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342B1 -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342B1
KR100742342B1 KR1020050108651A KR20050108651A KR100742342B1 KR 100742342 B1 KR100742342 B1 KR 100742342B1 KR 1020050108651 A KR1020050108651 A KR 1020050108651A KR 20050108651 A KR20050108651 A KR 20050108651A KR 100742342 B1 KR100742342 B1 KR 10074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itialization
initialization signal
contro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153A (ko
Inventor
유용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34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는, 신호 송신장치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초기화 신호 생성부, 생성된 초기화 신호를 신호 송신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초기화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신호 송신, 신호 수신, 송신 에러, 초기화 신호

Description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Received apparatus for decreasing data error of transmitted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로 연결된 신호 송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의 부분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호 송신장치 200 : 신호 수신장치
210 : 초기화 신호 생성부 220 : 디코딩부
230 : 디코딩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제어부 260 : 비휘발성 메모리
270 : 휘발성 메모리 280 : DDC 메모리
본 발명은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 LCD 모니터, PDP, 등과 같은 디지털 가전 기기의 보급 확산에 따라 주변 기기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예컨대 IEEE 1394, USB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연상 표시 장치에서 채용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표준으로서 DVI(digital video interface)와 함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DVI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영상 신호를 하나의 커넥터에 수용하기 위해 DDWG(digital display working group)에서 만든 규격으로 신호가 디지털 비디오인 것만을 지원한다. 외부에서 주어지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DVI 규격 커넥터를 통해 해당 디지털 표시 장치로 입력된다. 이러한 DVI는, 현재 PC, TV, DVD 등의 제품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DVI 기술은 디지털 영상 신호만을 지원하므로 디지털 음성 신호의 지원이 미흡하고, 그 커넥터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커넥터칩 제조업체와 OEM의 컨소시엄에 의해 발표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표준(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tandard)이 HDMI이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시대로의 인도를 위해 설계된 HDMI는 고선명(high-definition) 비디오와 다중채널 오디오를 5Gbps 이상이 대역폭을 가진 단일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로 인하여 HDMI는 비압축 디지털 화질(음질)을 지원하고, 커넥터의 케이블 수가 적고 크기 또한 작아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HDMI는 기존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주류였던 DVI 표준과도 연동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로 연결된 신호 송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신호 송신장치(10)와 신호 수신장치(20)가 연결되지 않았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신호 송신장치(10)와 신호 수신장치(20)가 연결되었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터는 HDMI/DVI 규격에 있어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장치(10)와, 신호 송신장치(10)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장치(20)의 사이를 연결하여 정보 교환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신호 수신장치(20)는 커넥터(15)로 연결된 신호 송신장치(10)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신호 송신장치(10)로는, DVD 플레이어, 셋 업 박스 등이 있고, 신호 수신장치(20)로는 모니터 등이 있다.
신호 송신장치(10)는 커넥터(15)를 통하여 5V의 전압을 신호 수신장치(20)에 공급한다. 신호 수신장치(20)는 이 전압을 DDC(digital data channel)가 저장된 EEPROM의 전원으로 사용하고, 신호 송신장치(10)로부터 수신하는 전압을 커넥터를 통하여 신호 송신장치(10)로 피드백한다. 이로써, 신호 송신장치(10)는 신호 수신장치(20)가 커넥터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신호 수신장치(20)가 연결되었음을 감지한 신호 송신장치(10)는 I2C 라인을 이용하여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da)와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통신을 개시한다. 그러나, 단순히 신호 송신장치(10) 및 신호 수신장치(20) 간에 커넥터(15)가 연결되었다고 해서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5)가 연결되었다고 하더라도 신호 수신장치(20)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공급된다 하더라도 신호 수신장치(20)가 정상 상태가 아닐 때는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하다. 신호 송신장치(10)는 통신이 개시되면,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커넥터(15)를 통하여 송신한다. 그러나, 신호 수신장치(20)는 이와 같이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없어 신호 송신장치(10)로 송신해야 할 응답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신호 수신장치(20)에 전원이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신호 송신장치(10)는 잘못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므로 신호 수신장치(20)에서는 이를 처리할 수 없어 에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는, 신호 송신장치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초기화 신호 생성부; 생성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신호 송신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초기화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상기 수신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온 되는 경우에 상기 초기화 신호 생성부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신호를 표시하는 방송 동작모드와 DVD 신호를 표시하는 DVD 동작 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 간의 전환이 있는 경우에 상기 초기화 신호 생성부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초기화 신호는 하이레벨의 전압과 로우레벨의 전압 간에 상호 전환되는 신호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신호 송신장치(100)는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신호 수신장치(200)로 전송한다. 신호 송신장치(100)는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셋탑 박스(set-top box) 등일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200)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신호 수신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예를 들어 모니터(monitor)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200)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신호를 표시하는 방송 동작 모드와 DVD 신호를 표시하는 DVD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DVD 동작 모드에는 DVI 모드와 HDMI 모드가 있을 수 있다. DVI 모드는 DVI 규격에 따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모드이고, HDMI 모드는 HDMI 규격에 따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신호 수신장치(200)는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인코딩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제어부(250), 비휘발성 메모리(260), 휘발성 메모리(270) 및 DDC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는 제어부(260)의 제어하에 신호 송신장치(100)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초기화 신호는 신호 수신장치(200)가 초기화되었음을 통보하는 신호로써, 이 초기화 신호를 수신한 신호 송신장치(100)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기화 동작으로는 신호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수신장치(200)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신호 수신장치(200)가 초기화 신호를 신호 송신장치(100)에 송신한 경우에는, 신호 송신장치(100)는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신호 수신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변환됨으로써, 초기화 신호가 신호 송신장치(100)에 송신된 경우에는, 신호 송신장치(100)는 변환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초기화 신호는 하이레벨의 전압과 로우레벨의 전압 간에 상호 전환되는 신호이다.
