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179B1 -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179B1
KR100744179B1 KR1020050082991A KR20050082991A KR100744179B1 KR 100744179 B1 KR100744179 B1 KR 100744179B1 KR 1020050082991 A KR1020050082991 A KR 1020050082991A KR 20050082991 A KR20050082991 A KR 20050082991A KR 100744179 B1 KR100744179 B1 KR 10074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service
specific
intellig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724A (ko
Inventor
배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8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1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using auxiliary connections for control or supervision, e.g. w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is a signalling system number 7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에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등록된 특정 무선 전화기 측에서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의 호 전환을 요청하면,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간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ORWARDING C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선 통신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능망 12 : 유선 통신망
13 : 인터넷 14 : 유선 전화기
15 : 인터넷 전화기 16 : 무선 통신망
18 : 무선 전화기 20 : SSP
22 : SCP 24 : SMS
26 : IP 28 : SEAS
30 : 가입자 보드 32 : ASS
34 : INS 36 : CCS
38 : 운용자 터미널
본 발명은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망(Advanced Intelligent Networks : AIN)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에 벨이 울릴 경우 그 유선 전화의 호를 무선 전화나 인터넷 전화로 전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망이란 통신망 내에 산재하는 교환기나 서비스 제어 노드, 망 내 제어용 데이터베이스를 공통선 신호망 또는 데이터망을 매개로 하여 유기적으로 통합, 컴퓨터의 힘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보수가 쉬운 새로운 망 구조 개념이다.
상술한 호 전환 서비스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02601호, '인터넷 전화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방법'은 발신자는 피시(PC, Personal Computer)를 사용하고 착신자는 피시나 폰을 사용하는 피시투피시(PC-to-PC) 방식 또는 피시투폰(PC-to-phone) 방식의 인터넷 전화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 방법에서는, 게이트키퍼에서 피시투피시 방식의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을 시도하는 발신자 피시를 인증하는 제 1단계; 상기 게이트키퍼에서 상기 인증된 발신자 피시로부터 착신자 피시로의 호 설정요청을 접수하면, 접수한 호 설정요청 정보를 상기 착신자 피시로 전송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착신자 피시에서 호 설정요청을 수락하지 아니하면, 상기 발신자 피시에서 상기 게이트키 퍼에 착신자 폰으로의 호 설정을 자동으로 요청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가 피시투폰 방식으로 음성통화를 가능토록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49410호,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호 픽업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이동 전화기에 호가 착신되는 경우 인접하는 다른 이동 전화기로 해당되는 착신 호를 픽업하여 응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에서는,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 호출중인 이동 전화기의 착신 번과 그룹 코드 및 위치 정보와 착신 PID를 포함하는 착신 호출 정보를 착신 정보 메모리에 등록하고, 착신 픽업 프로세스에서 착신 호 픽업 요청이 있는 경우 착신 호출 프로세스로부터 발신 PID 및 스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후에 발신 PID에 대응하는 발신 프로세스로 착신 응답을 통보함과 동시에 스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 동일 기지국 또는 섹터 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 전화기의 착신 호를 인접하는 다른 이동 전화기로 픽업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88255호, '아이 피 기반의 화상/음성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전환/호 픽업 방법'은 아이 피 기반의 화상/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원하는 단말기로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임의로 TV, PDA 또는 홈 패드 등의 화상전화가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상호간 음성/화상 호를 전환하여 사용하거나, 거리상 통화가 어려운 위치에 있을 때 주변의 단말기로 착신 호를 픽업하여 원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원하는 단말기로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출원 제2002-0002601호는 인터넷 전화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특허출원 제2002-0049410호는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전화기의 착 호를 인접 이동 전화기에서 픽업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허출원 제2003-0088255호는 IP 기반의 화상/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원하는 단말기로 화상통화를 하도록 하는 것일 뿐, 특정 유선 전화의 호를 그 특정 유선 전화 번호에 등록된 무선 전화나 인터넷 전화에서 가로채는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 고정된 유선 전화기의 착 호를 이와 인접한 곳에서 무선 전화기나 인터넷 전화기로 전환할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예로, 게임을 하던 도중에 다른 방에서 전화벨이 울릴 경우 자신의 무선 전화기로 당겨 받을 수 있으면 전화받기가 매우 편리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능망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에 벨이 울릴 경우 그 유선 전화의 호를 무선 전화나 인터넷 전화로 전환하도록 하는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전화망에서 가입자의 호 중 지능망 서비스가 