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175B1 -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175B1
KR102150175B1 KR1020180161400A KR20180161400A KR102150175B1 KR 102150175 B1 KR102150175 B1 KR 102150175B1 KR 1020180161400 A KR1020180161400 A KR 1020180161400A KR 20180161400 A KR20180161400 A KR 20180161400A KR 102150175 B1 KR102150175 B1 KR 10215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acid fermentation
tank
waste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089A (ko
Inventor
김동욱
우광재
임병현
최성근
장성수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1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가공 유기폐수를 전처리하기 위한 기계적 전처리부; 상기 기계적 전처리부를 거친 폐수를 산발효하는 산발효조; 상기 산발효조에 나온 폐수내 잔류하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습식소화조; 및 상기 습식소화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소화폐액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산발효조로 공급하는 폐열회수조; 상기 폐열회수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초미세기포공급기와 오존발생기로부터 상압의 초미세기포와 오존을 투입받아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 및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되어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와 열교환함에 따라 상기 고액분리기로 유입되는 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JINSENG PROCESSING ORGANIC WASTED WATER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최종 후처리 공정으로 초미세기포와 오존을 처리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미생물 생존율 제고 및 초기 유기물 투입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원수저류조 대신 산발효조를 두어 농축슬러지 및 폐열회수에 의해 산발효과정을 촉진하고, 습식소화조 후단에 폐열회수조를 설치하여 소화폐액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산발효조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온실가스감출 내지 소화폐액의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최적화를 제공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삼가공 폐수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로서 생물반응조로의 직투입이 어렵고 부하변동이 커서 생물반응조 미생물들의 충격부하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유입단계에서 부하를 줄여주고 안정적인 처리가 될 수 있게 사전처리를 필요로 한다.
또, 인삼가공 유기폐수는 주로 수분, 부유 고형분, 유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분은 에멀젼 상태로 안정되게 수층에 존재하며 부유 고형분은 미세한 입자로 분산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리액으로부터 유분 및 부유 고형분을 분리하기가 어렵다.
도 1은 종래 유기성 폐수의 처리공정도로써, 주요 구성에 대하여 분설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 구성의 원수저류조는 산발효조 및 가용화조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0.5~2일 저류만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습식소화조는 산발효조 기능까지 수행하여야 하므로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화 효율은 65~70%로 낮은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유기성 폐수의 처리 및 에너지화 시설에서 중온(35℃)의 소화폐액이 필히 발생되어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재활용 방안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화폐액의 C/N비는 10±1 정도이고, 미생물 분해의 최적조건인 C/N비 20을 맞추기 위해서는 현재 대량의 메탄올(탄소원)을 주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오염부하량을 증가시키고, 후속하는 폐수처리공정의 효율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연계처리장에서의 잦은 클레임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소화폐액의 탈수 및/또는 가압부상 후 폐수처리방법도 있으나, 응집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거나, 탈수 및 고액분리의 효율이 낮고, 뿐만 아니라 질소제거 효과도 거의 제공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최종 후처리 공정으로 초미세기포와 오존을 처리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미생물 생존율 제고 및 초기 유기물 투입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원수저류조 대신 산발효조를 두어 농축슬러지 및 폐열회수에 의해 산발효과정을 촉진하고, 습식소화조 후단에 폐열회수조를 설치하여 소화폐액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산발효조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온실가스감출 내지 소화폐액의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최적화를 제공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인삼가공 유기폐수를 전처리하기 위한 기계적 전처리부; 상기 기계적 전처리부를 거친 폐수를 산발효하는 산발효조; 상기 산발효조에 나온 폐수내 잔류하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습식소화조; 및 상기 습식소화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소화폐액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산발효조로 공급하는 폐열회수조; 상기 폐열회수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초미세기포공급기와 오존발생기로부터 상압의 초미세기포와 오존을 투입받아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 및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되어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와 열교환함에 따라 상기 고액분리기로 유입되는 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부는,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폐열회수조의 폐열을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로 전달하기 위한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를 순환시켜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2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부는,
