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91B1 - 식품용 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용 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91B1
KR100740791B1 KR1020010033256A KR20010033256A KR100740791B1 KR 100740791 B1 KR100740791 B1 KR 100740791B1 KR 1020010033256 A KR1020010033256 A KR 1020010033256A KR 20010033256 A KR20010033256 A KR 20010033256A KR 100740791 B1 KR100740791 B1 KR 10074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cup
side cylinder
downwar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420A (ko
Inventor
이토사다하루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호쿠오 파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81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4437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06013U external-priority patent/JP3075787U/ja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호쿠오 파쿠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호쿠오 파쿠
Publication of KR2002000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8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closing, rim-rolling or corrugating; Fixing elements to tube ends
    • B31F1/0087Rim-rolling
    • B31F1/009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e.g. for fixing a closur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2Making boxes from tubular webs or blanks, e.g. with separate bottoms, including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위가 넓은 컵 측통(側筒)의 하부 내주면(內周面)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의 하향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로 하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에서 하향 원주면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감싸고 저부 원주면 상부를 측통과 함께 둥글게 굽이치게 함으로써 측통의 하부 주변에 비어져 나온 돌출부를 없애고 컵 하부 림이 원형의 바닥 종이 접합부를 용이하면서 또한 민첩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컬부에 연결 설치하여 저부 접합부와 경사 탄력변을 형성함으로써 중첩된 다수의 컵끼리 저부 접합부와 경사 탄력변의 반발작용으로 양호하게 부상 활동(滑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컵 저부끼리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쉽게 함으로써 컵 중첩체로부터 각 컵의 분리를 용이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다.
거의 호형(弧形)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 접착부(2)에서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3)을 만들고 이의 하부 내주면에 저부(4)를 접합시킨 컵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합면 정위치시키고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하향 원주면(4A)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접은 원주면(5)을 만든 다음, 하향 원주면(4A)의 상부를 여기에 접면한 측통(3)과 함께 외주면을 압입하면서 이의 하부 원주면을 빈틈 없이 내측을 향해 말아 넣어 컬부(6)를 만들고, 이러한 컬부(6)의 상부와 저부 하면 사이에 접은 원주면(5)을 경유하는 측통(3)의 말단 부분 주변(3B)을 끼우고, 컬부(6)의 내측 주변(6A)만을 고리 모양으로 저부 하면을 따라 겹쳐서 찌그러뜨림으로써 하향의 경사 탄력변(7)과 저부 접합부(8)를 각각 형성한다.
컵 중합체, 측통 블랭크, 하향 원주면, 경사 탄력변, 저부 접합부

Description

식품용 컵 및 이의 제조방법{Cup for 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절단 요부 확대 종단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제조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컵의 다수를 중첩한 예를 도시하는 종단 입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종이 컵의 전체를 도시한 종단 입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종이 컵의 예를 도시하는 종단 입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종이 컵을 만드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종이 컵의 다수를 중첩한 예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 입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측통 블랭크
(1a) 측통 블랭크의 끝변
(2) 측통 블랭크의 끝변끼리의 접착부
(3) 컵 측통
(3A) 컵 측통의 잔여 길이 원주면
(3B) 컵 측통의 말단부 원주면
(4)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
(4A)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의 하향 원주면
(5) 접힌 원주면
(6) 컬부
(6A) 컬부의 내측 주변
(7) 경사 탄력변
(8) 저부 접합부
(m) 미싱 눈 모양 절단선
(M) 가동 맨드렐
(M1) 제1 컬 머신
(M2) 제2 컬 머신
(M3) 제3 컬 머신
(M4) 압압 머신
(11) 바닥이 있는 고리 모양 베이스
(11A) 바닥이 있는 고리 모양 베이스의 내측 상부 림
(11B) 바닥이 있는 고리 모양 베이스의 내측 경사 상부 림
(12) 베이스 상부 주변의 환상구
(13) 및 (15) 탄력 반발 용수철
(14) 컬 링
(14A) 컬 링의 내주면
(14B) 컬 링의 컬 곡면
(16) 압박 상승 다이
(16A) 압박 상승 다이의 외주 사변(斜邊)
(L1) 저부 접합부(8)의 폭
(L2) 경사 탄력변(7)의 길이
본 발명은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된 컵 측통[側筒(소위, 몸통 종이)]과 저부로 이루어진, 가열된 과자나 레토르트 식품이나 유제(乳製) 유동식품(流動食品) 등의 음용(飮用) 식품용 컵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음용 식품용 컵이나 크래프트지 등의 종이제의 음 용 식품용 컵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 컵은 이의 측통이 종이제인 것과 플라스틱제인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용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이제 컵에서는 종이 섬유의 형상(길이 및 굵기)이 가지런하고 , 또한 당해 섬유가 균제(均齊)하게 존재하도록 종이 컵용으로서 특별하게 초조(抄 造)한 "컵 원지"라고 하는 종이 두께 225g/m2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이밖에 구운 과자나 레토르트 식품용의 종이 컵은 "컵 원지"와 비교하여 약간 조질(粗質)인 크래프트지, 즉 40 내지 180g/m2와 같이 얇으며 또한 표면이 조잡하고 균제도가 작으며 잡아서 찢기 쉬운 얇은 모양의 양지(洋紙)나 소위 컵 원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소성용 등의 종이 컵용으로서 구운 과자나 레토르트 식품용 종이 컵 측통(몸통 종이)에 약간 조질이며 염가인 얇은 양지를 사용하는 이유로서는, 크래프트지 등은 조직 섬유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약품 처리의 정도가 컵 원지보다 적으므로 내식성(耐蝕性)이 있으며 식품 위생적으로도 바람직하고 염가이며 구운 과자중의 유지분이 가열 도중에 용기용 종이 속으로 유입되는 유지로 인한 투명화 부분의 얼룩이 표백되지 않은 크래프트지에서는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 주된 이유이다.
