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186B1 -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186B1
KR100745186B1 KR20060031519A KR20060031519A KR100745186B1 KR 100745186 B1 KR100745186 B1 KR 100745186B1 KR 20060031519 A KR20060031519 A KR 20060031519A KR 20060031519 A KR20060031519 A KR 20060031519A KR 100745186 B1 KR100745186 B1 KR 10074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rganic
waste
organic waste
anaerobic di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3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규
홍의환
Original Assignee
(주)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봉 filed Critical (주)정봉
Priority to KR2006003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with heat exchange taking place in the fluidised bed, e.g. combined direct and indirect heat ex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농산 폐기물 등이 투입되는 투입조; 상기 투입조 일측에 설치되어 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자동파쇄선별기; 상기 자동파쇄선별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자동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체류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어 체류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어 그 고형물이 액화되는 산발효조; 상기 산발효조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투입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을 소화하여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해하는 혐기성 소화조;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메탄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홀더;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하는 고형물 분리 및 탈수장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며 분리된 유기 고형물을 체류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충분히 파쇄하고 이에 포함된 협잡물을 확실하게 분리한 후 후처리 장치인 산발효조, 소화조로 공급하므로 본 발명의 주요 장치들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소화조에서 발생한 처리수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한 후 산발효조 및 혐기성 소화조에 투입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켜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및 그 침출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신속하게 분해시 킬 뿐 아니라 최종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투입조, 자동파쇄선별기, 저류조, 스크린, 산발효조, 혐기성 소화조, 가스홀더, 탈수장치, 후처리장치, 가스세정조, 제1열교환기, 제2열교환기, 응집조

Description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Organic waste processing unit and the method that use anaerobic diges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보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입조 20 : 자동파쇄선별기
30 : 저류조 40 : 스크린
50 : 산발효조 60,110 : 혐기성 소화조
70,180 : 가스홀더 120 : 고형물분리 및 탈수장치
130 : 후처리장치 140 : 2차혐기성처리장치
150 : 호기성처리장치 160 : 고도처리장치
170 : 가스세정조 260 : 제1열교환기
270 : 제2열교환기 300 : 중간조
310 : 응집조 320 : 가압부상조
330 : 연계처리이송조
본 발명은,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유기성 폐기물의 소화를 촉진시키고,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키며, 발생된 가스 및 부유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폐수 슬러지, 농산물 폐기물, 축산 분뇨 등과 같은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은, 매립지에 매립하거나 또는 소각장에서 소각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매립지에 매립된 유기성 폐기물은 침출수에 의해 2차적으로 토양을 오염시키는 한편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매립지를 구하기 어려워 점차 소각을 위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은 주로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분뇨로서 이들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들을 소각하기 전에 전처리로서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함수율을 낮춘 다음 소각해야 하며, 따라서 이러한 소각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은 2003년 하수 슬러지의 직접적인 매립 금지조치가 시행되었고 2005년 음식물 쓰레기 역시 직접적인 매립이 금지조치되었다. 이미 1996년 런던 협약 개정 의정서의 채택으로 전 세계적인 해양 투기가 규제되거나 계속해서 강화될 것이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유기성 폐기물의 소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된 바이오 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농산 폐기물 등이 투입되는 투입조; 상기 투입조 일측에 설치되어 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자동파쇄선별기; 상기 자동파쇄선별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자동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체류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어 체류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어 그 고형물이 액화되는 산발효조; 상기 산발효조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투입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을 소화하여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해하는 혐기성 소화조;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메탄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홀더;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 하는 고형물 분리 및 탈수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저류조와 산발효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상기 소화조에서 발생된 고온의 처리수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저류조에서 상기 산발효조로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1차 가열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산발효조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의해 1차 가열된 유기성 폐기물을 2차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더 구비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자동파쇄선별기와, 상기 자동파쇄선별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자동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체류되는 저류조와, 저류조에 연결되어 체류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어 그 고형물이 액화되는 산발효조와, 상기 산발효조에 연결되고 상기 산발효조에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이 투입되어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리되는 혐기성 소화조와,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하는 탈수장치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유기 고형물을 저류조에 투입하여 이를 체류시키는 단계; 상기 저류조에서 공급되는 유기 고형물을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상기 고형물을 가수분해하여 액화시키는 산발효 단계; 산발효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 물 및 유기산을 초산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상기 초산을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리시키는 혐기성 소화단계; 상기 혐기성 소화 단계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혐기성 소화단계에서 처리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유기 고형물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소화조에서 발생된 52 - 54℃의 폐처리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로 공급하여서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33℃ - 37℃로 상승시키는 1차 가열단계와, 1차 가열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제2열교환기로 스팀가열하여서 52℃ - 54℃로 상승시키는 2차 가열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은, 상기 산발효 단계에서, 유기물이 유기산화되는 것을 촉진시키고 황화수소 발생을 억제 및 산발효를 촉진하기 위해 가성소다 및 미네랄이 더 투입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며 분리된 유기 고형물을 체류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충분히 파쇄하고 이에 포함된 협잡물을 확실하게 분리한 후 후처리 장치인 산발효조, 소화조로 공급하므로 본 발명의 주요 장치들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소화조에서 발생한 처리수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한 후 산발효조 및 혐기성 소화조에 투입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켜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을 신속하게 분해시킬 뿐 아니라 최종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보이는 개략도로써, 이는, 투입조(10)와, 자동파쇄선별기(20), 저류조(30), 산발효조(50), 혐기성 소화조(60), 가스홀더(70), 고형물 분리 및 제거장치(80)로 대분된다.
