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837B1 -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 Google Patents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837B1
KR100744837B1 KR1020060065312A KR20060065312A KR100744837B1 KR 100744837 B1 KR100744837 B1 KR 100744837B1 KR 1020060065312 A KR1020060065312 A KR 1020060065312A KR 20060065312 A KR20060065312 A KR 20060065312A KR 100744837 B1 KR100744837 B1 KR 10074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pillow
block
temperatur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호
Original Assignee
손정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탁 filed Critical 손정탁
Priority to KR102006006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 A47G2200/186Time meter; timer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금베개 구조에 있어서,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부로 고체화한 소금블록을 수용하되, 상기 소금블록은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용융된 후 냉각되어 제공되는 용융소금블록이고, 소금블록의 저부로는 발열체가 내장되는 구조의 소금베개를 이루어서, 외부의 컨트롤러에 의해 소금 베개의 온도를 조절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베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금베개의 소금블록은 10~30㎜ 두께를 이루며 목 부위와 접촉되는 부위가 곡선형 라운드부를 이루는 소금베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소금 베개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용융소금이 가지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인체에 유익한 파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두통, 어깨 결림, 목과 머리의 피로 개선의 효과와 편안한 수면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특히 허약체질자, 나이든 노인들이 수면 취침 전에 본원의 베개구조에 30~4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컨트롤러를 작동시켜 주고 30분정도의 타이머를 걸어주게 되면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쉽게 숙면에 이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고체형 베개, 소금베개, 용융소금, 고형체성형, 황토블록

Description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Pillows using smelting salt}
도 1 : 본원의 고체형 소금베개 예시도
도 2 : 상기 소금베개의 내부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분해사시도.
도 3 : 본원의 소금베개를 이루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4 : 본원의 분말형 소금베개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고체 소금블록 10' : 분말 소금포
20, 20' : 발열체 31 : 한지
32, 32' : 황토블록 33 : 방열판
40 : 소금베개 케이스
51 : 바이메탈 52 : 온도센서
본 고안은 베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소금을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용융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상태의 용융소금의 특성을 인체에 유용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베개구조에 고체화한 소금블록을 사용하거나 또는 용융고금을 분말화(알갱이,구슬)하여 수용포에 내장한 상태의 베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목에 대고 취침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용품이며,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베개가 개발되고 있다. 즉, 쿠션감각을 향상시킨 베개, 여름철에 시원한 느낌을 갖게 하는 대나무 베개, 각종 동물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디자인을 다양화한 베개 등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쿠션기능, 촉감, 디자인 등 그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인간의 혈액 속에는 0.9 %의 염분이 함유되어 체내에서 산 ·알칼리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음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내용들이며 또한 소금은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물질이고 원적외선은 세포의 재생,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공기 중의 유해한 물질 및 악취를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다는 것도 이미 입증된 내용들이다.
본원은 이러한 소금의 특별한 성질을 이용하여 어떻게 소금을 가공함으로 많은 양의 원적외선을 발출케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해독작용 및 살균작용이 뛰어남이 알려져 있으며, 소금을 이용한 찜질방에서 땀을 흘릴 시 체내의 독소가 제거되고 세균의 번식이 억제되는 등의 치료효과를 현대인들의 실생활에 유익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한 발명이다.
종래에도 소금의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베개가 개시된바 있다.
