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306B1 -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306B1
KR100747306B1 KR20040110051A KR20040110051A KR100747306B1 KR 100747306 B1 KR100747306 B1 KR 100747306B1 KR 20040110051 A KR20040110051 A KR 20040110051A KR 20040110051 A KR20040110051 A KR 20040110051A KR 100747306 B1 KR100747306 B1 KR 10074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data
portable terminal
us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1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352A (ko
Inventor
타무라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30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과, 해당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를 갖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의 내용이,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갱신된다.
데이터 갱신

Description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REPRODUCING DATA UPDATE SYSTEM AND REPRODUCING DATA UPDAT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의 대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단말의 기억부에 격납되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의 재생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신 서버의 주요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배신 서버의 기억부에 격납되는 이용자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배신 서버의 기억부에 격납되는 착신 멜로디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한 배신 서버의 기억부에 격납되는 메뉴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신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유명인 이용자가 행하는 착신 멜로디 갱신 순서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착신 멜로디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일반 이용자가 행하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순서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이 갖는 갱신 체크 기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의 배신 서버에서 사용되는 메뉴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데이터 갱신 시스템에 의해 행하여지는 메뉴표의 자동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의 배신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8은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관리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착신 멜로디 메뉴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의 배신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2는 모드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허가 이용자 지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 단말 등에서 사용되는 착신 멜로디나 대기용 화상 데이터 등의 재생용 데이터를 갱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근래, 착신 멜로디는, 휴대 전화의 부가 서비스로서 필수 요소가 되었다. 통상, 이용자는, 휴대 전화기 내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착신 멜로디 중에서 임의로 착신 멜로디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터넷에의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서는 이용자는, 그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상의, 착신 멜로디의 데이터를 배신하고 있는 업자의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그곳에 서부터 소망하는 착신 멜로디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개 2003―259010호 공보에는 이용자의 생년월일, 성별, 취미, 좋아하는 음악의 장르, 희망하는 착신 멜로디의 곡상(曲想) 등의 데이터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이용자의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발호(發呼)가 있으면, 그 등록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용자에게 기호에 맞는 착신 멜로디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휴대 전화기에 송신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착신 멜로디의 갱신은, 이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하여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번거로운 면이 있다.
또한, 이용자 중에는 예를 들면, 관심이 있는 랭킹의 순위 변동이나, 좋아하는 연예인이 어떠한 착신 멜로디를 이용하고 있는지 등을 알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지만, 종래의 착신 멜로디의 갱신에서는 그러한 정보적 가치를 부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착신 멜로디 배신 사업자는, 이용자의 다양한 취미 기호에 응하기 위해 방대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착신 멜로디 등의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을 실현하는 휴대 단말 및 배신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를 가지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의 내용이,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갱신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 등의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은, 휴대 단말의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번거로운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착신 멜로디 배신 사업자도, 특정한 조건의 설정에 의해 필요해지는 착신 멜로디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몇 만곡이나 준비하고 있던 착신 멜로디를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부를 구비한 다른 휴대 단말을 또한 가지며,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이용자가 어떠한 재생용 데이터(착신 멜로디나 대기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더하여, 다른 이용자의 휴대 단말의 갱신 내용이 그대로 자신의 휴대 단말에 반영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친구의 휴대 단말과의 갱신 내용의 공통화를 행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른 휴대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고, 배신 서버는, 각각의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공개명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공개명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로서 예를 들면 연예인을 채용하면, 이용자는, 메뉴 화면상에서 임의로 선택한 연예인이 어떠한 재생용 데이터(착신 멜로디나 대기 화상)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더하여, 그 연예인의 휴대 단말의 갱신 내용이 그대로 자신의 휴대 단말에 반영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좋아하는 연예인이 설정하고 있는 착신 멜로디와 항상 같은 착신 멜로디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뉴에 따른 착신 멜로디의 배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착신 멜로디 배신 사업자는, 준비하여 두는 착신 멜로디의 양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은 복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 중,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에 의해 허가된 단말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배신 서버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변경과 상기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식별 코드로부터 특정되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재생용 데이터(착신 멜로디나 대기 화상)의 갱신을 그룹 내에서 공통화 할 수 있다. 즉, 그룹 전체에서 같은 재생용 데이터(착신 멜로디나 대기 화상)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재생용 데이터가 랭크 부여가 가능한 데이터이고,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랭크 부여의 변경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곡의 랭킹 순위가 변동한 경우, 그 변동에 동기하여 이용자의 휴대 단말의 착신 멜로디의 내용이 갱신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휴대 단말상에서 착신 멜로디가 갱신됨으로써, 현재의 랭킹의 순위를 알 수 있다. 또한, 랭킹 순위의 변동으로서, 지금, 인기가 상승하고 있는 것(급상승중의 것), 지역적으로 인기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설정함으로써, 다른 사람보다 빨리, 인기의 착신 멜로디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랭킹 순위의 대응 장르를 한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은, 휴대 단말과, 해당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를 갖는 시스템에서 행하여지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자(自)단말 내의 기억부에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는 스텝과, 상기 배신 서버가,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상기 기억부의 내용을 갱신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도, 상술한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신 서버는,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배신 서버도, 상술한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기억부와,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상기 재생용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는 처리부를 가지며, 상기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이,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휴대 단말도, 상술한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배신 서버의 컴퓨터에,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처리와,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도, 상술한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의 컴퓨터에,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상기 재생용 데이터를 기억부에 격납하는 처리부와, 상기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를,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갱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도, 상술한 본 발명의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의 대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과 착신 멜로디의 배신 서비스를 행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용된 배신 서버(2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단말(100)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단말 등의 네트워크(300)에의 접속이 가능한 단말이다. 이용자는, 단말(100)을 사용하여 배신 서버(20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에, 단말(100)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기억부(101), 처리부(102), 통신부(103), 입력부(104), 출력부(105)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부분이 버스 등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101)는, 소프트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보존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는 EEPROM 등의 재기록 가능한 기억 수단으로 이루어지지만, 소프트웨어 본체 등의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도록 R0M 등이 재기록 불가능한 기억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처리부(102)는,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는 M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와, 캐시 메모리나 RAM 등의 일시 기억 장치로 구성된다. 통신부(103)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배신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경우라면, 이 통신부(103)는,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나, 디지털화·암호화·복호화 등을 행하는 통신 처리 칩 등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04)는, 이용자가 조작하는 키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등이다. 출력부(105)는, 시각적·청각적인 출력을 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 기억부(101)에 격납되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기억부(101)에는 단말(100)상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101a) 외에 이용자 식별 코드(101b)와, 착신 멜로디 데이터(101c) 및 이에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식별 코드(101d)가 격납된다.