그리고 얇은 양지로 만든 종래의 구운 과자용 종이 컵(종이제 용기)으로서는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18132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예는, 우선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 종이로 이루어진 본체인 블랭크(1)를 이의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말단부(1a)끼리 접착부(2)로 접착시켜 중공 원추 사다리꼴의 컵 측통(소위, 몸통 종이)(3)을 만든다.
그리고, 이의 소직경 주변(3a)의 내주면에 바닥지(4)를 접합시킨 종이 컵을 만들 때, 컵 측통(3)의 소직경 주변(3a) 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 부분(3b)이 존재하도록 하여 둥근 접시 모양의 바닥지(4)의 원주면(4a)을 도 23(A)처럼 접합면 정위치로 하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 부분(3b)에서 바닥지 원주면(4a)을 도 23(B)처럼 바깥에서 안으로 둘러싸서 직각으로 접는 것을 2회 실행하여 접고, 이러한 접힌 부분(60)을 다시 바닥지 원주면(4a)과 함께 도 23(C)처럼 내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중첩시켜 찌그려뜨려 다중 중첩지의 중첩 접합부(17)로 함으로써 컵 측통(3)의 소직경 주변(3a)의 말단부에 바닥지(4)를 접합시킨 열가공 케익용 종이 컵(C')의 바닥 통과 바닥판의 결합 구조이다.
이밖에 통상적인 종이제 컵에 관해서도, 우선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 종이로 이루어진 블랭크를 이의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말단부끼리 접착부에서 접착시켜 중공 원추 사다리꼴의 컵 측통(소위, 몸통 종이)을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소직경 주변의 내주면에 바닥지를 접합시킨 종이 컵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컵 측통의 소직경 주변내에 둥근 접시 모양의 바닥지의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시켜 접착시키는 것도 있다.
또는, 컵 측통의 소직경 주변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 부분이 존재하도록 하여 둥근 접시 모양의 바닥지의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시키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 부분에서 바닥지 원주면을 바깥에서 안으로 둘러싸서 접어 접합부를 구성하는 것도 있다.
이들 종이제의 컵 이외에 수지제의 컵에서는 중공 원추 사다리꼴의 컵측 통에 저부를 열용착시켜 수지제 컵을 제조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종래예에서 여러 번 직각으로 접어 겹쳐서 찌그러뜨린 접합부(17)를 갖는 구조에 관해서는 이의 형성에 다수 공정을 요하며, 성가시고 또한 번거롭고 대량 생산용이 아니며, 또한 여러 번 접어 겹쳐서 찌그러뜨리는 것에 근거하는 다중 중첩지의 강성(剛性)에 따른 주름으로 꼬이는 현상에 의해 컵 측통(3)의 하단 원주면에 다수의 세로 주름 중첩의 요철부가 생긴다.
