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447B1 -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447B1
KR100744447B1 KR1020027013263A KR20027013263A KR100744447B1 KR 100744447 B1 KR100744447 B1 KR 100744447B1 KR 1020027013263 A KR1020027013263 A KR 1020027013263A KR 20027013263 A KR20027013263 A KR 20027013263A KR 100744447 B1 KR100744447 B1 KR 100744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de
weight
acyl
adde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665A (ko
Inventor
아이플러위르겐
위프트너귄터아.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4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 C08G64/2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an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14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 chain-terminating or -crosslink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연쇄 정지제와 포스겐 이외의 아실 할라이드를, 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된 후 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데이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아실 할라이드, 포스겐, 연쇄 정지제, 페놀, 하이드록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Polycarbonate preparation process}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특히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사용한 분지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비스페놀 A 등의 2가 페놀을 연쇄 정지제로서의 임의의 1관능가 화합물 및 분지화제 또는 가교결합제로서의 3관능가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포스겐과 반응시킨다. 반응성 아실 할라이드는 축합 중합될 수도 있어 정지 화합물(1관능가), 공단량체(2관능가) 또는 분지화제(3관능가 이상)로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사용되었다.
미국 특허 제4,367,186호에는 가교결합성 폴리카보네이트가 연쇄 정지제로서 메타크릴산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가교결합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비스페놀 A, 수성 수산화나트륨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메타크릴산 클로라이드 용액을 가한다. 이어서, 포스겐을 가하고, 추가량의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를 13 내지 14로 유지한다. 최종적으로, 트리에틸아민 커플링 촉매를 가한다. 불행하게도, 산 클로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이와 같은 방법에서 pH가 높은 경우, 산 클로라이드의 대부분이 알칼리성 반응 조건하에서 비반응성 산 형태로 가수분해된다. 더욱이, 메타크릴산 클로라이드 일부가 비스페놀 A와 반응(포스겐 2mol, 비스페놀 A 1mol, 산 클로라이드 2mol)하여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의 기계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저분자량 디카보네이트를 형성한다.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73 144호에는 화학식 -C(O)-CH=CH-R의 반응성 구조(여기서, R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다)로 말단 봉쇄된 분지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반응성 말단 그룹을 제공하는 트리멜리틸 트리클로라이드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등의 분지화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당해 방법은 물, 메틸렌 클로라이드, 트리에틸아민, 비스페놀 A 및 임의로 연쇄 정지제로서 파라-t-부틸 페놀을 혼합하여 수행한다. pH는 수성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9 내지 10으로 유지한다. 테레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임의로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및 트리멜리틸 트리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적가한다. 이어서, 포스겐을 반응 혼합물로 서서히 도입한다. 이러한 공정은 실험실 규모에서 유용할 수 있지만, 대규모 연속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171,824호에는 아릴사이클로부텐 연쇄 정지 화합물을 비스페놀 A 등의 다가 화합물 및 포스겐, 할로포르메이트 또는 카보네이트 에스테르 등의 축합 중합체 전구체과 함께 축합 중합 공정에 첨가하는, 아릴사이클로부텐 정지된 축합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기재되어 있다. 축합 중합은 pH 12.5에서 수행한다. 불행하게도, 벤조사이클로부텐-4-카보닐 클로라이드 등의 대부분의 아릴사이클로부텐 연쇄 정지 화합물은 이러한 반응 조건하에 가수분해된다.
랜덤하게 분지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미국 특허 제4,001,184호에 공지되어 있다. 화학량론적 양의 20중량% 이상의 카보네이트 전구체(예: 아실 할라이드 또는 할로포르메이트)를 물과 폴리카보네이트용 용매의 매질 속에서 2가 페놀 및 0.05mol% 이상의 다관능가 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과 반응시킨다. 매질은 중합 촉매를 1.2mol% 이상 함유한다. 충분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를 반응 매질에 가하여 pH를 3 내지 6으로 유지한 다음, 충분한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를 가하여 pH를 9 이상 12 미만으로 상승시키면서 나머지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킨다. 공정은 pH 전극을 사용하도록 하고 반응 혼합물의 pH를 근접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회분법(batch process)에 매우 적합하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공정은 연속 제조 공정에서 덜 적합하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142,088호에는 포스겐을, 폴리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통상적으로 pH가 10을 초과하는 알칼리 조건하에 비스페놀과 반응시키는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된 분지된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점이 논의되어 있다. 통상적인 방법의 단점 중의 하나는 디아릴 카보네이트의 형성이다. 디아릴 카보네이트는 포스겐과 연쇄 정지제로서 사용되는 1가 페놀과의 반응의 결과 형성된다. 디아릴 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성형 작업에서 금형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성형품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다수의 문제를 일으킨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142,088호에는 통상적으로 모노- 및/또는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클로로포르메이트 올리고머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된 다양한 특허문헌이 논의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 중의 디아릴 카보네이트 비율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연쇄 정지제로서 사용되는 1가 페놀이, 클로로포르메이트 조성물이 제조되어 미반응 포스겐이 시스템으로부터 퍼징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로 도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연쇄 정지제를 폴리카보네이트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는 공정을 비페놀과 포스겐과의 반응이 실질적으로 완료된 후에 수행함으로써 디아릴 카보네이트 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교시하는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369 422호 및 제WO 94/18258호를 또한 참조한다.