소프트웨어(101a)는, 후술하는 갱신 체크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101a)는, 예를 들면, 이용자가 단말(100)을 사용하여 배신 서버(200)에 액세스하여 이용자 등록을 행하였을 때에 다운로드된다. 이용자 식별 코드(101b)는, 각 이용자에게 고유한 코드이다. 예를 들면, 단말(100)이 휴대 전화 단말인 경우는, 전화번호나 단말 ID 등이 이 이용자 식별 코드(101b)에 상당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과금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해당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는 이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들 기능이 적절히 채용된다. 이용자 식별 코드(101b)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와 동시에 다운로드되어도 좋다. 또한, 단말(100)이 배신 서버(200)에 액세스하였을 때 배신 서버(200)가 단말(100)에 대해 이용자 식별 화면을 제시하도록 하고, 이용자가 그 이용자 식별 화면상에서 미리 주어진 이용자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형식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용자에게는 일반 이용자와 유명인 이용자가 있고, 이용자 식별 코드에 의해 이용자의 종류가 특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단말(100)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의 재생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100)은, 통신부(103)에서 통화의 착신이 행하여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스텝 S10). 착신하면, 기억부(101)에 격납된 착신 멜로디 데이터(101d)를 재 생하고(스텝 S11), 입력부(104)에서 이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12). 이용자가 전화를 받으면, 착신 멜로디 데이터(101d)의 재생을 멈추고(스텝 S13), 통화가 종료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14).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의 착신 대기로 되돌아온다(스텝 S15).
상기한 착신 멜로디의 재생은, 통화의 착신시 외에 전자 메일이 착신하였을 때, 타이머 설정 시각에 달하였을 때, 등의 조건에 따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조건에 의거한 착신 멜로디의 재생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이용자가 특히 명시적인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좋고, 단말(100)의 전원이 들어가 있는 한 실행된다. 또한, 사일런트 모드 등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착신 멜로디의 재생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한 착신 멜로디의 재생은, 기존의 휴대 전화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그 재생에 있어서는, 다른 기존의 기능에 의거한 제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인터넷에의 접속 기능으로서 잘 알려진 브라우저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배신 서버(200)에, 요구나 이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배신 서버(200)로부터 회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브라우저가 갖는 일반적인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a)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네트워크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요구를 송신하는 기능,
(b) 요구에 대해 회신된 cHTML(Compact HyperText Markup Language) 등의 형 식으로 기술된 문자·화상·입력 폼 등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
(c) 표시된 입력 폼에 대해 이용자의 입력을 접수하고, 입력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기능,
(d) 요구에 대한 회신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경우 이것을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하여 기억부에 격납하는 기능,
(e) 요구에 대한 회신이 착신 멜로디 데이터인 경우 이것을 다운로드하여 기억부에 격납하는 기능,
등이 있다. 네트워크 브라우저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상술한 배신 서버(200)와의 사이의 요구나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5에, 배신 서버(200)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신 서버(200)는 기억부(201), 처리부(202), 통신부(203)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부분이 버스 등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201)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대표되는 재기록 가능한 기억 장치로 이루어진다. 처리부(202)는, M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와, 캐시 메모리나 RAM 등의 일시 기억 장치로 이루어진다. 통신부(203)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부분으로서, 네트워크(300)에 유선 접속되어 있다.
배신 서버(200)는 상기한 각 구성 외에 단말(100)로부터의 요구에 대해 필요한 데이터를 회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기능, 그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하는 이용자 식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배신 서버(200)의 기억부(201)에 격납되는 데이터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에, 기억부(201)에 격납되는 이용자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이 이용자표는, 일반 이용자의 표로서, 이용자 코드와 메뉴 코드를 대응시켜 격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용자 코드로서 「10O01」, 「10002」, 「10003」이 격납되고, 각각의 이용자 코드의 란에 메뉴 코드로서 「A」, 「B」, 「C」가 격납되어 있다.
도 7에, 기억부(201)에 격납되는 착신 멜로디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이 착신 멜로디표는, 착신 멜로디 코드와 그것에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명,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격납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착신 멜로디 코드로서 「10000O1」, 「1000002」, 「1000003」이 격납되어 있고, 각각의 착신 멜로디 코드의 란에, 착신 멜로디명과 그것에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가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다. 이 착신 멜로디표의 내용은, 배신 서버(200)의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고, 새로운 착신 멜로디가 추가될 때마다 갱신된다.
도 8에, 기억부(201)에 격납되는 메뉴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이 메뉴표는, 본 실시 형태의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명인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로 실제로 사용하여 있는 착신 멜로디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는 것으로서, 메뉴 코드와 그것에 대응하는 메뉴명, 이용자 코드, 착신 멜로디 코드를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메뉴표의 메뉴 코드 및 이용자 코드는, 도 6에 도시한 이용자표의 메뉴 코드 및 이용자 코드와 대응한다. 메뉴표의 착신 멜로디 코드는, 도 7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표의 착신 멜로디 코드에 대응한다.
상기한 메뉴표의 작성에 있어서는, 배신 서버(200)의 운용자와 유명인 이용자 본인이나 대리인과의 사이에서 미리 계약이 행하여진다. 메뉴표의 내용은, 새로운 유명인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계약이 행하여질 때마다 상술한 이용자표 및 메뉴표의 내용이 배신 서버(200)의 운영자에 의해 갱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명인이란 착신 멜로디를 공개할 가치가 인정되는 사람이라면 족하고, 해당 사람을 아는 사람 수의 많고 적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지역에서만 유명한 사람이나, 특정한 분야에서만 유명한 사람이라도 좋다.
