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99B1 -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99B1
KR100740799B1 KR1020050133108A KR20050133108A KR100740799B1 KR 100740799 B1 KR100740799 B1 KR 100740799B1 KR 1020050133108 A KR1020050133108 A KR 1020050133108A KR 20050133108 A KR20050133108 A KR 20050133108A KR 100740799 B1 KR100740799 B1 KR 10074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rinell hardness
test
time
ind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490A (ko
Inventor
방건웅
탁내형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3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7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8Hydraul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78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using inden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78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using indentation
    • G01N2203/0082Indentation characteristics measured during 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98Tests specified by its name, e.g. Charpy, Brinnel, Mull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를 이용한 경도시험에 있어서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 및 유지시간(dwell time)을 측정하여 더욱 정확한 경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해 주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구비되어 경도시험 중 유압값을 측정하는 유압센서; 시험유압이 일정한 세기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압입시간 및 상기 시험유압이 일정한 세기로 계속 유지되는 유지시간을 구분하여 시간값을 측정하는 타이머;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압값의 변화량을 사용하여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값 측정동작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고,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압값과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된 시간값을 사용하여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 및 유지시간(dwell time)을 구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리넬 경도, 경도시험, 유압식, 교정, 보정

Description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Test-Cycle Calibrator for Hydraulic Brinell Hardness Tester}
도 1은 경도시험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험도.
도 2는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를 설치하여 놓은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도.
도 5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서의 시간-시험하중(또는 압입깊이) 관계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
110: 연산장치 120: 유압센서
111: 제어부 112: 타이머
113: 알람 114: 메모리
115: 출력부
115a: 압입속도 출력부 115b: 유지시간 출력부
200: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
210: 측정부 211: 누르개
212: 시편거치대 220: 게이지
본 발명은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를 이용한 경도시험에 있어서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 및 유지시간(dwell time)을 측정하여 더욱 정확한 경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해 주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리넬 경도는 주물, 단조가공으로 생산되는 재료의 경도의 기준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주철 및 비철금속의 모든 주물 재료에 대하여 매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물질의 특성 중 하나이다. 브리넬 경도는, 경도를 측정하려는 물체를 이 물체보다 더 단단한(즉 더 경도가 높은) 누르개로 가압한 후,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크기와 상기 저항력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피측정물체의 압입자국의 크기를 비교 환산하여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누르개는 피측정물체보다 더 경도가 높은 물질로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인조 다이아몬드 등이 쓰이기도 하며, 또한 실험상의 오차를 줄이며 이론적으로 분석하기에 보다 용이하도록 구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러 물질들의 내마모성을 알 수 있게 하는 기 준으로는 상기 브리넬 경도 외에도 로크웰 경도ㆍ비커스 경도ㆍ쇼어 경도 등이 사용되지만, 금속 재료의 경도 기준으로서는 대표적으로 브리넬 경도가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판은 브리넬 경도를 품질보증서에 표기하도록 되어 있는 등, 브리넬 경도는 실제 생산현장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특성치이다.
브리넬 경도는 통상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하기 식에서의 구형 누르개 지름(D) 및 압입자국 지름(d)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도 1은 경도시험기의 누르개와 시편이 접촉하는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ure 112005077687677-pat00001
HB : 브리넬 경도
F : 시험하중 (N)
D : 구형누르개 지름 (mm)
d : 압입자국 지름 (mm)
상기의 수학식 1 및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 브리넬 경도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인자는 시험하중ㆍ구형누르개 지름ㆍ압입자국 지름이다. 브리넬 경도시험기에는 상기 시험하중(F)을 출력하도록 다이얼 게이지ㆍ전자식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어 있어 측정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각 기하학적 요소(구형누르개 지름ㆍ압입 자국 지름)의 경우, 이 중 구형누르개 지름(D)은 브리넬 경도시험기가 제작되어 나올 때 그 규격이 정해져서 나오기 때문에 측정자에게 이미 알려져 있는 값이며, 상기 압입자국 지름(d)은 전용 계측현경을 사용하여 측정하거나 압입깊이(h)로부터 KS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는 값을 사용한다.