이들 요철부는 바닥지 원주면(4a)의 높이가 바닥 종이 두께의 10 내지 20배(약 1 내지 2mm) 이내의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눈에 띄지 않으며 문제가 없지만, 측통(3)의 소직경 말단 내주면에 대하여 바닥지 원주면(4a)의 접합 강도를 증가시키려고 이의 높이를 바닥 종이 두께의 30 내지 50배의 높이 약 3 내지 5mm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바닥지 원주면(4a)의 다수의 요철부나 다중 중첩지의 중첩 접합에 근거하는 요철부에 의한 0.1 내지 0.3mm 정도의 비어져 나온 돌출부(18)가 도 22 및 도 23(C)처럼 바닥지(4)의 주변에서 측통(3)의 하부 외주면에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 컵 측통(3)의 비어져 나온 돌출부(18)가 있는 컵(C')의 다수를 도 24처럼 중첩(스택킹)시켜 출하한 다음, 사용자가 컵 중첩체로부터 컵(C')을 하나씩 뽑아 분리할 때에 비어져 나온 돌출부(18)가 이의 외측의 컵의 내면에 도 24처럼 0.1 내지 0.3mm 정도 파고 들어 가는 것과 각 측통의 하부 림이 절곡 각(角) 림 원주면으로 되어 모나게 되므로, 각 바닥지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어려워짐으로써, 각 컵의 분리가 매우 실행하기 어려우며, 이의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는 본질적이고도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동일하게 당해 구성을 취하지 않은 중공 원추 사다리꼴의 컵 측통(소위, 몸통 종이)의 소직경 주변의 내주면에 바닥지를 접합시킨 종이 컵으로서, 컵 측통의 소직경 주변내에 둥근 접시 모양의 바닥지의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시켜 접착시키는 구조에서도, 또한 컵 측통의 소직경 주변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 부분이 존재하도록 하여 둥근 접시 모양의 바닥지의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시키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 부분에서 바닥지 원주면을 바깥에서 안으로 둘러싸서 접어 접합부를 구성하는 구조에서도 동일하게 각 컵의 분리가 매우 실행하기 어려우며, 이의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는 본질적이고도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점은 수지제 컵에서도 완전히 동일하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상기한 종래예 이외에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된 컵 측통에 요철을 설치하여 조금이라도 컵 중첩체로부터 각 컵을 분리하기 쉽게 한 종래예로서, 본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O46289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로울지 또는 매엽지(枚葉紙)에 소정의 주름, 무늬 및 문자 등의 요철 모양을 떠오르게 하고, 천공한 부채형 블랭크의 양측단을 풀로 붙이고, 중공 원추통형으로 성형한 둘레 벽(컵 측통)과 이러한 둘레 벽의 저부에 삽입한 바닥판을 갖는 컵의 내부에 반죽한 과자 재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굽거나 찌는 가공을 하여 과자와 일체로 제품으로 되는 열가공 과자용 컵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예에서도 컵 측통과 바닥지의 접합부 외면은 여전히 모가 나며, 다수의 돌출부가 있으므로, 이러한 돌출부에 의한 전술한 1개를 분리하는 것의 곤란성과 바닥지끼리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어려운 것에 따른 1개를 분리하는 것의 곤란성은 아직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위가 넓은 측통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의 하향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로 하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에서 저부 원주면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저부 원주면 상부를 측통과 함께 둥글게 굽이치게 함으로써 측통의 하부 주변에 비어져 나온 돌출부가 없으며 컵 하부 림이 원형의 저부 접합부를 용이하면서 또한 민첩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컬부에 연결 설치하여 경사 탄력변을 형성함으로써 중첩된 다수의 컵끼리 저부에 대한 탄력변의 반발작용으로 잘 부상(浮上) 활동(滑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컵 저부끼리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쉽게 함으로써 컵 중첩체로부터 각 컵의 분리를 용이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본체를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측통 블랭크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끼리 접착부에서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을 구성하고 이의 하부 내주면에 저부를 접합시킨 컵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측통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의 하향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시키고 잔여 길이 원주면에서 하향 원주면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접힌 원주면을 만들고, 다시 하향 원주면의 상부를 여기에 접면한 측통과 함께 외주면을 압입하면서 이의 하부 원주면을 안으로 향해 말아 넣어 컬부를 만들고 이러한 컬부의 상부와 저부 하면 사이에 접힌 원주면을 경유하는 측통의 말단부 주변을 끼워 컬부의 내측 주변만을 고리 모양으로 저부 하면을 따라 중첩하여 찌그러뜨림으로써 하향 경사 탄력변과 저부 접합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위가 넓은 컵 측통은, 제2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측통 블랭크의 끝변끼리를 접착부에서 통을 밀봉하여 붙이고 접착시킴으로써 구성한 것이라도 양호하며, 제3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측통 블랭크의 끝변끼리를 접착부에서 합쳐 붙이고 이렇게 합쳐 붙인 부분을 꺾어뜨려 측통 외면에 접착시켜 구성하여 액(液)을 밀봉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제4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컬부의 내측 주변의 중첩하여 찌그러뜨린 수평 폭을 가급적 작게 함으로써 하향의 경사 탄력변의 길이를 가급적 크게 하고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5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측통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의 하향 원주면을 접착에 의해 접합면 정위치시킴으로써 저부의 접착성을 높이고 또한 컵 성형시의 위치 어긋남을 없앨 수 있다.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이러한 접착은 가접착(假接着)일 수 있다.
