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178B1 -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178B1
KR100744178B1 KR1020050082577A KR20050082577A KR100744178B1 KR 100744178 B1 KR100744178 B1 KR 100744178B1 KR 1020050082577 A KR1020050082577 A KR 1020050082577A KR 20050082577 A KR20050082577 A KR 20050082577A KR 100744178 B1 KR100744178 B1 KR 10074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bell
landline
phon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198A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8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1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에 각기 접속되어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될 때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지않으면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로도 착신 벨을 울려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무선 전화기의 구비된 표시창에 동시 벨 소리임을 표시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ARING BELL OF PHONE AND BELL OF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선 통신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능망 12 : 유선 통신망
14 : 유선 전화기 16 : 무선 통신망
18 : 무선 전화기 20 : SSP
22 : SCP 24 : SMS
26 : IP 28 : SEAS
30 : 가입자 보드 32 : ASS
34 : INS 36 : CCS
38 : 운용자 터미널
본 발명은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망(Advanced Intelligent Networks : AIN)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특정 시간차를 두고 연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망이란 통신망 내에 산재하는 교환기나 서비스 제어 노드, 망 내 제어용 데이터베이스를 공통선 신호망 또는 데이터망을 매개로 하여 유기적으로 통합, 컴퓨터의 힘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보수가 쉬운 새로운 망 구조 개념이다.
종래의 듀얼폰은 댁내에서는 유선 전화로 사용하다가 외부에서는 무선 전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전화기로 두 대의 전화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듀얼폰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듀얼폰 기능이 있는 듀얼폰 전용 단말기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튜얼폰의 보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 종류의 단말기에 착신 시 기 설정된 다른 종류의 단말기로도 전화벨을 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에 각기 접속되어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될 때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지않으면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로도 착신 벨을 울려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무선 전화기의 구비된 표시창에 동시 벨 소리임을 표시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받을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전화기로의 착신을 중지한다.
삭제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을 경우 해당 전화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일정 시간은 15초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은,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에 각기 접속되어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는 방법으로서,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되면 카운트를 시작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지않으면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로도 착신 벨을 울려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무선 전화기의 구비된 표시창에 동시 벨 소리임을 표시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받을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전화기로의 착신을 중지한다.
삭제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을 경우 해당 전화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일정 시간은 15초 이하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망 구성도로, 지능망(10), 유선 통신망(12), 유선 전화기(14), 무선 통신망(16), 및 무선 전화기(1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유선 전화기(14) 사용자는 유선 통신망(12)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한다.
무선 전화기(18) 사용자는 무선 통신망(16)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한다.
지능망(10)은 유선 통신망(12)과 무선 통신망(16)에 접속되고, 지능망(10), 유선 통신망(12), 및 무선 통신망(16) 사이에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연동되면서 지능망(10)으로부터 지능망 서비스가 제공된다. 지능망(10), 유선 통신망(12), 및 무선 통신망(16)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망(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SSP(Service Switching Point)(20), SCP(Service Control Point)(22), SMS(Service Management System)(24), IP(Intelligent Peripheral)(26), 및 SEAS(Signaling Exchange Administration System)(2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SSP(20)는 전화망에서 가입자의 호 중 지능망 서비스가 필요한 호를 인식하고 원하는 서비스를 완성시켜 주는 전자 교환기이다. 기존 전화망과 서비스망을 연결시키는 관문 역할을 하는데, 지능망 서비스 호를 인식하면 필요한 정보를 제어 시스템에 요구하고 이 정보가 도착하면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완성시킨다. 유선 통신망(12), 무선 통신망(16) 등의 서비스망과의 통신을 위해 신호망의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종류의 음성 안내 기능, 추가 디짓 정보 수집 기능 등을 갖고있어야 한다.
SCP(22)는 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No.7 신호망의 시스템으로 수행 교환기 (SSP)(20)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적격 검사, 경로 지정 정보 번역 등의 서비스 제어를 수행한다.
SMS(24)는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IP(26)는 음성 안내 및 자동음성인식과 같은 지능망 서비스의 일부분의 정보를 보유하고, 서비스 제어기능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SEAS(28)는 공통선 신호망에서 일종의 운용 관리 시스템이다. 신호망의 효과적인 운용과 관리를 통하여 공통선 신호망의 서비스 제공 능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신호 중계점(STP)과 X.25망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거나 No.7 프로토콜로써 연결된다. 주요 기능은 신호 트래픽 관리, 신호망 모니터링에 의한 서비스 감시 및 관리, 신호망 관리 사항 통보, 신호망 유지 보수 사항 감시, 해당 정보 변경 및 검증, STP 내의 주소 번역 기능의 발생 및 적재 신호망의 성능 측정, 서비스 제어점(SCP) 간의 부하 재분배, 공통선 신호망의 보안 유지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가 각각 존재한다. 이 밖에도 신호망의 구조와 트래픽 분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STP를 설치할 때는 이의 연결 위치를 정한다.
상술한 공통선 신호 방식(No.7 신호 방식)은 1980년에 ITU-T에서 표준화된 방식이다. 전화의 신호 방식 No.4~6에 이어지는 계열성을 이루고 있으나, 전화용뿐만 아니라 데이터 교환(회선 교환 방식의) 등에도 적용 가능하며 장래의 종합 정보 통신망(ISDN)을 지향하고 있다. 국제, 국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신호 링크의 전송 속도는 디지털 전송 속도의 음성 1채널에 상당하는 64kbps를 기본으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선 통신망(12)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가입자 보드(30),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가입자 교환 서브 시스템)(32),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연결망 서브시스템)(34),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36), 운용자 터미널(38)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입자 보드(30)는 다수의 가입자와 각각의 가입자 선로를 통해 각기 접속되고, 다수의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를 정합한다. 즉, 가입자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교환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가입자 측으로 제공되는 신호를 가입자의 전화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ASS(32)는 다수의 가입자 보드(30)와 각기 접속되고, 분산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호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CCS(36)로 제공한다. ASS(32)는 타임 스위치(time switch)를 사용한다.
INS(34)는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호 처리에 관련된 가입자의 전화 번호를 번역하고, 각 기능에 따른 루트를 제공한다. INS(34)는 공간 스위치(space switch)를 사용한다.
CCS(36)는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수행한다. 과금 데이터를 저장한다.
운용자 터미널(38)은 교환기와 운용자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ASS(32)에 무선 가입자와 정합하기 위한 무선 가입자 보드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무선 가입자 보드는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을 차례로 통해 무선 전화기 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순서도로, 유선 통신망(12) 및 무선 통신망(16)에 각기 접속되어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10)에서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특정 발신자는 유선 통신망(12)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 가입자에게 발신한다(단계 S10).
유선 통신망(12)에 접속된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되면 카운트를 시작한다(단계 S12). 카운트 등 통상적인 시계 기능은 보통 해당 장치에 내장된 시계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이때, 특정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는 그 유선 전화기에 설치된 후크 스위치(hook switch)의 동작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후크 스위치는 전화를 받을 경우 오프되고, 전화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일정 시간 예로, 15초 이내에 특정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6).
일정 시간 내에 특정 유선 전화를 받지않으면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로도 착신 벨을 울려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8). 이때, 특정 유선 전화기와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의 구비된 표시창에 동시 벨 소리임을 예로, CID(caller-ID service,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기능 등을 이용하여 표시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일정 시간 내에 특정 유선 전화를 받을 경우 해당 전화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단계 S20).
사용자가 특정 유선 전화기와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받을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전화기로의 착신을 취소하여, 불필요한 착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예로, 불필요한 착신일지라도 전화국에서는 그만큼 전력 낭비가 되는 것이다.
발신자 입장에서 보면 상대방에게 신호는 가는데 너무 오랫동안 받지 않을 경우 발신자가 전화를 그냥 끊어버리기가 쉽기 때문에 상기 일정 시간은 가능하면 짧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 시 기 설정된 다른 번호로도 전화벨을 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 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모두 받을 수 있다.