Figure 112005077687677-pat00002
h : 압입깊이 (mm)
D : 구형누르개 지름 (mm)
d : 압입자국 지름 (mm)
상기와 같은 길이 요소는 물리적 요소들 가운데 근원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단위이므로, 직접 길이 한 가지만을 측정하면 되는 단순한 측정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 그러나 시험하중은 힘 단위로서, 질량ㆍ길이ㆍ시간 등과 같은 근원적 요소들의 합성으로 도출되는 단위인 바, 힘을 측정하는 것은 실제로 힘 자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힘의 크기에 관계되어 변화하는 다른 요소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용수철을 당기는 힘과 용수철이 늘어나는 길이는 서로 정비례 관계에 있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용수철이 늘어나는 길이로써 힘을 측정하는 용수철 저울과 같은 것이 이러한 예이다.) 그러므로 시험하중의 측정에는 실제로는 압입속도ㆍ유지시간 등의 인자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의 식에 압입속도ㆍ유지시간 등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브리넬 경도가 처음 고안될 당시 압입속도ㆍ유지시간 등의 인자가 브리넬 경도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몰랐으며, 그렇게 정확한 경도가 요구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의 공학자ㆍ기술자들은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경도 정보를 요구하고 있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술한 압입속도ㆍ유지시간 등에 의한 오차들이 원하는 신뢰성 범위 내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발견해 내었으며, 이를 고려하여 여러 종류의 보정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기의 식은 수학적으로 산출된 이론식이 아니라, 독일 PTB에서 실제 경도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낸 실험식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얻어진 식들 중 하나이다.
Figure 112005077687677-pat00003
Figure 112005077687677-pat00004
HB : (교정된) 브리넬 경도
HB o : (교정되지 않은) 브리넬 경도
F : 시험하중 (N)
D : 구형누르개 지름 (mm)
d : 압입자국 지름 (mm)
δ t 0 : 압입시간(sec, indentation time)
δ HB to :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에 따른 경도보정값
δ t 1 : 유지시간(sec, dwell time)
δ HB t1 : 유지시간(dwell time)에 따른 경도보정값
상기 수학식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브리넬 경도의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시험하중의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브리넬 경도 측정 후 교정을 할 때, 시험하중을 교정하기 위한 로드셀ㆍ구형누르개 지름 및 압입자국 지름을 교정하기 위한 공구현미경을 대표적으로 사용해 왔으나, 상기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이 경도값에 끼치는 영향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무시할 수 없음이 밝혀짐에 따라 압입속도ㆍ유지시간까지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산업현장에는 이미 종래의 브리넬 경도시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상기와 같은 압입속도ㆍ유지시간까지 정확히 측정하는 장치가 구비된 형태의 브리넬 경도시험기가 보급되지 않았으며, 기존의 브리넬 경도시험기를 모두 신형으로 교체할 만큼 투자가 이루어지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 때문에 당업자들도 상기와 같은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브리넬 경도시험기의 제작 및 생산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는 적절한 측정장 치가 따로 없기 때문에 상기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은 측정자가 초시계를 가지고 측정하여 왔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구형 누르개가 시편에 접촉하여 시험하중을 가할 때 다이얼 게이지가 움직임이 일어나는 점에 착안하여, 다이얼 게이지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 초시계를 눌러 카운트를 시작하고 움직임이 멈추었을 때 다시 초시계를 눌러 카운트를 끝냄으로써, 하중이 가해지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정방법은 첫째, 측정자의 감각와 목측에 의존하여 초시계로 측정하기 때문에 숙련자라 할지라도 오차가 쉽게 발생하며 반복 측정결과도 좋지 못하다. 둘째, 측정자의 주관에 의존하여 판단되기 때문에 측정자마다 상이한 측정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셋째, 압입속도가 매우 빠를 경우에는 미처 사람의 반응속도가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측정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압입속도ㆍ유지시간에 대한 교정 신뢰도가 매우 저조하다는 문제점에 대하여 당업자들 사이에서 꾸준한 개선 및 해결책에의 요구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입시간 및 유지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기존의 경도시험기에 쉽게 착탈가능한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 험사이클 교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구비되어 경도시험 중 유압값을 측정하는 유압센서; 시험유압이 일정한 세기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압입시간 및 상기 시험유압이 일정한 세기로 계속 유지되는 유지시간을 구분하여 시간값을 측정하는 타이머;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압값의 변화량을 사용하여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값 측정동작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고,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압값과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된 시간값을 사용하여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 및 유지시간(dwell time)을 구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값들을 이용하여 교정된 브리넬 경도를 연산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브리넬 경도를 출력부에 더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를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부착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의 시스템도이다. 