필요한 호를 인식하고 원하는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 공통선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서비스 교환기(SSP)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 검사, 경로 지정 정보 번역의 호 전환 지능망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기(SCP); 및 상기 서비스 제어기(SCP)와 연결되어 상기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관리하는 지능망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에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등록된 특정 무선 전화기 측에서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의 호 전환을 요청하면,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간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전화망에서 가입자의 호 중 지능망 서비스가 필요한 호를 인식하고 원하는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 공통선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서비스 교환기(SSP)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 검사, 경로 지정 정보 번역의 호 전환 지능망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기(SCP); 및 상기 서비스 제어기(SCP)와 연결되어 상기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관리하는 지능망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에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상기 인터넷에 접속되고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등록된 특정 인터넷 전화기 측에서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의 호 전환을 요청하면,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특정 인터넷 전화기간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에서 호 전환 방법으로서, (a) 특정 발신자 전화기에 의해 특정 유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로부터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호 전환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b)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서비스 제어기(SCP)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을 통해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 데이타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판단 결과, 호 전환을 요청한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호 전환을 요청한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능망은 공통선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망 구성도로, 지능망(10), 유선 통신망(12), 인터넷(13), 유선 전화기(14), 인터넷 전화기(15), 무선 통신망(16), 및 무선 전화기(1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선 전화기(14) 사용자는 유선 통신망(12)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한다.
인터넷 전화기(15) 사용자는 인터넷(13)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한다.
무선 전화기(18) 사용자는 무선 통신망(16)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한다.
지능망(10)은 유선 통신망(12), 인터넷(13), 무선 통신망(16)에 접속되고, 지능망(10), 유선 통신망(12), 인터넷(13), 및 무선 통신망(16) 사이에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연동되면서 지능망(10)으로부터 지능망 서비스가 제공된다. 지능망(10), 유선 통신망(12), 및 무선 통신망(16)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터넷 전화에 대하여 보면, 인터넷을 통한 개인용 컴퓨터(PC) 사용자 상호 간에 실시간 음성 대화를 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에 마이크나 스피커를 연결하고 인터넷 전화용 소프트웨어를 장착하여 전화와 같이 통화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는 전화라기보다는 음성 교환 방식의 채트(chat)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 인터넷 전화용 소프트웨어로는 미국 보컬테크(VocalTec)사의 인터넷폰(InternetPHONE), 프리텔(FreeTel)사의 프리텔+(FreeTel+) 등이 유명하다. 인터넷을 요금이 저렴한 장거리 전화망과 같이 사용하는 디지폰(Digiphone)이라는 소프트웨어도 있다. 인터넷 전화용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 판을 구입할 수도 있고 웹 서버로부터 무료판을 내려받을 수도 있다. 인터넷 전화용 소프트웨어는 회사별로 달라서 서로 같은 소프트웨어가 아니면 통화할 수 없다. 인터넷의 기술 표준을 다루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에서 표준 규격을 검토하고 있다. 인터넷 전화의 품질은 회선 용량에 따라서 다르지만 전화에 비해 품질이 낮다. 인터넷 전화 사용자는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의 서버에 접속하는 시내 전화 요금과 접속료만 지불하고 장거리나 국제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전화가 전화 사업자의 수익을 위협하는 존재가 될 것을 경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PC 사용자 간의 인터넷 전화 또는 일반 전화 간, 국제 전화 간의 인터넷 전화가 통화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망(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SSP(Service Switching Point)(20), SCP(Service Control Point)(22), SMS(Service Management System)(24), IP(Intelligent Peripheral)(26), 및 SEAS(Signaling Exchange Administration System)(2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SSP(20)는 전화망에서 가입자의 호 중 지능망 서비스가 필요한 호를 인식하고 원하는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며, 호 제어 기능(CCF:Call Control Function) 및 서비스 교환 기능(SSF:Service Switching Function)을 제공하는 전자 교환기이다. 기존 전화망과 서비스망을 연결시키는 관문 역할을 하는데,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면 필요한 정보를 제어 시스템에 요구하고 이 정보가 도착하면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완성시킨다. 유선 통신망(12), 인터넷(13), 무선 통신망(16) 등의 서비스망과의 통신을 위해 신호망의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종류의 음성 안내 기능, 추가 디짓 정보 수집 기능 등을 갖고있어야 한다.