상기 폐열회수조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제2저온열교환관;
상기 제2저온열교환관의 배출구와 산발효조의 내부 및 산발효조의 내부와 제2저온열교환관의 유입구를 각각 연결하여 산발효조의 폐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2냉매관; 및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를 제2저온열교환관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2냉매관에 구비되는 이송펌프;를 포함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부는,
상기 산발효조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제1고온열교환관;
상기 폐열회수조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제1저온열교환관;
상기 제1저온열교환관의 배출구와 제1고온열교환관의 유입구 및 제1고온열교환관의 배출구와 제1저온열교환관의 유입구를 각각 연결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냉매관;
상기 제1고온열교환관을 거친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팽창밸브; 및
상기 제1팽창밸브를 거친 냉매를 저온으로 증발시키기 위한 제1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증발관에 의해 저온 상태의 냉매가 상기 제1저온열교환관을 따라 이동 중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된 후, 상기 제1고온열교환관으로 이동되어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와 열교환되며, 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최종 후처리 공정으로 초미세기포와 오존을 처리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미생물 생존율 제고 및 초기 유기물 투입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원수저류조 대신 산발효조를 두어 농축슬러지 및 폐열회수에 의해 산발효과정을 촉진하고, 습식소화조 후단에 폐열회수조를 설치하여 소화폐액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산발효조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온실가스감출 내지 소화폐액의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최적화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부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는 산발효조(100), 습식소화조(200), 폐열회수조(300), 고액분리기(400), 및 열교환부(50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구성 중 습식소화조(200)는 종래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에서 채택되고 있는 장치 구성 내지 처리조건을 채택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시가능한 공정 중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따라서 이들 조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단의 기계적 전처리부(10)는 분쇄기 혹은 인삼가공 유기폐수를 유입받아 폐액내 스컴을 제거하는 부상분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적 전처리부(10)에서는 협잡물 혹은 유기성 고형물, 내지 스컴을 제거함으로써 후단에서의 소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전처리부(10)가 부상분리조일 경우 장방형의 사각통에 상부에는 스컴을 걷어내는 스크레이퍼(미도시)를 설치하여 스컴을 부상분리조의 후단으로 배출한다. 부상분리조(10)에는 바람직하게는 고압의 공기(바람직하게는 3 kg/㎠ 이상)를 공기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주입하여 부상 효율을 높인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속도는 1~3m/min로 하는 것으로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계적 전처리부(10)에서 배출된 처리수는 별도의 원수저류조 대신 유기물의 분해를 위해 산발효조(100)로 이송된다.
산발효조(100)는 상기 기계적 전처리부(10)의 후단에 설치되고, 기계적 전처리부(10)에서 배출된 액상 처리수를 유입받아 유기물을 산발효시키고, 후단의 습식소화조(200)로 처리수를 배출시킨다. 산발효조(100)에서 유기물 중의 셀룰로오스나 전분 등의 탄수화물은 보다 간단한 구조의 당류로 분해되어지고,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지며, 지방질은 글리세롤이나 지방산으로 가수분해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산발효균에 의해 이루어지며, 산발효균은 30~35℃, pH 5.5~6.5에서 활성화되므로 산발효조(100)의 온도 및 pH는 상기 수준으로 조절되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산발효조(100)는 인삼가공 유기폐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켜 습식소화조(200)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산발효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 부상하기 쉬운 부유 고형분과 유분을 어느 정도 부상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발효조(100)에 미세기포를 공급함으로써 부유 고형분과 유분을 처리수 전체에 걸쳐 빠른 속도로 부유시켜 신속하고 고효율로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별도의 교반기도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산발효조(100)에 요구되는 열원으로 후단의 폐열회수조(300)에 의해 회수된 폐열이 이용되어지고, 최적온도인 30~35℃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열회수에 의해 산발효 반응은 더욱 촉진되어진다.