도 5는 브리넬 경도시험기로 경도시험을 할 때 시간에 따른 하중의 크기(또는 압입깊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로서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기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200)의 측정부(210)는 누르개(211)와 시편거치대(212)로 이루어져 있는데, 먼저 시편거치대(212)에 시편을 단단히 고정시키고, 그 위에서 누르개(211)를 수직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입시킴과 동시에 누르개(211)에 의해 시편에 가해지는 시험하중이 측정되어 다이얼 게이지(220)에 표시된다. 종래에는 측정자가 눈으로 보고 있다가 상기 다이얼 게이지(220)가 움직이는 순간을 포착하여 초시계를 눌러 측정을 시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과정을 자동화하였다.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의 경우 시험하중은 유압으로 가해지게 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므로, 상기 시험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압센서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100)는 크게 연산장치(110)와 유압센서(120)로 이루어진다. 유압센서(120)는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부착되어,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의 다이얼 게이지에 출력되는 유압을 그대로 측정하게 된다. 상기 유압센서(120)는, 도 4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의 다이얼 게이지 연결부에 단순히 연결함으로써 설치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나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유압센서(120)로부터 측정되는 유압은 연산장치(110)의 제어부(111)로 전달된다. 제어부(111)는 상기 유압센서(120)로부터 전달되는 유압을 감지하여, 적절한 판단에 따라 상기 타이머(112)에 시작 또는 종료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111)가 상기 타이머(112)에 시작 또는 종료신호를 보내는 판단의 기준은 하기에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에 가해지는 유압은 압입되는 동안에는 직선을 그리며 점점 커지다가 특정 시점부터는 일정한 크기를 유지한다. 유압이 직선을 그리며 점점 커지는 동안 즉 누르개가 유입되는 동안의 시간간격을 압입시간(indentation time, 도 5의 δ t 0 )이라고 하고 당 상태를 압입상태라 칭하며, 유압이 수평 직선을 그리는 동안 즉 누르개가 일정한 하중을 유지하면서 시편을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간격을 유지시간(dwell time, 도 5의 δ t 1 )이라고 하고 당 상태를 유지상태라 칭하며, 유압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0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즉 경도시험기가 시편을 누르고 있지 않은 동안의 상태를 휴지상태라 칭한다. 제어부(111)에서는 유압센서(120)로부터 전달되는 유압 크기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현재 상태가 압입상태/유지상태/휴지상태 중 어떤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11)가 유압센서(120)로부터 휴지상태, 즉 유압이 0인 상태에서 압입상태의 시작, 즉 유압이 0에서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기 시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타이머(112)에 시작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112)는 종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시간을 카운트한다. 상기 제어부(111)가 유압센서(120)로부터 압입상태, 즉 유압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지상태의 시작, 즉 유압이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기 시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타이머(112)에 종료신호를 보내어 현재까지 카운트된 시간(즉 압입시간 δ t 0 )을 전달받고 타이머(112)를 리셋함과 동시에 다시 시작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타이머(112)는 종료신호를 받을 때까지 다시 시간을 카운트한다. 상기 제어부(111)가 유압센서(120)로부터 일정하게 유지되던 유압이 갑자기 큰 폭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타이머(112)에 종료신호를 보내어 현재까지 카운트된 시간(즉 유지시간 δ t 1 )을 전달받고 타이머(112)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타이머(112)에 의해 측정된 압입시간(δt 0 )으로 압입깊이(h)를 나누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를 구하고, 상기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δt 1 )을 상기 연산장치(110)에 구비되어 있는 출력부(도 4의 115), 즉 압입속도 출력부(도 3의 115a) 및 유지시간 출력부(도 3의 115b)에 각각 출력시킨다. 물론, 상 기 측정된 압입시간(δt 0 )을 그대로 출력하는 압입시간 출력부(미도시)를 하나 더 구비하거나, 상기 압입속도 출력부(115a) 대신 압입시간 출력부를 구비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압입시간 및 유지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면,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보정된 시편의 브리넬 경도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3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77687677-pat00005
Figure 112005077687677-pat00006
HB : (보정된) 브리넬 경도
HB o : (보정되지 않은) 브리넬 경도
F : 시험하중 (N)
D : 구형누르개 지름 (mm)
d : 압입자국 지름 (mm)
δ t 0 : 압입시간(sec, indentation time)
δ HB to :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에 따른 경도보정값
δ t 1 : 유지시간(sec, dwell time)