그러나,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142,088호에는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등의 분지화제를 클로로포르메이트 올리고머로부터의 폴리카보네이트 형성 반응으로 혼입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된 적이 없다고 교시되어 있다. 페놀 화학종과 언급된 분지화제 사이의 분지화 반응은 pH 범위가 10 내지 12인 반면, 클로로포르메이트 형성 반응은 더 낮은 pH를 필요로 하며, 이 pH에서 분지화제의 혼입이 불완전하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142,088호에는 위에서 언급한 분지화제가 클로로포르메이트에서 폴리카보네이트로 전환되는 동안 도입되는 경우, 분지화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고 나타나 있다. 상대적으로 디아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분지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5,142,088호에는 방향족 폴리(아실 할라이드)를 pH가 10 내지 12인 물의 반응 시스템 및 수 불용성 유기 시스템 중의 촉매의 존재하에 2가 페놀과 반응시켜 에스테르 폴리페놀을 형성하는 단계(1), 반응 시스템의 pH를 7 내지 10으로 감소시키고, 포스겐을 시스템으로 도입하는 단계(2) 및 촉매를 가하고 pH를 10 내지 14로 상승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3)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불행하게도, 당해 방법은 pH 전극의 사용 및 pH 값의 변화가 가능한 회분법에만 적합할 뿐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회분법 및 연속법에 적합한 방법으로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로 축합 반응 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신규한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은 1, 2, 3 또는 그 이상의 고관능가이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분자를 분지화 또는 정지시키거나 다른 관능 잔기를 중합체 분자의 말단 또는 측쇄 위치에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은 pH 전극에 의해 pH를 근접하게 조절할 필요 없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목적은 저분자량 카보네이트 또는 바이카보네이트의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포스겐과 2가 페놀을, 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될 때까지 반응시키는 단계(a),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전환된 후, 포스겐 이외의 아실 할라이드를 반응 혼합물로 가하는 단계(b),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전환된 후, 연쇄 정지제를 반응 혼합물로 가하는 단계(c) 및
중합 반응을 완료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폴리카보네이 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를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임의로 혼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i) 및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단계(i)에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품으로 성형하는 단계(ii)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성형품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성형품이다.
때로는 카보네이트 전구체라고도 하는 카본산 유도체를 2가 페놀(예: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올)과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사용되는 2가 페놀은 유일한 반응성 그룹이 두 개의 페놀성 하이드록실 그룹인 2가 페놀이다. 유용한 2가 페놀은, 예를 들면, 산소원자가 직접 결합하는, 화학식 HO-Z-OH의 화합물(여기서, Z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일핵 또는 다핵 방향족 그룹을 포함한다)이다. 방향족 그룹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그룹,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황, 인 및/또는 할로겐, 하나 이상의 1가 탄화수소 라디칼,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그룹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 및/또는 아릴옥시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Z는 화학식 1의 그룹이다.
Figure 112002032576739-pct00001
위의 화학식 1에서,
B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 가장 바람직하게는 -C(CH3)2-, -S-, -S-S-, -S(O)-, S(O2)-, -O- 또는 -C(O)-이고,
X1, X2, X3 및 X4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롬 또는 불소; 1가 탄화수소 라디칼, 예를 들면,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이다.
바람직한 알킬 그룹은 탄소수가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고,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또는 t-부틸이거나 펜틸 또는 헥실 그룹이다. 바람직한 사이클로알킬 그룹은 탄소수가 5 또는 6이고, 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이다. 바람직한 아릴 및 아릴옥시 그룹은 탄소수가 6 내지 8이고, 예를 들면, 페닐, 벤질, 페닐옥시, 톨릴 또는 크실릴이다. 바람직한 알콕시 그룹은 탄소수가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고,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i-프로폭시, n-부톡시, s-부톡시 또는 t-부톡시 그룹이다. 바람직하게는, 2가 페놀 HO-Z-OH 중의 두 페놀성 하이드록시 그룹은 모두 화학식 1의 그룹의 라디칼 B에 파라 위치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2가 페놀은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999,835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3,038,365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3,334,154호 및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4,299,9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스(아릴-하이드록시-페닐)알킬리덴 및 이의 방향족으로 및 지방족으로 치환된 유도체와,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3,169,12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향족 디올을 포함한다.
화학식 HO-Z-OH의 2가 페놀의 바람직한 예는 비스(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예를 들면,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디하이드록시벤젠 및 할로- 및 알킬-치환된 디하이드록시 벤젠,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1,4-디하이드록시-2-클로로벤젠, 1,4-디하이드록시-2-브로모벤젠, 1,4-디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벤젠, 1,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젠, 1,4-디하이드록시-2,3-디메틸벤젠 및 1,4-디하이드록시-2-브로모-3-프로필벤젠; α,α'-비스(하이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렌, 예를 들면,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할로- 및 알킬-치환된 디하이드록시바이페닐렌, 예를 들면, 3,3'-디메틸-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3,3'-디에틸-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3,3'-디클로로-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또는 3,3',5,5'-테트라브로모-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비스(하이드록시페닐)알칸, 예를 들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헵탄, 알킬-, 아릴- 또는 할로-치환된 비스(하이드록시페닐)알칸, 예를 들면,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1-디페닐 메탄, 1,1-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페닐-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비스페놀 AP"),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페닐 치환된 비스페놀 A"),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2,2-비스(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테트라클로로 비스페놀 A"), 2,2-비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테트라메틸 비스페놀 A"); 2,2-비스(3,5-디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펜탄, 3,3-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헥산, 2,2-비스(3-에틸-4-하이드록시페닐)옥탄,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노난, 2,2-비스(3,5-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노난 또는 2,2-비스(3-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데칸; 임의로 알킬-, 아릴- 또는 할로-치환된 비스(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알칸, 예를 들면,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헵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옥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데칸 또는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임의로 알킬-, 아릴- 또는 할로-치환된 비스(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예를 들면, 비스(3-클로로-5-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에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또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하이드록시아릴)케톤,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 임의로 알킬-, 아릴- 또는 할로-치환된 비스(하이드록시아릴)설폰, 바람직하게는 비스(하이드록시페닐)설폰, 예를 들면, 비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메틸-5-에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하이드록시페닐)설폰 또는 비스(2-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예를 들면, 비스(3,5-디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5-에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또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이다.