종래부터 신경통이나 피로회복 등의 치료 용도에 소금성분을 이용한 예가 있고, 두통을 개선시키기 위한 소금베개가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16797호에 개시되어 소금베개가 두통이나 어깨나 목의 신경통 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쾌적한 수면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그러나 종래의 소금침 형태로 제공되는 소금베개는 천연의 간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조해성을 갖게 되며 따라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조해성을 나타내므로 소량씩 뭉쳐지고 녹아버리는 성질을 나타내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소금성분으로부터 발생되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소금베개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20-371016호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30095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296045호 등에서 소금으로부터 발생되는 파동에너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유사 관련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기술은 소금 성분이 파동에너지를 줄 수 있음을 이용하고자, 높은 파동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해저 심층부로부터 채취한 소금을 분말화하고 공기와 함께 소금 팩에 주입하여 베개형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소금베개를 통하여서도 소금이 가지고 있는 냉온 효과와 파동 에너지에 의해서 두통, 어께 결림, 목과 머리의 피로 개선의 효과와 편안한 수면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기재하고 있는 것이나 실제 사용 시에 베개 속에 내장된 소금이 조해성을 나타내어 쉽게 뭉쳐지고 서서히 녹아버리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소금 팩을 완전 밀봉상태로 제공하고 소금파우더와 공기를 함께 주입하여 밀봉상태로 외부와의 공기흐름을 차단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는 한계를 갖고 있으므로 소금이 갖고 있는 원적외선 발생효과, 파동에너지 발생효과 등을 활용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었다.
본원은 상기의 종래 소금이 갖는 특성을 활용하여 소금베개를 제공하되 소금 사용 시에 많은 제한을 주는 소금의 조해성 문제를 해결하고 소금이 갖는 원적외선 방사 효과, 파동에너지 발생효과를 최대한 높여 인체에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을 하지 않은 일반소금이나 암염, 죽염 등은 상온에서 조해성을 가지며 물에 쉽게 용해되고 접착력이나 점착력이 전혀 없지만, 850-10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표면 코팅을 이루어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친 용융소금은 일반소금과는 전혀 상이한 성질, 즉 조해성도 없고 수분에 강하며 수분의 침투도 거의 없는 성질을 가지면서, 이를 분말화 하여 물을 가하면 접착력이 생겨 그 자체를 접착제로 사용하거나 일정한 형상의 고형물을 만들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상기 정제된 용융소금은 원적외선을 다량 발생하고 파동에너지를 가지며, 또한 불순물이 완전 제거된 소금은 조해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 정제소금을 이용한 용융소금 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21세기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와 잔무에 시달리면서도 쌓인 피로를 씻어줄 안식공간을 찾지 못하여 많은 사람들 이 휴식공간으로 찜질방을 찾아 황토방, 숯방, 소금방, 옥반석방 등을 찾아다니며 땀을 흘리며 휴식공간을 찾아다니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다.
본 발명은 850-1000 ℃의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표면 코팅막을 형성 냉각시키는 공정을 거친 용융소금이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해독작용 및 살균작용을 갖는 특성을 이용한 소금베개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의 베개에는 용융소금을 기본으로 하여 황토, 맥반석, 옥 등의 원적외선이 방출물질을 추가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용융소금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의 재료들을 부분적으로 혼합하여 고체 소금판넬을 목 부위에 대고 취침할 수 있도록 라운드부를 갖는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고체소금을 분쇄하여 파우더, 작은 알갱이(구슬)형태로 분말 수용포에 내장하여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부로 분말소금포를 일정두께로 라운드부를 이루는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함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발생효과, 항온항습효과, 탈취작용효과 등을 고양하여 현대 삶에 지친 서민들이 가정과 잠자리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건강한 생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베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용융소금이 가지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효과와 인체에 유익한 파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두통, 어께 결림, 목과 머리의 피로개선의 효과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소금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의 소금베개는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 된 후 코팅막 형성 냉각되어 제공되는 용융소금의 특성을 베개구조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며, 소금베개의 저부로는 발열체가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외부의 콘트롤러에 의해 소금베개의 온도를 조절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금베개를 제공하며, 특히 허약체질자, 나이든 노인들이 수면 취침 전에 본원의 베개구조에 30~4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콘트롤러를 작동시켜 주고 30분 정도의 타이머를 걸어주게 되면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쉽게 숙면에 이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원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법과 모델을 만들어 시행오차법을 통하여 아래 2개 타입의 소금베개가 본원의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차적인 베개구조는 용융소금을 고형물 형태로 제공되는 소금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부로 고체화한 소금블록을 수용하되, 상기 소금블록은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 된 후 냉각되어 제공되는 용융소금블록이고, 소금블록의 저부로는 발열체가 내장되는 구조의 소금베개를 이루어서, 외부의 콘트롤러에 의해 소금베개의 온도를 조절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소금베개가 제공된다.