투입조(10)는, 음식물 쓰레기나 축산 분뇨, 하폐수 슬러지 등이 투입되며, 자동개폐시설의 차량출입구 내에 설치된다. 이 투입조(10) 둘레에는 에어 커튼과 같은 방법으로 그 주변과 차단되어 있어 이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시 악취가 그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투입조(10)에서 발생된 악취는 보일러에서 소각할 수도 있고, 바이오 필터 등으로 탈취시킨 후 배기시킬 수도 있다.
자동파쇄선별기(20)는, 투입조(10) 일측에 설치되며, 투입조(10)로부터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서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한 협잡물은 분리한다. 분리된 협잡물은 소각로로 이송된다.
저류조(30)는 자동파쇄선별기(20)에 연결되며 이로부터 자동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일정기간 체류된다.
저류조(30) 일측에는 스크린(40)이 설치되어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 중 유 출될 수 있는 조대 고형물을 제거하며, 머리카락, 헝겊, 비닐조각 등의 미제거된 협잡물을 다시 한번 걸러낸다.
산발효조(50)는, 스크린(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저류조(30)에 체류된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된다. 산발효조(50)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가수분해 및 산발효(52℃-54℃)되어서 그 고형물이 액화된다.
혐기성 소화조(60)는, 산발효조(50)에 연결되며 이로부터 투입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을 소화하여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해한다. 이러한 혐기성 소화조(60)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중요한 장치이다.
가스홀더(70)는, 혐기성 소화조(60)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메탄가스가 저장되는 바,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발생한 메탄 함량 60% 이상의 메탄가스는 도시되지 않은 탈황시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한 후 가스홀더(70)에 저장된다.
고형물 분리 및 제거장치(80)는, 혐기성 소화조(6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한다.
음식물 쓰레기나 농산 폐기물 등이 투입조(10)에 투입된다. 투입조(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자동파쇄선별기(20)로 공급되는바, 투입조(10)로부터 자동파쇄선별기(20)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자동분쇄되면서 유기 고형물은 분쇄된 후 저류조(30)에 투입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한 협잡물은 분리되어 소각로로 이송된 다.
저류조(3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1-3일 정도 체류되며 체류된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린(40)으로 공급되어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 중 조대 고형물을 제거하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머리카락, 헝겊, 비닐조각 등의 미제거된 협잡물을 다시 한번 걸러낸다. 이렇게 하여서 후속 공정의 원활한 운전을 도모한다.
스크린(40)에 의해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는 산발효조(50)에 투입되며, 이와 같이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어서 그 고형물이 액화된다. 이러한 산발효조(50)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약 2일 정도의 체류시간을 가지며 고분자 유기물질이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면서 액화된다. 따라서 산발효조(50)를 통과한 유기성 폐기물은 고형물이 유기산화되어 대부분이 용해성 유기물로 전환되어 그 처리가 용이해 진다.
이러한 산발효조(50)의 산발효시, 가성소다 및 미네랄이 더 투입되는바, 가성소다는 유기물이 유기산화되는 것을 촉진시키고 미네랄은 황화수소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산발효조(50)에서 산발효된 유기산 및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은 혐기성 소화조(60)에 투입되어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해한다. 이러한 혐기성 소화조(60)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중요한 장치로써, 산발효조(50)에서 가수분해 및 유기산 발효(고분자의 유기산, 즉 CH3CH2COOH-프로피온산) 이상의 반응이 일어나지만, 이 혐기성 소화조(60)에서는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 및 유기산이 최종적으로 CH3COOH(초산)까지 전환하여, 이것이 초산에서 CH4 + CO2의 반응을 일으키는 최종 반응조이다. 여기에서는 혐기성 미생물량을 많이 보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미생물과 유기물이 매우 잘 접촉되도록 교반시켜 준다. 이러한 혐기성 소화조(60)의 미생물의 농도는 25,000mg/L 이상 유지된다.
