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933B1 -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 Google Patents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933B1
KR100739933B1 KR1020067000292A KR20067000292A KR100739933B1 KR 100739933 B1 KR100739933 B1 KR 100739933B1 KR 1020067000292 A KR1020067000292 A KR 1020067000292A KR 20067000292 A KR20067000292 A KR 20067000292A KR 100739933 B1 KR100739933 B1 KR 10073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discharge
line
branch
lines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279A (ko
Inventor
마르쿠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지아 에네르기테크닉 게엠베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아 에네르기테크닉 게엠베헤 filed Critical 지아 에네르기테크닉 게엠베헤
Publication of KR2006002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2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feeding steam or vapour to cond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76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376Comb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38Non-valved flow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몇 개의 특히 공냉 응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에 관한 것이다. 증기 라인은 응축 구성요소로 유도되는 둘이상의 분배 파이프(6)가 연결되는 주 증기 라인(10)을 포함한다. 주 증기 라인(10)의 단면은 분기 라인(6)의 연결 부분(7)으로부터 더 작아진다. 본 발명은 주 증기 라인(10)이 폐기 증기의 흐름방향으로 상승하는 수평선(H)에 대해 각(W)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기설비, 증기터빈

Description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Exhaust steam line for steam plants}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단의 특징을 가지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에 관한 것이다.
증기 설비 특히 증기 터빈의 증기 배출 라인의 목적은 증기 배출이 개별 고려요소로 이송되는 분기 라인으로 주 증기 배출 라인을 경유하여 증기 터빈의 배출구 즉, 증기 터빈 증기 배출 소켓으로부터 증기 배출을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진공으로 작동함으로써 가능한한 광범위하게 수행된다. 공냉 응축기를 위한 증기 배출의 라인은 대개 1m-10m사이의 직경을 가진다.
배출라인 내에서의 국지적 흐름손실은 흐름방향 또는 흐름을 위한 단면의 국지적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분기 라인의 연결점에서 알려진 증기 배출 라인의 경우 라인 단면의 단계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상기 연결 구멍이 존재함에 따라 자유롭게 통과하는 증기의 배출라인의 분기라인의 연결구멍에서 압력의 손실이 예상된다.
독일특허 1 945 314호에서 증기 배출 라인이 공지된 바 있다. 여기서 라인 단면의 감소가 서로 눌러지는 다른 직경을 가진 파이프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달성됨으로써 분기 라인의 분기시 압력이 가능한한 작게 손실되어어야 한다. 한편, 더 작은 파이프가 원형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더 큰 파이프로 삽입되어 더 큰 파이프내의 분기 라인의 연결구멍이 방사방향으로 덮이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압력손실이 최소값 범위를 넘어 감소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증기 배출의 흐름방향의 경우 손실은 원칙적으로 연결 영역에서 발생한다. 상기 흐름손실에 더하여 압력 손실이 라인의 길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주 증기 배출 라인이 플로어 부근에서 수평으로 진행할 때, 길게 상부로 진행하는 분기 라인이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평으로 진행하는 주 증기 배출 라인은 더 높게 설치되어 개별 분기 라인이 더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주 증기 배출 라인내에 적어도 두개의 90°편향이 필요하게 한다. 한편, 저항계수의 감소를 위해 스쿱 엘보(scoop elbow)가 만곡지점 내에 설치되어야한다. 이들은 한편으로 매우 큰 파열중량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재료 비용이 감소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압력 손실을 가능한한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가지는 증기 배출 라인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체는 실체로 수평으로 각도를 이루는 주 증기 배출 라인을 배치하여 주 증기 배출 라인이 증기 배출 흐름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주 증기 배출 라인과 분기 라인 사이에서 측정된 분기각은 90°보다 작고 개별 분기 라인의 길이는 증기 배출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감소된다.
상기와 같은 새로운 라인 방향의 기본 개념은 낮은 높이에 있는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연결과 더 높은 높이에 있는 분배 파이프에 분기 라인의 복수 연결사이에서 가능한한 직접 연결하는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주 배출 증가 라인의 상승 배치는 비록 개별 분기 라인이 다른 길이를 가질지라도 전체적으로 이들이 주 배출 증가 라인을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진행하는 경우 더 짧게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인해 흐름 통로의 길이도 함께 줄어든다.
