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740B1 -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740B1
KR100743740B1 KR1020040025215A KR20040025215A KR100743740B1 KR 100743740 B1 KR100743740 B1 KR 100743740B1 KR 1020040025215 A KR1020040025215 A KR 1020040025215A KR 20040025215 A KR20040025215 A KR 20040025215A KR 100743740 B1 KR100743740 B1 KR 10074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injection nozzle
fire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050A (ko
Inventor
유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74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예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는, 재활용 설비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00)과, 상기 분사노즐(100)로 물을 인입하는 급수분지관(110)과, 상기 급수분지관(110)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20)과,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40)과, 상기 공기공급관(140)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100)로 공기를 인입하는 공기분지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100)은 공기와 물이 동시에 분사되는 이류체 분사노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00)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는 재활용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재활용 공정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함유된 발포물의 분쇄와 압축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하는 화재예방 장치는, 가연물 및 가연성 가스와 스파크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재활용, 화재, 가연성 가스, 파쇄기, 분쇄기, 단열재, 압착,

Description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 Fire-prevention equipment of recycling process }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재활용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공정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쇄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파쇄기의 요부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분쇄기의 요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파쇄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분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분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분사노즐 110.......급수분지관
120.......급수관 130.......공기분지관
140.......공기공급관 150.......중간밸브
200.......파쇄기 300.......분쇄기
본 발명은 화재예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공정 과정에서 가연성 가스가 함유된 발포물의 분쇄와 압축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하는 화재예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와 같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형 경제사회가 지속되는 한 금세기 중반 이전에 주요 천연자원의 고갈과 폐기물 처리계의 수용력 결여 등으로 경제 성장이 어려워 질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따라서, 다음 세대에 가용 자원과 쾌적한 환경을 물려주어, 지속적으로 가능한 개발이 영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의 재활용이 강조된다.
폐기물의 재활용은 소각이나 매립할 양을 감소시켜 처리를 용이하게 할 뿐만아니라 천연자원을 대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폐 가전제품을 수집한 다음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염화불화탄소(CFC:Chloro Fluor Carbon) 등 환경유해 물질을 회수하여 환경적으로 처리하며, 다음으로 해체, 분해, 파쇄, 선별 등의 과정을 거쳐 원자재를 분리하고, 분리된 원자재는 다른 산업의 원료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재활용은 환경의 보호와 자원의 효율적 이용 차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로써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과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위하여 필수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매립과 소각에 의존하여 재활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때, 폐기물을 적절히 처리하지 않으면 공기나 토양, 수질을 심각하게 오염시킨다. 특히, 폐 가전제품 중 냉장고의 냉매나 발포제에 포함되는 염화불화탄소(CFC:Chloro Fluor Carbon) 등은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이다.
오존층의 파괴는 지구표면에 이르는 자외선의 수치를 상승시킨다. 이는 피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식물의 생명을 위협하며, 바다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고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다른 온실가스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수명이 다한 가전제품의 재활용은 수작업으로 모터, 트랜스, 전선 등을 분리하고, 파쇄기에서 파쇄단계를 거친 후 자력선별기에서 철을 분리하게 된다. 철을 분리한 다음 알루미늄을 분리한다. 알루미늄의 분리가 끝나면, 일반 쓰레기와 활용이 가능한 원자재로 분리되어 일반 쓰레기는 폐기되고, 활용이 가능한 원자재는 다른 산업의 원료로 재활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것을 기초로 하여 재활용 공정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재활용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쇄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재활용의 공정을 살펴보면 폐기되는 가전 제품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공정을 거쳐 재활용된다. 폐기할 냉장고를 작업대에 위치시키면 공정의 1단계 즉, 수작업단계가 시작된다. 상기 1단계에서는 수작업으로 탈거 가능한 부품(모터, 전 선, 트랜스, 컴프레샤 등)을 해제한 후 고무, 유리, 플라스틱 등을 제거하게 된다.
수작업으로 각종 부품들과 재활용이 가능한 자재들이 해제된 냉장고는 냉매제로 쓰인 염화불화탄소(CFC:Chloro Fluor Carbon)는 냉매회수설비(10)에 의해 회수된다. 이때, 염화불화탄소(CFC:Chloro Fluor Carbon)는 상기 냉매회수설비(10))에 구비되는 냉매가스 흡입장치에 의해 회수된다. 회수된 냉매는 별도의 저장 탱크에 저장되게 된다.