상술한 이용자표, 착신 멜로디표 및 메뉴표는,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등에 의해 관리되고 있고, 데이터의 검색, 갱신, 추가, 삭제 등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착신 멜로디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의 배신 동작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배신 서버(200)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착신 멜로디의 배신 동작을 설명한다.
배신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의 요구(메뉴 요구,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갱신 체크 요구)를 대기하고 있고(스텝 S20 내지 S23), 수신한 요구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1) 메뉴 요구 수신 :
단말(100)에는 일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A)과, 유명인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B)이 있다. 메뉴 요구에는 단말(A)이 배신 서버(200)에 대해 행하는 제 1의 메뉴 요구와, 단말(B)이 배신 서버(200)에 대해 행하는 제 2의 메뉴 요구가 있다. 제 1의 메뉴 요구는, 일반 이용자가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구체적으로는 도 8의 메뉴표에 등록되어 있는 유명인의 리스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명인의 항목을 선택 지정할 수 있다)를 취득할 때 단말(A)상에서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발행된다. 제 2의 메뉴 요구는, 유명인 이용자가 착신 멜로디 리스트(다운로드 가능한 착신 멜로디에 관한 리스트)를 취득할 때 단말(A)상에서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발행된다.
배신 서버(200)는 우선, 단말(100)로부터 메뉴 요구(제 1 또는 제 2의 메뉴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 이 판단에서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2)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 (제 1 또는 제 2의 메뉴 요구를 수신한 경우)는, 계속해서, 이용자 식별 기능을 이용하여, 그 수신한 메뉴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24). 이 때, 메뉴 요구가 제 1의 메뉴 요구인 경우는, 일반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코드가 취득되고, 제 2의 메뉴 요구인 경우는, 유명인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코드가 취득된다.
다음에, 배신 서버(200)는 도 8에 도시한 메뉴표의 이용자 코드의 란(여기에는 유명인 이용자에 관한 이용자 코드가 격납되어 있다)에, 스텝 S24에서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합치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로, 수신한 메뉴 요구가 유명인 이용자의 단말(B)로부터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5).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합치하는 것이 발견된 경우(「Yes」인 경우)는, 유명인 이용자로부터의 제 2의 메뉴 요구라고 판단하고, 도 7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표의 착신 멜로디 코드 ·착신 멜로디명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멜로디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유명인 이용자의 단말(B)에 송신 한다(스텝 S26). 다른 한편,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합치하는 것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No」인 경우)는, 일반 이용자로부터의 제 1의 메뉴 요구라고 판단하고, 도 8에 도시한 메뉴표의 메뉴 코드와 메뉴명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일반 이용자의 단말(A)에 송신한다(스텝 S27). 스텝 S26 또는 스텝 S27의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2)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 스텝 S26에서 송신된 착신 멜로디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B)상에서, 유명인 이용자가 소정의 입력 조작, 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 리스트 중의 소망하는 착신 멜로디명을 선택 입력하면, 그 조작에 따라 단말(B)이 그 선택된 착신 멜로디에 관한 데이터 요구(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를 배신 서버(200)에 송신한다. 이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의 송신에 의해 배신 서버(200)에서는 스텝 S21의 판단이 「Yes」로 되고,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 S21의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3)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배신 서버(200)는 우선, 수신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 코드로 도 7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표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단말(B)에 송신한다(스텝 S28). 계속해서, 이용자 식별 기능에 의해 수신한 착신 멜로디데이터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29). 그 리고,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로 도 8에 도시한 메뉴표를 검색하고, 그 메뉴표 내의, 해당하는 이용자 코드와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스텝 S28에서 송신한 착신 멜로디 코드로 갱신한다(스텝 S30).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3)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 스텝 S27에서 송신된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A)상에서, 일반 이용자가 소정의 입력 조작, 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 중의 소망하는 메뉴명을 선택 입력하면, 해당 조작에 따라 단말(A)이 그 선택된 메뉴명에 관한 데이터 요구(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를 배신 서버(200)에 송신한다. 이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의 송신에 의해 배신 서버(200)에서는 스텝 S22의 판단이 「Yes」로 되고,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 S22의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4) 갱신 체크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배신 서버(200)는 우선, 이용자 식별 기능에 의해 수신한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31). 그리고,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로 도 6에 도시한 일반 이용자표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이용자 코드 란의 메뉴 코드를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에 포함되는 메뉴 코드로 갱신한다(스텝 S32).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4) 갱신 체크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갱신 체크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일반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A)에서는 정기적으로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자단말(自端末) 내의 기억부에 현재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의 정보(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 코드)를 포함하는 갱신 체크 요구가 배신 서버(200)에 송신된다. 이 갱신 체크 요구의 송신에 의해 배신 서버(200)에서는 스텝 S23의 판단이 「Yes」로 되고,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배신 서버(200)는 우선, 이용자 식별 기능에 의해 단말(A)로부터 수신한 갱신 체크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33). 계속해서,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로 도 6에 도시한 일반 이용자표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메뉴 코드를 취득하고, 또한, 그 취득한 메뉴 코드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한 메뉴표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레코드의 착신 멜로디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착신 멜로디 코드와 수신한 갱신 체크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비교한다(스텝 S34). 이 비교에 있어서 코드가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갱신 있음이라고 판단하고, 메뉴표로부터 취득한 착신 멜로디 코드로 착신 멜로디표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단말(A)에 송신한다(스텝 S35). 스텝 S34의 비교에 있어서 코드가 합치한 경우는, 갱신 없음이라고 판단하고, 갱신이 없다는 취지를 단말(A)에 송신한다(스텝 S36). 스텝 S35, S36의 어느 하나의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다음에, 유명인 이용자가 단말(B)을 사용하여 착신 멜로디 갱신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유명인 이용자가 행하는 착신 멜로디 갱신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유명인 이용자가 단말(B)상에서, 네트워크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배신 서버(200)에 액세스하고, 소정의 입력 조작(선택 조작)을 행하면, 단말(B)은, 메뉴 요구(제 2의 메뉴)를 배신 서버(200)에 송신하고(스텝 S40), 배신 서버(200)로부터의 착신 멜로디 리스트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41). 이 메뉴 요구를 수신한 배신 서버(200)는 상술한 도 9의 스텝 S24 내지 S26의 처리를 행하고, 착신 멜로디 리스트(착신 멜로디명과 그 착신 멜로디 코드를 포함한다)를 단말(B)에 송신한다.