SCP(22)는 호 전환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No.7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서비스 교환기(SSP)(2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 검사, 경로 지정 정보 번역 등의 서비스 제어를 담당한다.
SMS(24)는 SCP(22)와 연결되어 호 전환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관리하는 지능망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IP(26)는 음성 안내 및 자동음성인식과 같은 지능망 서비스의 일부분의 정보를 보유하고, 서비스 제어기능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SEAS(28)는 공통선 신호망에서 일종의 운용 관리 시스템이다. 신호망의 효과적인 운용과 관리를 통하여 공통선 신호망의 서비스 제공 능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신호 중계점(STP)과 X.25망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거나 No.7 프로토콜로써 연결된다. 주요 기능은 신호 트래픽 관리, 신호망 모니터링에 의한 서비스 감시 및 관리, 신호망 관리 사항 통보, 신호망 유지 보수 사항 감시, 해당 정보 변경 및 검증, STP 내의 주소 번역 기능의 발생 및 적재 신호망의 성능 측정, 서비스 제어점(SCP) 간의 부하 재분배, 공통선 신호망의 보안 유지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존재한다. 이 밖에도 신호망의 구조와 트래픽 분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STP를 설치할 때는 이의 연결 위치를 정한다.
상술한 공통선 신호 방식(No.7 신호 방식)은 1980년에 ITU-T에서 표준화된 방식이다. 전화의 신호 방식 No.4~6에 이어지는 계열성을 이루고 있으나, 전화용뿐만 아니라 데이터 교환(회선 교환 방식의) 등에도 적용 가능하며 장래의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을 지향하고 있다. 국제, 국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신호 링크의 전송 속도는 디지털 전송 속도의 음성 1채널에 상당하는 64kbps를 기본으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선 통신망(12)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가입자 보드(30),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가입자 교환 서브 시스템)(32),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연결망 서브시스템)(34),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36), 운용자 터미널(3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입자 보드(30)는 다수의 가입자와 각각의 가입자 선로를 통해 각기 접속되고, 다수의 가입자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를 정합한다. 즉, 가입자 전화기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교환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가입자 전화기 측으로 제공되는 신호를 가입자의 전화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ASS(32)는 다수의 가입자 보드(30)와 각기 접속되고, 분산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호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CCS(36)로 제공한다. ASS(32)는 타임 스위치(time switch)를 사용한다.
INS(34)는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호 처리에 관련된 가입자의 전화 번호를 번역하고, 각 기능에 따른 루트를 제공한다. INS(34)는 공간 스위치(space switch)를 사용한다.
CCS(36)는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과금 데이터를 저장한다.
운용자 터미널(38)은 교환기와 운용자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ASS(32)에 무선 가입자와 정합하기 위한 무선 가입자 보드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무선 가입자 보드는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을 차례로 통해 무선 전화기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전환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순서도로, 유선 통신망(12), 무선 통신망(16), 및 인터넷(13)에 각기 접속되어 유선 전화의 호를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로 전환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에서 호 전환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특정 발신자 전화기에 의해 유선 통신망(12)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로부터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호 전환 요청을 수신받는다(단계 S10, S12). 상기 호 전환 요청은 특정 키 시퀀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서비스 제어기(SCP)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을 통해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 데이타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이때,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하여 지능망 서비스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2의 판단 결과, 특정 유선 전화 번호에 등록된 전화기로부터 호 전환 요청이 있을 경우, 벨이 울리고 있는 특정 유선 전화 호를 호 전환을 요청한 전화 번호 측으로 전환하여, 호 전환을 요청한 전화기와 특정 유선 전화기간에 통화채널을 형성한다(단계 S16, S18). 결국, 호 전환을 요청한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가 원래 특정 유선 전화에 착신된 호를 가로채어 통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특정 유선 전화 번호에 등록된 전화 번호는 무선 전화 번호, 인터넷 전화 번호, 및 유선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 S14에서 특정 유선 전화 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단계 S12에서 호 전환 요청이 없을 경우, 최초의 다이얼링에 대응하는 특정 유선 가입자에게 계속 착신시킨다(단계 S20).