Claims (14)

  1.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에 각기 접속되어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는 지능망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될 때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지않으면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로도 착신 벨을 울려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무선 전화기의 구비된 표시창에 동시 벨 소리임을 표시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은 공통선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받을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전화기로의 착신을 중지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을 경우 해당 전화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는 상기 유선 전화기에 설치된 후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15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7. 삭제
  8.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에 각기 접속되어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을 연동시키는 방법으로서,
    특정 유선 전화기로 착신되면 카운트를 시작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지않으면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로도 착신 벨을 울려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무선 전화기의 구비된 표시창에 동시 벨 소리임을 표시해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은 공통선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유선 전화기와 상기 기 설정된 무선 전화기 중 하나를 받을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전화기로의 착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유선 전화를 받을 경우 해당 전화통화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는 상기 유선 전화기에 설치된 후크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15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방법.
  14. 삭제
KR1020050082577A 2005-09-06 2005-09-06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74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577A KR100744178B1 (ko) 2005-09-06 2005-09-06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577A KR100744178B1 (ko) 2005-09-06 2005-09-06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198A KR20070027198A (ko) 2007-03-09
KR100744178B1 true KR100744178B1 (ko) 2007-08-01

Family

ID=3810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577A KR100744178B1 (ko) 2005-09-06 2005-09-06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1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95A (ja) * 1994-07-13 1996-02-02 Hitachi Telecom Technol Ltd 着信制御方法
KR20020012987A (ko) * 2000-08-10 2002-02-20 윤종용 유무선 복합 사설망의 호 다중착신방법
KR20040036457A (ko) * 2002-10-26 2004-04-30 김희동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95A (ja) * 1994-07-13 1996-02-02 Hitachi Telecom Technol Ltd 着信制御方法
KR20020012987A (ko) * 2000-08-10 2002-02-20 윤종용 유무선 복합 사설망의 호 다중착신방법
KR20040036457A (ko) * 2002-10-26 2004-04-30 김희동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198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21C (zh) 电信随我转移业务
US6829332B2 (en) Personal dial tone service with personalized call waiting
US6101242A (en) Monitoring for key words with SIV to validate home incarceration
US75459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routing of repair calls to a call center
US75551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er control of a distinctive ring
US6868268B2 (en) Audio calling name and number delivery
US20010009577A1 (en) Emergency telephone call notific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CN1111077A (zh) 用于完成电话呼叫的方法
CN100426922C (zh) 一种智能网系统中呼叫接续的实现方法
WO2008019623A1 (fr) Procédé appareil et système de réalisation de service de rappel d&#39;occupation
CN101626558B (zh) 一种移动手机免打扰系统
KR100744178B1 (ko) 유선 전화의 벨과 무선 전화의 벨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N100496072C (zh) 一种总机实现方法
CN101090378B (zh) 识别与建立从ip网到pstn呼叫的方法和相应装置
US6208727B1 (en) Method of alerting apartment residents to the arrival of visitors
CN100525482C (zh) 智能网方式中个性化回铃音呼叫保护的方法及装置
CN1980297B (zh) 用于提供呼叫目的地信息的系统和方法
CN100576859C (zh) 一种实现固网终端移动化的方法和系统
KR100744179B1 (ko)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US6778658B1 (en) Digital dialed digit unlock method and system
KR10025579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날로그 가입자 발신번호 표시방법
KR100751679B1 (ko)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376339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を利用した通話モニタ方式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