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동실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제빙하우징;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얼음을 제조하는 다수개의 제빙홈이 형성되는 아이스트레이;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트레이커버; 그리고 상기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빙하우징에는 상기 설치공간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냉기공급구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하우징에는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제빙홈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투시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과 상기 제빙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하우징에는 상기 물탱크의 착탈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통과하는 손잡이개구와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아이스트레이로 전달하기 위한 급수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스트레이는 상기 설치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서로 대응하는 양측에는 아이스트레이를 상기 제빙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빙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회동궤적 내에 위치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빙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아이스트레이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회동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그 일측이 상기 스토퍼에 걸려서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제빙홈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어 상기 아이스뱅크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도어의 회동하는 선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빙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아이스트레이가 회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아이스트레이로 전달하기 위한 급수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구는 상기 물탱크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 이 공급되는 영역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커버에는 그 일부가 상기 급수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급수구로 물안내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제빙홈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의하면,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되는 얼음에 다른 음식물의 냄새가 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제빙하우징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제빙하우징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제빙하우징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제빙하우징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의 내부에는 냉동실(31)과 냉장실(33)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31)과 냉장실(33)은 상기 본체(30)의 내부에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에는 냉동실도어(31a)와 냉장실도어(33a)가 각각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도 어(31a)와 냉장실도어(33a)는 상기 냉동실(31)과 냉장실(33)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31a)와 냉장실도어(33a)의 이면 양측단부에는 지지측벽(31b)(33b)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측벽(31b)(33b)은 상기 냉동실도어(31a) 및 냉장실도어(33a)의 이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 일부가 후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측벽(31b)(33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와 냉장실도어(33a)의 이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31)(34)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32)(34)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바스켓(32)(34)은 상기 냉동실도어(31a)와 냉장실도어(33a)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31a)와 냉장실도어(33a)에는 각각 홈바(35)(37)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35)(37)는 상기 냉장실도어(33a)와 냉동실도어(31a)를 열지 않고 음료수와 같은 식품을 출납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35)(37)는 홈바하우징(35a)(37a)과 홈바도어(35b)(37b)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홈바하우징(35a)(37a)은 전면이 개구되는 대략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바하우징(35a)(37a)은 상기 지지측벽(31b)(33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 및 냉장실도어(33a)의 이면에 구비된다. 상기 홈바하우징(35a)(37a)의 내부에는 음료수 등이 저장되는 저장공간(35s)(37s)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하우징(35a)(37a)은 상기 냉동실도어(31a) 또는 냉장실도어(33a)의 이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도어(31a)와 냉장실도어(33a)의 일부가 절개되어 입출구(35c)(37c)를 형성한다. 상기 냉동실도어(31a)에 형성되는 입출구(35c)는 상기 홈바하우징(35a)의 저장공간(35s) 및 아래에서 설명할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33a)에 형성되는 입출구(37c)는 상기 홈바하우징(37a)의 저장공간(37s)과 연통된다.