또한, 제7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저부 접합부가 측통의 하부 내주면, 저부의 하향 원주면 및 측통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각각 접착 보강하여 구성한 식품용 컵에서도, 또한 제8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경사 탄력변이 저부의 하향 원주면과 측통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접착 보강하여 구성한 식품용 컵에서도 저부 접합부나 경사 탄력변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9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측통에 미싱 눈 모양 절단선을 설치함으로써 컵 내용물의 취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제10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본체가 종이로 이루어진 것이나, 제11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저부가 종이로 이루어진 식품용 컵이라도 양호한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식품용 컵은, 제12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측통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의 하향 원주면을 접합면 정위치시키고 잔여 길이 원주면에서 저부의 하향 원주면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접힌 원주면을 만들고 다시 하향 원주면의 상부를 여기에 접면한 측통과 함께 외주면을 압입하면서 이의 하부 원주면을 내측으로 향해 말아 넣어 컬부를 만들고 이러한 컬부의 상부와 저부 하면 사이에 접힌 원주면을 경유하는 측통의 말단부 주변을 끼워 컬부의 내측 주변만을 고리 모양으로 저부 하면을 따라 중첩하여 찌그러뜨림으로써 하향 경사 탄력변과 저부 접합부를 각각 형성하는 식품용 컵의 제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를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 접착부(2)에서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소위, 몸통 종이)(3)을 만들고 이의 하부 내주면에 저부(4)를 도 1과 같이 접합시킨 컵을 제조할 때,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도 2 및 도 3처럼 잔존시켜 둥근 접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착하거나 공지된 가동 맨드렐(M)을 사용하여 접합면 정위치시킨다.
이러한 경우, 하향 원주면(4A)은 소정 장소에 접합면 정위치시키는 것이고, 하향 원주면(4A) 전체면에 접착하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스포트하게 접착하는 것이나 위치 결정을 위한 가접착하는 것에서도 양호하며, 상기와 같이 가동 맨드렐(M)을 사용하여 임의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 접착부(2)에서 밀봉하여 통을 붙여 접착시켜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합쳐 붙이고 이렇게 합쳐 붙인 부분을 꺾어 측통 외면에 접착시켜 구성함으로써 액 밀봉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면 양호하다.
이어서, 잔여 길이 원주면(3A)의 말단부 주변(3B)을 가동 맨드렐(M)의 하강에 따라 도 4 및 도 5처럼 공지된 제1 컬 머신(M1)으로 내측을 향하여 굽이치게 하기 시작한다.
이것을 다시 가동 맨드렐(M)의 수평 이동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컬 머신(M2)를 마주보게 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처럼 맨드렐(M)을 하강시켜 컬을 계속하여 둥글게 U턴시키는 동시에, 계속해서 맨드렐(M)의 하강에 의해 도 10 및 도 11처럼 측통(3)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 싼 접힌 원주면(5)을 만든다.
이어서, 접힌 원주면(5)을 갖는 측통(3)을 이번에는 가동 맨드렐(M)의 수평 이동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컬 머신(M3)과 압압(押壓) 머신(M4)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들 각 머신(M3) 및 머신(M4)는 도 12와 같이 금속 등의 강인재(强靭材)로 만든 바닥이 있는 고리 모양의 베이스(11)의 외주에 가까운 상부에서 환상구(環狀溝)(12) 내에 다수의 압박 상승 용수철(13)을 가지며, 이에 따라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부상하는 강인한 컬 링(14)과 베이스(11)의 바닥면(11a)에 용수철(13)보다 강한 압박 상승 탄력을 갖는 탄력 반발 용수철(15)로 강하게 부상(浮上)하는 강인재로 제조한 압박 상승 다이(16)로 구성되어 있다.
단, 용수철(13)로 부상되는 컬 링(14)과 탄력 반발 용수철(15)로 부상하는 압박 상승 다이(16)는 각각 공지된 상한 스톱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베이스(11)로부터 미리 정한 소정 위치 이상의 상부 방향으로는 가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각 머신(M3) 및 머신(M4)에서 압박 상승 다이(16) 위에 저부(4)를 각각 도 12 및 도 13처럼 접합면시킨 상태로부터 가동 맨드렐(M)을 도 14 및 도 15처럼 각 용수철(13) 및 (15)의 압박 상승 탄력에 저항하여 하강시킴으로써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의 상부와 여기에 접면한 측통(3)의 부분을 도 15처럼 측통 외주면을 컬 링(14)의 내주면(14A)과 가동 맨드렐(M)로 만들어 붙여 끼우면서 이의 하부 원주면을 컬 링(14)의 컬 곡면(14B)에서 빈틈 없이 내측으로 향해 말아 넣어 컬부(6)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부(6)의 상부와 저부(4)의 하면 사이, 즉 컬부(6)에 의해 생긴 공극내에 접힌 원주면(5)의 말단 부분인 측통(3)의 말단부 주변(3B)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가동 맨드렐(M)을 다시 하강시킴으로써,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부(6)의 상부와 저부(4)의 하면 사이에 접힌 원주면(5)을 경유하는 측통(3)의 말단부 주변(3B)을 삽입한 상태로 컬부(6)의 내측 주변(6A)만을 베이스(11)의 내측 상부 림(11A)과 가동 맨드렐(M)의 하면으로 고리 모양으로 저부의 하면을 따라 견고하게 중첩하여 찌그러뜨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박 상승 다이(16)의 외주 사변(斜邊)(16A)과 베이스(11)의 내측 상부 림(11A)에 계속되는 내측 경사 상부 림(11B)에 의해 하향 원주면(4A)을 둘러 싼 접힌 원주면(5)의 접힌 부분 근방을 경사 상태로 견고하게 중첩하여 찌그러뜨릴 수 있다.