또 하나의 소금베개 구조로서, 용융소금을 분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하고 파 우더 용융소금을 통기공을 갖는 분말소금포에 내장하여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에 분말소금포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소금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부로 분말소금포를 수용하되, 상기 분말소금은 일반 소금을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 및 분쇄시켜 제공되는 용융소금이 분말소금포에 내장되고, 분말소금포는 0.01 ~ 0.9 mm 정도의 미세구멍(hole)을 갖고 통기성을 확보하는 소재가 이용되며, 분말소금포의 저부로는 발열체가 내장되는 구조의 소금베개를 이루어서, 외부의 콘트롤러에 의해 소금베개의 온도를 조절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소금베개가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소금베개의 고체형 소금블록은 10~30㎜ 두께를 갖고, 용융소금블록이 목 부위와 접촉되는 부위가 일반 베개형상으로 곡선형 라운드 부를 갖는 고형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 분말형 소금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바, 분말화 된 소금을 내장하는 분말소금포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필름류 포장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필름이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폐공간을 갖는 필름류가 아니라, 필름원단에 0.01 ~ 0.9 mm 정도의 미세구멍(hole)을 형성하도록 하여 베개 내용물인 용융소금의 효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공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류를 얻는 방법은, 사용하고자 하는 필름을 미세 천공침을 갖는 상,하 합침롤러를 통과시켜 필름의 양쪽 면에 0.01 ~ 0.9 mm 정도의 미세한 요철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2mm ~ 8mm 간격으로 교호적으로 만들어 통기성은 확보되면서 내용물은 저장되는 필름을 얻고 이를 내부 격벽을 갖는 이중필름으로 하여 그 내부에 파우더 분말소금을 내장하는 구조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분말소금포를 이루는 소재는 합성수지 필름류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Ploypropylene, OPP:Oriented Ploypropylene), 폴리에틸렌(PE : Poly Ethylene),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소재로서 알루미늄피막비닐, 종이합지, 증착필름, 나이론이나 부직포 등의 소재를 상기의 미세 천공침을 갖는 상,하 합침롤러를 통과시켜 표면에 0.01 ~ 0.9 mm 정도의 미세한 구멍을 갖는 형태로 분말소금포로 사용할 수 있고 분말소금포는 5~20㎜ 두께를 이루고 목부위와 접촉되는 부위가 곡선형 라운드 부를 이루도록 하여 이용 가능하다.
상기 분말소금포의 저부로는 발열체가 내장되는 구조의 소금베개를 이루어서, 외부의 콘트롤러에 의해 소금베개의 온도를 조절하여 베개 내용물인 용융소금을 활성화시켜 인체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에는 온도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장치와 발열체의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표시장치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장치가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금베개의 발열체의 저부에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조정되는 발열체가 일정온도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이메탈과, 컨트롤러에 소금베개의 온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온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열체 저부로 한지, 황토블럭, 방열판 등을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건강증진효과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겸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 실시양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개시된 본원의 소금베개는 목재 케이스 내부로 고체화한 소금블록이 내장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에서는 도 1 소금베개의 내부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소금베개 케이스(40)는 목재나 금속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그 내부로 소금블록(10), 발열체(20), 온도조절수단(51, 52), 한지(31), 황토블록(32), 방열판(33) 등을 내장할 수 있도록 철재나 목재 등의 판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임을 제공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소금베개를 이루기 위한 제조공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는바, 본원의 소정형상으로 제공되는 프레임구조에 내장되는 소금블록(10)을 얻기 위해, 크게 원료준비과정(S10), 용융 과정(S20), 성형 과정(S30) 및 냉각 과정(S40)으로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2차가열 과정(S50), 2차냉각과정(S60)이 추가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원료준비과정(S10)에는 천일염, 암염, 화학염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는바, 원료소금을 선별하고, 용융과정(S20)은 원료로 제공된 소금을 가열로에 넣고 850 내지 1000℃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용융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용융과 정(S20)은 2시간 정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용융과정(S20)을 통해 간수 등의 조해성 물질이 모두 제거될뿐 아니라 소금혼합물 중에 포함된 불순물 중 유해 중금속인 수은, 카드뮴 등까지 제거된다.