배신 서버(200)로부터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를 수신하면, 단말(B)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신 멜로디명의 일람을 포함하는 착신 멜로디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유명인 이용자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 S42). 계속해서, 유명인 이용자가 착신 멜로디 선택 화면상에서 소망하는 착신 멜로디명을 선택하면, 단말(B)은, 그 선택된 착신 멜로디명의 착신 멜로디 코드를 포함하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를 배신 서버(200)에 송신하고(스텝 S43), 배신 서버(200)로부터의 착신 멜로디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44). 이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를 수신한 배신 서버(200)는 상술한 도 9의 스텝 S21, S28의 처리를 행하고,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 코드에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단말(B)에 송신한다. 단말(B)은, 배신 서버(200)로부터의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도 2에 도시한 기억부(201)에 격납한다(스텝 S45).
다음에, 일반 이용자가 단말(A)을 사용하여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에, 일반 이용자가 행하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순서를 도시한다.
일반 이용자가 단말(A)상에서, 네트워크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배신 서버(200)에 액세스하고, 소정의 입력 조작(선택 조작)을 행하면, 단말(A)은, 메뉴 요구(제 1의 메뉴 요구)를 배신 서버(200)에 송신하고(스텝 S50), 배신 서버(200)로부터의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51). 메뉴 요구를 수신한 배신 서버(200)는 상술한 도 9의 스텝 S24, S25, S27의 처리를 행하고,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메뉴명과 그 메뉴 코드)를 단말(A)에 송신한다.
배신 서버(200)로부터 착신 멜로디 리스트를 수신하면, 단말(A)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명인의 일람을 포함하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일반 이용자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 S52). 일반 이용자가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상에서 소망하는 유명인을 선택하면, 계속해서, 단말(A)은 그 선택된 유명인의 메뉴 코드를 포함하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를 배신 서버(200)에 송신한다(스텝 S53). 이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를 수신한 배신 서버(200)는 상술한 도 9의 스텝 S22, S31, S32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단말(A)이 구비하는 갱신 체크 기능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자동 갱신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단말(A)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의 자동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A)은, 배신 서버(200)에 대해 현재, 기억부(101)에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의 착신 멜로디 코드를 포함하는 갱신 체크 요구를 송신하고(스텝 S60), 그 회신을 대기한다(스텝 S61). 갱신 체크 요구를 수신한 배신 서버(200)는 상술한 도 9의 스텝 S33 내지 S36의 처리를 행하고, 착신 멜로디 데이터 또는 갱신 없음의 통지를 단말(A)에 송신한다. 배신 서버(200)로부터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는, 단말(A)은, 그 수신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와 이것에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기억부(101)에 격납하고(스텝 S62), 타이머 처리로 진행한다(스텝 S63). 배신 서버(200)로부터 갱신 없음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는, 단말(A)은 아무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63의 타이머 처리로 진행한다. 여기서, 스텝 S63의 타이머 처리란, 갱신 체크를 일정 간격으로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타이머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1일, 12시간 등의 시간 간격이나, 23시 등의 시각에 의거하여 다음회 갱신 체크 요구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결정한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이용자의 단말(A) 내에 격납되는 착신 멜로디의 데이터는, 임의로 선택한 유명인 이용자의 단말(B)에서 사용되고 있는 착신 멜로디와 합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 이용자는, 유명인 이용자가 현재 어떠한 착신 멜로디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더하여, 예를 들면, 소망하는 유명인이 휴대 단말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착신 멜로디와 같은 착신 멜로디를 자신의 휴대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유명인이 단말(B)상에서 착신 멜로디를 갱신한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그 갱신 내용이 일반 이용자의 단말(A) 내에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의 데이터에 자동적으로 반영된다. 따라서, 일반 이용자는, 착신 멜로디의 갱신할 때의 번거로운 입력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자신의 휴대 단말에서, 유명인에 의한 착신 멜로디의 갱신에 추종한 착신 멜로디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 메뉴에 따른 착신 멜로디의 배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신 서버의 운용자(배신 업자)는, 몇 만곡이나 착신 멜로디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데이터량의 삭감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에 관해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 밖에, 이하와 같은 구성 또는 기능의 부가·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일반 이용자표에 일반 이용자마다 몇 회 착신 멜로디의 자동 갱신이 행하여졌는지의 정보를 기록하고, 이 기록에 의거하여 일반 이용자에게의 종량(從量) 과금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착신 멜로디 자동 갱신시에, 도 7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표에 착신 멜로디가 배신된 이용자 수를 기록하고, 이 기록에 의거하여 저작권자에의 지불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정기적(월말 등)으로 도 6에 도시한 일반 이용자표의 착신 멜로디 메뉴열에 등록되어 있는 메뉴 코드의 수에 의거하여 해당 메뉴 코드에 해당한 유명인에게 보수를 지급하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이용자의 단말(100) 내에 격납되는 착신 멜로디를, 배신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악곡 랭킹의 변화에 따라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로서, 그러한 악곡 랭킹의 변화에 따른 착신 멜로디의 갱신이 가능한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용자」는 일반, 유명인이라는 구분은 없고,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여 착 신 멜로디의 취득 및 갱신을 행하는 자를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의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은, 도 1 내지 8에 도시한 구성 및 동작을 구비하는 단말(100) 및 배신 서버(200)를 구비하는 시스템이지만, 일부의 구성 및 동작이 제 1의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이하에서는 동작의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에, 배신 서버(200) 내의 기억부(201)에 격납되는 메뉴표의 논리 데이터 구조(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다. 이 메뉴표는, 악곡 랭킹에 관한 착신 멜로디 메뉴와, 이들 착신 멜로디 메뉴에 해당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착신 멜로디 메뉴로서는 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가 그 시점의 국내 POPS 등 특정 장르의 매상 랭킹에서 넘버 1의 곡으로 갱신되는 메뉴나, 특정 장르의 매상 랭킹중 랭크가 급상승중의 주목곡으로 갱신되는 메뉴 등, 악곡의 랭킹에 관한 다양한 메뉴가 제공된다. 메뉴표의 착신 멜로디 코드는, 도 7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표의 착신 멜로디 코드에 대응하고 있고, 이들 표의 착신 멜로디 코드가 정기적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최신의 랭킹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하는 곡으로 갱신된다.