냉매 회수가 완료된 냉장고는 작업라인(컨베이어 벨트)을 따라 제 2 단계인 파쇄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2단계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파쇄기(20)에 의해 작은크기로 파쇄하게 된다. 이는 냉장고의 운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쇄기(20)의 내부에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로 구성되는 커터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커터(도시되지 않음)는 원통형상의 환봉에 커터가 돌출 형성되고, 원통형상의 환봉이 회전하면서 동작된다. 또한, 상기 고정커터(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파쇄기(20)의 내주면 정면측과 후면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커터와 고정커터의 형상은 대응되는 톱니형상으로 성형된다.
냉장고가 파쇄될 때 냉장고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제와 발포제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금속자재와 냉장고의 내·외부에 형성되는 플라스틱 등이 상기 회전칼날과 고정칼날로 구성되는 커터에 의해 동시에 파쇄된다. 발포재가 파쇄되면서 발포재에 함유되는 가연성 가스가 상기 파쇄기(20)의 내부에서 발생된다. 발포재가 파쇄되면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이 맞물리는 지점에서 가 연성 가스의 농도는 최고가 된다.
상기 톱니형상의 커터에 의해 파쇄된 냉장고는 작업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제 3 단계인 분쇄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3단계에서는 상기 2단계보다 아래에서 설명할 분쇄기(30)로 더 잘게 분쇄된다. 상기 분쇄기(30)를 거치는 과정은 소재별로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냉장고를 분쇄하는 공정이다. 상기 분쇄기(30)는 상기 파쇄기(20)보다 더 잘게 분쇄되는 설비이다. 따라서, 톱니형상의 커터가 더 작고 조밀하게 성형된다.
상기 3단계의 과정이 끝나면, 작업라인(컨베이어 벨트)을 따라 이동하여 제 4단계인 철분리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3단계에서 분쇄된 냉장고는 제 4단계에서 철성분을 가지는 금속자재와 철성분이 없는 비금속자재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4단계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자력분리기(40)에 의해 분쇄된 냉장고에서 금속자재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 자력분리기(40)는 철성분이 자성에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냉장고에서 철성분을 가지는 금속자재와 철성분이 없는 비금속자재로 분리하게 된다. 이때, 분리된 금속자재는 압착하여 재활용되고, 비금속자재는 다시 분리된다.
상기 4단계에서 분리된 비금속자재는 제 5 단계인 폴리우레탄 분리단계로 이동한다. 제 5 단계에서는 폴리우레탄과 기타자재로 분리된다. 폴리우레탄은 냉장고의 발포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폴리우레탄은 단열성과 내저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폼의 형상으로 냉장고의 발포제로 많이 사용된다. 폴리우레탄의 가벼운 특성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풍력분리기(50)로 발포재를 분리한다.
상기 풍력분리기(50)는 바람을 송풍시켜 가벼운 우레탄이 비상하면 우레탄과 기타자재로 분리하는 설비이다. 상기 풍력분리기(50)에서 분리되는 기타자재는 다음단계인 제 6 단계에서 플라스틱과 기타자재로 분리된다. 상기 플라스틱은 냉장고의 표면 또는 기타 부품에 사용된다. 상기 제 6 단계에서 플라스틱과 분리되는 기타자재로 분리된다. 기타자재에는 알루미늄과 구리등이 속한다.
이처럼 재활용 공정을 거쳐 분리되는 재활용 자재는 다른 산업의 원자재로 활용되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자재는 쓰레기 처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재활용 공정 과정에서는 상기 파쇄기와 상기 분쇄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이 맞물리면서 가전제품의 외부를 형성하는 철판이 잘리게 된다. 이때, 철판에 붙어있던 단열재도 같이 절단된다. 단열재가 절단되면서 가연성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이 맞물리면서 철판과 마찰이 발생하여 스파크(spark)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절단되는 단열재들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철판과 커터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파크(spark)와 단열재들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로 인해 재활용 공정 중 파쇄하는 설비와 분쇄하는 설비에서 빈번하게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포물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저장 창고에서도 폭발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공장 전체에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 공정중에 발생되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는, 재활용 설비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물을 인입하는 급수분지관과, 상기 급수분지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인입하는 공기분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공기와 물이 동시에 분사되는 이류체분사노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는 재활용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물이 분무되면 분무되는 내부의 습도가 70 ~ 80% 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은 물이 분사될 때, 안개형상으로 분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급수분지관과 공기분지관에는 각각 중간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는, 스파크 또는 가연물 및 가연성 가스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파쇄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스파크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으며, 가스의 부분정체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도 예방되는 이점이 있 다.