δ HB t1 : 유지시간(dwell time)에 따른 경도보정값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는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압입시간 및 유지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111)에 의해 상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교정된 브리넬 경도를 연산하여 산출하고, 이를 출력부(115)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측정자는 상기 출력부(115)에 표시된 값을 읽어 정확하게 교정된 브리넬 경도를 간편하게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알람(113)과 메모리(11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람(113)은 측정자가 어떤 특정한 조건에서의 경도시험을 반복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특정 조건을 측정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즉, 알람(113)은 상기 제어부(111)와 타이머(112)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1)는 압입시간 및 유지시간을 측정하다가 상기 값이 미리 입력되어 있는 특정한 기준값에 부합하면 상기 알람(113)에 작동 시작신호를 보내어, 측정자로 하여금 설정된 시험조건이 되었음을 알리며, 측정자는 상기 알람(113)의 작동을 감지하여 경도시험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시험조건에서의 경도시험을 정확하게 반복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압입시간ㆍ유지시간의 측정 및 압입속도의 계산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최 소한의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제어부(111)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알람(113)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알람(113)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건을 세팅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 측정된 압입시간ㆍ유지시간의 데이터를 보존하고 기록하기 위해서 등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11)에 메모리(11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114)는 소용량으로서 제어부(111)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유압값 또는 시간값 등 제어부(111)에 의해 측정되거나 계산되는 각종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대용량으로서 구비되거나, 대용량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산장치(1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등, 목적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시험하중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 및 시험하중 유지시간(dwell time)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측정자가 초시계를 이용하여 주관이 개입된 목측을 바탕으로 한 측정값을 구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던 측정상의 오차ㆍ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한 반복 측정결과 신뢰도의 하락ㆍ측정 자마다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오류ㆍ사람의 반응속도보다 빠른 시간 내에 압입이 일어나는 경우 측정이 불가능했던 문제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하여, 종래의 측정방법에 비해 정확한 보정값(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에 관련된 보정값)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브리넬 경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는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를 영구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적은 투자비용만으로 경도시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시험을 가능할 수 있게 해 주는, 즉 경제적으로 경도시험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시험조건에 대하여 경도시험을 반복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교정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시간 측정값을 읽거나 더 구비되어 있는 알람에 의해 신호를 받음으로써, 측정자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미리 설정해 놓은 특정한 시험조건에 대한 경도시험을 정확하게 반복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Claims (5)

  1.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구비되어 경도시험 중 유압값을 측정하는 유압센서;
    시험유압이 일정한 세기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압입시간 및 상기 시험유압이 일정한 세기로 계속 유지되는 유지시간을 구분하여 시간값을 측정하는 타이머;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압값의 변화량을 사용하여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측정된 시간값 측정동작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고, 상기 유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유압값과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된 시간값을 사용하여 압입속도(indentation velocity) 및 유지시간(dwell time)을 구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압입속도 및 유지시간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브리넬 경도를 더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로 상기 산출된 브리넬 경도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Figure 112007016567310-pat00007
    Figure 112007016567310-pat00008
    여기서, D는 누르개의 지름, d는 시편의 압입지름, F는 시험하중, HB0 는 교정되지 않은 브리넬 경도, δt0 는 시험하중 압입시간(indentation time), δHBto 는 시험하중의 압입속도에 따른 브리넬 경도보정값, δt1 은 시험하중 유지시간(dwell time), 그리고 δHBt1 은 시험하중 유지시간에 따른 브리넬 경도보정값.
