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614B1 -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 Google Patents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0614B1 KR100740614B1 KR1020060116267A KR20060116267A KR100740614B1 KR 100740614 B1 KR100740614 B1 KR 100740614B1 KR 1020060116267 A KR1020060116267 A KR 1020060116267A KR 20060116267 A KR20060116267 A KR 20060116267A KR 100740614 B1 KR100740614 B1 KR 100740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leader
- reader
- operating
- excav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본체와 수직으로 세워지는 리더의 사이거리를 최대로 줄여 리더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암이 구비된 굴삭기와 상기 작동암의 전방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연약지반을 타설하는 리더를 포함하는 드레인재 타설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은, 하부로 돌출되게 절곡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레인재, 타설기, 리더, 작동암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더를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드레인재 타설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굴삭기
11 : 본체
12 : 프레임
13 : 작동암
131 : 절곡부, 132 : 하부 경사암, 133 : 상부 경사암
14 : 주 실린더
2 : 연결수단
21 : 링크
211 : 축, 212 : 관, 213 : 간격 유지판
22 : 작동 실린더
221 : 축, 222 : 관
4 : 리더
41 : 프레임
42 : 브라켓
본 발명은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굴삭기 본체와 수직으로 세워지는 리더의 사이거리를 최대로 줄여 리더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나 토목공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습기가 포함된 연약지반이나 습지 또는 간척지(이하, “연약지반”이라 한다.)를 강화하기 위한 공법으로는 드레인 공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상기 드레인 공법은 드레인재 타설기를 통해 수행하는 것으로, 종래의 드레인재 타설기는 드레인재를 지반내에 매립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리더와 이 리더를 수직으로 세우고 이동시키는 크레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공법은, 수직으로 세워진 리더에 설치된 파이프내에 드레인재를 내입한 후 파이프를 연약지반 내에 적정깊이로 타설하여 드레인재가 파이 프와 함께 연약지반의 내에 삽입되게 한 다음, 파이프 만을 들려올려 드레인재가 연약지반에 매입되게 함으로써, 매입된 드레인재를 통해 연약지반 내의 수분을 뽑아 올려 지반을 다져주는 공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크레인이 굴삭기로 구성된 타설기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에 굴삭기를 사용하는 드레인재 타설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종래의 드레인재 타설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드레인재 타설기는, 중간이 상부로 절곡된 작동암(103)과 이 작동암(103)을 지지하면서 이동하는 본체(101)로 구성된 굴삭기(100)와, 상기 작동암(103)의 전방에 연결수단(200)으로 연결되어 타설을 수행하는 리더(4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작동암(103)은, 굴삭기 프레임(102)에서 주 실린더(104)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된 상부 경사암(103a)과 이 상부 경사암(103a)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하향되게 절곡된 하부 경사암(103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더(400)는, 내부에 드래인재가 내입되는 파이프(402)가 구비되는 프레임(401)과, 프레임(401)에 장착되어 타설작업을 수행하는 타설용 구동장치가 포함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리더(40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하 서술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리더(400)의 중간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연결 브라켓(201)과, 상기 하부 경사암(103b)의 단부와 상기 연결 브라켓(201)에 상호 연결하는 힌지축(202)과, 상기 하부 경사암(103b)의 상,하부에 상기 연결 브라켓(201)과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202)을 중심으로 리더(40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상,하부 실린더(203,204)로 구성된다.