상기 홈바도어(35b)(37b)는 상기 입출구(35c)(37c)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홈바도어(35b)(37b)는 상기 냉동실도어(31a) 또는 냉장실도어(33a)의 전면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하우징(35a)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이면에는 제빙하우징(41)(51)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하우징(41)(51)은 제1제빙하우징(41)과 제2제빙하우징(5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제빙하우징(41)(51)에는 각각 설치공간(41s)(51s)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은 상기 냉동실도어(31b)의 지지측벽(31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양측면 외측에는 고정홈(41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지지측벽(31b)의 내측에는 고정돌기(미고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은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이면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바스켓(32)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은 상기 도어바스켓(3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하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 서 상기 도어바스켓(32)의 저면과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장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물탱크(6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은 하부가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에는 급수구(41h)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구(41h)는 물탱크(6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설치공간(41s)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구(41h)의 외주연에 인접하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에는 구동돌기(4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42)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구동돌기(42)는 아래에서 설명할 밸브(65)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4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3)는 상기 구동돌기(42)에 인접하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고, 물탱크(61)가 착탈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3)는 상기 장착공간(S)의 내외부로 착탈되는 물탱크(61)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후면에는 투시창(44)이 구비된다. 상기 투시창(44)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투시창(44)은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트레이(71)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단 모서리에는 손잡이개구(45)가 형성된다. 상 기 손잡이개구(45)는 상기 장착공간(S)의 후단에 해당하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 일부 및 이에 인접하는 상기 투시창(44)의 상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개구(45)는 물탱크(61)의 착탈을 위한 사용자의 손이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냉동실(31) 내부의 냉기를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설치공간(41s)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양측면 내측에는 스토퍼(4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양측면 내측에서 상기 설치공간(41s)의 내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스토퍼(46)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트레이(71)의 회동궤적 내에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46)는 아이스트레이(7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 아이스트레이(71)를 비틀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은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제빙하우징(41)과 동일하게,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양측면 외측에는 고정홈(51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지지측벽(31b)의 내측에는 고정돌기(미고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은 하부가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냉기공급구(52)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공급구(52)는 상기 냉동실(31) 내부의 냉기를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상면에는 얼음이송개구(53)가 형성된다. 상기 얼음이송개구(53)는 아이스트레이(71)에서 제조된 얼음이 아래에서 설명할 아이스뱅크(81)로 이송되는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상면에는 이송안내면(54)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안내면(54)은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상면이 상기 얼음이송개구(53)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안내면(54)은 아이스트레이(71)에서 제조된 얼음을 상기 얼음이송개구(5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양측면 내측에는 가이드돌기(55)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55)는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양측면 내측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의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55)는 아래에서 설망할 가이드박스(8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일측에는 래치후크(56)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후크(56)는 아래에서 설명할 푸쉬래치(89)에 삽입되어 아이스트레이(71)가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S)에 설치되는 물탱크(61)에는 아이스트레이(71)에 공급할 물이 저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61)는 탱크본체(62)와 탱크커버(63), 공급구커버(64), 그리고 밸브(65)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본체(62)는 상부가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 커버(63)의 내부에는 소정의 양(아이스트레이(71)에서 얼음의 1회에 제조에 사용되는 양)만큼의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62s)이 구비된다. 상기 탱크본체(62)는 상부가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커버(63)의 내부에는 소정의 양(아이스트레이(71)에서 얼음의 1회에 제조에 사용되는 양)만큼의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62s)이 구비된다.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62)(또는/및 탱크커버(63), 공급구커버(64))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급수구(41h)에 대응하는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 일측에는 배출구(62h)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62h)를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아이스트레이(71)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구(62h)의 외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에는 삽입리브(62r)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리브(62r)는 소정의 높이만큼 하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62)의 테두리면 내측에는 지지단(62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62a)은 상기 테두리면 내측 상단에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그 상면에 상기 탱크커버(63)의 저면 테두리가 지지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 일측에는 손잡이부(62b)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62b)는 상기 물탱크(61)를 상기 장착공간(S)의 내외부로 착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에는 가이드홈(62c)이 형성된다. 상기 가 이드홈(62c)은 상기 물탱크(61)가 상기 장착공간(S)에 착탈되는 과정에서 물탱크(61)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홈(62c)은 상기 배출구(62h)를 포함하는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61)가 상기 장착공간(S)의 내외부로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탱크본체(62)의 가이드홈(62c) 양측단부에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가이드리브(43) 내측면이 각각 접촉된다.