후단의 습식소화조(200)는 통상적인 혐기성 소화조로써, 액상의 폐수내 잔류하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이는 기존의 통상적인 장치 내지 조건을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습식소화조(200)를 거쳐 소화된 폐수는 종래 소화폐액저류조로 이송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폐열회수조(300)로 이송되는 차이가 있다.
폐열회수조(300)는 열교환기 내지 히트펌프를 포함하며, 35℃의 소화폐액을 20℃까지 회수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500)가 구비되어 폐열회수조(300)의 폐열을 회수한다.
이 열교환부(500)는 폐열회수조(300)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되어 산발효조(100)의 폐수와 열교환함에 따라 고액분리기(400)로 유입되는 폐수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열교환부(500)는 제1열교환부(510)와 제2열교환부(520)로 구성된다.
제1열교환부(510)는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폐열회수조(300)의 폐열을 산발효조(100)의 폐수로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열교환부(520)는 산발효조(100)의 폐수를 순환시켜 폐열회수조(300)의 소화폐액과 열교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먼저, 제1열교환부(510)는 제1고온열교환관(511)과 제1저온열교환관(512), 제1냉매관(513), 제1팽창밸브(514) 및 제1증발관(515)으로 구성된다.
제1고온열교환관(511)은 산발효조(10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고, 제1저온열교환관(512)은 폐열회수조(30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냉매관(513)은 제1저온열교환관(512)의 배출구와 제1고온열교환관(511)의 유입구 및 제1고온열교환관(511)의 배출구와 제1저온열교환관(512)의 유입구를 각각 연결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1팽창밸브(514)는 제1고온열교환관(511)을 거친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증발관(515)은 제1팽창밸브(514)를 거친 냉매를 저온으로 증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1팽창밸브(514)와 제1증발관(515)은 제1고온열교환관(511)의 배출구와 제1저온열교환관(512)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냉매관(513)에 구비되며, 냉매의 저온은 폐열회수조(300)는 소화폐액을 20℃까지 회수할 수 있는 온도로 조절됨이 당연하다.
이러한 제1열교환부(5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1증발관(515)에 의해 저온 상태의 냉매가 제1저온열교환관(512)을 따라 이동 중 폐열회수조(300)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된 후, 제1고온열교환관(511)으로 이동되어 산발효조(100)의 폐수와 열교환되며, 이를 반복함에 따라, 폐열회수조(300)의 소화폐액을 20℃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2열교환부(520)는 제2저온열교환관(521)과 제2냉매관(512) 및 이송펌프(513)로 구성된다.
제2저온열교환관(521)은 폐열회수조(30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된다.
또한 제2냉매관(512)은 제2저온열교환관(521)의 배출구와 산발효조(100)의 내부 및 산발효조(100)의 내부와 제2저온열교환관(521)의 유입구를 각각 연결하여 산발효조(100)의 폐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펌프(513)는 산발효조(100)의 폐수를 제2저온열교환관(521)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2냉매관(512)에 구비된다.
물론, 제1열교환부(510)와 제2열교환부(520)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밸브 및 온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각각 구비되어 폐열회수조(300)의 소화폐수의 온도를 20℃로 유지시킬 수 있을 때만, 냉매 및 폐수를 순환시킴이 당연하다.
이후, 20℃의 소화폐액은 후단의 고액분리기(400)로 이송된다. 상기 고액분리기(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상압의 초미세기포(30~75㎛) 및 오존이 공급되는 초미세기포유입부(410)를 포함한다.