적합한 2가 페놀의 다른 예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4,627,949호의 컬럼 2, 68행에서 컬럼 3, 1 내지 22행 까지,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4,962,144호의 컬럼 2, 17 내지 46행 및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423 562호의 2면, 24 내지 55행 및 3면, 1 내지 19행에 기재되어 있다. 두 개 이상의 2가 페놀의 혼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1 내지 99%와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등의 또 다른 2가 페놀 99 내지 1%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가장 바람직한 2가 페놀중에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 P,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및 테트라메틸 비스페놀 A가 있다. 가장 바람직한 2가 페놀은 비스페놀 A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2가 페놀 화합물의 음이온에 의한 공격시 카보닐 탄소로부터 대체시킬 수 있는 이탈 그룹을 함유하고, 반드시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카본산의 디에스테르 및 카보닐 할라이드 또는 아실 할라이드를 포함하며, 이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포스겐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용액 중합법 또는 바람직하게는 계면 중합법일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표준 계면 방향족 카보네이트 중합체 중합법은 비스페놀 등의 2가 페놀과 이치환된 카본산 유도체(예: 포스겐)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 또는 할로포르메이트(예: 글리콜 또는 디하이드록시벤젠의 비스할로포르메이트)와의 반응을 수반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2가 페놀 화합물을 알칼리성 수용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하고 탈양자화시켜 비스페놀레이트(페네이트)를 형성하고,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공정에 공급하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는, 상 경계 공정에 의해 반응시킨다. 알칼리성 수용액의 pH는 7.0 초과, 종종 8.0 또는 9.0 초과,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4이고, NaOH 등의 가성 소다로부터 또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포스페이트, 바이카보네이트, 옥사이드 및 하이드록사이드로부터 물 중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 염기는 통상적으로 2가 페놀 화합물 1mol당 2 내지 4mol,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mol의 양으로 계면 중합 동안에 걸쳐 사용한다.
2상 혼합물의 다른 상은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용성인 용매 중에서 선택된 물과 불혼화성인 비반응성 유기 용매이다. 대표적인 용매는 염소화 탄화수소,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디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여기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니트로벤젠, 디메틸 설폭사이드, 크실렌, 크레졸 또는 아니솔을 가할 수 있다. 가성 소다 및 기타의 염기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여 혼합물의 pH를 2 가 페놀 화합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2음이온 형태로 전환되는 수준으로 조절한다. 아황산나트륨 또는 나트륨 디티오나이트 등의 환원제를 또한 유리하게는 반응 혼합물에 가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은 2가 페놀 화합물의 수성 알칼리성 혼합물과 수 불혼화성 비반응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과 접촉시킨다.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기체의 형태로 반응 혼합물로 기포화시키거나, 수 불혼화성 비반응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통상적인 계면 중합 방법에서, 커플링 촉매를, 수득한 중합체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가하는 동안 또는 가한 후에 첨가할 수 있다. 커플링 촉매는 일반적으로 2가 페놀 화합물 1mol당 0.001 내지 0.1mol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커플링 촉매는 3급 아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디메틸 아미노 피리딘 또는 N,N-디메틸 아닐린; 환형 아자 화합물, 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 피페리딘 또는 1,2-디메틸이미다졸; 이미노에테르 또는 이미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예를 들면, 1-아자-2-메톡시-1-사이클로헵텐 또는 t-부틸-사이클로헥실-이미노아세테이트; 또는 포스포늄, 설포늄, 아르소늄 또는 4급 암모늄 화합물, 예를 들면, 세틸 트리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한다.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통상적으로 2가 페놀 화합물 1mol당 1.0 내지 1.8mol,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mol의 양으로 사용된다. 혼합물은 수성 알칼리성 혼합물 중에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함유하는 용매의 액적을 분산시키거나 현탁시키기에 충분한 방법으로 교반한다. 이러한 교반에 의해 생성된 유기 상과 수성 상 사이의 반응은 중간체로서 잔존하거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어떠한 커플링 촉매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서 잔존하거나, 카보네이트 중합체로 중합되는(촉매가 존재하는 경우) 2가 페놀 화합물의 비스(카보네이트 전구체) 에스테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포스겐 등의 아실 할라이드인 경우, 이러한 중간체는 주로 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이지만, 일부 말단 그룹은 그 대신 정지제 잔사, 페놀레이트 이온 또는 미반응 하이드록시 그룹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형성 반응은 pH 7.0 내지 14 및 0 내지 100℃이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의 비점(작동 압력에 대해 보정됨)을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종종, 반응은 0 내지 45℃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연쇄 정지제는 관능 그룹, 종종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1관능가 화합물이며, 이는 중합체 쇄의 말단에 잔존하는 미반응 하이드록실 또는 카본산 에스테르 그룹을 대체시킬 수 있는 음이온을 생성한다. 정지제가 사용되는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서 주로 실시되는 방법은 정지제를 2가 페놀이 카보닐 전구체와 접촉하기 전에 단량체와 혼합하는 방법이다. 중합체 쇄의 하이드록시 또는 카본산 에스테르 말단 그룹을 공격할 수 있는 어떠한 정지제 음이온도 또한 바람직하지 않게는 (1)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초기 충전의 미반응 분자를 공격하거나 (2) 쇄가 목적하는 길이로 성장할 기회를 갖기 전에 말단 그룹을 치환시킬 수 있다. 연쇄 정지제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도입하기 전에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기술 분야에서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결과를 둘 다 발생하게 하여 카보네이트 부산물이 형성되게 된다. 카보네이트 부산물 함량은 폴리카보네이트의 바람직한 특성 및 품질을 떨어뜨리고, 대부분의 용도에서, 그 속의 불순물로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분자량 카보네이트는 최종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포스겐 이외의 반응성 아실 할라이드는 축합 중합성이고 정지 화합물(1관능가), 공단량체(2관능가) 또는 분지화제(3관능가 이상)로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사용된다. 아실 할라이드가 사용되는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서 주로 실시되는 방법은 2가 페놀을 카보닐 전구체와 접촉시키기 전에 아실 할라이드를 단량체와 혼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2가 페놀의 수용액의 pH는 포스겐화를 시작하기 전에 13 내지 14이다. 이러한 조건하에 아실 할라이드는 바람직하지 않게는 (1) 가수분해되어 목적하는 연쇄 정지, 공단량체화 또는 분지량을 제한하거나, (2) 2가 페놀과 반응하여 저분자량 디-, 트리- 또는 그 이상의 카보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저분자량 카보네이트는 통상적으로 불순물로서 나타나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기계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합을 완료하면, 유기 상과 수성 상을 분리하여 유기 상을 정제하고 이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을 회수하도록 한다. 유기 상을 희석 염기, 물 및/또는 희석 산으로 원심분리기에서 미반응 단량체, 잔류 공정 화학물 및/또는 기타의 전해질이 부재할 때까지 필요한 만큼 세척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의 회수는 분무 건조, 증기 탈휘발, 배기 압출기 속에서의 직접 탈휘발 또는 톨루엔, 사이클로헥산, 헵탄, 메탄올, 헥산올 또는 메틸 에틸 케톤 등의 역-용매(anti-solvent)를 사용한 침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인 개선은 연쇄 정지제 및 포스겐 이외의 아실 할라이드를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카본산 유도체, 특히 포스겐을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타이밍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아실 할라이드의 가수분해와 저분자량 카보네이트 및 바이카보네이트의 제조는 연쇄 정지제와 포스겐 이외의 아실 할라이드를 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가 하이드록실 그룹과 포스겐과의 반응에 의해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된 경우, 반응 혼합물에 가하기만 하면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원에서 정의된 하이드록실 그룹은 1가 또는 2가 페놀 및/또는 탈양자화 하이드록실레이트 그룹[예를 들면, -O-M+(여기서, M+는 계면 중합 동안 사용된 염기 첨가로부터 존재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나타낸다)]의 유리 양자화 하이드록실 그룹(예: -OH 그룹)을 말한다.