혐기성 소화조(60)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는, 가스홀더(70)에 공급되어 이에 저장되는 바, 메탄함량이 60% 이상의 메탄가스는 도시되지 않은 탈황시설에서 황화수소를 제거한 후 가스홀더(70)에 저장되며, 가스홀더(70)에 저장된 메탄가스는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부대시설에 공급되어 사용된다.
혐기성 소화조(60)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다량의 부유물질(SS 15,000-25,000mg/L)을 함유한 액으로써, 이러한 처리수는 적당량의 유기 고분자 응집제를 주입하고 이를 가압부상 처리장치 및 벨트 프레스(Belt press)와 같은 탈수기를 이용하여 처리수에서 고형물을 분리한다. 여기서 분리된 고형물은 호기성 퇴비화 시설에서 부숙시켜서 퇴비화하여 재이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은, 전처리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주요 장치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음식물 처리 공정이 정지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즉, 전처리 공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며 분리된 유기 고형물을 체류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충분히 파쇄하고 이에 포함된 협잡물을 확실하게 분리한 후 후처리 장치인 산발효조, 소화조로 공급하므로 본 발명의 주요 장치들이 보호될 뿐 아니라 연속 운전이 가능하다.
산발효조(50)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면서 액화되어서 이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많이 감소되며, 산발효시 투입된 가성소다 및 미네랄에 의해서 유기물이 유기산화되는 것을 촉진되고 황화수소 발생을 억제된다. 이와 같이 충분히 산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에는 부유물질이 상당히 감소되므로 후처리 공정이 비교적 용이해 진다.
도 2는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로써, 이는, 고형물 분리장치 및 탈수장치(120)에 퇴비화 시설인 후처리장치(130)가 더 연결되며, 따라서 탈수장치(120)에서 탈수된 고형물은 호기성 퇴비화 시설인 후처리장치(130)에서 부숙시켜 퇴비화할 수 있다.
또한 고형물 분리장치 및 탈수장치(120)에는 2차혐기성처리장치(140)가 더 연결되고, 2차혐기성처리장치(140)에는 호기성처리장치(150)와 고도처리장치(160)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탈수장치(120)에서 탈수된 폐액은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2차혐기성처리장치(140)와 탈질 설비를 포함한 호기성처리장치(150)에 투입되어서 이에 포함된 탄소 유기물과 질소를 처리한다. 이와 같이 탄소 유기물과 질소가 제거된 폐액은 고도처리장치(160)로 공급되고 이에 약품을 투입하여서 인(P) 및 흑갈색 칼라(color)의 색상을 제거한 후 방류시키게 된다.
그리고 혐기성 소화조(110)와 가스홀더(180) 사이에는 가스세정조(170)가 더 구비되며, 이 가스세정조(170)는, 혐기성 소화조(110)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를 세정하여 황화수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가스홀더(180)로 공급한다.
한편 가스홀더(180)에는 가스발전기(190)가 연결되어서 가스홀더(180)에 저장된 가스를 이용하여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된 전력은 자체 이용하여 소비하거나 한전에 재생에너지로 판매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폐열은 폐열보일러(200)를 이용하여서 스팀을 만들거나 온수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팀이나 온수는 폐액을 가열하거나 슬러지를 건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로써, 이는, 음식물 쓰레기나 농산물 폐기물이 투입되어 처리되는 라인에 축산 분뇨 하수 슬러지가 투입되는 라인이 연결되어서 이들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나 농산 폐기물이 투입조(210), 자동파쇄선별기(220), 제1저류조(230)를 지나서 제2저류조(240)로 공급되는 동안 축산 분뇨나 하수 슬러지는 저류조(250)에서 체류된 후 제1저류조(230)를 통과한 음식물 폐기물 또는 농산 폐기물과 함께 제2저류조(240)로 투입되어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처리된다.
한편 제2저류조(240)와 산발효조(280) 사이에는 제1열교환기(260)와 제2열교환기(270)가 더 설치된다. 제1열교환기(260)는, 제2저류조(240)와 산발효조(280) 사이에 설치되고 소화조(290)에 연결되어서, 소화조(290)에서 발생된 고온의 처리수의 열을 이용하여 제2저류조(240)에서 산발효조(280)로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1차 가열하게 된다. 제2열교환기(270)는, 제1열교환기(260)와 산발효조(280) 사이에 설치되어서 제1열교환기(260)에 의해 1차 가열된 유기성 폐기물을 2차 가열한 다.