수명이 다한 가전제품은 자원으로 재생산될 수 있는 부분과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없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자원으로 재생산될 수 있는 부분은 재활용되어 환경 오염을 저감시키고 자원의 재생산을 통해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에는 냉매제나 단열재로 사용되는 물질이 환경오염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대체 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환경 오염을 저감시키고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재활용 공정에서는 연소의 3대 요소인 점화원과, 공기, 가연물이 상존하고 있어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때로는 화재로 인한 폭발 사고까지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재활용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의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이러한 활발한 연구의 산물이기도 하다. 활발한 연구활동으로 화재의 원인을 고찰한 결과 냉장고를 파쇄 및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화재를 발생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게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냉장고의 외부를 형성하는 철판과 커터사이에 스파크(spark)가 발생하게 되는 것과, 절단되는 발포재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되어 화재를 발생시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발포재들을 포집하여 압착하는 과정에서 발포재 사이의 정전기가 화재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화재는 발포재 저장 창고의 폭발사고까지도 유발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파쇄기의 요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분쇄기의 요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파쇄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분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분쇄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재활용 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내부 구성품을 수작업으로 분리하는 수작업 단계인 1단계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1단계 공정을 마치면 1단계 공정에서 내부 구성품과 냉매, 오일 등이 제거된 냉장고를 운반하기 용이하게 하고, 소재별로 원활하게 분리하기 위해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 단계인 2단계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2단게 공정을 마치면 파쇄된 냉장고를 소재별로 분리가 용이하게 하고, 분리되는 소재의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분쇄하는 분쇄 단계인 3단계 공정이 실시된다. 상기 3단계 공정을 마치면 분쇄된 냉장고에서 소재별로 분리하는 소재별 분리 단계인 4단계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4단계 공정을 마치면 분리된 자원을 처리하는 처리 단계인 5단계 공정 이 실시된다. 상기 5단계 공정에서는 자원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는 재활용 할 수 있도록 압착하는 압착 단계와, 자원으로 재활용이 불가능한 기타 소재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2단계 공정에는 냉장고를 파쇄하는 설비인 파쇄기(200)가 설치되고, 상기 3단계 공정에서는 파쇄된 냉장고를 분쇄하는 분쇄기(300)가 설치된다.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일측에는 파쇄기(20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00)에는 분사노즐(100)로 물을 인입하는 급수분지관(110)이 체결된다. 상기 분사노즐(100)과 체결되는 상기 급수분지관(110)의 타단에는 외부의 물을 급수분지관(110)으로 공급하여 주는 급수관(120)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00)에는 분사노즐(100)의 내부로 공기를 인입하는 공기분지관(130)이 체결된다. 상기 분사노즐(100)과 체결되는 상기 공기분지관(130)의 타단에는 외부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주는 공기공급관(140)이 체결된다. 또한, 상기 급수분지관(110)과 상기 공기분지관(130)에는 각각 별도의 중간밸브(150)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100)은 공기와 물이 동시에 분사되는 이류체 분사노즐로 형성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100)의 일측면을 통해 물이 공급되고, 분사노즐(100)의 또 다른 측면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100)은 상기 급수관(120)을 통해 급수분지관(110)을 거쳐 급 수되는 물을, 상기 공기공급관(140)을 통해 공기분지관(130)을 거쳐 인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설비 장치의 내부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100)에서분사되는 물은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공기와 동시에 분사되면서 안개 형상으로 분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100)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는 재활용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제가 첨가된다. 상기 방청제는 금속이 부식하기 쉬운 상태일 때 첨가함으로써 녹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로써, 크롬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이 사용된다. 재활용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의 내부로 물이 안개형상으로 분부되면서 재활용 설비의 내부로 분무되는 물에 의해 재활용 설비의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물이 분무되는 설비 뿐만아니라, 재활용 공정에 사용되는 모든 설비에도 부식이 방지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기 분사노즐(100)을 통해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내부로 물이 분무될 때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내부 습도는 70 ~ 80%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이와 같은 이유는 습도가 70%보다 낮으면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내부에서 냉장고가 파쇄되거나 분쇄되면서 냉장고의 외부를 형성하는 철판과 커터(도시되지 않음)가 마찰을 하게된다. 이러한 마찰은 스파크(spark)를 발생시키게 된다.