성형 과정(S30)은 상기 용융물을 미리 설정된 베개모양의 틀에 붓는 과정으로 가열로의 용융물 중 바닥에 침전된 중금속, 사분과 같은 불순물을 제외한 상부의 정제된 순수소금만을 사용하여 소금블록의 두께는 중앙 높은 부는 약 30㎜ 정도, 양쪽 가장자리부로는 약 10㎜ 정도의 두께가 되어 중앙 쪽으로 라운드부를 형성하도록 성형공정이 수행되고, 냉각 과정(S40)은 상기 틀에 부어진 용융물을 냉각시켜 응고시키는 과정으로 응고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성형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2차 재가열 과정(S50)과 2차 재냉각과정(S60)이 필요한바, 재가열과정(S50)은 냉각 과정(S40)을 거친 응고물을 300℃ 내지 500℃에서 1시간 정도 다시 가열하는 과정으로 응고물의 내부 결합강도를 보강시켜 주고, 재냉각과정(S60)은 재가열과정(S50)을 거치면서 가열된 응고물을 재차 냉각시키는 과정 등을 통하여 왼만한 충격에는 깨지지 않는 베개형상의 소금블록(1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구조 저부에는 황토블록(32)도 내장되도록 하고자 하는바, 황토블록의 제조방법은 황토흙과 용융소금 파우더를 8:2 정도의 비율로 섞고 약간의 물을 넣고 반죽을 하여 프레스로 찍어 가로 25㎝ 세로 20㎝ 높이 12㎝ 정도의 황토블록을 만들어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원에 사용되는 발열체(20)는 플렉시블한 카본사를 일정 길이로 지그재그 배열시킨 구성, 면상발열체, 카본사섬유시트 등 다양한 발열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금베개의 온도를 가열하여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바이메탈(51)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온도를 내리고, 온도가 낮아지면 다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을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52)를 이용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취침 전에 베개구조에 30 ~ 40 ℃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컨트롤러를 작동시켜 주고 30분 정도 후에는 상온을 유지시키는 타이머를 걸어줄 수 있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바이메탈(51) 장치는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을 팽창계수가 매우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편으로 이루어,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는 두 종류의 금속에 의해 고온이 되면 한쪽으로 팽창하여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온도가 다시 내려가면 수축하여 원상복귀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저부로는 한지(31), 황토블럭(32), 방열판(33) 등이 추가로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한지는 발열체(20)와 황토블럭(32)을 분리시켜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상기 황토블럭(32)을 이용하여 건강증진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열판(33)은 목제, 또는 철제로 이루어진 베개 케이스에 직접적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두 번째 타입인 분말소금포를 이용하는 소금베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통기공을 갖는 이중필름을 이용하여 분말소금포(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이중필름은 0.01~0.9 mm 정도의 미세공(hole)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분말소금포(10')는 일반 소금을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 및 분쇄시켜 제공되는 용융소금이 내장되고, 분말소금포의 저부로는 발열체(20')가 내장되는 구조의 소금베개를 이루어서 외부의 컨트롤러에 의해 소금베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말소금포의 저부에 있는 발열체에는 바이메탈과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열체의 저부로 황토블럭(32')을 내장할 수 있는바, 두번째 타입의 베개구조에서는 황토블럭(32')을 라운드부를 갖는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베개구조의 라운드부를 이루도록 하고 그 상부로 발열체(20')를 놓고 두께 10~20 mm 정도의 분말소금포(10')가 차례대로 목재케이스(40) 내부에 내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두번째 타입의 베개구조에도 한지(31)나 방열판(33)등이 추가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술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용융소금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본원의 소금베개에서 전원이 필 요한 부분(컨트롤러, 발열체, 방열판)을 제외하고 만들어지거나, 황토블럭을 제외하고 만들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마련되는 소금베개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되어 구성되는 소금베개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사상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금 베개는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소금이 가지고 있는 원적외선 방사효과, 인체에 유익한 파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두통, 어깨결림, 목과 머리의 피로개선 효과와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소금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소금베개는 특히 허약체질자, 나이든 노인들이 수면 취침 전에 본원의 베개구조에 30~4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컨트롤러를 작동시켜 주고 30분 정도의 타이머를 걸어주게 되면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쉽게 숙면에 이르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소금베개 구조에 있어서,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부로 고체화한 소금블록을 수용하되, 상기 소금블록은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된 후 냉각되어 제공되는 용융소금블록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베개.