재료를 적게 사용함으로써 배출 증가 라인내의 질량이 감소되고 역시 조립비용도 마찬가지로 절감된다. 조립시 비용이 절감되는 이유는 개별 링 세그먼트로부터 만들어진 분기라인이 더 짧아지고 결과적으로 링세그먼트와 서로 연결되는 용접작업이 더 적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쉽게 조작가능하도록 전체 조립된 중량도 줄어든다. 결국, 기본적인 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주 증기 배출 라인과 분기 라인사이에 직각형태를 가진 배치와 비교할 때 기본적인 장점은 압력손실에 따른 흐름손실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상기 압력 손실은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저항계수에 비례한다. 저항계수의 크기는 곡선과 파이프 분기수 및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분기라인의 연결영역에서 상기 저항계수는 본 발명에 따라 주 배출 증가 라인을 사선으로 조절함으로써 감소된다. 원칙적으로 더 작은 분기 각을 가질 수록 더 낮은 저항계수를 가지게 된다.
분기각은 주 증기 증기 라인의 단면 평면과 분기라인의 단면 평면사이에서 측정된다. 평행한 단면 평면의 경우 상기 각은 0°이고 본 발명에 따른 배치의 경우 통상의 분기 각은 주 증기 배출라인의 경사각에 의해 90°로부터 줄어들게 되어, 분기라인의 각 연결에서 저항계수는 90°편향인 경우보다 낮게된다.
이것은 직각형태를 가진 공지된 배치의 경우에서보다 증기 배출 라인내에서 상당히 낮은 전체 손실 수준 및 작은 압력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다른 장점은 주 증기 배출 라인이 증기 터빈의 더 낮은 높이로부터 비교적 부드럽게 상승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제 2항의 특징에 따라 수평에 대해 측정되는 분기 각은 5°-60°범위가 된다. 상기 각도는 10°-20°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큰 각도는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수평 선형섹션으로부터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사선 선형 섹션까지의 이행영역 내의 저항계수가 더 커져서 더 큰 압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10°이하의 매우 작은 분기 각의 경우 압력 손실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90 만곡의 경우보다 상당히 낮게 된다. 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이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들어 스쿱 엘보와 같은 부가적인 평향장치가 필요하지 않게된다. 또한 주 증기 배출 라인내의 증기 흐름방향에 대한 보상 복귀가 개선될 수 있다.
분기 각의 선택은 주 증기 배출 라인의 길이와 적절한 설비 상태에 따라 좌우된다. 중요한 것은 주 증기 배출 라인의 높이의 변화를 위해 90°의 만곡이 라인내에 존재하지 않고 오직 90°이하의 분기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선 경사도를 통해 제 1 주 증기 배출 라인과 제 2 주 배출증기 라인이 공통의 중심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필수적으로 상술한 장점을 역시 가지는 중심 증기 공급수단과 함께 주 증기 배출 라인의 V자형상 배치와 일치한다.
청구항 제 7항의 실시예에서, 하나이상의 분기라인이 사선으로 상승하는 분기 각도로 증기 배출 흐름방향에서 주 증기 배출 라인에 배치된다. 따라서 분기라인과 연결지점의 상수 단부는 동일한 수직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배치에서 개별 연결지점에서의 흐름손실은 다시 한번 감소된다.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외부단부에서 분기 라인이 주 증기 배출 라인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동일한 경사하의 본 발명에서 주 증기 배출 라인 및 분기 라인의 세로축의 평행성 또는 일치성이 이해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경우, 수평에 대한 주 증기 배출 라인의 각도는 터빈으로부터 최종 응축 요소의 수직 및 수평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주 증기 배출 라인이 곡률을 가지지 않고 최종 분기 라인과 혼합되기 때문에 주 증기 배출 라인이 더 짧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의 경우 전체 중량은 최종 분기라인이 다소 긴데도 불구하고 더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이상의 분기 라인이 둘이상의 부분 라인으로 나누어진다. 이로 인해 분기라인으로 흐르는 증기 배출 흐름은 응축요소로 흐르는 각각 두 개의 라인으로 나누어진다. 특정 형태에서 주 증기 배출 라인에 직접 연결되어야하는 다른 분기 라인을 제공하는 대신 두 부분 라인으로 분기 라인을 나누는 것이 편리하다. 분기 라인을 부가적인 둘 이상의 부분라인으로 분리함에 따라 재료 사용을 줄이고 전체 조립중량을 줄일 수 있게된다.
상기 부분라인은 분기 라인에 대한 분기 각에서 사선으로 상승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흐름 손실은 가능한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분기 각도는 명확하게 90°보다 작다.