따라서, 리더(400)가 눕혀진 상태에서 리더(400)를 수직으로 세워 타설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주 실린더(104)를 신장시켜 작동암(103)을 상부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부 실린더(203,204)를 작동시켜 리더(400)를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드레인제 타설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상기 작동암을 통해 리더를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작동암의 전방에 구비된 하부 경사암이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됨으로써, 굴삭기 본체의 무게중심과 수직으로 세워진 리더간의 거리가 멀게 됨에 따라 굴삭기의 본체를 통해 중량체인 리더를 충분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타설 작업중 굴삭기 본체의 후방이 들리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리더가 흔들리게 됨으로써 불량시공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작동암의 전방에 리더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부 실린더를 구비함으로써, 굴삭기에 대하여 전방부의 무게를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굴삭기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부득이 굴삭기 본체의 후방에 무게추를 더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작동암을 통해 리더를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작동암을 구성하는 전방의 상부 경사암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굴삭기 본체의 무게중심과 리더의 거리를 최소화 함 에 따라서, 리더를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동암과 리더의 연결수단을 하나의 링크와 하부 작동 실린더로 구성하여 함으로써 굴삭기에 대하여 전방부의 무게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암이 구비된 굴삭기와 상기 작동암의 전방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연약지반을 타설하는 리더를 포함하는 드레인재 타설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은, 하부로 돌출되게 절곡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암은, 굴삭기 프레임에 주 실린더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된 하부 경사암과, 상기 하부 경사암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상향되게 절곡되게 구비되어 리더를 세울 경우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부 경사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드레인재 타설기는, 작동암(13)이 구비된 굴삭기(1)와 상기 작동암(13)의 전방에 연결수단(2)으로 연결되어 연약지반을 타설하는 리더(4)를 포함하는 드레인재 타설기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13)은 하부로 돌출되게 작동암(13) 을 절곡시키는 하나의 절곡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절곡부(131)는 작동암의 중간 또는 중간에서 후방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굴삭기(1)의 프레임(12)에서 돌출 구비된 주 실린더(14)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주 실린더(14)와 작동암(13)을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암(13)의 중간 또는 중간에서 후방쪽으로 치우치게 절곡부(13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작동암(13)은, 굴삭기 프레임(12)에 주 실린더(14)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된 하부 경사암(132)과, 상기 하부 경사암(132)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상향되게 절곡된 상부 경사암(1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경사암(133)은 상기 주 실린더(14)를 작동시켜 리더(4)를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서 리더(4)를 굴삭기(1)의 본체(11)와 근접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작동암(13)과 리더(4)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연결수단(2)은, 상기 리더(4)의 프레임(41)에서 돌출 구비된 양 브라켓(42)과. 상기 작동암(13)의 전방 단부와 양 브라켓(42)의 사이를 각도변경이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21)와, 상기 상부 경사암(133)의 하부와 양 브라켓(42)의 사이를 각도변경 및 신축 가능하게 연결시켜 리더(4)를 수직으로 세워주는 작동 실린더(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21)는, 상기 작동암(13)의 전방과 리더(4)의 양 브라켓(42)의 사이에 구비된 축(211)과, 상기 작동암(13)과 리더(4)에 각각 구비된 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된 관(212)과, 작동암(13)과 리더(4)에 각각 구비된 관(212)을 상호 연결하는 간격 유지판(21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링크(21)를 간격 유지판(213)을 통해 견고하게 구성함으로써 리더(4)를 인상시킬 경우에 링크의 중간이 파단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간격 유지판(213)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리더(4)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리더(4)가 링크(21)를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 실린더(22)는 양측으로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상부 경사암(133)의 하부와 리더(4)의 양 브라켓(42)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축(221)과, 상기 상부 경사암(133)의 하부와 리더(4)에 각각 구비된 양측으로 돌출된 축(22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된 관(222)과, 상부 경사암(133)과 리더(4)에 각각 구비된 관(222)을 상호 연결하여 유체의 압력으로 작동되는 양측의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리더가 눕혀진 상태와 리더를 세우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더가 눕혀진 상태에서는, 작동암(13)을 작동시키는 주 실린더(14)가 비 작동되고 연결수단(2)을 구성하는 작동 실린더(22)가 비 작동되는 상태이다.
즉 주 실린더(14)와 작동 실린더(22)가 비 작동된 상태로서, 작동암(13)이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더를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굴삭기(1)의 프레임(12)에 구비된 주 실린더(14)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작동 실린더(22)를 축소시킨다.
그러면 작동암(13)이 본체(11)를 중심으로 하여 세워지게 되고, 리더(4)가 상기 링크(21)를 구성하는 리더(4)에 구비된 축(211)을 중심으로 전방이 들리게 된다.