초미세기포유입부(410)는 초미세기포공급기(420)로부터 초미세기포 및 오존을 공급받아 내부의 폐액으로 투입시키는 부위로써, 이를 위해 말단은 분산노즐 혹은 디퓨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투입된 초미세기포는 처리수내 투입되어 폐액 전체를 골고루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폐액 내부에 함유된 잔류 부유 고형분 내지 유분을 상부로 빠르게 부유시켜 고액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초미세기포공급기(420)는 공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산발효조(100)에 의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산발효조(100)에 의해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이를 별도의 포집부(미도시)로 포집하여 초미세기포공급기(420)에 투입되어질 기체로써 재활용한다.
초미세기포공급기(4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공기압축기(또는 컴프레셔)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초미세기포공급기(420)는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되는 폐액 펌프(미도시)와 상기 공기압축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폐액 펌프가 공급하는 폐액과 상기 공기압축기가 공급하는 기체를 혼합실(미도시)에서 충돌시켜 발생하는 초미세기포를 함유한 폐액을 제공하는 형태의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한다.
전자의 경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3 kg/㎠의 고압의 공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초미세기포공급기(420)는 처리수 펌프, 공기압축기, 혼합실, 및 상기 혼합실에서 생성된 초미세기포를 함유한 폐액을 초미세기포유입부(410)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펌프의 압력은 3~5 k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미세공급기(420)는 오존발생기(430)로부터 오존을 공급받는다. 오존의 공급으로 인해 초기 유기물투입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속하는 생물반응조로의 투입시에 유기물의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켜 미생물에 충격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기포공급기(420)는 상시적으로 운전되거나, 필요시마다 간헐적으로 운전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처리된 폐액은 대략 65% 이상 고액분리되어지고, 뿐만 아니라 40% 이상의 질소제거(암모니아성 질소의 탈기효율이 매우 큼)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C/N비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10 정도인 것에서 16~20으로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기존의 메탄올 투입공정이 생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의 폐열회수조(300)를 거쳐 온도가 소화폐액의 생물학적 폐수처리 최적온도인 20~25℃로 유지되므로 후속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공정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분리액(QP)은 후단의 폐수처리공정으로 이송되고, 부상분리된 농축슬러지의 일부(QR)는 산발효조(100)로 반송되고 일부(QS)는 후속하는 폐기물 처리공정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농축슬러지의 일부(QR)는 산발효조(100)로 반송하므로 폐슬러지를 30% 이상 감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발효조(100)에서의 산발효 반응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를 기술함에 있어서 각 장치간 처리수의 이송을 위해 펌프 내지 밸브가 필요 개소에 필요한 수만큼 장착되어질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 자명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처리수내 존재하는 유분 내지 고형물을 신속하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처리수내 존재하는 유기물을 혐기성 발효에 의해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삼가공 유기폐수를 처리한 결과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유기폐수를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표 1).
처리 결과
pH TS
(mg/L)
CODcr
(mg/L)
T-N
(NH3-N)
(mg/L)
C/N비
(-)
T-P
(mg/L)
전체오염
부하량(%)
초미세기포 전
(고농도소화폐액)
7.83 15.330 32,120 2,830
(2,740)
20(음폐수)
10(소화폐액)
312 100%
초미세기포 후
(40분 반응후)
7.68 5,100 29,680 1,450
(1,320)
20
(적정C/N비)
165 48.6%
오염부하저감율
(%)
- 66.73% 7.59% 48.76%
(51.82%)
20으로 향상 47.12% 51.4%
저감율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계적 전처리부
100: 산발효조
200: 습식소화조
300: 폐열회수조
400: 고액분리기
500: 열교환부

Claims (2)

  1. 인삼가공 유기폐수를 전처리하기 위한 기계적 전처리부; 상기 기계적 전처리부를 거친 폐수를 산발효하는 산발효조; 상기 산발효조에 나온 폐수내 잔류하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습식소화조; 및 상기 습식소화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소화폐액으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산발효조로 공급하는 폐열회수조; 상기 폐열회수조의 후단에 설치되고 초미세기포공급기와 오존발생기로부터 상압의 초미세기포와 오존을 투입받아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 및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되어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와 열교환함에 따라 상기 고액분리기로 유입되는 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부는,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폐열회수조의 폐열을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로 전달하기 위한 제1열교환부; 및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를 순환시켜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제2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부는,