청구항 제 11항의 주제는 부분 라인 또는 분기 라인의 하나이상의 연결 영역에서 판금 전향장치가 증기 배출 흐름을 분분 증기 배출 흐름으로 나누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판금 전향장치의 목적은 가능한한 작은 흐름 손실을 가지는 증기 배출 흐름으로 나누는 것이다. 상기 흐름 손실은 각 부분 증기 배출 흐름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12항의 범위내에서, 부분 증기 배출 흐름이 연결지점에 이어지는 분배기 파이프의 갯수의 비율과 일치하게 된다. 예를들어 주 증기 배출 라인에서 모두 5개의 분기가 발생하는 반면 동일한 양의 배출 흐름이 개별 분배기 파이프에 공급된다면,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때, 증기 배출 흐름의 제 1 연결부분 1/5는 분기되어야 한다. 감소된 증기 배출 흐름의 다음 1/4 연결부분이 분기되고 따라서, 후속하는 연결부분의 1/3 및 1/2가 분기된다. 분기 라인이 두 부분 라인으로 나누어지는 경우 각각 분배기 파이프로 유도되는 두배의 배출 흐름은 상응하는 분기 라인에 공급된다.
주 증기 배출 라닝의 사선 방향은 응축기 요소아래로 냉각공기가 자유롭게 흐르게하여 낮은 높이의 플랫폼이 가능하게하고 이에따라 스틸 구조의 비용감소를 가져오게 한다. 또한 주 증기 배출 라인아래를 사람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접근성이 개선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하기되는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다.
도 1 및 2는 공냉 응축기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방향에 대한 종래기술의 개략도.
도 3.1 및 3.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개략도.
도 4 및 5는 중심 증기 공급수단을 가진 증기 배출 라인의 종래기술의 개략도.
도 6.1 및 6.2는 중심 증기 배출 공급수단을 위한 V자형상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의 두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
* 부호설명
1, 5, 12, 13, 19, 20: 증기 배출 라인
2, 10, 14, 17, 18, 21: 주 증기 배출 라인
3, 6, 6', 6", 6"', 6a: 분기 라인 4: 스프링 부분
7, 7a: 연결부분 8: 수평 선형 섹션
9: 상승하는 선형섹션
11: 힌지가 형성된 지지수단 또는 테프론/ 고강도 강 슬라이딩 발판
11': 지지수단 15, 16, 22: 중심라인
23, 24: 부분라인 25, 26, 27: 판금 전향장치
28: 25, 26, 27의 전면 선형 영역 28: 25, 26, 27의 후방 선형 영역
30: 분배기 파이프
D1 , D2:: 21의 직경 D3: 6a의 직경
H: 수평선 L: 길이
W: 각도 W1, W2, W3, W3',W3", W4: 분기 각
도 1은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분기 라인(3)을 가진 수평 주 증기 배출 라인(2)을 가진 종래기술의 증기 배출 라인(1)을 도시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응축기 요소의 분배 파이프(30)는 분기라인(3)의 상부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형태의 증기 배출 라인(1)은 개별 분기 라인(3)이 매우 길고 길이를 따라 지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세로방향의 열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보상기가 분기 라인(3)내에 제공되기 때문에, 분기라인(3)의 개별 섹션은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강구조에서 경사를 이루어야 한다. 이에대한 비용은 그다지 크지 않다. 라인의 전체 길이는 비교적 길어서 상상한 톤수가 이송되어야한다. 조립비율은 대단히 높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주 증기 배출 라인(2)의 수평 선형 섹션은 상승된 위치로 제공되어 개별 분기 라인(3)이 짧아질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이에 상응하는 가벼운 분기 라인(3)이 보상기를 포함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의 위치에 대해 비용을 덜들이고 경사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주 증기 배출라인의 둘이상의 90°만곡이 요구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 선형섹션으로 빠져나가는 증기 배출 흐름을 분리하고 다시 수직 선형 섹션으로부터 수평 선형섹션으로 분리하게된다.
만곡부에서 부가적인 스쿱 엘보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 90°의 각도로 분기하게되면 높은 흐름손실을 초래한다. 더 큰 설비의 경우, 상기 스쿱 엘보의 중량은 약 7-20t에 이르고 상승된 위치에서 지지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큰 중량은 지진이 일어나는 경우 상당한 문제가 된다. 스쿱 엘보를 포함하는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수평 선형섹선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지지 대상 영역내의 주 배출 흐름 라인의 수직 선형 섹션으로 이행시 특정 지지 구조가 수직으로 작용하는 지진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채용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서, 스프링 지지수단(4)은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선형 섹션을 수평으로 연장하는 적절한 지지수단을 고정하도록 열적인 세로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수직 지진 진동의 경우 비교적 큰 중량의 주 증기 배출 라인과 스쿱 엘보의 비교적 큰 중량은 스프링 지지수단의 스프링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부가적인 충격 브레이크가 유압 흡수수단의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충격 브레이크는 주 증기 배출 라인(2)으로부터 스프링 지지수단(4)의 스프링과 연결되고 주 증기 배출 라인(2)이 결국 연결되는 증기 터빈으로 지진이 지속되는 동안 도입되는 힘을 차단하는 스프링 흡수 배치를 형성한다. 도 2에서, 다른 스프링 지지수단(4)이 이중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5)을 도시한다. 이는 각도 W에서 상승하는 증기 배출의 흐름방향에서 수평선 H로 주 증기 배출 라인(10)이 배치됨으로써 종래기술인 도 1 및 2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상기 예에서 분기 각 W는 10°이다. 수직 상부로 상승하는 5개의 분기라인(6)은 모두 주 증기 배출 라인(10)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라인의 단면은 분기 라인(6)의 각 연결부분(7)뒤에서 감소된다.