이러한 본 발명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은, 소화조(290)에서 발생된 52 - 54℃의 폐처리수를 제1열교환기(260)로 공급하여서 제1열교환기(160)를 통과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하여서 33℃ - 37℃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1차 가열된 유기성 폐기물을 제2열교환기(270)로 스팀가열하여서 52℃ - 54℃로 재차 상승시킨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이 가열된 후 산발효조(280), 혐기성 소화조(290)에 투입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반응 속도를 향상되며,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및 그 침출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신속하게 분해된다.
이와 같이 유기성 폐기물을 52℃ - 54℃로 가열하여 소화시키는 고온소화는, 중온소화에 비해 유기성 폐기물의 반응속도가 두 배 이상 빠르며 같은 용량이라면 소화율이 훨씬 높은 장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혐기성 소화조(290)에서 발생한 처리수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한 후 산발효조(280) 및 혐기성 소화조(290)에 투입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켜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및 그 침출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신속하게 분해시킬 뿐 아니라 최종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혐기성 소화조(290)에서 발생된 폐처리수는 중간조(300)로 공급되며, 중간조(300)로 공급된 폐처리수는 곧바로 응집조(310)로 투입되거나 제1열교환기(260)를 순환한 후 응집조(310)로 투입된다.
폐처리수가 응집조(310)에 투입되면 이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폐처리수에 포 함된 슬러지를 응집시키게 되며, 응집된 슬러지는 가압부상조(320)를 통해 제거되어 퇴비화등에 사용되며, 슬러지가 제거된 폐처리수는 연계처리이송조(330)로 공급된 후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며 분리된 유기 고형물을 체류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충분히 파쇄하고 이에 포함된 협잡물을 확실하게 분리한 후 후처리 장치인 산발효조, 소화조로 공급하므로 본 발명의 주요 장치들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소화조에서 발생한 처리수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열한 후 산발효조 및 혐기성 소화조에 투입하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켜서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및 그 침출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신속하게 분해시킬 뿐 아니라 최종 슬러지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농산 폐기물 등이 투입되는 투입조; 상기 투입조 일측에 설치되어 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자동파쇄선별기; 상기 자동파쇄선별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자동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체류되는 저류조;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어 체류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어 그 고형물이 액화되는 산발효조; 상기 산발효조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투입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을 소화하여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해하는 혐기성 소화조;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메탄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홀더;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하는 고형물 분리 및 탈수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로서,
    상기 저류조와 산발효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상기 소화조에서 발생된 고온의 처리수의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저류조에서 상기 산발효조로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1차 가열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산발효조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에 의해 1차 가열된 유기성 폐기물을 2차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3. 삭제
  4.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자동파쇄선별기와, 상기 자동파쇄선별기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자동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체류되는 저류조와, 저류조에 연결되어 체류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가수분해 및 산발효되어 그 고형물이 액화되는 산발효조와, 상기 산발효조에 연결되고 상기 산발효조에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이 투입되어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리되는 혐기성 소화조와, 상기 혐기성 소화조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하는 탈수장치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분쇄하여 유기 고형물은 분쇄하고 협잡물은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유기 고형물을 저류조에 투입하여 이를 체류시키는 단계; 상기 저류조에서 공급되는 유기 고형물을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상기 고형물을 가수분해하여 액화시키는 산발효 단계; 산발효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서 미반응된 고분자 유기물 및 유기산을 초산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상기 초산을 탄산가스와 메탄가스로 분리시키는 혐기성 소화단계; 상기 혐기성 소화 단계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혐기성 소화단계에서 처리된 처리수에서 부유물질과 폐액을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형물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소화조에서 발생된 52 - 54℃의 폐처리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로 공급하여서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33℃ - 37℃로 상승시키는 1차 가열단계와, 1차 가열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제2열교환기로 스팀가열하여서 52℃ - 54℃로 상승시키는 2차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5. 삭제
KR20060031519A 2006-04-06 2006-04-06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KR10074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1519A KR100745186B1 (ko) 2006-04-06 2006-04-06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1519A KR100745186B1 (ko) 2006-04-06 2006-04-06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186B1 true KR100745186B1 (ko) 2007-08-01

Family