하이드록실 그룹에서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의 전환은 4-(4-니트로벤질)피리딘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상으로 첨가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4-(4-니트로벤질)피리딘은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과 반응하여 438nm의 파장에서 25.5ℓ/mmmol·cm의 흡광 계수로 UV 분광계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는 오렌지색 착체를 형성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미반응 2가 페놀(및 이에 따른 하이드록실 그룹)의 양은 293.5nm의 피장에서 0.0225[ppm·cm]-1의 흡광 계수로 수성 상의 UV 분광계에 의해 측정한 다음, 이로부터 전환된 2가 페놀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에 유용한 대표적인 정지제는 페놀 및 이의 유도체, 포화 지방족 알코올, 금속 아황산염, 알킬 산 클로라이드, 트리알킬- 또는 트리아릴실란올, 모노할로실란, 아미노 알코올, 트리알킬 알코올, 아닐린 및 메틸아닐린이다. 이들 중에서, 페놀, 파라-t-부틸 페놀(PTBP), p-쿠밀 페놀 및 파라-t-옥틸 페놀(4-(1,1,2,2-테트라메틸부틸)-페놀 또는 PTOP)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아실 할라이드는 아실 클로라이드, 아실 브로마이드 및 아실 플루오라이드이며, 아실 클로라이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아실 클로라이드는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메타크릴로일클로라이드, 벤조일클로라이드, 벤조사이클로부텐-4-카보닐클로라이드,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4-클로로포르밀 프탈산 무수물, 2,4-디하이드록시-6-클로로-포르밀옥시-트리아진,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클로로디페닐포스핀, 클로로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클로로트리메틸실란,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세바코일클로라이드, 3,5-디클로로포르밀벤조산, 티오닐클로라이드, 디클로로페닐포스핀, 디클로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디클로로디메틸실란, 디클로로디페닐실란,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1,2,3-프로판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클로로포르메이트), 트리스(클로로포르밀옥시)트리아진,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1,3,6-나프탈린-트리설포닐트리클로라이드, 삼염화인, 트리클로로페닐실란 및 티오펜테트라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이다. 가장 바람직한 아실 클로라이드는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및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정지제 및 아실 할라이드는 서로 독립적으로,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함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용매 중에서 함께 가할 수 있다.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 불활성 유기 용매, 즉 알칼리에 대해 안정성인 용매,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옥산, 디메틸 에테르, 디메틸 글리콜 디에테르, 디에틸 글리콜 디에테르, 디부틸 글리콜 디에테르 또는 클로로벤젠이 바람직하다.
개별적으로 가하는 경우, 정지제는 액체인 경우 순수한 형태로 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지제는 독립적으로 용액 형태로 첨가하며, 당해 용액은, 정지제를,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 포함한다.
개별적으로 첨가하는 경우, 아실 할라이드는 액체인 경우 독립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실 할라이드는 독립적으로 용액 형태로 첨가하며, 당해 용액은 아실 할라이드를,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지제 및 아실 할라이드는 동일한 용매 중에서 함께 첨가한다. 정지제, 아실 할라이드 및 용매의 혼합물에서, 정지제는,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정지제, 아실 할라이드 및 용매의 혼합물에서, 아실 할라이드는,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용매는, 2가 페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로, 산을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독립적으로 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액은 아실 할라이드, 정지제 및 용매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산은 유기산, 예를 들면, 파라-톨루엔-설폰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은 염화수소(HCl), 황산(H2SO4) 및 인산(H3PO4) 등의 무기산이다. 산은, 정지제, 아실 할라이드 및 용매의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경우,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2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3급 아민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개선된 방법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커플링 촉매이며,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및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포함한다.
최종 생성물에서, 아실 할라이드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아실 잔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최종 생성물에서, 아실 할라이드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아실 잔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최종 생성물에서, 정지제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말단 잔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최종 생성물에서, 정지제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말단 잔기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용액 중합 또는 계면 중합법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회분법 또는 연속법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회분법에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화 반응 전의 단량체 용액의 pH는 12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3.5이며, 9는 넘어야 한다. 과량의 알칼리는 포스겐화 반응이 지속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높다. 포스겐은, 2가 페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정지제 및 아실 할라이드는 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하이드록실 그룹과 포스겐의 반응에 의해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되는 경우, 동일한 용액 중에서 독립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혼합물의 pH는 정지제 및 아실 할라이드를 첨가하는 경우, 10 내지 11이다. 중합 공정을 완료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을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회수할 수 있다.