배신 서버(200)의 운용자는, 랭킹 정보 제공 업자 등 다른 사업자와 제휴하고, 해당 사업자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메뉴표의 작성·갱신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배신 서버(200)의 운용자가, 자력으로 매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동으로 메뉴표를 작성. 갱신하여도 좋다. 다른 사업자와 제휴하여 메뉴표의 갱신을 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해당 사업자의 랭킹 데이터베이스와의 사이에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갱신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메뉴표의 자동 갱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 그러한 데이터 갱신 시스템을 갖는 경우의 메뉴표의 자동 갱신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신 서버(200)는 외부 랭킹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메뉴표로 제공되는 메뉴마다 정기적,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랭킹 데이터의 문의를 행하여 최신의 랭킹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71). 그리고, 그 취득한 최신의 랭킹 데이터로 메뉴표를 갱신한다(스텝 S72).
상기한 메뉴표의 갱신에서는 배신 서버(200)는 예를 들면, 취득한 최신의 랭킹 데이터에 관한 착신 멜로디 코드를 자동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배신 서버(200)의 운용자는, 최신의 랭킹 데이터에 관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자신이 작성 또는 다른 제휴 업자로부터 입수하고, 그 작성 또는 입수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와, 그 착신 멜로디명 및 배신 서버(200)가 부여한 착신 멜로디 코드에 의거하여 착신 멜로디표를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스텝 S72에서의 메뉴표의 갱신에 대응한 착신 멜로디표의 갱신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착신 멜로디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의 배신 동작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배신 서버(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배신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의 요구(메뉴 요구,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갱신 체크 요구)를 대기하고 있고(스텝 S81 내지 S83), 수신한 요구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1) 메뉴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메뉴 요구(제 1 또는 제 2의 메뉴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1). 이 판단에서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2)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도 15에 도시한 메뉴표의 메뉴 코드와 메뉴명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단말(100)에 송신한다(스텝 S82).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2)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칩S82).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3) 갱신 체크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우선, 이용자 식별 기능에 의해 수신한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S85). 그리고, 갱신 체크 처리를 행한다(스텝 S86). 이 갱신 체크 처리에서는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용자표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이용자 코드 란의 메뉴 코드를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에 포함되는 메뉴 코드로 갱신한다.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3) 갱신 체크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갱신 체크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3).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100)에서는 정기적으로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자단말 내의 기억부에 현재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의 정보(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 코드)를 포함하는 갱신 체크 요구가 배신 서버(200)에 송신된다. 이 갱신 체크 요 구의 송신에 의해 배신 서버(200)에서는 스텝 S83의 판단이 「Yes」로 되고,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배신 서버(200)는 우선, 이용자 식별 기능에 의해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갱신 체크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87). 계속해서,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로 도 6에 도시한 이용자표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메뉴 코드를 취득하고, 또한, 그 취득한 메뉴 코드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한 메뉴표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레코드의 착신 멜로디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착신 멜로디 코드와 수신한 갱신 체크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비교한다(스텝 S88). 이 비교에 있어서 코드가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갱신 있음이라고 판단하고, 메뉴표로부터 취득한 착신 멜로디 코드로 착신 멜로디표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단말(100)에 송신한다(스텝 S89). 스텝 S88의 비교에 있어서 코드가 합치한 경우는 갱신 없음이라고 판단하고, 갱신이 없다는 취지를 단말(100)에 송신한다(스텝 S90). 스텝 S89, S90의 어느 하나의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다음에, 단말(100)측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단말(100)에서는 이용자에 의한 착신 멜로디메뉴 선택이 행하여진다. 이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의 동작은, 도 12에 도시한 순서와 같은 순서로 행하여지지만, 단말(100)상에 표시되는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사용된다. 이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메뉴표의 메뉴명의 일람이 표시되고, 이용자 는, 그 화면상에서 소망하는 메뉴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에서는 착신 멜로디의 자동 갱신이 행하여진다. 이 착신 멜로디의 자동 갱신도, 도 14에 도시한 순서와 같은 순서로 행하여진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형태인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은, 기본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지만, 단말(100)로서, 자신의 단말상에서 임의로 작성한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공개하는 공개자에 의해 사용되는 공개자 단말과, 그 공개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동기자(同期者)에 의해 사용되는 동기자 단말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착신 멜로디 갱신 시스템의, 단말(100) 및 배신 서버(200)는 도 1 내지 6에 도시한 것과 기본적으로는 같지만, 일부의 구성 및 동작이 제 1의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다. 이하에서는 동작이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메뉴를 제공하는 이용자(공개자)가, 다른 어느 이용자(동기자)에게 착신 멜로디 공개를 허가하는지를 관리하기 위한 공개 허가 자표(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도 19에, 그 관리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관리표는, 이용자 코드와 허가 이용자 코드를 대응시켜 격납함으로써, 예를 들면, 이용자 코드 「1000 1」의 이용자(공개자)는, 허가 이용자 코드 「10002」의 이용자(동기자)에게 허가한다는 정보가 격납된다.
또한, 배신 서버(200)는 도 7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표에 더하여,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신 멜로디 메뉴표를 갖는다. 이 착신 멜로디 메뉴표는, 착신 멜로디 메뉴를 제공한 이용자(공개자)가 단말상에서 현재 이용하고 있는 착신 멜로디 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착신 멜로디 배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 멜로디의 배신 동작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1은, 배신 서버(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배신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의 요구(메뉴 요구, 착신 멜로디 공개 허가자 지정 요구,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갱신 체크 요구)를 대기하고 있고(스텝 S91 내지 S95), 수신한 요구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1) 메뉴 요구 수신 :
단말(100)로부터 배신 서버(200)에 송신되는 메뉴 요구에는 첫 회 이용자에 의한 제 1의 메뉴 요구, 공개자에 의한 제 2의 메뉴 요구, 동기자에 의한 제 3의 메뉴 요구의 3개가 있다.
