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203B1 -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 Google Patents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203B1
KR100746203B1 KR1020070017919A KR20070017919A KR100746203B1 KR 100746203 B1 KR100746203 B1 KR 100746203B1 KR 1020070017919 A KR1020070017919 A KR 1020070017919A KR 20070017919 A KR20070017919 A KR 20070017919A KR 100746203 B1 KR100746203 B1 KR 10074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lide
screen
g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철
박상숙
이용운
이기완
서영철
김종동
성창경
김영준
백형민
백광호
신정임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죽암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죽암건설(주) filed Critical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극조절이 가능한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한 쌍의 고정벽과 슬라이드벽을 구성하고 각각의 고정벽과 슬라이드벽에 구성된 받침톱니와 조절톱니에 의해 복수의 날개가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벽의 슬라이드에 의해 받침톱니와 조절톱니의 작용으로 복수의 날개가 일체로 경사도가 변하면서 간극이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서 간극조절이 용이하여 공장제작에 의하더라도 지역특성에 따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스크린의 간극 간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한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고정벽, 슬라이드벽, 날개, 간극

Description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A SCREEN FOR REGULATING GAP AND A MANHOLE HAVING IT}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의 기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하는 맨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간극조절 스크린 110 : 고정벽
120 : 슬라이드벽 130 : 날개
140 : 작동프레임 150 : 받침대
160 : 고정프레임 170 : 슬라이드봉
본 발명은 간극조절이 가능한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한 쌍의 고정벽과 슬라이드벽을 구성하고 각각의 고정벽과 슬라이드벽에 구성된 받침톱니와 조절톱니에 의해 복수의 날개가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벽의 슬라이드에 의해 받침톱니와 조절톱니의 작용으로 복수의 날개가 일체로 경사도가 변하면서 간극이 조절될 수 있게 함으로서 간극조절이 용이하여 공장제작에 의하더라도 지역특성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며 스크린 청소시 간극을 크게 하여 청소가 용이한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되는데 점오염원은 공장, 하수처리장, 건축물 등과 같이 일정한 지점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을 말하는 것이고,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도시, 도로, 농지, 산지 등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제거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바, 화학적 방법, 생물학적 방법, 물리적 방법 등이 있다.
이중 물리적 방법에 있어서는 부유성 고형물질의 제거가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부유성 고형물질의 제거방법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방법도 자주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수 처리용 스크린에는 다수개의 수직막대를 이용한 바형 스크린과 환상링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드럼형 스크린이 알려져 있는 바 이들 종래의 바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의 환봉을 일정간격으로 일일이 용 접하거나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 각 바 들의 간격을 균일하게 시공하는 작업시간이 장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공장제작에 의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바 간의 간격 즉 간극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타공판 및 메쉬망을 스크린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등록 제0138917호 "오,폐수처리용 자동 바스크린 장치"에서는 도 1a 내지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 형태인 다수의 스크린바(30)들을 이면의 나봉(31)에 체결된 체결링(32)에 의해 본체(10)의 경사진 개구부 상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서포트봉(20)에 소정간격이 유지되게 끼운 후 서포트봉(20) 양단의 나사부(21)에 너트(34)를 끼워 조이도록 함으로써스크린바(30)가 체결링(32)들이 서포트봉(2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크린을 구성하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는 바, 본 기술에 의하면 와셔(33) 또는 체결링(32)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간극을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이 또한 스크린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스크린바(30)들을 해체하고 와셔(33) 또는 체결링(32)의 폭을 조절하여 다시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의 간극조절이 용이하여 공장제작에 의하더라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유로운 시공이 가능한 간극조절 스크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장공의 내주연에는 받침톱니가 형성되는 고정벽과;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벽과 대응하도록 제 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장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받침톱니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톱니가 구성되는 슬라이드벽과; 평평한 막대형상으로 상기 받침톱니 및 조절톱니에 양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날개와; 상기 슬라이드벽의 상면이 각각 부착되는 작동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날개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리브가 형성되며, 양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받침톱니 및 조절톱니에 상기 삽입단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고정벽은 동일한 형상으로 내벽과 외벽을 구성하고, 그 내벽과 외벽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벽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절곡면이 상기 각각의 고정벽 상단에 부착되고 타 절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프레임과 일정간격이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작동프레임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관통공을 연통하며 타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봉과, 상기 나사부에 회전결합이 되도록 구성되는 조절손잡이가 더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슬라이드 봉이 작동프레임에 부착된 지점에서 수직방향보다 상기 일 절곡면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서 상기 관통공을 연통하는 슬라이드 봉이 경사구배가 형성됨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절곡면과 상기 고정벽 사이에 상기 고정벽과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받침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유입구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유출구를 