바람직하게,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신호 수신장치(200)의 동작 모드 간의 전환이 있는 경우에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200)는 방송 동작 모드에서 DVD 동작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및 DVD 동작 모드에서 방송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DVD 동작 모드에서도 HDMI 규격 모드에서 DVI 규격 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및 DVI 규격 모드에서 HDMI 규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신호 수신장치(20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전압 레벨이 일시적으로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또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환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는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수신장치(200)를 초기화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신호 송신장치(100)와 연결되어 신호 송신장치(100) 및 신호 수신장치(200) 간의 정보 교환시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초기화 신호를 신호 송신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암호화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키(key)를 수신할 수 있다.
디코딩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디코딩한다.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는 암호화된 형태이다. 디코딩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전달된 키(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240)에서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코딩부(23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20)가 개별적으로 구현되었으나, 디코딩부(230)과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디코딩부(23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22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그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디코딩부(230)에서 디코딩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250)는 비휘발성 메모리(26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따라 신호 수신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 관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초기화 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장치(200)로의 전력 공급이 온 되는 경우에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장치(200)로의 전력 공급을 감지하여, 전력 공급에 의하여 신호 수신장치(200)의 전압 레벨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되는 것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장치(200)의 동작 모드 간의 전환이 있는 경우에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장치(200)의 전압 레벨이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또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되도록 신호 수신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260)는 신호 수신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휘발성 메모리(27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신호 수신장치 (200)의 작업 도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DDC(digital data channel) 메모리(280)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신호 수신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신호 수신장치(200)의 해상도, 수평 수직 주파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DDC 메모리(280)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DDC 메모리(280)는 EEPRO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DDC 메모리(280)는, 제어부(250)의 제어를 받지 않고 작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장치(200)의 전압 레벨이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신호 수신장치(200)의 전압레벨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또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전환될 수 있다. 신호 수신장치(200)의 전압레벨의 변환은 신호 수신장치(200)가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전압레벨이 변환된 경우(S310:Y),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는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초기화 신호를 신호 송신장치(100)로 송신한다(S320). 신호 송신장치(100)는 신호 수신장치(200)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송신장치(100)에 입력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신호 수신장치(200)로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 수신장치(200)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한다(S330).
전압레벨이 변환되지 않은 경우(S320:N), 제어부(250)는 신호 수신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40). 본 실시예에서, 신호 수신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에서 소정의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경우에도 전압레벨의 전환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송 동작 모드 또는/및 DVD 동작 모드로써 신호 수신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경우에도 전압레벨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전압레벨의 전환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현 상태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영상/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수신장치의 부분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화 회로이고, (b)는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의 전압 수신단(P2)(이하, HOT PLUG 단자) 및 전압 송신단(P1)을 나타낸다. 다이오드 D1은 회로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신호 송신장치(100)는, DDC가 저장된 신호 수신장치(200)의 EEPROM(미도시)의 전원으로 5V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HDMI_1_5V'라 한다. 도 4의 초기화 신호 생성 회로에 따른 HDMI_1_5V는 저항 R1에 약간의 전압이 인가되지만, 대부분 신호 송신장치(100)로 피드백(feedback)될 수 있는 구조이다.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의 전압레벨이 로우레벨이면, 트랜지스터 Q1은 개방(open)되어 신호 송신장치(100)의 송신단(P1)로부터 공급된 5V는 대부분 전압 수신단(P2)으로 피드백된다. 반면,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의 전압레벨이 하이면, 트랜지스터 Q1은 단락(short)되어 5V의 전압은 트랜지스터 Q1를 통과하여 접지(ground)되고 수신단(P2)로 5V의 전압이 피드백되지 않으므로 OV 전압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화 신호의 생성은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는 제어부(250)에 의해 공급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 Q1과 연결되어 트랜지스터 Q1을 개방 또는/및 단락하여 전압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는 신호 수신장치(200)에 전력 공급이 온(on) 되거나 동작 모드가 전환되면, 트랜지스터 Q1을 '단락->개방->단락'시킴으로써, 전압레벨을 전환하여 신호 수신장치(200)가 초기화되었음을 신호 송신장치(100)로 통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단자 18을 통해서 5V의 전력이 공급되며, 이 전력은 EEPROM과 같은 DDC(디지털 데이터 채널)메모리(미도시)로 공급된다. 한편, 신호 수신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 제어부(250), 디코딩부(230), 디스플레이부(240), 휘발 성 메모리(270), 비휘발성 메모리(260) 등은 별도로 전력(이하 "주전력"이라 한다)을 공급받는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신호 송신장치(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은 것이 아니고 별도의 전원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DDC 메모리(미도시)는, 단자 18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항상 온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상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별도의 전력 공급이 없으면 오프된 상태이다.