    상기 폐열회수조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제2저온열교환관;
    상기 제2저온열교환관의 배출구와 산발효조의 내부 및 산발효조의 내부와 제2저온열교환관의 유입구를 각각 연결하여 산발효조의 폐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2냉매관; 및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를 제2저온열교환관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2냉매관에 구비되는 이송펌프;를 포함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부는,
    상기 산발효조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제1고온열교환관;
    상기 폐열회수조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제1저온열교환관;
    상기 제1저온열교환관의 배출구와 제1고온열교환관의 유입구 및 제1고온열교환관의 배출구와 제1저온열교환관의 유입구를 각각 연결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냉매관;
    상기 제1고온열교환관을 거친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기 위한 제1팽창밸브; 및
    상기 제1팽창밸브를 거친 냉매를 저온으로 증발시키기 위한 제1증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증발관에 의해 저온 상태의 냉매가 상기 제1저온열교환관을 따라 이동 중 상기 폐열회수조의 소화폐액과 열교환된 후, 상기 제1고온열교환관으로 이동되어 상기 산발효조의 폐수와 열교환되며, 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1020180161400A 2018-12-13 2018-12-13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10215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400A KR102150175B1 (ko) 2018-12-13 2018-12-13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400A KR102150175B1 (ko) 2018-12-13 2018-12-13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89A KR20200073089A (ko) 2020-06-23
KR102150175B1 true KR102150175B1 (ko) 2020-10-07

Family

ID=7113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400A KR102150175B1 (ko) 2018-12-13 2018-12-13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403969U (zh) * 2020-08-27 2021-01-26 南京茂泽新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畜禽废弃物无害化杀菌余热回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86B1 (ko) * 2006-04-06 2007-08-01 (주)정봉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KR101013577B1 (ko) * 2008-09-17 2011-02-14 대성히트펌프 주식회사 메탄가스를 활용하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272243B1 (ko) * 2013-05-07 2013-06-11 새한환경기술(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86B1 (ko) * 2006-04-06 2007-08-01 (주)정봉 혐기성 소화방식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방법
KR101013577B1 (ko) * 2008-09-17 2011-02-14 대성히트펌프 주식회사 메탄가스를 활용하기 위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272243B1 (ko) * 2013-05-07 2013-06-11 새한환경기술(주)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선택 작동식 혐기성 소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89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0790B2 (ja) 廃水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369930B1 (ko) 에너지 절약형 하수 슬러지 가용화 장치 및 방법
JP2007061710A (ja) 有機性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109626717A (zh) 一种高效厌氧好氧连用的工业废水处理方法
CN106219884A (zh) 高氨氮垃圾渗滤液的处理方法
KR20160047696A (ko) 고농도 식품 및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KR100922381B1 (ko) 소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 시스템
KR102150175B1 (ko) 인삼가공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JP2004008912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111960590A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膜浓缩液处理系统
JP2010012446A (ja) 油脂含有排水処理装置
CN107540170B (zh) 一种印染废水处理方法
JP4542764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装置
KR102054907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장치
CN207002529U (zh) 吡唑酮生产废水处理装置
KR100945055B1 (ko) 액상 음식물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JP6424807B2 (ja) 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979423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방법
CN113087363A (zh) 一种沼渣深度脱水方法
KR101068846B1 (ko) 고농도 폐액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9379B1 (ko) 폐수 처리 방법
CN206570047U (zh) 一种封闭式连续高压溶气装置
KR100990661B1 (ko) 혐기성 소화조 최적화 시스템
KR20160033967A (ko) 유기성 폐기물 감량처리 및 에너지생산 시스템
KR20080079213A (ko) 유기물 함유수의 생물 처리 장치 및 생물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