배신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메뉴 요구(제 1, 제 2, 내지 제 3의 메뉴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 이 판단에서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2)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이용자 식별 기능을 이용하여, 그 수신한 메뉴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한다(스텝 S96).
다음에, 배신 서버(200)는 수신한 메뉴 요구가 첫 회 이용자에 의한 것(제 1의 메뉴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7). 구체적으로는 이용자표(도 6 참조)와 메뉴표(도 20 참조)의 이용자 코드열 중에, 스텝 S96에서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합치하는 것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어느 표에도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 첫 회 이용자라고 판단한다(스텝 S97의 「Yes」). 첫 회 이용자가 아닌 경우(스텝 S97의 「No」)는, 계속해서 수신한 메뉴 요구가 착신 멜로디 공개자에 의한 것(제 2의 메뉴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8). 구체적으로는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합치한 것이 메뉴표에 발견된 경우에, 착신 멜로디 공개자라고 판단한다(스텝 S98의 「Yes」).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와 합치한 것이 이용자표에 발견된 경우는, 착신 멜로디 동기자라고 판단한다(스텝 S98의 「No」).
스텝 S97에서 첫 회 이용자라고 판단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그 이용자가 착신 멜로디를 공개하는지, 다른 공개하고 있는 이용자에게 동기하는지의 선택을 행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그 이용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99). 그리고, 이용자가 모드 선택 화면의 선택지로서 착신 멜로디 공개를 선택한 경우(스텝 S100의 「Yes」)에는 착신 멜로디 메뉴표(도 20 참조)에 신규 메뉴의 항목을 추가하여 해당 이용자의 이용자 코드를 보존하고(스텝 S101),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를 해당 이용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02). 한편, 모드 선택 화면의 선택지로서 동기를 선택한 경우(스텝 S100의 「No」)는, 해당 이용자의 식별 코드로 착신 멜로디 공개 허가 리스트의 허가 이용자 열을 검색하고(스텝 S103), 해당 이용자에 대해 착신 멜로디를 공개하고 있는 공개자로 이루어지는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를 해당 이용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04).
스텝 S98에서 착신 멜로디 공개자라고 판단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 화면을 해당 착신 멜로디 공개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05). 그리고, 착신 멜로디 공개자가, 공개자 메뉴 화면의 선택지로서 착신 멜로디 변경을 선택한 경우(스텝 S106의 「변경」)는, 착신 멜로디표(도 7 참조)의 착신 멜로디 코드와 착신 멜로디명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멜로디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것을 해당 착신 멜로디 공개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07). 한편, 착신 멜로디 공개자가, 공개자 메뉴 화면의 선택지로서 공개 허가자 지정을 선택한 경우(스텝 S106의 「지정」)는, 공개 허가자 지정 화면을 해당 착신 멜로디 공개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08).
스텝 S98에서 동기자라고 판단한 경우, 해당 이용자 식별 코드로 착신 멜로디 공개 허가 리스트의 허가 이용자 열을 검색하고, 해당 이용자에 대해 착신 멜로디를 공개하고 있는 공개자로 이루어지는 착신 멜로디 메뉴 리스트를 송신한다(스텝 S109). 스텝 S102, S104, S107, S108, S109의 어느 하나의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2)착신 멜로디 공개 허가자 지정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공개 허가자 지정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3)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공개 허가자표(도 19 참조)에 해당 이용자 코드와 지정된 허가자의 이용자 코드를 대응시킨 레코드를 추가한다(스텝 S110).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3)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3).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4) 착신 멜로디 메뉴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 멜로디 코드로 착신 멜로디표(도 7 참조)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를 요구원의 단말에 송신한다(스텝 S111). 그리고, 이용자 식별 코드로 메뉴표를 검색하고, 메뉴표(도 20 참조) 내의, 해당하는 이용자 코드와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스텝 S111에서 송신한 착신 멜로디 코드로 갱신한다(스텝 S112).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4)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착신 멜로디 메뉴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4).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후술하는 「(5) 갱신 체크 요구 수신」의 처리로 이행한다. 「Yes」로 된 경우는, 배신 서버(200)는 이용자표(도 6 참조)의 해당하는 레코드의 메뉴 코드를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요구에 포함되는 메뉴 코드로 갱신한다(스텝 S113). 이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5) 갱신 체크 요구 수신 :
배신 서버(200)는 갱신 체크 요구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3).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100)에서는 정기적으로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자단말 내의 기억부에 현재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멜로디의 정보(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 코드)를 포함하는 갱신 체크 요구가 배신 서버(200)에 송신된다. 이 갱신 체크 요구의 송신에 의해 배신 서버(200)에서는 스텝 S95의 판단이 「Yes」로 되고,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이 판단이 「No」로 된 경우는,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배신 서버(200)는 우선, 이용자 식별 기능에 의해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갱신 체크 요구로부터 이용자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용자 식별 코드로 이용자표(도 6 참조)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메뉴 코드를 취득하고, 또한, 그 취득한 메뉴 코드를 이용하여 메뉴표(도 20 참조)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레코드의 착신 멜로디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착신 멜로디 코드와 수신한 갱신 체크 요구에 포함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비교한다(스텝 S114). 이 비교에 있어서 코드가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갱신 있음이라고 판단하고, 메뉴표로부터 취득한 착신 멜로디 코드로 착신 멜로디표를 검색하고, 대응하는 착신 멜로디 코드를 단말(100)에 송신한다(스텝 S115). 스텝 S114의 비교에서 코드가 합치한 경우는, 갱신 없음이라고 판단하고, 갱신이 없다는 취지를 단말(100)에 송신한다(스텝 S116). 스텝 S115, S116의 어느 하나의 처리를 종료한 후, 「시작」으로 되돌아온다.