포함하는 맨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간극조절 스크린이 구성되고,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의 끝단에는 저장조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이 설치됨에 있어서 날개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조는 상기 몸체부 하면에서 배출구 직경보다 높게 이격된 상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의 기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이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하는 맨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100)은 고정벽(110), 슬라이드벽(120), 날개(130)로 구성되어 슬라이드벽(120)이 고정벽(110)에서 슬라이드 됨에 따라 고정벽(110)과 슬라이드벽(120)에 고정된 날개(130)의 경사도가 변화하면서 간극이 조절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예는 도 2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 그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고정벽(11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벽(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1장공(1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1장공(111)의 너비는 이하에서 설명할 날개(130)의 너비보다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장공(111)의 내주연으로서 길이방향의 일면에는 복수의 받침톱니(112)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톱니(112)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장공(111)의 내주연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114)과 1장공(111)의 내주연에서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15)으로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받침톱니(112)의 수직하게 돌출되는 부분(114)에 의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할 날개(130)의 양단으로서 일부분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벽(11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내벽(110a)과 외벽(110b)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내벽(110a)과 외벽(110b) 사이에 이하에서 설명할 슬라이드벽(12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프레임(160) 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 명할 받침대(150)와 부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내벽(110a)과 외벽(110b)의 일측면에 플랜지(113)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3)는 상기 고정벽(11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벽(110)의 내벽(110a)과 외벽(110b)에 돌기(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를 구성하고 플랜지(113)에 돌기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하여 삽입체결하고 용접에 의해 내벽(110a)과 외벽(110b)에 상기 플랜지(113)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벽(12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벽(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장공(111)과 대응하도록 제 2장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장공(121)의 내주연으로서 길이방향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받침톱니(112)와 대향하도록 복수의 조절톱니(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톱니(122)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톱니(112)와 대향하도록 구성되는데 제 2장공(121)의 내주연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부분(124)과 제 2장공(121)의 내주연에서 하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25)으로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조절톱니(122)의 하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25)에 의해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날개가 최고의 경사도를 유지하는 경우에 날개(130)의 양단은 조절톱니(122)의 하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25)과 받침톱니(112)의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15)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할 날개(130)의 양단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벽(111)의 내벽(110a)과 외벽(110b)에 형성된 받침톱니(112a, 112b) 및 슬라이드벽(120)에 형성 된 조절톱니(122)에 날개(130)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벽(120)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조절톱니(122)에 의해 날개(130)의 경사도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130)는 평평한 막대형상으로 상기 받침톱니(112a, 112b) 및 조절톱니(122)에 양단이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날개(130)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리브(131)가 형성되며, 양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132)이 구성된다. 상기 돌출 리브(131)는 도 3,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V"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삽입단(132)과 돌출 리브(131)가 접하는 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서 이러한 형상이 제조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날개(130)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인데 특히 유속에 의해 날개(130)의 중간부분에서 벤딩(bending)이 발생되어 날개(130)의 간극조절 작동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간극조절도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132)이 양단에 형성됨으로서 이러한 삽입단(132)이 상기에서 언급한 받침톱니(112a, 112b) 및 조절톱니(122)에 삽입되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작동프레임(140)은 한 쌍의 슬라이드벽(120)이 일체로 연동하여 슬라이드 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벽(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도 3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드벽(120)이 일체로 연동하는 작동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도 3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벽(120)의 하면에 작동프레임(140)과 동일한 형상의 하부작동프레임(140a)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동프레임(140)을 상, 하로 작동케 하여 상기 작동프레임(140)과 일체로 연동하는 슬라이드벽(120)에 의해 복수의 날개(130)의 경사도를 조절함에 있어 상기 작동프레임(140)을 작동케 하는 작동축으로서 고정프레임(160)이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60)은 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2개의 절곡면으로 구성되는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절곡면(161)이 상기 각각의 고정벽(110) 상단에 부착되고 타 