상기 탱크커버(63)는 상기 탱크본체(6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공간(62s)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탱크커버(63)는 상기 탱크본체(62)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저면테두리가 상기 지지단(62a)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기 탱크커버(63)의 상면은 상기 탱크본체(62)의 테두리면 상단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탱크커버(63)의 일측에는 공급구(63h)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구(63h)를 통하여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탱크본체(62)의 배출구(62h)와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는 횡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즉 상기 탱크본체(62)의 배출구(62h)는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62s)에 물이 저장되는 영역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탱크본체(62)의 배출구(62h)를 통하여 곧바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탱크커버(63)에는 패킹홈(63a)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홈(63a)은 상기 탱크커버(63)의 상면에 상기 공급구(63h) 외주연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공급구(63h)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탱크커버(63)에는 안착단(63b)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63b)은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 및 패킹홈(63a)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커버(63)의 일부가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63b)에는 상기 공급구커버(64)가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차폐한 상태에서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단(63b)에 상기 공급구커버(64)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공급구커버(64)가 상기 공급구(63h)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탱크커버(63)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탱크커버(63)에는 손잡이홈(63c)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홈(63c)은 상기 안착단(63b)과 연통된다. 상기 손잡이홈(63c)은 상기 공급구커버(64)를 상기 탱크커버(63)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홈(63c)은 상기 탱크커버(63)의 일부가 상기 안착단(63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더 깊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급구커버(64)는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급구커버(64)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공급구커버(64)는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안착단(63b)에 안착된다.
상기 공급구커버(64)의 저면에는 밀착돌기(64a)와 패킹돌기(64b)가 각각 구 비된다. 상기 밀착돌기(64a)와 패킹돌기(64b)는 각각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의 외주연과 패킹홈(63a)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구커버(64)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밀착돌기(64a)는 상기 공급구커버(64)가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구(63h)의 외주연에 그 테두리면 외측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돌기(64b)는 상기 공급구커버(64)가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패킹홈(63a)에 삽입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65)는 상기 텡크본체(62)의 배출구(62h)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물탱크(61)가 상기 장착공간(S)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아이스트레이(71)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밸브(65)는 밸브브라켓(66)과, 밸브본체(67), 패킹링(68a), 그리고 탄성부재(69)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브라켓(66)은 상기 텡크본체(62)의 배출구(62h) 테두리에 구비된다. 상기 밸브브라켓(66)에는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아이스트레이(71)로 실질적으로 공급되는 급수구(66h)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브라켓(66)의 상면은 상기 급수구(66h)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에 인접하는 밸브브라켓(66)의 상면 일측에는 안착홈(66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66a)에는 상기 패킹링(68a)의 외주연부분이 안착된다.
상기 밸브브라켓(66)의 상면에는 삽입홈(66b)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 (66b)에는 상기 탱크본체(62)의 삽입리브(62r)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66b)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밸브브라켓(66)의 상면에는 고정후크(66c)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리브(62r)가 상기 삽입홈(66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후크(66c)가 상기 탱크본체(62)의 바닥면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밸브브라켓(66)이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밸브본체(67)는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본체(67)는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상기 물탱크(61)가 상기 장착공간(S)에 장착되면, 상기 밸브본체(67)는 상기 구동돌기(42)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를 개방시킨다.
상기 밸브본체(67)의 상단에는 상기 패킹링(68a)의 내주연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67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67)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부재(69)의 일단이 그 상면에 지지되는 플랜지부(67f)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67f)에는 급수구(66h)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67f)의 급수구(67h)는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패킹링(68a)은 상기 밸브브라켓(66)과 밸브본체(67)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이를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링(68a)은 그 내주연부분이 상기 삽입홈(66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본체(67)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62)의 삽입리브(62r)와 상기 밸브브라켓(66)의 삽입홈 (66b) 사이에는 패킹부재(68b)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부재(68b)는 상기 삽입리브(62r)가 상기 삽입홈(66b)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자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69)는 그 양단이 상기 밸브브라켓(66)의 저면과 상기 밸브본체(67)의 플랜지부(67f) 상면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69)는 상기 밸브본체(67)에 의하여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69)는 상기 밸브본체(67)가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를 차폐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밸브본체(67)에 부여한다.