단말(100)측의 동작은, 제 1의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지만, 표시되는 메뉴가 다르다. 도 22에, 모드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모드 선택 화면은 선택지로서 「착신 멜로디를 공개한다」 및 「착신 멜로디를 동기시킨다」의 2개의 항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1의 스텝 S99에서는 배신 서버(20)로부터 이 도 22에 도시한 모드 선택 화면이 송신되어 단말(100)상에 표시된다. 이용자는, 이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 입력한다.
도 23에,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 화면은 선택지로서 「착신 멜로디를 갱신하다」 및 「공개를 허가하는 이용자를 지정한다」의 2개의 항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1의 스텝 S105에서는 배신 서버(20)로부터 이 도 23에 도시한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 화면이 송신되어 단말(100)상에 표시된다. 이용자는, 이 착신 멜로디 공개자 메뉴 화면상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 입력한다.
도 24에, 허가 이용자 지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허가 이용자 지정 화면은, 중앙에 허가 이용자의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란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1의 스텝 S108에서는 배신 서버(20)로부터 이 도 24에 도시한 허가 이용자 지정 화면이 송신되어 단말(100)상에 표시된다. 이용자는, 이 허가 이용자 지정 화면상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 입력한다.
도 25에,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은 메뉴 선택지로서 공개자의 이용자 코드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1의 스텝 S94에서 배신 서버(200)가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을 수신함에 있어서, 배신 서버(200)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을 단말(100)에 송신한다. 단말(100)에서는 수신한 착신 멜로디 메뉴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그 화면상에서 이용자가 리스트 중의 소망하는 이용자 코드를 선택 입력한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단말(100) 및 배신 서버(200)의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5 에 도시한 처리부에서 연산 처리 장치가 캐시 메모리나 RAM 등의 일시 기억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 등의 외부 기억 장치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전술한 착신 멜로디 갱신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예이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는 다른 재생용 데이터, 예를 들면 대기 화상 데이터와 치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같다.
또한, 착신 멜로디의 자동 갱신과 동시에, 갱신에 관련되는 정보(곡명 등)도 동시에 갱신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자단말상에서 임의로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야간에 착신 멜로디를 갱신하고, 자명종으로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로써, 그 날의 랭킹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단말의 착신 멜로디의 갱신은 각 실시 형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정기적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배신 서버에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문의함에 의해 행하도록 하는 외에 배신 서버가,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내용을 단말에 송신하여 갱신을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배신 서버가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URL 등)를 포함하는 갱신 통지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단말이, 그 갱신 통지에 포함되어 있는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여 갱신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배신 서버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일체의 서버가 아니라도 좋고, 복수의 서버가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접속됨으로써 아울러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관리를 전문으로 행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별도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착신 멜로디표의 착신 멜로디 데이터가 본 실시 형태의 운영자와는 다른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에 존재하여도 좋다. 이 경우, 착신 멜로디표에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 그 자체 대신에, URL 등으로 표시되는 착신 멜로디 데이터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격납됨에 의해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인터넷 등을 통하여 배신 서버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 전화 외에 소형 정보 단말이나 카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재생용 데이터(착신 멜로디나 대기 화상)는,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과 동기하여 자동 갱신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용자는, 수동으로 착신 멜로디를 갱신할 필요 없이, 취미 기호에 합치한 착신 멜로디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더하여, 「유명 연예인과 같은 착신 멜로디」, 「그 날에 가장 매상이 신장한 곡」 등, 착신 멜로디 그 자체를 초과하는 정보적 가치를 부가할 수 있다.
착신 멜로디 배신 사업자(시스템 운용 자)는, 어느 정도 메뉴에 따른 착신 멜로디를 배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량의 삭감이 가능하다.

Claims (44)

  1.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를 가지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의 내용이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갱신되며,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부를 구비한 다른 휴대 단말을 또한 가지며,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정기적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배신 서버에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문의함에 의해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배신 서버는,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내용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여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배신 서버는,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통지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상기 갱신 통지를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갱신 통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다른 휴대 단말은 1 개 또는 그 이상 있고,
    배신 서버는, 각각의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공개명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공개명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다른 휴대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와 그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정보가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고,
    배신 서버가, 휴대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식별 코드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이용자의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복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 중,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에 의해 허가된 단말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배신 서버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변경과 상기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식별 코드로부터 특정되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랭크 부여가 가능한 데이터이고,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랭크 부여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 이터 갱신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배신 서버는, 재생용 데이터에 관한 복수의 장르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장르의 랭크 부여의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11.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착신 멜로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12.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13. 휴대 단말과, 해당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를 갖는 시스템에서 행하여지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자단말 내의 기억부에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는 스텝과,
    상기 배신 서버가,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상기 기억부의 내용을 갱신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며,
    배신 서버와 접속되는 다른 휴대 단말이,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재생용 데이터를 취득하여 자단말 내의 기억부에 격납하는 스텝과,
    상기 배신 서버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과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정기적 또는 특정한 타이밍으로 배신 서버에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문의함에 의해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배신 서버가,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내용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여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게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배신 서버가,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통지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배신 서버로부터 상기 갱신 통지를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갱신 통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 를 취득하여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17. 삭제
  18. 제 13항에 있어서,
    다른 휴대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고, 배신 서버가, 각각의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공개명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제 1의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공개명의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다른 휴대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와 그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정보가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고,
    배신 서버가, 휴대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식별 코드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이용자의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복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 중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에 의해 허가된 단말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배신 서버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변경과 상기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식별 코드로부터 특정되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의 기억부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21. 제 13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랭크 부여가 가능한 데이터이고,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랭크 부여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배신 서버가, 재생용 데이터에 관한 복수의 장르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장르의 랭크 부여의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를 갱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23. 제 13항, 제 14항, 제 15항, 제 16항, 제 18항, 제 19항, 제 20항, 제 21항,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착신 멜로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24. 제 13항, 제 14항, 제 15항, 제 16항, 제 18항, 제 19항, 제 20항, 제 21항,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25. 휴대 단말에 의해 재생되는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처리부를 구비하며,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는 다른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26. 제 25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내용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27. 제 25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면, 해당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통지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28. 삭제
  29. 제 25항에 있어서,
    다른 휴대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고, 처리부는, 각각의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공개명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공개명의 이용자의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생 데이터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재생 데이터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0. 제 25항에 있어서,
    다른 휴대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와 그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정보가 대응시켜 격납되어 있고,
    처리부는, 휴대 단말에 의해 지정된 상기 식별 코드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이용자의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과 상기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재생 데이터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1. 제 25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복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 중, 다른 휴대 단말의 이용자에 의해 허가된 단말의 이용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처리부가, 상기 다른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재생용 데이터의 변경과 상기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식별 코드로부터 특정되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을 동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2. 제 25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랭크 부여가 가능한 데이터이고,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랭크 부여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3. 제 32항에 있어서,
    처리부가, 재생용 데이터에 관한 복수의 장르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휴대 단말에 송신하고, 해당 송신한 메뉴 화면상에서 선택된 장르의 랭크 부여의 변경에 동기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기억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4. 제 25항, 제 26항, 제 27항, 제 29항, 제 30항, 제 31항, 제 32항,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착신 멜로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5. 제 25항, 제 26항, 제 27항, 제 29항, 제 30항, 제 31항, 제 32항,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신 서버.