사용자가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를 받을 경우 발신자와 착신자간 전화기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가 각기의 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2, S24).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능망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에 벨이 울릴 경우 그 유선 전화의 호를 무선 전화나 인터넷 전화로 전환하도록 한다. 특히, 고정된 유선 전화를 무선 전화기나 인터넷 전화기로 편리하게 당겨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사나 댁내 등에 고정 설치된 전화기로 착신되는 전화를 원하는 장소에서 매우 편리하게 받을 수 있다.

Claims (13)

  1.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전화망에서 가입자의 호 중 지능망 서비스가 필요한 호를 인식하고 원하는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
    공통선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서비스 교환기(SSP)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 검사, 경로 지정 정보 번역의 호 전환 지능망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기(SCP); 및
    상기 서비스 제어기(SCP)와 연결되어 상기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관리하는 지능망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에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상기 무선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등록된 특정 무선 전화기 측에서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의 호 전환을 요청하면,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간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시스템.
  2.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전화망에서 가입자의 호 중 지능망 서비스가 필요한 호를 인식하고 원하는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
    공통선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서비스 교환기(SSP)(2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 검사, 경로 지정 정보 번역의 호 전환 지능망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기(SCP); 및
    상기 서비스 제어기(SCP)와 연결되어 상기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데이타베이스로 관리하는 지능망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에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상기 인터넷에 접속되고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등록된 특정 인터넷 전화기 측에서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의 호 전환을 요청하면,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특정 인터넷 전화기간에 통화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은 공통선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채널은 타임 스위치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요청은 특정 키 시퀀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시스템.
  6.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인터넷에 각기 접속되어 호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에서 호 전환 방법으로서,
    (a) 특정 발신자 전화기에 의해 특정 유선 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착신되어 벨이 울릴 경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로부터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호 전환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b)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서비스 제어기(SCP)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SMS)을 통해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 데이타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판단 결과, 호 전환을 요청한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호 전환을 요청한 상기 특정 무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전화기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전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해 놓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유선 전화 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해당 전화 번호는 무선 전화 번호 또는, 인터넷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유선 전화 번호가 호 전환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최초의 다이얼링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전환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요청이 없을 경우 최초의 다이얼링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전환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은 공통선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호 전환 기능을 가진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채널은 타임 스위치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요청은 특정 키 시퀀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전환 방법.
KR1020050082991A 2005-09-07 2005-09-07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744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91A KR100744179B1 (ko) 2005-09-07 2005-09-07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91A KR100744179B1 (ko) 2005-09-07 2005-09-07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24A KR20070028724A (ko) 2007-03-13
KR100744179B1 true KR100744179B1 (ko) 2007-08-01

Family

ID=3810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991A KR100744179B1 (ko) 2005-09-07 2005-09-07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81B1 (ko) * 2007-12-12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호 전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76A (ko) * 2001-10-20 2003-04-26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76A (ko) * 2001-10-20 2003-04-26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24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8252B2 (en) Tandem access controller withi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7570631B2 (en) Cable telephony network supporting roaming VoIP terminals
US20070121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wful intercept detection of call data and call content
KR100884868B1 (ko) 음성 전화 호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게이트웨이 및 시스템
CN100521631C (zh) 产生回铃音的系统和方法
CN1476220B (zh) 分布式电话系统中支持集中式语音信箱服务的方法和装置
US7245709B2 (en) Portability of subscriber featur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0547987C (zh) 一种ip电话与电话网的无缝通讯方法
KR100392644B1 (ko)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이 결합된 호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19193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744179B1 (ko)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KR100456218B1 (ko) 구내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서비스제공 장치 및그 방법
KR100729580B1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EP3745694B1 (e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call via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multiple call numbers
CN1148915C (zh) 在ip网中设置业务交换点的方法
KR100371917B1 (ko)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898611B1 (ko) 브이오아이피 인터넷 통화 발신자의 위치추적방법
JP3376339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を利用した通話モニタ方式
KR100744178B1 (ko)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654376B1 (ko) Ip 기반의 pbx 간의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100751679B1 (ko)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64841B1 (ko) 광대역 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TW201929514A (zh) 語音服務系統及語音服務方法
JP2019115044A (ja) 音声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音声サービス方法
JP2003298768A (ja) 電話網を利用した、データ通信端末装置への任意の着信を可能とする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