따라서, 압박 상승 다이(16)의 외주 사변(16A)과 베이스(11)의 내측 경사 상부 림(11B)에 따른 경사각(예: 10o 내지 60o)의 하향 경사 탄력변(7)과 저부 접합부(8)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가동 맨드렐(M)을 도 18처럼 상승 복귀시켜 압박 상승 다이 외주 사변(16A)에서 경사 탄편(downward tilt elastic side/7)을 이의 탄력에 저항하여 인발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컵(C)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저부 접합부(8)에 관하여 측통(3)의 하부 내주면과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과 접힌 측통(3)의 잔여 길이 원주면(3A)가 중첩되지만, 이들 각각의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접착 보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컵의 강도가 매우 견고해진다.
이러한 경우, 이들 전체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介在)시키는 것이 아닌 임의의 장소에만 접착 부재를 개재시켜 접착 보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본체나 저부에 40 내지 180g/m2 정도의 얇은 모양의 크래프트지 등의 제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성용 컵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 보다 두꺼운, 예를 들면, 종이 두께 225g/m2 이상의 컵 원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절곡 구성할 수 있는 각종 제지 이외에, 예를 들면, 수지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이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본체 및/또는 저부에 필요한 재질을 사용하면 양호하다.
또한, 수지 소재를 코팅 또는 적층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지만, 이들이나 수지제 시트를 사용한 경우 등은 접착할 때에 접착 부재 등을 직접 도포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으며, 열용착이나 고주파 용착 등으로 접착시킨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접착 수단으로서는, 호료(糊料) 등에 의한 접착 이외에, 미리 측통 내면 또는 저부 원주면에 적층 피착 또는 코팅한 가열(加熱) 접착성 수지층의 열 밀봉 접착일 수 있거나 열가소성 시트 등을 사용하여 열 밀봉 접착이나 고주파 밀봉 및 초음파 밀봉 등으로 접착시킨 것일 수 있다.
이상 요약하면, 본 발명은 컵 측통(3)의 하부에서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상기한 컬 부착 수단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둥글게 둘러 싸면서 도 8 및 도 9처럼 둥글게 굽이치게 하기 시작하여 도 11처럼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둥글게 U턴시킨 접힌 원주면(5)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에 도 15처럼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에 접면한 측통(3)의 외주면을 저부의 하향 원주면(4A)과 함께 컬 링(14)의 내주면(14A)과 측통(3)의 내부에 갖는 가동 맨드렐(M)의 외주면으로 만들어 붙여 끼우면서 이의 하부 외주를 컬 링(14)의 컬 곡면(14B)에서 내측으로 빈틈 없이 도 16 및 도 17처럼 말아 넣어 굽이치게 한 컬부(6)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측통(3)의 최하부 원주면에는 상기한 종래예에서 측통의 직각 절곡에 따른 주름으로 꼬인 현상으로 도 22 내지 도 24의 각각의 도면처럼 생긴 비어져 나온 돌출부(18)는 본 발명의 컬부(6)에 의한 측통 하부의 말아 넣은 굽이치는 저부 접합 구조에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말아 넣은 컬부(6)에 연결 설치된 저부 접합부(8)를 경유하는 말단 장소를 측통(3)과 저부(4)의 각각의 고유 강성을 이용한 경사 탄력변(7)을 갖는다.
이러한 경사 탄력변(7)은, 예를 들면, 손가락 등으로 저부(4)를 향하여 가볍게 누르면 약간 휘어져서 수평에 가깝게 될 정도의 휨 탄력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 탄력변(7)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원래의 경사각(10o 내지 60o)으로 복귀한다.