냉장고가 파쇄되면서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재가 동시에 절단된다. 이러한 발포재 사이에서 마찰로 인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철판과 커터가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스파크(spark)와 발포재 사이에서 마찰로 인한 정전기는 냉장고가 파쇄 및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의 촉매 작용으로 상기 파쇄기(200) 또는 분쇄기(300)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파쇄기(200) 또는 분쇄기(300)의 내부 습도가 80%보다 높으면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내부에서 냉장고가 파쇄되거나 분쇄된 결과물이 다소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게 됨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 분리가 잘 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쇄기(200) 및 분쇄기(300)의 내부 습도를 70 ~ 80%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습도계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재활용 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1단계 공정을 거친 냉장고는 2단계 공정인 파쇄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2단계 공정에서는 냉장고를 운반과 자재별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위해 잘게 파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쇄기(200)의 내부에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로 구성되는 커터(도시되지 않음)가 냉장고를 파쇄하면서 냉장고의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단열재도 동시에 절단되게 된다.
단열재가 절단되면서 단열재에 함유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가 상기 파쇄기(200)의 내부로 배출된다. 단열재가 절단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배출됨으로 단열재가 절단되는 커터 주위의 가연성 가스 농도가 타 공간의 농도보다 높아지게 된다.
한편,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20)을 통해 급수되는 물은 상기 급수분지관(110)을 거쳐 상기 분사노즐(1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분사노즐(100)로 인입되는 외부의 물은 상기 파쇄기(200)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외부 모터의 회전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공기공급관(140)을 통해 상기 공기분지관(130)을 거쳐 상기 분사노즐(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와 동시에 상기 파쇄기(200)의 내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공기와 물이 동시에 분사되면서 안개형상으로 분무된다. 안개형상으로 분무되는 공기와 물은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를 확산시키고, 상기 파쇄기(200)와 상기 분쇄기(300)의 내부에 산재되는 발포재를 감싸고 있던 금속재질의 철판과 냉장고를 파쇄하고 분쇄하는 커터(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스파크(spark) 발생을 억제시키게 된다.
발포재를 감싸고 있던 금속재질의 철판과 커터 사이의 스파크(spark) 발생을 억제하게 되면 연소의 3 요소 중 하나인 점화원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여 줌으로써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에 의해 절단되는 발포재와 발포재 사이의 마찰로 인한 정전기 발생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포재가 분리되어 재활용되기 위한 압착 공정시 발포재와 발포재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던 정전기의 발생도 상기 파쇄기(200)와 분쇄기(300)의 내부에서 분무되는 공기와 물에 의해 작업라인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발포재는 소정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게 된다. 발포재가 함유하고 있는 소정의 수분으로 인해 발포재를 압착할 때 발포재와 발포재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가 억 제됨으로써 발포재 저장 창고에서 발생되는 화재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 방청제가 첨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방청제외에 다수의 첨가제가 첨가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일반 가정이나 상점에서 수명이 다한 냉장고등의 가전제품은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때 재활용 공정은 여러가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수작업으로 내부 부품등을 제거하는 1 단계와, 가전제품을 파쇄하는 2단계 그리고, 분쇄하는 3단계 소재별로 분리하는 소재별 분리단계를 거쳐 자재와 쓰레기로 분리하여 자재는 다른 산업의 원자재로 사용되고, 쓰레기는 처리하는 여러가지 공정을 거친다.