  2. 소금베개 구조에 있어서,
    목재나 철재 케이스 내부로 분말소금포를 수용하되, 상기 분말소금포는 일반 소금을 850~1000℃ 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 및 분쇄시켜 제공되는 용융소금이 분말소금포에 내장되고, 분말소금포는 0.01 ~ 0.9 mm 정도의 미세공(hole)을 갖고 통기성을 확보하는 소재가 이용되어, 분말소금포내의 용융소금이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블록의 저부로는 발열체가 내장되는 구조의 소금베개를 이루어서 외부의 컨트롤러에 의해 소금베개의 온도를 조절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베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베개는 발열체를 갖고 발열체 저부로 황토블록이 추가로 적층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베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베개는 인체의 목 부위와 접촉되는 부위가 곡선형 라운드부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베개.
KR1020060065312A 2006-07-12 2006-07-12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KR10074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12A KR100744837B1 (ko) 2006-07-12 2006-07-12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312A KR100744837B1 (ko) 2006-07-12 2006-07-12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837B1 true KR100744837B1 (ko) 2007-08-01

Family

ID=3860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312A KR100744837B1 (ko) 2006-07-12 2006-07-12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579B1 (ko) * 2021-01-18 2022-07-01 권을식 원적외선 방사 가온 맥반석 돌베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044A (ja) 2003-02-17 2004-09-02 Sp Project:K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044A (ja) 2003-02-17 2004-09-02 Sp Project:K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579B1 (ko) * 2021-01-18 2022-07-01 권을식 원적외선 방사 가온 맥반석 돌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11543A1 (ja) シート状加温具
TWI295171B (ko)
WO2004061045A1 (ja) 発熱組成物及び発熱体
WO2006006652A1 (ja) 発熱体
WO2006006655A1 (ja) 発熱パッド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956759B1 (ko) 항균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율이 뛰어난 메모리 폼
CN104004374A (zh) 一种能够释放负离子的床上用品
KR19990018493A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CN110652394A (zh) 双层蒸汽眼罩及其制备方法
KR100744837B1 (ko) 용융소금을 이용한 소금베개
US20040054250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interoduced in a therapeutical device with electromagnetical features
KR100655906B1 (ko)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매트리스
CN2709474Y (zh) 一种垫布
KR200420530Y1 (ko) 건강 매트
JP2004232165A (ja) 機能性シート
CN204317662U (zh) 一次性自发热防冻保暖鞋垫
CN204334981U (zh) 黄土球发热垫
KR200337806Y1 (ko) 천일염 숯 패널
KR200335170Y1 (ko) 천일염 숯 패널
JP3123645U (ja) マットレス
CN208740444U (zh) 一种碳纤维保温抗菌床垫
JP2002142919A (ja) コーラルサンドまたは銀添コーラルサンドを主充填物とする保健寝具、保健衣料、保健介護用品類
CN2720913Y (zh) 一种保健床垫
JP2008148899A (ja) 岩盤浴具
JP2002065404A (ja) 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