연속법에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화 반응 전의 단량체 용액의 pH는 12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3.5이다. 바람직하게는 2가 페놀은 수성 상에 완전히 용해되어 공정에서 플러깅(plugging)을 피하도록 한다. 포스겐은, 2가 페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정지제 및 아실 할라이드는 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하이드록실 그룹과 포스겐과의 반응에 의해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되는 경우, 어떠한 시점에서라도, 동일한 용액 중에서 독립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실 할라이드 및/또는 정지제를 함유하는 용액은 무기산, 예를 들면, HCl, H2SO4 또는 H3PO4를 0.05 내지 2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은 유기 상에 가용성인 수준에서 존재한다. 중합 공정의 완료시,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의 회수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다음 반응물을 사용하였다:
"비스페놀 A" [=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포스겐" [= 카보닐 클로라이드, COCl2],
"트리포스겐" [= 헥사클로로메틸카보네이트],
"가성 알칼리 용액"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50중량% 수산화나트륨, NaOH 수용액],
"트리에틸아민",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 1,2,4-벤젠트리카복실 트리클로라이드],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 H2C=CHCOCl] 및
"파라 t-부틸 페놀".
중합체 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다음의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분자량"의 경우, 중량 평균 분자랑(Mw) 및 수 평균 분자량(Mn) 평가는 밀도 지수(Disp)를 포함하여,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하고 표준 분자량 계산을 사용한 표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수행하였다.
"용융 유량"(MFR)은 300℃ 및 1.2kg의 하중을 가한 조건하에 즈윅 플라스토미터(Zwick Plastomer) 4105 용융 유량 장치에서 ASTM D 1238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융 점도"는 용융 중합체의 전단 비율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측정치는 0.1 내지 100s-1의 진동수에서 8분의 예비가열 시간 및 50㎛의 플레이트 거리로 280℃에서 콘/플레이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 진동 회전 점도계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영점도는 0의 진동수에 대한 전단 진동수 곡선에 대하여 점도를 외삽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10ℓ들이 반응기를 아르곤으로 퍼징시키고 물 4.3kg과 비스페놀 A 0.7kg(3.07mol)을 충전시켰다. 이 혼합물에 50중량% 가성 알칼리 용액 0.45kg(5.63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2kg을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고 포스겐을 0.04g/sec(0.04mol/sec)의 속도로 가하였다. 포스겐 225g(2.27mol)을 가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 120㎖ 중의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3.2g(0.012mol)과 파라 t-부틸 페놀 16.4g(0.110mol)의 용액을 한번에 가하였다. 5분 후, 50% 가성 알칼리 용액 0.26kg(3.25mol)을 가하였다. 포스겐 375g(3.79mol)을 소비할 때까지 계속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2kg 중의 트리에틸아민 5.5g(0.054mol)의 용액을 가하고, 15분 더 교반하여 커플링을 달성하였다. 그 후, HCl 800㎖(20중량%)와 물 4ℓ의 용액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500rpm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인산 1800㎖(10중량%)와 물 4ℓ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유기 상을 중성이 될 때까지 물 500㎖로 4회 세척하고, 헥산 1375㎖를 중합체 용액에 가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유기 용매(헥산과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가열 수증기에 의해 완전히 증발시키고, 중합체를 진공하에 밤새 120℃에서 건조시켰다.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Mn이 14,930g/mol, Mw가 39,630g/mol, MFR이 3.4g/10min, 영 전단 점도가 5,700Pa·s여서,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의 혼입으로 인한 분지화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10ℓ들이 반응기에 물 4.3kg 및 비스페놀 A 0.7kg(3.07mol)을 적하시켰다. 여기에 50중량% 가성 알칼리 용액 0.45kg(5.63mmol)과 메틸렌 클로라이드 2kg을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포스겐을 0.04g/sec(0.04mol/sec)의 속도로 용액으로 통과시켰다. 포스겐 225g(2.27mol)을 가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 120㎖ 용액 중의 파라 t-부틸 페놀 11.5g과 합한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6.94g(0.076mol)을 2분에 걸쳐 가하였다. 5분 후, 50중량% 가성 알칼리 용액 0.26kg(3.25mol)을 가하였다. 포스겐 375g(3.79mol)이 반응할 때까지 포스겐을 계속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2kg 용액 중의) 트리에틸아민 5.5g(0.054mol)을 가하였다. 용액을 15분 동안 교반하여 커플링을 달성하였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액을 세척하고 정제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Mn이 10,551g/mol이고 Mw가 24,276g/mol이다. 중합체는 핵 자기 공명법(1H-NMR)에 의해 분석하고, 아크릴로일 그룹의 88mol%가 폴리카보네이트로 혼입됨을 측정하였다:
400,13MHz, δ(ppm):
6.59(Hc, 1H, JHc,Hb = 1.2Hz 및 JHc, Ha = 17Hz, dd)
6.30(Ha, 1H, JHa,Hb = 10Hz 및 JHa, Hc = 17Hz, dd)
5.99(Hb, 1H, JHb,Hc = 1.2Hz 및 JHb, Ha = 10Hz, dd)
실시예 3
1.5N 수산화나트륨 용액 28㎖(0.042mol)에 용해시킨 비스페놀 A 4.56g(0.02mol)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10㎖를 가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 50㎖ 중의 트리포스겐 5g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트리포스겐 용액 13㎖(포스겐 0.0131mol에 상당)를 10초당 0.05㎖의 속도로 가하였다. 트리포스겐을 가한 다음,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용액(메틸렌 클로라이드 30㎖에 91mg을 가하여 제조됨) 9㎖(0.0001mol)와 p-3급 부틸페놀 용액(메틸렌 클로라이드 25㎖에 0.425g 가하여 제조됨) 4㎖(0.00045mol)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5분 후, 1.5N 수산화나트륨 용액 15㎖(0.0225mol)를 가하였다. 트리포스겐/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 13㎖(포스겐 0.0131mol에 상응)를 이어서 가하였다. 트리포스겐/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을 첨가한 후에, 트리에틸아민 용액 20㎖(메틸렌 클로라이드 100㎖에 0.25g 가하여 제조됨)를 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반응 혼합물을 세척하고 정제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Mn이 13,450g/mol, Mw가 45,670g/mol, 영 전단 점도가 4,100Pa·s여서,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의 혼입으로 인한 분지화를 나타낸다.