또한, 도 21에서 저부 접합부(8)의 폭(L1)을 가급적 작게 하고 경사 탄력변(7)의 길이(L2)를 가급적 크게 하는 경우에는 경사 탄력변(7)의 휘어지는 양과 이의 복원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위가 넓은 컵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합면 정위치시키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저부 원주면(4A)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말아 넣고 굽이치게 한 다음, 이러한 컬부(6)의 원주면을 고리 모양으로 눌러 찌그러뜨림으로써 컵 하부 림에 원형의 컬부(6)와 저부 접합부(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측통 하부 주변에 비어져 나온 돌출부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컵(C)을 도 19처럼 컵 중첩체에서 각각의 컵끼리 밀착하지 않고 중첩(스택킹)시킬 수 있으며, 이를 꺼낼 때에는 컵을 하나씩 꺼내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저부 접합부(8)의 먼저 설치된 경사 탄력변(7)의 휨 복원 탄력과 저부(4)의 고유장력에 의해 컵 중첩체의 각각의 컵은 자기 부상 경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상작용과 컵 하부 림을 내측으로 말아 넣어 굽이치게 함으로써 각각의 컵의 바닥지끼리 사이에 원형의 컵 하부 림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기 쉬워지는 동시에 컵 중첩체의 각각의 컵끼리 밀착시키지 않고, 또한 각각의 컵의 자기 부상작용에 의해 탄력을 가지고 중첩될 수 있게 되는 점으로부터 컵 중첩체로부터 컵(C)의 낱개 분리가 현저하게 용이하게 되었다.
실시예
컵(C)의 높이를 약 50mm, 개구 림 직경을 약 70mm로 하고 이의 개구 각도를 한쪽을 7o로 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예에서 경사 탄력변(7)의 길이(L2)를 약 2mm로 하고 이의 말단과 바닥지 하면의 간격을 1mm 정도로 하는 데는 경사 탄력변(7)의 경사각θ는 sinXo= 1/2 내지 X= 30o로 하면 양호하며, 이러한 탄력변(7)은 압박 상승 다이(16)의 외주 사변(16A)을 상기한 사양(仕樣)에 대응시켜 설정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탄력변(7)에 의한 중첩 컵의 쿳숀 효과(자기 부상효과)는 가령 다수의 경사 탄력변(7)의 휘어지는 높이가 각각 0.5mm로 되도록 20개의 컵 중첩체의 최상부를 손가락으로 누른 경우에는 바닥지(4)의 휘어짐도 포함시켜 이의 최상 컵을 약 12mm 하강시킬 수 있으며, 손가락을 떼는 것으로 각 컵은 원래의 높이로 복원되며 컵 중첩체의 각 컵끼리 『푹신푹신』하여 매우 승강 활동(滑動)하기 쉽게 되어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로 각 컵의 분리가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C) 속에 과자류나 레토르트 식품을 넣어도 저부 접합부(8)에서는 과자류나 점성 유동물이 누출되는 경우가 없다.
특히, 가열조리용 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그대로 노 내에서 소성하거나 찌는 솥에서 찌면 과자 재료가 가열 팽창하는 동시에 과자 재료 중의 밀 전분이 알파화하여 식용 가능한 구운 과자 또는 찐 과자로 되지만, 이때 저부 접합부(8)는 종이 고유의 강성에 저항하여 견고하게 굽이치게 되어 이의 주변을 찌그러 뜨려 접합하게 되므로, 접합부(8)는 함부로 컬이나 눌러 찌그러뜨린 접합이 복귀하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없다.
즉, 컵(C) 내의 과자 재료, 요컨대 「몸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밀 전분은 60℃ 이상의 가열로 호료화하여 컵 측통(3)의 하부 내벽으로부터 둥글게 굽이치게 하는 컬부(6)나 저부 접합부(8)를 호료로 접착시켜 고화시킨다.
컵 측통(3)을 형성하기 위해 측통 블랭크(1)의 양단을 붙여 합친 접착부(2)는, 밀 전분이 열에 의해 호료화되기 이전의 팽창에 의한 팽창압을 받으므로, 이 부분의 접착에는 충분하게 주의를 할 필요가 있지만, 측통 하부와 저부(4)를 둥글게 굽이치게 한 다음, 이의 주변을 눌러 찌그러뜨린 접합부(8)나 컬부(6)는 호료 등으로 접착하지 않아도 몸통 및 기타 점성 물질의 충전시 또는 충전후의 가열 호료화 등에 의해 저부 접합부(8)로부터 몸통이나 기타 점성 유동물이 누출될 염려가 없다.
또한, 컵(C) 속에 과자 재료 이외의, 예를 들면, 글루텐 생지나 국수류 및 기타 레토르트 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류 등을 넣어 컵(C) 내에서 가열 조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시는 요구르트』나 『마시는 한천』 등의 음용 식품도 수납후 음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부호(m)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미싱 눈 모양 절단선으로 컵(C)을 끊어 벗기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각 도면에서 컵(C)의 몸통 두께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확대 과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형태를 채용한 것이며 하기에 기재된 효과를 나타낸다.