ID=3860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1519A KR100745186B1 (ko) 2006-04-06 2006-04-06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18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49B1 (ko) 2011-02-21 2011-07-08 주식회사 대명테크 역방향 가스 교대교반 및 유로 와류형 혐기성 소화장치 및 그 방법
WO2011152611A3 (ko) * 2010-06-04 2012-02-02 주식회사 부강테크 투입원료의 양질화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방법 및 설비
KR101979423B1 (ko) * 2018-01-23 2019-05-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방법
KR20190089664A (ko) * 2018-01-23 2019-07-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KR20200073089A (ko) * 2018-12-13 2020-06-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CN113145609A (zh) * 2021-03-15 2021-07-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高含固厨余垃圾厌氧消化的序批式预处理系统及方法
CN114682610A (zh) * 2022-03-09 2022-07-01 金锋馥(滁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综合有机废弃物亚临界水解处理的除臭方法
CN115301672A (zh) * 2022-06-30 2022-11-08 广西博世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综合处理方法
CN116251812A (zh) * 2023-05-16 2023-06-13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厨余垃圾处理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976B1 (ko) 2001-02-07 2004-04-13 박세준 음식물쓰레기 전처리시스템
KR20040100100A (ko) *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제오텍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976B1 (ko) 2001-02-07 2004-04-13 박세준 음식물쓰레기 전처리시스템
KR20040100100A (ko) *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제오텍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2611A3 (ko) * 2010-06-04 2012-02-02 주식회사 부강테크 투입원료의 양질화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방법 및 설비
KR101216193B1 (ko) 2010-06-04 2012-12-27 주식회사 부강테크 투입원료의 양질화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방법 및 설비
CN102933508A (zh) * 2010-06-04 2013-02-13 富康科技株式会社 采用提高了所供入原料品质的技术以制备生物气的方法和装置
US8506809B2 (en) 2010-06-04 2013-08-13 Boo Kang Te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o-gas employing technology for improving quality of raw material fed thereto
KR101047849B1 (ko) 2011-02-21 2011-07-08 주식회사 대명테크 역방향 가스 교대교반 및 유로 와류형 혐기성 소화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89664A (ko) * 2018-01-23 2019-07-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KR101979423B1 (ko) * 2018-01-23 2019-05-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방법
KR102054907B1 (ko) * 2018-01-23 2020-01-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KR20200073089A (ko) * 2018-12-13 2020-06-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102150175B1 (ko) * 2018-12-13 2020-10-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CN113145609A (zh) * 2021-03-15 2021-07-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高含固厨余垃圾厌氧消化的序批式预处理系统及方法
CN114682610A (zh) * 2022-03-09 2022-07-01 金锋馥(滁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综合有机废弃物亚临界水解处理的除臭方法
CN114682610B (zh) * 2022-03-09 2023-08-15 金锋馥(滁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综合有机废弃物亚临界水解处理的除臭方法
CN115301672A (zh) * 2022-06-30 2022-11-08 广西博世科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综合处理方法
CN116251812A (zh) * 2023-05-16 2023-06-13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厨余垃圾处理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186B1 (ko)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US6905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articulate biodegradable organic waste
KR100870425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혐기성 통합공정장치
KR101066124B1 (ko) 고농도 유기성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 생산을 위한 건식-습식 직렬 혐기 소화장치 및 방법
KR20170088176A (ko) 열가수분해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혐기소화 시스템
JP2007260538A (ja)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060059919A (ko) 남은음식물류쓰레기의 혐기성자원화를 위한 밀링식 분쇄 및원심식 고액분리 연속처리공정구성과 탈리액의 효소반응을이용한 전처리공정의 설비구성 및 그 운영 방안.
CN110304786B (zh) 有机废物食物废水的处理水无放流资源化处理装置以及其处理方法
KR101847082B1 (ko)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599424B1 (ko) 음식물쓰레기의 건조화 및 바이오가스화 시설
KR100799332B1 (ko)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제조 방법
KR101185686B1 (ko) 제지폐수처리공정을 활용한 음식물폐기물의 병합처리방법
KR200425442Y1 (ko) 밀링식 분쇄와 원심식 고액분리 연속처리 및 탈리액의 효소반응을 이용한 음식쓰레기의 전처리 설비
KR20150049087A (ko) 유기성 폐기물이 혼재된 생활폐기물의 에너지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374485B1 (ko) 혼합 단상 혐기성 소화설비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처리방법
JP2001259582A (ja) 生ゴミ・排水の同時処理方法
KR101003482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방법
JP2007105614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該システム
JP4409928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JP2000015230A (ja) アンモニア除去方法
JP4235091B2 (ja) 屎尿及び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並びに処理装置
KR20040105933A (ko) 유기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 방법
KR100893376B1 (ko) Rdf 제조 및 혐기성소화 병행장치
KR20090026843A (ko) 상향류식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음식물폐기물 소화 및바이오가스 생산 장치와 방법
KR20040100100A (ko)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