2단계와 3단계에서 파쇄기와 분쇄기에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로 구성되는 커터가 구비되어 가전제품을 파쇄한 후 분쇄하게 된다. 회전칼날의 회전에 의해 교차되면서 가전제품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재와 발포재를 감싸고 있던 철판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단열재가 절단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발포재를 감싸고 있던 철판이 절단되면서 철판과 커터가 마찰되어 스 파크(spark)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무되는 공기와 물은 상기 파쇄기와 분쇄기의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가연성 가스를 확산시키고, 철판과 커터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파크(spark)도 억제하게 되어 가연성 가스와 스파크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기와 분쇄기의 내부에 산재되는 발포재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 발생도 억제됨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화재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포재가 분리되어 작업 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저장장소에 포집된다. 포집된 발포재와 발포재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공기와 물이 분무되는 파쇄기와 분쇄기에서 절단되는 발포재는 소정의 습기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정전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발포재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로 인한 화재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정전기로 인한 화재가 예방됨으로써 화재에 따른 폭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재활용 설비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물을 인입하는 급수분지관과,
    상기 급수분지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상기 분사노즐로 공기를 인입하는 공기분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공기와 물이 동시에 분사되는 이류체분사노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에는 재활용 설비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물이 분무되면 분무되는 내부의 습도가 70 ~ 8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물이 분사될 때, 안개형상으로 분무되도 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분지관과 공기분지관에는 각각 중간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KR1020040025215A 2004-04-13 2004-04-13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KR10074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15A KR100743740B1 (ko) 2004-04-13 2004-04-13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15A KR100743740B1 (ko) 2004-04-13 2004-04-13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050A KR20050100050A (ko) 2005-10-18
KR100743740B1 true KR100743740B1 (ko) 2007-07-27

Family

ID=3727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215A KR100743740B1 (ko) 2004-04-13 2004-04-13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46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이에스지케이 가스누출에 의한 주택의 화재폭발 예방장치 및 그 방법
KR102501231B1 (ko) 2022-01-19 2023-02-21 노명국 폐기물 저장조 화재 억제용 질소 퍼지 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58B1 (ko) * 2006-12-18 2008-04-18 주식회사 포스코 콘베어 벨트용 화재 진화장치
KR20200026843A (ko) 2020-02-13 2020-03-11 주식회사 디프리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수성도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565A (en) 1999-03-03 1999-11-09 Wicks; Edward A. Emergency ventilation system for biological/chemical contamination
JP2001161842A (ja) 1999-12-06 2001-06-19 Kajima Corp 排煙システム併用火災煙制御装置
JP2003111858A (ja) 2001-10-04 2003-04-15 Bunka Shutter Co Ltd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3206010A (ja) 2002-01-15 2003-07-22 Takuma Co Ltd 固形燃料貯蔵槽の火災防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565A (en) 1999-03-03 1999-11-09 Wicks; Edward A. Emergency ventilation system for biological/chemical contamination
JP2001161842A (ja) 1999-12-06 2001-06-19 Kajima Corp 排煙システム併用火災煙制御装置
JP2003111858A (ja) 2001-10-04 2003-04-15 Bunka Shutter Co Ltd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3206010A (ja) 2002-01-15 2003-07-22 Takuma Co Ltd 固形燃料貯蔵槽の火災防止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46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이에스지케이 가스누출에 의한 주택의 화재폭발 예방장치 및 그 방법
KR101659431B1 (ko) * 2015-02-25 2016-09-23 주식회사 이에스지케이 가스누출에 의한 주택의 화재폭발 예방장치 및 그 방법
KR102501231B1 (ko) 2022-01-19 2023-02-21 노명국 폐기물 저장조 화재 억제용 질소 퍼지 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050A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600B1 (en) Fuel pellet, fuel pellet production method, and fuel pellet production device
JP2725505B2 (ja) 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43740B1 (ko) 재활용 공정의 화재예방장치
KR101669159B1 (ko) 냉장 장치를 분쇄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01522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sorgen von altkühlgeräten
KR20160032803A (ko) 폐기물 재활용 설비의 화재 자동소화장치
JP2013242099A (ja) フロンガスの無害化処理方法
JPH0782581A (ja) 廃材を用いた固形燃料
US6655167B2 (en) Cryogenic comminution of rubber
KR100908139B1 (ko) 폐목을 이용한 화목 제조장치
CN203437177U (zh) 一种废旧冰箱冰柜破碎粉碎设备
CN202293099U (zh) 一种废旧冰箱聚氨酯泡沫发泡剂的连续回收系统
KR20080057653A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와 이의 제조방법 및 그장치
CN104637631A (zh) 一种从废旧电缆中回收铜丝的装置
KR20010067490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된 고체연료
JP2679562B2 (ja) 断熱材中の発泡ガス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JPH0857853A (ja) 廃棄物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102441951A (zh) 一种废旧冰箱聚氨酯泡沫发泡剂的连续回收系统
CN1765433A (zh) 再循环工程的火灾预防装置
JP5155087B2 (ja) フロン或いはフロン類似物質を含有する合成樹脂発泡体の処理方法
JP4096051B2 (ja) 断熱材のフロン破壊処理システム
JP3602685B2 (ja) 固形燃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35040B2 (ja) 断熱材中の発泡剤の回収方法及び装置
JP5155088B2 (ja) フロン或いはフロン類似物質を含有する合成樹脂発泡体の処理方法
JP2006142709A (ja) 断熱材の処理方法、及び断熱材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