제1항의 발명에 따르면, 위가 넓은 컵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합면 정위치시키는 동시에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말아 넣어 굽이치게 한 다음, 이러한 컬부(6)의 내측 원주면(6A)을 고리 모양으로 눌러 찌그러뜨림으로써 컵 하부 림에는 각진 부분이 없으며, 원형의 컬부(6)와 저부 접합부(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측통 하부 주변에 비어져 나온 돌출부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컵(C)을 중첩(스택킹)시킨 컵 중첩체에서 각 컵끼리 양호하게 활동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저부 접합부(8)와 여기에 연결 설치된 경사 탄력변(7)을 가지므로, 저부 접합부(8)와 경사 탄력변(7)의 휨 복원 탄력과 저부(4)의 고유 장력에 의해 컵 중첩체의 각각의 컵은 자기 부상 경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저부 접합부(8)와 경사 탄력변(7)의 휨 복원 탄력에 의한 부상작용에 의해 컵끼리 밀착하지 않고 중첩될 수 있으며, 컵 중첩체로부터 각 컵의 분리가 현저하게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컵 하부 림을 내측으로 말아 넣어 굽이치게 함으로써 이러한 원형의 컵 하부 림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기 쉬워지며, 각각의 컵의 자기 부상작용과 서로 어울려 컵 중첩체로부터 각 컵의 분리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항 또는 제3항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제반 효과 이외에 각종 컵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3항의 발명에 따라 액 밀봉 유지할 수 있는 컵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컵 내면에 잡균 번식의 온상으로 되는 블랭크의 절단 말단 림을 없앨 수 있으며, 위생적인 식품 컵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컵 측통의 접착부를 2매 겹친, 예를 들면, 가열 가압 압착을 할 수 있으며, 성형 소요시간의 단축을 할 수 있는 동시에 확실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경우, 합쳐 붙인 부분을 꺾어뜨려 측통 외면에 접착시키므로, 합쳐 붙인 부분에 걸리는 외력을 경감할 수 있으며, 또한 보강을 이루고, 함부로 변형이나 박리되는 경우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컵을 다수 중첩하는 경우에 성가시게 되지 않는다는 효과도 부가할 수 있다.
이어서, 제4항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제반 효과 이외에 컬부(6)의 내측 주변(6A)의 중첩하여 찌그러뜨린 수평 폭(L1)을 가급적 작게 함으로써 하향 경사 탄력변(7)의 길이(L2)를 가급적 크게 하므로, 경사 탄력변(7)의 휘어지는 양과 이의 복원 탄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컵 중첩체에서 각 컵의 부상효과도 크게 할 수 있다.
제5항 또는 제6항의 발명에 따르면, 동일하게 상기한 제반 효과 이외에,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확실하게 접합면 정위치시킬 수 있으며, 성형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되고 확실하게 컬부(6)와 이의 내측 주변(6A)를 눌러 찌그러뜨릴 수 있으며, 음용 식품 등의 컵내 유동식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제7항 및 제8항의 발명에 따르면, 동일하게 상기한 제반 효과 이외에, 저부 접합부(8) 및/또는 경사 탄력변(7)을 접착 보강한 것이며, 형태 유지성이 보다 양호한 컵으로 되는 저부 접합부(8)와 경사 탄력변(7)의 복원 탄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착 보강에 의해 당해 부분으로부터 유동식품이나 음용 식품의 외부 누출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부가할 수 있다.
제9항에서는 동일하게 상기한 제반 효과 이외에 컵 측통(3)에 미싱 눈 모양 절단선(m)을 설치하므로, 컵 측통(3)을 손가락 등으로 끊어지기 쉽게 할 수 있으며, 컵 내용 식품이 더 한층 먹기 쉬워진다는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제10항 및 제11항의 발명에 따르면, 동일하게 상기한 제반 효과 이외에 본체 및/또는 저부에 종이를 사용하는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열 조리용 컵이나 음료용 컵 등에 종이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항의 발명에서도 제1항의 발명에 따른 효과 이외에 컬부(6)의 형성과 이의 주변부의 고리 모양으로 눌러 찌그러뜨림으로써 바닥지 접합부(8)의 형성과 경사 탄력변(7)의 형성의 각 공정이 컬 도구에 의한 수작업 또는 컬 성형의 눌러 찌그러뜨리는 성형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된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본체를 거의 호형(弧形)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를 접착부(2)에서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3)을 구성하고 이의 하부 내주면에 저부(4)를 접합시킨 컵에 있어서,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합면 정위치시키고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접힌 원주면(5)을 만들고, 또한 하향 원주면(4A)의 상부를 여기에 접면한 측통(3)과 함께 외주면을 압입하면서 이의 하부 원주면을 내측으로 향해 말아 넣어 컬부(6)를 만들고 이러한 컬부(6)의 상부와 저부 하면 사이에 접힌 원주면(5)을 경유하는 측통(3)의 말단부 주변(3B)을 끼워 컬부(6)의 내측 주변(6A)만을 고리 모양으로 저부 하면을 따라 중첩하여 찌그러뜨림으로써 하향 경사 탄력변(7)과 저부 접합부(8)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를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 접착부(2)에서 밀봉하여 통을 붙여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를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를 접착부(2)에서 합쳐 붙이고 이렇게 합쳐 붙인 부분을 꺾어뜨려 측통 외면에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3)을 구성함으로써 액(液)을 밀봉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4. 제1항에 있어서, 컬부(6)의 내측 주변(6A)의 중첩하여 찌그러뜨린 수평 폭(L1)을 가급적 작게 함으로써 하향의 경사 탄력변(7)의 길이(L2)를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5. 