  36. 기억부와,
    재생용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상기 재생용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는 처리부를 가지며,
    상기 기억부에 격납되어 있는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이,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동기하여 행하여지며,
    기억부의 갱신이, 배신 서버로부터 취득한 재생용 데이터를 격납하는 다른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용 데이터의 갱신과 동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7. 제 36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정기적 또는 특정한 타이밍에 배신 서버에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문의함에 의해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8. 제 36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었을 때에, 해당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통지를 배신 서버로부터 수신함과 함께, 해당 수신한 갱신 통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갱신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의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9. 삭제
  40. 제 36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랭크 부여가 가능한 데이터이고, 특정한 조건으로 행하여지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상기 랭크 부여의 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1. 제 36항, 제 37항, 제 38항, 제 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착신 멜로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2. 제 36항, 제 37항, 제 38항, 제 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생용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3. 삭제
  44. 삭제
KR20040110051A 2003-12-25 2004-12-22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KR100747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0573A JP4479885B2 (ja) 2003-12-25 2003-12-25 再生用データ更新システムおよび再生用データ更新方法
JPJP-P-2003-00430573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52A KR20050065352A (ko) 2005-06-29
KR100747306B1 true KR100747306B1 (ko) 2007-08-07

Family

ID=3478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10051A KR100747306B1 (ko) 2003-12-25 2004-12-22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79885B2 (ko)
KR (1) KR100747306B1 (ko)
CN (1) CN1005839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97B1 (ko) * 2005-10-0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서비스정보 알림방법
JP4115483B2 (ja) 2005-12-20 2008-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GB0702587D0 (en) 2006-05-05 2007-03-21 Omnifone Ltd Digital rights management
WO2014178306A1 (ja) * 2013-04-30 2014-11-06 グリー株式会社 表示情報提供方法、表示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CN105812410A (zh) * 2014-12-30 2016-07-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讯录同步方法及系统
CN110472925A (zh) * 2018-05-11 2019-11-19 懿谷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网页流程图的实验室测试流程管理系统及方法
CN114006973A (zh) * 2020-07-28 2022-02-01 北京破壁者科技有限公司 铃声更新、数据更新、铃声发布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275A (ko) * 2000-10-30 2002-05-06 정정호 로컬 단말기와 서버간에 데이터 파일을 동기화시키는동기화 푸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5537A (ko) * 2002-04-16 2002-05-11 양창영 무선인터텟폰 문자서비스의 Call back URL을 통한티켓팅서비스
KR20020072804A (ko) * 2002-06-10 2002-09-18 (주)코리아리더스 테크놀러지 유무선 데이터 동기화 기술과 무선 멀티미디어 전용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275A (ko) * 2000-10-30 2002-05-06 정정호 로컬 단말기와 서버간에 데이터 파일을 동기화시키는동기화 푸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5537A (ko) * 2002-04-16 2002-05-11 양창영 무선인터텟폰 문자서비스의 Call back URL을 통한티켓팅서비스
KR20020072804A (ko) * 2002-06-10 2002-09-18 (주)코리아리더스 테크놀러지 유무선 데이터 동기화 기술과 무선 멀티미디어 전용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52A (ko) 2005-06-29
CN100583924C (zh) 2010-01-20
CN1638414A (zh) 2005-07-13
JP4479885B2 (ja) 2010-06-09
JP2005191912A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05056A1 (en) Interactive networked schedule
US7523398B2 (en) Client/server system and button updating method for client application
US200400029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JP2002202936A (ja) 情報収集サーバ及び情報収集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20080222262A1 (en) Digital Album Service System for Showing Digital Fashion Created by Us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20938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pinion and aggregating opinions with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O2009089308A2 (en) Wireless data acquisi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2007079657A (ja) サーバシステム、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100747306B1 (ko) 재생용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재생용 데이터 갱신 방법
JP2005242399A (ja) プッシュ型コンテンツ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方法及びサーバ
JP5694898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JP5694899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JP2011075701A (ja) カラオケ送信システム、カラオケ送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4630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用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提供方法
JP4187582B2 (ja) カラオケリクエストシステム
JP2003241771A (ja) カラオケ選曲支援システム
JP2004342044A (ja) 携帯端末のカスタマイズシステム、管理サーバ、携帯端末、並びに携帯端末のプログラム
JP2007265235A (ja) 携帯電話機注文システム、携帯電話機注文方法、携帯電話機受注サーバおよび携帯電話機受注プログラム
JP4104847B2 (ja) 情報蓄積機器装置、およびデジタルチャンネル情報配信システム
JP3304887B2 (ja) ユーザ状況検索通知方法,ユーザ状況検索方法,ユーザ状況検索サーバ装置,ユーザ状況検索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396404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その方法、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12362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仏壇の利用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3150471A (ja) コンテンツ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取得コンテンツ情報管理サーバ
JP2002077083A (ja) アクセス支援サーバ、アクセス支援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WO2008054111A1 (en) The contents administration system us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