실시예 4
pH가 13이고 유량이 22.58중량부/hr인 비스페놀 A 3.12중량부/hr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수용액을 포스겐 1.63중량부/hr를 함유하고 유량이 13.19중량부/hr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과 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고, 연속식 반응기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포스겐 90%를 비스페놀 A와 반응시켜 중간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을 형성(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 25% 초과를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시킴)하고, 특정량의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을 추가로 반응시켜 반응성 올리고머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시켜서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이 9.5중량부/hr인 클로로포르메이트 농도를 생성한 후, 파라-t-부틸 페놀 0.18중량부/hr 및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15중량부/hr를 함유하고 유량이 0.77중량부/hr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하고 반응하도록 한 후, 유량이 0.81중량부/hr인 30중량% NaOH 용액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과 완전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플래쉬-포트(flash-pot)로 유동시켜 여기서 메틸렌 클로라이드가 휘발되어 포스겐화 반응열을 방출하도록 하였다. 플래쉬-포트의 배출구에서, 트리에틸아민 9중량%(메틸렌 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 하는 중량%)를 함유하고 유량이 0.47중량부/hr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가하였다. 유기 스트림을 회전식 혼합기에 의해 염산 수용액 1.5중량%에 이어서 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 스트림을 물로부터 분리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증발시킨 후, 백색 폴리카보네이트 플레이크를 수득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Mn이 14,600g/mol, Mw가 29,800g/mol, MFR이 2.9g/10min이고, 다음의 유변학적 특성을 갖는다: 영 전단 점도가 3,100Pa·s, 전체 점도가 4.22Hz에서 2,290Pa·s, 10Hz에서 1753Pa·s, 23.7Hz에서 1.157Pa·s, 32Hz에서 871Pa·s 및 75Hz에서 544Pa·s이다.
최종 공정 수(water)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잔류 트리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의 가수분해 생성물에 대해 분석한다. 어떠한 트리멜리트산도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최소 99.8%의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가 중합체 주쇄로 혼입되었음을 나타낸다.

Claims (17)

  1. 포스겐과 2가 페놀을, 2가 페놀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될 때까지 반응시키는 단계(a),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내지 70%가 전환된 후, 포스겐 이외의 아실 할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단계(b),
    하이드록실 그룹의 25% 이상이 전환된 후, 연쇄 정지제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단계(c) 및
    중합 반응을 완료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계면 중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아실 할라이드를, 하이드록실 그룹의 40 내지 70%가 클로로포르메이트 그룹으로 전환되었을 때 반응 혼합물에 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포스겐, 2가 페놀, 무기 염기의 수용액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을 계면 공정에서 생성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에 첨가된 아실 할라이드의 양이,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5중량%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연쇄 정지제가,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반응에 첨가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연쇄 정지제와 아실 할라이드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기 전에, 연쇄 정지제와 아실 할라이드에 대해 모두 동일한 유기 용매로 희석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옥산, 디메틸 에테르, 디메틸 글리콜 디에테르, 디에틸 글리콜 디에테르, 디부틸 글리콜 디에테르 또는 클로로벤젠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연쇄 정지제 0.001 내지 70중량%, 아실 할라이드 0.001 내지 70중량%, 산 0 내지 2중량%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단계(a)에서 수득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여기서, 아실 클로라이드, 정지제 및 산의 중량%가 유기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유기 용매가, 2가 페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메틸렌 클로라이드, 디옥산, 디메틸 에테르, 디메틸 글리콜 디에테르, 디에틸 글리콜 디에테르, 디부틸 글리콜 디에테르 또는 클로로벤젠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중합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아실 할라이드가 1관능가 아실 클로라이드, 2관능가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3관능가 아실 클로라이드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아실 할라이드가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메타크릴로일클로라이드, 벤조일클로라이드, 벤조사이클로부텐-4-카보닐클로라이드,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4-클로로포르밀 프탈산 무수물, 2,4-디하이드록시-6-클로로-포르밀옥시트리아진, 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클로로디페닐포스핀, 클로로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클로로트리메틸실란,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 세바코일클로라이드, 3,5-디클로로포르밀벤조산, 티오닐클로라이드, 디클로로페닐포스핀, 디클로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디클로로디메틸실란, 디클로로디페닐실란,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1,2,3-프로판트리카복실산 클로라이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클로로포르메이트), 트리스(클로로포르밀옥시)트리아진,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1,3,6-나프탈린-트리설포닐트리클로라이드, 삼염화인, 트리클로로페닐실란 또는 티오펜테트라카복실산 클로라이드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아실 할라이드가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클로라이드 또는 트리멜리트산 트리클로라이드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연쇄 정지제가 페놀, 파라-t-부틸 페놀, p-쿠밀 페놀 또는 파라-t-옥틸 페놀인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27013263A 2000-04-07 2001-01-18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0744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44,744 US6225436B1 (en) 2000-04-07 2000-04-07 Polycarbonate preparation process
US09/544,744 2000-04-07
PCT/US2001/001654 WO2001077204A1 (en) 2000-04-07 2001-01-18 Polycarbonate preparation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665A KR20030045665A (ko) 2003-06-11
KR100744447B1 true KR100744447B1 (ko) 2007-08-01

Family

ID=2417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263A KR100744447B1 (ko) 2000-04-07 2001-01-18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25436B1 (ko)
EP (1) EP1274762B1 (ko)
JP (1) JP2004500476A (ko)
KR (1) KR100744447B1 (ko)
CN (1) CN1215103C (ko)
AU (1) AU2001227947A1 (ko)
DE (1) DE60110776T2 (ko)
WO (1) WO2001077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2059B2 (en) * 2003-01-13 2008-03-11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useful for extrusion blow-molding
JP4690320B2 (ja) * 2003-07-23 2011-06-0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分岐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US7345104B2 (en) * 2003-12-16 2008-03-18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useful for extrusion blow-molding