단자 18로는 5V가 공급되지만, 주전력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는 제어부(250)에 공급되는 전력이 없으므로, 로우 레벨의 신호가 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 Q1이 오프되어 신호 송신장치(100)로는 하이레벨의 전력이 공급된다.
주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의 초기화 신호 생성부(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는 제어부(250)에 의해 그 레벨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전력이 공급되면 제어부(250)는 제어신호(HDMI_1_HOTPLUG_CONTROL)의 레벨을 하이로 제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 Q1이 도통되어 단자 19는 로우 신호가 된다. 신호 송신장치(100)는, 단자 19의 신호 레벨이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된 것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전환 동작이 있는 경우, 신호 수신장치(200)가 오프에서 온 된 것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는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HDMI/DVI 규격으로 연결된 신호 송신장치가 초기화를 시작하도록 상기 신호 송신장치에 자신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기 위한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는 초기화 신호 생성부;
    생성된 상기 초기화 신호를 상기 신호 송신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초기화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수신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온 되는 경우에 상기 초기화 신호 생성부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신호를 표시하는 방송 동작모드와 DVD 신호를 표시하는 DVD 동작 모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 간의 전환이 있는 경우에 상기 초기화 신호 생성부가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신호는 하이레벨의 전압과 로우레벨의 전압 간에 상호 전환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KR1020050108651A 2005-11-14 2005-11-14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KR10074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651A KR100742342B1 (ko) 2005-11-14 2005-11-14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651A KR100742342B1 (ko) 2005-11-14 2005-11-14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53A KR20070051153A (ko) 2007-05-17
KR100742342B1 true KR100742342B1 (ko) 2007-07-25

Family

ID=3827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651A KR100742342B1 (ko) 2005-11-14 2005-11-14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3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679A (ja) * 1992-11-20 1994-06-10 Hitachi Ltd ケーブルの接続確認方式
KR20010028298A (ko) * 1999-09-20 2001-04-06 서평원 데이터 통신 케이블 접속의 자동 확인 장치
JP2003209920A (ja) 2002-01-16 2003-07-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Dvi光延長ケーブル接続および外部電源入力確認装置
JP2004086359A (ja) 2002-08-23 2004-03-18 Japan Radio Co Ltd Usb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36279A (ko) *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유에스비 통신 안정화 장치
JP2005231229A (ja) 2004-02-20 2005-09-02 Ricoh Printing Systems Ltd プリンタ装置のケーブル誤接続検出方式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679A (ja) * 1992-11-20 1994-06-10 Hitachi Ltd ケーブルの接続確認方式
KR20010028298A (ko) * 1999-09-20 2001-04-06 서평원 데이터 통신 케이블 접속의 자동 확인 장치
JP2003209920A (ja) 2002-01-16 2003-07-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Dvi光延長ケーブル接続および外部電源入力確認装置
JP2004086359A (ja) 2002-08-23 2004-03-18 Japan Radio Co Ltd Usb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36279A (ko) * 2003-10-15 2005-04-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용 단말기에서의 유에스비 통신 안정화 장치
JP2005231229A (ja) 2004-02-20 2005-09-02 Ricoh Printing Systems Ltd プリンタ装置のケーブル誤接続検出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53A (ko)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892B2 (en) Receiving device, and input switching control method in receiving device
EP216282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data
US8973024B2 (en) Video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ideo control apparatus
WO2015137716A1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JP4835568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送信装置、送信装置におけるデータ受信方法
US8341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from a transmitter to a receiver and reading and writing EDID
US20130176501A1 (en) Display apparatus, video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of video signal
KR101561491B1 (ko)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핫 플러그 감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40040079A1 (en) Recep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2018005458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using hdmi and apparatus therefor
KR2007009278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742342B1 (ko) 신호 송신장치의 송신 에러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수신장치
KR20070083341A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
JP2005091795A (ja) 表示装置
KR101369390B1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2012186856A (ja) 映像伝送システム及びedidの読み出し方法
JP6056176B2 (ja) リピータ機器
KR1013475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호스트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전방법
JP2010140291A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KR1998007541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ddc 에러 방지 회로 및 방법
US2012026620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onnection Terminal
WO2013001879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映像機器、及び携帯端末
JP2013168985A (ja) 映像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