절곡면(162)에는 관통공(163)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프레임(140)과 일정간격이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절곡면(161)이 상기 고정벽(110) 상단에 부착되는 구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벽(110)에 구성되는 플랜지(113)에 부착되는 것으로 그 부착방법은 공지의 기술로서 용접, 볼트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봉(170)을 구성하여 상기 슬라이드봉(17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60)을 축으로 상기 작동프레임(140)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봉(170)은 상기 작동프레임(140)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6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63)을 연통하며 타단에 나사부(171)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71)에 회전결합이 되도록 구성되는 조절손잡이(172)가 더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절손잡이(172)를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드봉(170)의 일단이 상기 작동프레임(14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봉(170)의 나사부(171)가 상기 조절손잡이(172)의 내부에서 전, 후로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거리만큼 상기 작동프레임(140)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봉(170)이 상기 작동프레임(140)에 부착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작동 프레임에 관통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봉(170)이 일단을 삽입한 후 용접에 의해 회전될 수 없도록 부착하는 기술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60)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163)은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봉(170)이 작동프레임(140)에 부착된 지점에서 수직방향보다 상기 고정프레임(160)의 상기 일절곡면(161) 방향으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관통공(163)을 연통하는 슬라이드 봉(170)이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드봉(170)이 상기 고정프레임(160)의 상기 일절곡면(161)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도 4a와 같이 복수의 날개(130)가 수평방향으로 유지된 상태 즉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날개(130)의 삽입단(132)이 조절톱니(122)의 하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25) 및 받침톱니(112)의 수직하게 돌출되는 부분(114)에 의해 날개(130)의 삽입단(132)가 지지된 상태에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1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봉(170)이 조절손잡이(172) 방향으로 이동(삽입)하고 이러한 슬라이드봉(170)의 이동방향은 수직방향에서 상기 일절곡면(161)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프레임(140) 및 상기 슬라이드벽(120)이 동일한 동선으로 이동함으로써 날개(130)의 삽입단(132)이 상기 받침톱니(112)의 상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15)과 조절톱니(122)의 하방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된 부분(12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간극의 조절 즉 날개(130)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봉(170)이 경사동선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60)과 작동프레임(140)에 각각 유도지지대(173, 174)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유도지지대(173, 174)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ㄴ"자형 지지구가 대향하도록 고정프레임(160)과 작동프레임(140)에 볼트결합이 되고 상기 지지구에 연결봉이 체결되며 연결봉에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봉(170)이 경사동선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100)의 일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수 등이 유입되는 유입관 또는 하수 등이 유출되는 유출관 등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벽(110)과 상기 일절곡면(161) 사이에 상기 고정벽(110)과 수직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받침대(150)가 더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50)는 절곡된 면으로 구성되는데 일면은 상기 고정벽(110)과 수직하게 부착되며 타면은 유도단(151)으로서 상기 고정벽(110)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물의 흐름방향(도 5에서 화살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본 발명을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벽(110)과 상기 받침대(150)가 접하는 부분에는 지지대(180)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180), 플랜지(113) 및 받침대(150)를 볼트결합(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함으로서 각 부재의 체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50)의 하단에는 지면 등과의 접촉을 견고히 하기 위해 하부받침대(190)를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하부받침대(19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한 쌍의 부재는 "ㄷ"자형 빔으로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150)의 하부에 부착하고, 한 쌍의 부재 사이에는 연결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하부받침대(190)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한 맨홀(20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211) 및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에 유입구(211)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유출구(24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211)에서 상기 유출구(240)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상기에서 언급한 간극조절 스크린(100)이 구성된다.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10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211)를 연통하는 유입관(230)의 끝단에서 유입되는 유입수가 간극조절 스크린(100)의 날개(130) 부분에 낙하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100)은 날개(130)가 상기 유입구(211)에서 상기 유출구(212)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서 걸러진 이물질이 복수의 날개(130)에 의해 날개(130) 간에 형성된 결을 따라 이하에서 설명할 저장조(220) 방향으로 유도되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100)의 경사끝에는 저장조(220)가 구성되는데 상기 저장조(220)는 몸체부(21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며 도 6에서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저장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저장조(220)의 구성으로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100)으로 걸러진 이물질이 저장조(220)에 저장되어 이물질이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조(220)는 상기 몸체부(210) 하면에서 배출구(212) 직경보다 높게 이격된 상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저장조(220)의 하면과 상기 몸체부(210)의 하면 사이에 유도공간(250)을 형성케 한다. 