US7148386B2 (en) * 2004-07-30 2006-12-12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es for preparing benzoquinones and hydroquinones
US7297736B2 (en) * 2004-10-28 2007-11-20 Eastman Chemical Company Neopentyl glycol containing polyesters blended with polycarbonates
US20060100394A1 (en) * 2004-11-05 2006-05-11 Hale Wesley R Blends of polyesters with modified polycarbonates
WO2007053550A1 (en) 2005-10-28 2007-05-10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butanediol having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60286330A1 (en) * 2005-06-17 2006-12-21 Crawford Emmett D Sterilization containers comprising polyester compositions formed from 2,2,4,4-tetramethyl-1,3-cyclobutanediol and 1,4-cyclohexanedimethanol
US20060270806A1 (en) * 2005-05-26 2006-11-30 Hale Wesley R Miscible high Tg polyester/polymer blend compositions and films formed therefrom
US20060270773A1 (en) * 2005-05-26 2006-11-30 Hale Wesley R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for diffuser sheets with improved luminance
US20100298523A1 (en) * 2005-06-17 2010-11-2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butanediol and at Least One Phosphorus Compound
US7704605B2 (en) 2006-03-28 2010-04-27 Eastman Chemical Company Thermoplastic articles comprising cyclobutanediol having a decorative material embedded therein
US7230065B2 (en) * 2005-07-12 2007-06-12 Eastman Chemical Company Blends of polycarbonate and sulfone copolyesters
US7226985B2 (en) * 2005-07-12 2007-06-0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compositions
US7425590B2 (en) * 2005-07-12 2008-09-16 Eastman Chemical Company Transparent two phase polyester-polycarbonate compositions
US20070100122A1 (en) * 2005-10-28 2007-05-03 Crawford Emmett D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butanediol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193302B2 (en) * 2005-10-28 2012-06-0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butanediol and certain phosphate thermal stabilizers, and/or reaction products thereof
US20100087574A1 (en) * 2005-10-28 2010-04-08 Emmett Dudley Crawford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butanediol having a certain combination of inherent viscosity and moderat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100096589A1 (en) * 2005-10-28 2010-04-22 Emmett Dudley Crawford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low amounts of cyclobutanediol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70100125A1 (en) * 2005-10-28 2007-05-03 Crawford Emmett D Polyester compositions comprising minimal amounts of cyclobutanediol
WO2007050118A1 (en) * 2005-10-28 2007-05-03 Eastman Chemical Company Restaurant smallware comprising polyester compositions formed from 2,2,4,4-tetramethyl-1,3-cyclobutanediol and 1,4-cyclohexanedimethanol
US9598533B2 (en) 2005-11-22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containing cyclobutanediol having a certain combination of inherent viscosity and moderat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7737246B2 (en) 2005-12-15 2010-06-1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butanediol, cyclohexanedimethanol, and ethylene glycol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US20070142511A1 (en) * 2005-12-15 2007-06-21 Crawford Emmett D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butanediol ethylene glycol, titanium, and phosphorus with improved color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US20070232778A1 (en) * 2006-03-28 2007-10-04 Leslie Shane Moody Certain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butanediol, cyclohexanedimethanol, and high trans-cyclohexanedicarboxylic acid
US9169388B2 (en) 2006-03-28 2015-10-2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butanediol and certain thermal stabilizers, and/or reaction products thereof
US20070232779A1 (en) * 2006-03-28 2007-10-04 Leslie Shane Moody Certain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cyclohexanedimethanol, moderate cyclobutanediol, cyclohexanedimethanol, and high trans cyclohexanedicarboxylic acid
US20080103235A1 (en) * 2006-11-01 2008-05-01 Wesley Raymond Hale Clear blends of bisphenol a polycarbonate and copolyesters
US8501287B2 (en) 2007-11-21 2013-08-06 Eastman Chemical Company Plastic baby bottles, other blow molded articl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US8287970B2 (en) 2007-11-21 2012-10-16 Eastman Chemical Company Plastic baby bottles, other blow molded articl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DE102008008842A1 (de) * 2008-02-13 2009-08-27 Bayer Materialscience Ag Alkylphenol zur Einstellung des Molekulargewichtes und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US8198371B2 (en) * 2008-06-27 2012-06-12 Eastman Chemical Company Blends of polyesters and ABS copolymers
US8895654B2 (en) 2008-12-18 2014-11-2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comprise spiro-glycol, cyclohexanedimethanol, and terephthalic acid
JP5647219B2 (ja) * 2009-03-24 2014-12-24 スティロン ヨーロッパ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界面法ポリカーボネート製造プロセスにおけるモノマー濃度の監視方法
TW201144356A (en) 2010-03-31 2011-12-16 Styron Europe Gmbh Thermally oxidatively stable carbonate phosphite copolymer
AU2011239491B2 (en) 2010-04-16 2016-02-25 Swimc Llc Coating compositions for packaging articles and methods of coating
US8420869B2 (en) 2010-12-09 2013-04-16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2,4,4-tetraalkylcyclobutane-1,3-diols
US8394997B2 (en) 2010-12-09 2013-03-12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isomerization of 2,2,4,4-tetraalkylcyclobutane-1,3-diols
US8420868B2 (en) 2010-12-09 2013-04-16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2,4,4-tetraalkylcyclobutane-1,3-diols
WO2012109278A2 (en) 2011-02-07 2012-08-16 Valspar Sourcing, Inc. Coating compositions for containers and other articles and methods of coating
US20130217830A1 (en) 2012-02-16 2013-08-22 Eastman Chemical Company Clear Semi-Crystalline Articles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KR20130100714A (ko) * 2012-03-01 2013-09-11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용 조성물의 중합 반응을 정지시키는 방법