KR1020050133108A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KR10074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108A KR100740799B1 (ko)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108A KR100740799B1 (ko)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90A KR20070070490A (ko) 2007-07-04
KR100740799B1 true KR100740799B1 (ko) 2007-07-19

Family

ID=3850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108A KR100740799B1 (ko) 2005-12-29 2005-12-29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428B1 (ko) * 2019-11-21 2021-05-31 경성시험기주식회사 경도기의 동작 시간 측정 방법
CN113053471B (zh) * 2021-03-22 2024-01-02 内蒙金属材料研究所 一种用于风机主轴无损在线检测布氏硬度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090A (ja) 1999-04-14 2000-10-24 Akashi Corp 油圧式ブリネル硬さ試験機
JP2003050189A (ja) 2001-08-08 2003-02-21 Akashi Corp 圧痕形成機構及び硬さ試験機
JP2004340657A (ja) 2003-05-14 2004-12-02 Akashi Corp 圧痕形成機構及び硬さ試験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090A (ja) 1999-04-14 2000-10-24 Akashi Corp 油圧式ブリネル硬さ試験機
JP2003050189A (ja) 2001-08-08 2003-02-21 Akashi Corp 圧痕形成機構及び硬さ試験機
JP2004340657A (ja) 2003-05-14 2004-12-02 Akashi Corp 圧痕形成機構及び硬さ試験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90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8472B1 (en) Test management method for indentation tester and indentation tester
US4699000A (en) Automated device for determining and evalu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KR100418700B1 (ko) 유한요소해에 기초한 물성평가 구형 압입시험기
JP4216505B2 (ja) リベット締結又は孔打ち抜きのための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GB2548512A (en) Safety valve leak analysis system
Li et al. Effects of machine stiffness on the loading–displacement curve during spherical nano-indentation
CN102323168B (zh) 一种齿轮弯曲疲劳试验锤头加载偏差值的测试方法
KR100740799B1 (ko) 유압식 브리넬 경도시험기용 시험사이클 교정장치
CN105784523A (zh) 一种基于压痕试验的测试材料真实硬度值的装置及方法
KR100669544B1 (ko) 브리넬 경도시험 복합교정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경도시험 방법
KR101337954B1 (ko) 금속 재료의 이축 인장 변형량 측정 장치 및 방법
Alar et al. Application of instrumented Charpy method in characterisation of materials
JP4998359B2 (ja) 試験装置、疲労試験の試験方法、およびき裂進展試験方法
US10113863B2 (en) Viscosity measuring method
EP1586680A2 (en) Program and system for measuring internal stress of an electroplated film
CN101788281B (zh) 非晶合金自由体积的测定方法
CN109357606A (zh) 一种振弦式应变传感器校准装置用夹持机构
US11167378B1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weld quality
Gedney Tensile testing basics, tips and trends
KR20230006308A (ko) 금형수명 예측 시스템 및 방법
JP2001056272A (ja) 応力拡大係数の計測方法
KR20020052868A (ko) 고온변형시 고속카메라 영상처리법에 의한 변형률 측정방법
JPH07128328A (ja) 金属材料の劣化および余寿命予知方法
Tronskar et al. Direct measurement of displacement in instrumented Charpy impact testing for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JP3165156U (ja) 伸び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