제1항에 있어서,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착에 의해 접합면 정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6. 제5항에 있어서, 측통(3)의 하부 내주면과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의 접착이 가접착(假接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부 접합부(8)가 측통(3)의 하부 내주면,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 및 측통(3)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각각 접착 보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8.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탄력변(7)이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과 측통(3)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접착 보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9. 제1항에 있어서, 측통(3)에 미싱 눈 모양 절단선(m)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10. 제1항에 있어서, 본체가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11. 제1항에 있어서, 저부가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
  12. 본체를 거의 호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측통 블랭크(1)를 길이 방향으로 둥글게 하고 이의 끝변(1a)끼리를 접착부(2)에서 접착시켜 위가 넓은 컵 측통(3)을 구성하고 이의 하부 내주면에 저부(4)를 접합시킨 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측통(3)의 하부 내주면에 이의 잔여 길이 원주면(3A)을 잔존시켜 둥근 접시를 거꾸로 한 모양의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접합면 정위치시키고 잔여 길이 원주면(3A)에서 저부(4)의 하향 원주면(4A)을 밑으로부터 내측으로 둘러싸서 접힌 원주면(5)을 만들고,
    하향 원주면(4A)의 상부를 여기에 접면한 측통(3)과 함께 외주면을 압입하면서 이의 하부 원주면을 내측으로 향해 말아 넣어 컬부(6)를 만들고,
    이러한 컬부(6)의 상부와 저부 하면 사이에 접힌 원주면(5)을 경유하는 측통(3)의 말단부 주변(3B)을 끼워 컬부(6)의 내측 주변(6A)만을 고리 모양으로 저부 하면을 따라 중첩하여 찌그러뜨림으로써 하향 경사 탄력변(7)과 저부 접합부(8)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컵의 제조방법.
KR1020010033256A 2000-06-16 2001-06-13 식품용 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0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1201A JP3443732B2 (ja) 2000-06-16 2000-06-16 食品用紙カップとその製造方法
JP2000-181201 2000-06-16
JP2000006013U JP3075787U (ja) 2000-08-22 2000-08-22 食品用紙カップ
JP2000-6013 2000-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420A KR20020005420A (ko) 2002-01-17
KR100740791B1 true KR100740791B1 (ko) 2007-07-20

Family

ID=2762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256A KR100740791B1 (ko) 2000-06-16 2001-06-13 식품용 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40791B1 (ko)
TW (1) TW506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5403A1 (de) * 2008-01-21 2009-07-23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DE102015110235A1 (de) * 2015-06-25 2016-12-29 Sig Technology Ag Vorrichtung, Verfahren und System zur schonenden Vorfaltung von Packungsmänt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420A (ko) 2002-01-17
TW506932B (en) 200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854A (en) Deep-drawn conical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US9771206B2 (en) Container having sidewall with ring-shaped shaping
US6237845B1 (en) Paper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29767B1 (ko) 적층용 프로젝션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US8932428B2 (en) Insulated container, method of fabricating same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US4199097A (en) Blank for cup-shaped container of cardboard or the like
JP5599976B2 (ja) 紙材料から作られたカップ
EP1900651B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an insulated container
EP1712490B1 (en) Insulate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0791B1 (ko) 식품용 컵 및 이의 제조방법
JP3443732B2 (ja) 食品用紙カップとその製造方法
CN214608660U (zh) 一种嵌套式纸杯
JP2001206341A (ja) 加熱加工食品用カップ
JP2001097355A (ja) 断熱カップ
US4190189A (en) Closure member for a container
JP3075787U (ja) 食品用紙カップ
JP3959903B2 (ja) 紙製断熱カップ
JP4385203B2 (ja) 加熱加工食品用カップ
KR100766281B1 (ko) 가열 가공 식품용 컵
JP7498309B2 (ja) 食品容器用紙フタの製造方法及び食品容器用紙フタ
JP3075142B2 (ja) 断熱カ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5423B2 (ja) 紙製断熱カップとその製造方法
JP4478287B2 (ja) コップ状容器
US11952175B2 (en) Cup made of paper or paper-like material
JP2003128104A (ja) 紙製の多角形かぶせ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