즉 상기 작동암(13)이 세워짐과 더불어 리더(4)의 전방이 들리면서 리더가 전체적으로 들리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리더(4)의 전방이 들리면서 리더(4)가 전체적으로 들리는 과정에서, 주 실린더(14)를 더 신장시키고 작동 실린더(22)를 더 신축시키면 리더(4)가 리더(4)에 구비된 링크(21) 축(2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주 실린더(14)를 최대로 신장시키고 작동 실린더(22)를 최대로 축소시키게 되면, 리더(4)의 하부가 지면에 완전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리더(4)가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리더(4)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작동암(13)을 구성하는 전방의 상부 경사암(133)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링크(21)가 하부를 향하게 경사지게 되며, 작동 실린더(22)는 상부를 향하게 경사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4)를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상부 경사 암(133)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리더(4)는 경사진 링크(21)와 축소된 작동 실린더(22)를 통해 지지되어 있음에 따라서, 굴삭기(1)의 본체(11)와 리더(4)의 사이 거리를 최대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굴삭기(1) 본체(11)의 무게중심과 세워진 리더(4)의 사이거리를 최소로 줄이면서, 상부 경사암(133)을 리더(4)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리더(4)를 좀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리더(4)를 통한 타설과정에서 리더(4)가 흔들리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더(4)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작동 실린더(22)를 작동암(13)의 하부에만 설치함으로써, 굴삭기에 대하여 전방부의 무게를 최소로 줄임에 따라서 굴삭기(1)의 본체(11)에 추가적으로 무게추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굴삭기 본체의 무게중심과 수직으로 세워진 리더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리더를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삭기에 대하여 전방부의 무게를 최소로 줄임으로써 굴삭기의 후방에 별도의 무게추의 장착을 필요 없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 삭제
- 삭제
-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131)를 갖춘 하부경사암(132)과 상부경사암(133)으로 이루어진 작동암(13)과 상기 작동암(13)의 전방에 연결수단(2)에 의해 연약지반을 타설하는 리더(4)가 설치된 공지의 드레인재 타설기에 있어서,상기 연결수단(2)은 리더(4)의 프레임(41)에 설치된 양 브라켓(42)과 작동암(13) 사이에 링크(21)와 작동실린더(22)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링크(21)의 양 단부는 양 브라켓(42)의 하부와 작동암(13)의 선단부와 힌지결합을 이루고, 상기 작동실린더(22)의 양단부는 양 브리켓(42)의 상부와 작동암(13)의 상부 경사암(132)에 힌지결합을 이루어 리더(4)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눕힐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1)는 상기 작동암(13)의 전방과 리더(4)의 양 브라켓(42)의 사이에 구비된 축(211)과 상기 각 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구비된 관(212)과 각 관(212)을 상호 연결하는 간격 유지판(21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6267A KR100740614B1 (ko) | 2006-11-23 | 2006-11-23 |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6267A KR100740614B1 (ko) | 2006-11-23 | 2006-11-23 |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0614B1 true KR100740614B1 (ko) | 2007-07-18 |
Family
ID=3849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6267A KR100740614B1 (ko) | 2006-11-23 | 2006-11-23 |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061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74923A (zh) * | 2021-04-01 | 2021-07-27 |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土木工程施工的地基夯实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82090U (ko) | 1979-11-27 | 1981-07-02 | ||
JPS5726448U (ko) | 1980-07-21 | 1982-02-10 | ||
KR200428590Y1 (ko) | 2006-07-12 | 2006-10-16 | 홍영용 | 다 기능 천공기 |
KR100650435B1 (ko) | 2006-09-04 | 2006-11-30 | (주)수림건설 |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시공장비 |
-
2006
- 2006-11-23 KR KR1020060116267A patent/KR1007406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82090U (ko) | 1979-11-27 | 1981-07-02 | ||
JPS5726448U (ko) | 1980-07-21 | 1982-02-10 | ||
KR200428590Y1 (ko) | 2006-07-12 | 2006-10-16 | 홍영용 | 다 기능 천공기 |
KR100650435B1 (ko) | 2006-09-04 | 2006-11-30 | (주)수림건설 |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다축 플라스틱 보드 드레인시공장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74923A (zh) * | 2021-04-01 | 2021-07-27 |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土木工程施工的地基夯实装置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1257B1 (ko) | 이동 가능한 조립식 흙막이 장치 | |
CN208309593U (zh) | 一种钢管斜支撑结构 | |
KR100740614B1 (ko) | 리더의 지지력을 보강한 드레인재 타설기 | |
US20060140727A1 (en) | Hydraulic-forced resonance-free vibratory sheet piling driving and extraction machine | |
JP2015048659A (ja) |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発進反力装置 | |
US6273637B1 (en) | Dual wheel trench compactor | |
US20050111920A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stalling segmented concrete pilings in new construction | |
JPH0673735A (ja) | 地中連続壁拡底方法 | |
JP3350517B2 (ja) | V字状コンクリート排水溝の施工方法及び施工用バケット | |
JPS6145022B2 (ko) | ||
CN208137003U (zh) | 全套管施工装置 | |
JP2940813B2 (ja) | 移動式開削山留工法および装置 | |
JP2002030654A (ja) | 鉄筋篭運搬建て込み機 | |
CN221523640U (zh) | 一种简易城市综合管廊回填装置 | |
KR100236220B1 (ko) | 일반 굴착기에 장착가능한 지반굴착기용 리더장비 | |
CN217298947U (zh) | 一种便于拆装的基坑支护加固装置 | |
JP3872725B2 (ja) | 穴あけ機 | |
CN219973328U (zh) | 一种沟槽开挖的快速放坡装置 | |
KR100874959B1 (ko) | 트랙터용 써레 | |
CN218093100U (zh) | 适用于薄煤层的充填液压支架 | |
CN215888394U (zh) | 精准定位高速公路边沟挖掘斗 | |
JPH1181298A (ja) | 軟弱地盤改良機の伸縮リーダー装置 | |
JP6554434B2 (ja) | 建設機械用作業機の載置台装置 | |
JPH0447022A (ja) | 杭打機 | |
JP3585627B2 (ja) | 排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