한편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설치공간(41s)에는 아이스트레이(71)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트레이(71)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71)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빙홈(72)이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트레이(71)는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설치공간(41s)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단변에는 지지축(7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73)은 그 선단이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외측면 중 상기 냉동실도어(31a)의 회동하는 선단에 해당하는 면에는 회동레버(74)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레버(74)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지지축(7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회동레버(74)를 손으로 잡고 회동시키면, 이에 연결된 상기 아이스트레이(71)가 회동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일측, 도 6에서 도면상 좌측은 상기 스토퍼(46)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트레이(71)는 수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트레이(71)는 도 6에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만 허용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축(73) 상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회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즉 도 6에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아이스트레이(71)에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74)를 회동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트레이(71)는 최초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일측이 상기 스토퍼(46)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되므로, 아이스트레이(71)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71)는 상기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그 일측이 상기 스토퍼(4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트레이(71)가 상기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제빙홈(72)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된다.
다시 도 6 및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설치공간(41s)에는 트레이커버(75)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커버(75)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레이커버(75)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커버 (75)는 상기 제빙홈(72)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커버(75)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장변에 대응하는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를 중심으로 아이스트레이(71)의 회동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트레이커버(75)의 일단부 양측에는 회동축(75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커버(75)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회동축(75a)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커버(75)가 상기 회동축(75a)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스트레이(71)가 회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커버(75)의 일측에는 급수구(75h)가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커버(75)의 급수구(75h)는 상기 물탱크(61)의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71)로 공급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커버(75)의 급수구(75h)는 상기 물탱크(61)의 배출구(62h)와 횡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상기 트레이커버(75)의 급수구(75h)는 상기 물탱크(61)의 배출구(62h)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영역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물탱크(61)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 바닥면에 직접 부딪힘으로써 상기 제빙홈(72)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커버(75)에는 물안내면(76)이 구비된다. 상기 물안내면(76)은 상기 물탱크(61)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트레이커버(75)의 급수구(75h)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안내면(76)은 상기 트레이커버(75)의 일부가 급수구(75h)를 향하여 하향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도 6 및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에는 아이스뱅크(81)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1)는 상기 입출구(35c)를 통하여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81)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1)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트레이(71)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81s)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전면은 상기 얼음저장공간(81s)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전면 테두리에는 지지턱(81a)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81a)은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전면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지지턱(81a)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박스(83)의 전면 테두리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저면 일측에는 걸림돌기(81b)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81b)는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81b)의 높이는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턱(81a) 중 상기 아이스뱅크(81)의 전면 하단테두리에 구비되는 지지턱(81a)의 그것과 돌일한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81b)는 가이드박스(83)의 걸림홈(87b)에 삽입된다.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내외부로 출납하는 상기 아이스뱅크(81)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박스(8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박스(83)는 상기 아이스뱅크(81)에 대응하여 전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박스(83)의 상면에는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얼음이송개구(53)과 연통되는 얼음이송개구(83a)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박스(83)는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박스(83)의 양측면 외측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가이드슬롯(8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84)에는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가이드돌기(55)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에는 상기 아이스뱅크(81)가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은 가이드박스(83)의 양측면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박스(83)의 양측면 내측 하단에는 가이드돌기(85)이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 양측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85)에 삽입되는 가이드슬롯(8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85)의 선단은 상기 가이드박스(83)의 양측면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에 구비되는 가이드슬롯(88)가 상기 가이드돌기(85)을 따라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이 가이드박스(83)로부터 완전하게 탈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박스(83)의 후면에는 상하단부에는 지지리브(8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86)는 상기 가이드박스(83)의 후면 상하단부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지지리브(86)는 그 내측이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에 안착된 상기 아이스뱅크(81)의 후면 상하단부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에는 