이러한 유도공간(250)으로 간극조절 스크린(100)을 통과한 정제된 물이 유도되어 유출구(212)와 이에 연통한 유출관(240)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210)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맨홀뚜껑(230)을 구성하여 상기 저장조(220)에 저장된 이물질 및 저장조(220)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100) 상부에 침적된 이물질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간극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시에 있어서 간극을 크게 함으로써(날개의 경사도를 물의 방향과 수평으로 맞춤) 간극(날개 간) 사이의 청소가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한 맨홀은 간극조절 스크린에 의해 용이하게 이물질을 거르고 걸러진 이물질은 경사구배가 형성된 날개간을 따라 저장조로 유도됨으로서 청소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제 1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장공의 내주연에는 받침톱니가 형성되는 고정벽과;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벽과 대응하도록 제 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장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받침톱니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톱니가 구성되는 슬라이드벽과;
    평평한 막대형상으로 상기 받침톱니 및 조절톱니에 양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날개와;
    상기 슬라이드벽의 상면이 각각 부착되는 작동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리브가 형성되며, 양단에는 평평한 형상의 삽입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벽은 동일한 형상으로 내벽과 외벽을 구성하고, 그 내벽과 외벽 사 이에 상기 슬라이드벽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
  4. 제 1 항에 있어서,
    일 절곡면이 상기 각각의 고정벽 상단에 부착되고 타 절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벽의 상면과 일정간격이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작동프레임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관통공을 연통하며 타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봉과, 상기 나사부에 회전결합이 되도록 구성되는 조절손잡이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슬라이드 봉이 작동프레임에 부착된 지점에서 수직방향보다 상기 일절곡면 방향으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관통공을 연통하는 슬라이드 봉이 경사구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벽과 상기 일절곡면 사이에는 상기 고정벽과 수직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받침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
  7. 내부에 유입수가 저장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유입구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유출구를 포함하는 맨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간극조절 스크린이 구성되고,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의 끝단에는 저장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하는 맨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 스크린은 날개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하는 맨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몸체부 하면에서 배출구 직경보다 높게 이격된 상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조절 스크린을 구비하는 맨홀.
KR1020070017919A 2007-02-22 2007-02-22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10074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19A KR100746203B1 (ko) 2007-02-22 2007-02-22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19A KR100746203B1 (ko) 2007-02-22 2007-02-22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203B1 true KR100746203B1 (ko) 2007-08-03

Family

ID=3860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919A KR100746203B1 (ko) 2007-02-22 2007-02-22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48B1 (ko) * 2007-08-27 2007-12-07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703B1 (ko) * 1993-02-08 1999-06-15 헤드만 라스 유출액으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기
KR200247793Y1 (ko) *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100628834B1 (ko) * 2005-06-08 2006-09-26 이현우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703B1 (ko) * 1993-02-08 1999-06-15 헤드만 라스 유출액으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여과기
KR200247793Y1 (ko) *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100628834B1 (ko) * 2005-06-08 2006-09-26 이현우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92703 B1
10-0628834 B1
20-0247793 Y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48B1 (ko) * 2007-08-27 2007-12-07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748A (en) Apparatus for cleaning algae and debris from a water treatment tank
KR100746203B1 (ko) 간극조절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101097817B1 (ko) 경사판 침전장치
KR101017676B1 (ko) 상하수 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장치
CN113479945A (zh) 一种矿井水转化为生活用水的过滤装置
KR10078304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DE19647956A1 (de) Verbesserte Filterreinigung in Betriebsvorrichtungen und -verfahren für eine wartungsfreie Warmwasser-Aquarienanlage
US8225943B2 (en) Circular clarifier cleaning system
DE2834899A1 (de) Vorrichtung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abwasser
JP2630723B2 (ja) 吊り下げ式水浄化装置
KR100334503B1 (ko) 침전지용 경사관형 침전장치
KR101236215B1 (ko) 하천정화장치
AU2006203090A1 (en) A filtration device
CN110801648A (zh) 一种新型沉淀斜管
KR0138917Y1 (ko) 오,폐수처리용 자동 바스크린 장치
KR101218770B1 (ko)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CN208500496U (zh) 用于分散式生活污水终端的防污泥流失系统
KR101783315B1 (ko) 초기빗물을 배제한 빗물 집수 시스템
KR100778801B1 (ko) 간극조절 원형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입자분리장치
KR101950600B1 (ko) 이물질 제거 및 유량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
KR102208611B1 (ko) 목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타공판 스크린챔버
DE102012006873B3 (de) Teichfilter
KR100645827B1 (ko) 하천의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CN110395813B (zh) 一种餐饮废水处理装置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