US9724276B2 (en) 2012-08-09 2017-08-08 Valspar Sourcing, Inc. Dental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4025400A1 (en) 2012-08-09 2014-02-13 Valspar Sourcing, Inc. Developer for thermally responsive record materials
US9944749B2 (en) 2012-08-09 2018-04-17 Swimc, Llc Polycarbonates
KR102093405B1 (ko) 2012-08-09 2020-03-25 에스더블유아이엠씨 엘엘씨 용기 코팅 시스템
EP3831900A1 (en) 2012-08-09 2021-06-09 Swimc Llc Compositions for containers and other articles and methods of using same
EP2882818B1 (en) 2012-08-09 2020-05-06 Swimc Llc Stabilizer and coating compositions thereof
CN103848983B (zh) * 2014-02-17 2016-07-06 南通大学 一种溴代聚碳酸酯的合成方法
CN110790914A (zh) 2014-04-14 2020-02-14 宣伟投资管理有限公司 制备用于容器和其它制品的组合物的方法以及使用所述组合物的方法
TWI614275B (zh) 2015-11-03 2018-02-11 Valspar Sourcing Inc 用於製備聚合物的液體環氧樹脂組合物
KR102120397B1 (ko) * 2016-08-31 2020-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
KR102180534B1 (ko) * 2017-06-30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KR102516144B1 (ko) * 2018-08-28 2023-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 필름 제조용 용매의 전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5373A (en) 1965-08-11 1969-10-28 Eastman Kodak Co Stabilization of polycarbonates
US4388455A (en) * 1982-05-17 1983-06-14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ester carbonate copolymers
EP0369422A2 (en) * 1988-11-16 1990-05-23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3215523A (ja) * 1990-01-19 1991-09-20 Idemitsu Kosan Co Ltd 光学機器用素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70531A (ko) * 1957-08-22
US3038365A (en) * 1958-05-16 1962-06-12 Richard H Peterson Electronic organ
US2999835A (en) *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GB1045533A (en) * 1963-02-21 1966-10-12 Gen Electric Flame-resist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4001184A (en) * 1975-03-31 1977-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branched polycarbonate
US4059565A (en) * 1975-06-16 1977-11-2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ocess for producing a branched polycarbonate or poly(ester-carbonate)
DE2716304A1 (de) * 1977-04-13 1978-10-1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gemischen
DE2842004A1 (de) * 1978-09-27 1980-04-1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difizierten polycarbonat-formmassen
US4299928A (en) * 1980-03-14 1981-11-10 Mobay Chemical Corporation Impact modified polycarbonates
JPS58185619A (ja) * 1982-04-26 1983-10-29 Idemitsu Kosan Co Ltd ポリカ−ボネ−トの製造方法
DE3332065A1 (de) * 1983-09-06 1985-03-2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bilisierter plycarbonat-formkoerper nach dem entgasungsspritzguss- oder dem entgasungsextrusionsverfahren
EP0273144A3 (en) * 1986-12-15 1990-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Cross-linked branched polycarbonate composition
US4962144B1 (en) * 1988-12-30 1998-03-24 Gen Electric Composition
DE3934712A1 (de) * 1989-10-18 1991-04-25 Bayer Ag Polycarbonate mit verbesserter waermeformbestaendigkeit
US5214118A (en) * 1990-10-05 1993-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siloxane copolymers
US5171824A (en) * 1990-12-24 1992-12-15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rylcyclobutene terminated condensation polymers
US5142088A (en) * 1991-01-28 1992-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Preparation of branched polycarbonates and chloroformat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WO1994018258A1 (en) * 1991-07-02 1994-08-18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 having reduced carbonate byproduct content
JPH05170894A (ja) * 1991-12-20 1993-07-09 Mitsubishi Kasei Corp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の製造方法
DE4233345A1 (de) * 1992-10-05 1994-04-0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und von Polyestercarbonaten
US5494997A (en) * 1994-08-01 1996-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Preparation of by the bischloroformate process of soft segment polycarbonate
JPH1180287A (ja) * 1997-09-09 1999-03-26 Nof Corp グラフト共重合体、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5373A (en) 1965-08-11 1969-10-28 Eastman Kodak Co Stabilization of polycarbonates
US4388455A (en) * 1982-05-17 1983-06-14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ester carbonate copolymers
EP0369422A2 (en) * 1988-11-16 1990-05-23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3215523A (ja) * 1990-01-19 1991-09-20 Idemitsu Kosan Co Ltd 光学機器用素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0776T2 (de) 2006-01-12
CN1420901A (zh) 2003-05-28
AU2001227947A1 (en) 2001-10-23
US6225436B1 (en) 2001-05-01
EP1274762B1 (en) 2005-05-11
KR20030045665A (ko) 2003-06-11
CN1215103C (zh) 2005-08-17
WO2001077204A1 (en) 2001-10-18
DE60110776D1 (de) 2005-06-16
JP2004500476A (ja) 2004-01-08
EP1274762A1 (en)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44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TWI334424B (en) Method of polycarbonate preparation
JP4057420B2 (ja) 溶融ポリカーボネート触媒系
US5200496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 having reduced carbonate byproduct content
US20040220352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
EP0318787B1 (en) Hydroxy terminated polycarbonates
JP3026707B2 (ja) 分岐状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2634756B2 (ja) 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342848B1 (ko) 분지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CA122368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polycarbonates of sulfonyl diphenol
JP4048241B2 (ja) 溶融ポリカーボネート触媒系
JP2002516620A (ja) ポリカーボネート類
US4767840A (en) Cyclic monocarbonate bishaloformates,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JP2004525911A (ja) 粗製二価フェノール中の残留酸種の中和法
EP0324917B1 (en) Low plate-out polycarbonates
US5362839A (en) Polycarbonate having reduced carbonate byproduct content
JP2004521177A (ja) 溶融ポリカーボネート触媒系
JP2004528403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US4950782A (en) Low plate-out polycarbonates
JP2012509958A (ja) 耐衝撃性が向上した線状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