손잡이리브(87a)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리브(87a)는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 저면 전단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손잡이리브(87a)는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을 가이드박스(83)의 양측면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 일측에는 걸림홈(87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87b)은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 일부가 상기 걸림돌기(81b)에 대응하여 좌우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87b)에 상기 걸림돌기(81b)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아이스뱅크(8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박스(83)의 후면 일측에는 푸쉬래치(89)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1)가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푸쉬래치(89)에 상기 래치후크(56)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81) 또는 가이드박스(83)를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내부로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후크(56)가 상기 푸쉬래치(89)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아이스뱅 크(81)가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에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의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의 저수공간에 물을 저장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a 및 도 14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의 장착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a 내지 도 15c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아이스트레이의 동작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a 내지 도 16d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아이스뱅크의 인출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구커버(64)를 탱크커버(6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켜서 공급구(63h)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급구(63h)를 통하여 물탱크(61)의 저수공간(62s)에 물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와 상기 탱크본체(62)의 배출구(62h)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커버(63)의 공급구(63h)를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62s)에 물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탱크본체(62)의 배출구(62h)를 통하여 물이 곧바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저수공간(62s)에 물이 저장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구커버(64)를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공급구(63h)를 차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공급구(63h)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61)를 장착공간(S)에 장착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61)를 상기 장착공간(S)의 내부로 슬라이딩시킨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62)의 저면은 제1제빙하우징(41)의 상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커버(63)의 상면은 도어바스켓(34)의 저면에 접촉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61)를 상기 장착공간(S)의 내부로 계속해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탱크본체(62)의 가이드홈(62c) 양측단부에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가이드리브(43)가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즉 상기 물탱크(61)의 장착이 상기 가이드리브(43)와 가이드홈(62c)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그리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61)가 상기 장착공간(S)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기 물탱크(61)의 배출구(62h)가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급수구(41h)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구동돌기(42)에 의하여 밸브본체(67)가 상방, 즉 상기 물탱크(6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61)의 배출구(62h), 실질적으로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가 개방되어 상기 물탱크(61)의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 및 밸브본체(67)의 급수구(67h)를 통하여 급수된다.
상기 밸브브라켓(66)의 급수구(66h)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은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급수구(41h)를 통과하여 트레이커버(75)의 상면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커버(75)의 상면에 떨어진 물은 물안내면(76)에 의하여 트레이커버(75)의 급수구(75h)로 안내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커버(75)의 급수구(75h)로 안내된 물은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물탱크(61)의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은 상기 트레이커버(75)의 상면에 떨어진 다음에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61)의 저수공간(62s)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 바닥면에 직접 부딪혀서 외부로 튀어나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에 담긴 물이 냉동실(31)의 냉기에 의하여 얼게 됨으로써 얼음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제1제빙하우징(41)의 손잡이개구(45)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31)의 냉기가 제1제빙하우징(41)의 설치공간(41s)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에 담긴 물이 얼어서 얼음이 제조되면, 회동레버(74)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74)에 연결된 상기 아이스트레이(71)가 지지축(7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트레이(71)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면, 아이스트레이(71)의 일측이 스토퍼(46)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트레이(71)가 비틀어짐으로써 제조된 얼음이 상기 제빙홈(72)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아이스트레이(71)의 제빙홈(72)으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박스(83)에 안착된 아이스뱅크(81)에 저장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1)에 저장되는 얼음은 제2제빙하우징(51)의 이송안내면(54)에 의하여 안내되 어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얼음이송개구(53) 및 상기 가이드박스(53)의 얼음이송개구(53a)를 통하여 이송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뱅크(81)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홈바(35)의 홈바도어(35b)를 열어서 입출구(35c)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81) 또는 가이드박스(83)를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의 내부로 밀어준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래치후크(56)가 상기 가이드박스(83)의 푸쉬래치(89)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뱅크(81)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박스(83)가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박스(83)를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아이스뱅크(81) 및 가이드박스(83)가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외부로 인출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뱅크(81)를 상기 가이드박스(83)에 대하여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뱅크(81) 및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이 상기 홈바(35)의 인출구(35c)를 통하여 상기 제2제빙하우징(51)의 설치공간(51s)의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스뱅크(81)를 상기 가이드박스(83)의 바닥판(87)에 안착된 상태에서 분리시킨다. 즉 상기 아이스뱅크(81)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홈바(35)의 인출구(35c)를 통하여 외부로 꺼냄으로써 아 이스뱅크(81)의 인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