04)의 중앙에 작게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점차적으로 영상신호의 크기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 3의 (b)와 같은 전체 화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 3의 (a)와 같이 점차적으로 영상신호의 크기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영상을 좌하측 소정영역에 작게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점차적으로 확대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방법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S102).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정하였으면 점차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점차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정하였으면 수신되는 영상을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104).
그리고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방법이 해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 결과(S105), 해당 디스플레이 방법이 해제되었으면 수신영상을 전체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106).
그리고,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한다(S107).
또한 상기 판단 결과(S103), 사용자가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가변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상기 판단 결과(S108), 사용자가 가변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하였으면 사용자 요구에 따라 가변적으로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점차적 또는 가변적으로 영상신호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점차적 확대 및 축소 또는 가변적 디스플레이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원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튜너, 디먹스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요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각종 메뉴 및 테두리 종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구명령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분리된 영상신호가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 또는 좌측 하단을 기준으로 점차적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은 거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점차적 디스플레이를 메뉴상에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3. 삭제
  4.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점차적 디스플레이 방법을 선택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의 중앙 또는 좌측 하측을 기준으로 해당 영상이 점차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거울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0015969A 2005-02-25 2005-02-2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4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969A KR100747830B1 (ko) 2005-02-25 2005-02-2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969A KR100747830B1 (ko) 2005-02-25 2005-02-2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78A KR20060095078A (ko) 2006-08-30
KR100747830B1 true KR100747830B1 (ko) 2007-08-08

Family

ID=3760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969A KR100747830B1 (ko) 2005-02-25 2005-02-25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8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229A (ko) * 1998-08-06 2000-03-06 구자홍 화면 부분 줌인 장치
KR20040044021A (ko) * 2002-11-20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장치에서의 줌 표시방법
KR20040075517A (ko) * 2003-02-21 2004-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확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229A (ko) * 1998-08-06 2000-03-06 구자홍 화면 부분 줌인 장치
KR20040044021A (ko) * 2002-11-20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장치에서의 줌 표시방법
KR20040075517A (ko) * 2003-02-21 2004-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확대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13229
1020040044021
10200400755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78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37B1 (ko) 입력 레이블링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레이블링 방법
KR1006636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6203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8560011B2 (en) Terminal device with image display function
JPH01282587A (ja) ポータブル型画像表示装置
JP200603091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751114B1 (ko) 영상크기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008130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の制御装置
JP200823629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4783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21877B1 (ko) 채널 osd 표시방법
JP4749839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
KR10068866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805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중 화면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예비 화면의 출력을 제어하는 다중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장치
US2006010368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70410B1 (ko)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692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화면전환방법
JPH11355685A (ja) 表示装置
US201001649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230396855A1 (en) Display device
JP200819944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634024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8288683A (ja) 表示装置
JP3111406U (ja) テレビ受信装置
JP20062381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設定画面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