상기 형태에서 도면의 평면 우측의 분기 라인(6)은 도면의 좌측 절반의 제 1 상승 분기 라인(6)보다 상당히 짧다. 사선 배치로 인해 주 증기 배출 라인(10)의 상승하는 선형 섹션(9)과 각각의 분기 라인(6)사이의 분기각 W1은 90°보다 작다. 80°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분기의 저항 계수는 따라서 90°분기의 경우보다 작다.
또 다른 장점은 수평 선형 섹션(8)과 주 증기 배출 라인(10)의 상승하는 선형 섹션(9)사이의 분기 각 W2가 상기 만곡내에서 매우 작은 저항계수를 가지게 되어 스쿱엘보가 필요없다는 점이다. 라인의 전체길이가 감소되는 경우, 증기 배출은 동시에 압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쿱 엘보를 사용하지 않는 분기 라인(6)의 상부단부에서 응축 요소(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될 수 있다.
주 증기 배출 라인(10)의 상승하는 선형 섹션(9)이 힌지가 형성된 지지수단(11)에 장착된다. 상기 힌지가 형성된 지지수단(11)은 상승하는 선형 섹션(9)의 세로방향에서 작용하는 세로 열변화를 보상한다. 수직으로 작용하는 지진 하중의 경우, 상승하는 선형섹션(9)은 증기 터빈에 어떠한 과도한 힘도 작용하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을 위한 구조 비용이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주 증기 배출 라인(10)의 상승으로 인해 공기 냉각된 보상 요소의 플랫폼아래로 공기가 더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전체 설비의 접근성이 개선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직접 통로가 플로어근처에 형성된 주 증기 배출 라인(2)에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긴 통로가 매우 빈번하게 커버되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배치의 경우, 주 증기 배출 라인(10)아래로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장점은 바람하중에 대한 증기 배출라인(5)의 영역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도 3.1 및 3.2에 따른 라인방향의 경우 전체 연결영역이 도 1 또는 2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서보다 작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3.2의 실시예는 개별분기라인(6', 6", 6"')이 수평에 대한 직각이 아니고 사선으로 상승하여 연장된다는 점에서 도 3.1과는 다르다. 상기 실시예에서, 주 증기 배출 라인과 각 W의 상승하는 선형 섹션(9)의 경사는 상승하는 선형 섹션(9)의 외부단부에 제공된 분기 라인(6"')이 주 증기 배출 라인의 상승하는 선형 섹션(9)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선택된다. 도 3.2의 실시예의 경우, 각 W는 실제로 도 3.1의 실시예의 경우에서보다 수평선 H에 대해 크기 때문에, 이행영역내 수평 선형 섹션(8)으로부터 상승하는 선형섹션(9)으로 약간 더 높은 흐름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비록 W3', W3"로 표시된 상승하는 선형섹션(9)과 분기 라인(6', 6")사이의 분기각이 도 3.1의 실시예의 경우에서보다 작을지라도 개별 분기라인(6', 6")의 연결부분(9)에서 상기 흐름손실은 개별적으로및 전체적으로 더 적게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승하는 선형섹션(9)의 라인의 단면은 제 1 연결부분(7)로부터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재료 및 중량이 상당히 절약되어 더 낮은 조립중량 및 더 낮은 조립 비용으로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더 낮은 중량, 바람, 지진 및 기초하중이 이루어진다.
두 연결부분(7)사이에 위치되는 각각의 상승하는 선형섹션(9)은 지지수단(11')에 의해 이송된다. 원칙적으로 분기각 W3', W3"은 다를 수 있다. 상기 분기각 W3', W3"은 특히 상승하는 선형섹션(9)의 외부단부를 향해 더 작을 수 있고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도 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12, 13)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도 1 및 2에 따른 배치와 수직축에 대해 대칭이미지(mirror imaged)에 해당하며, 이 경우 주 증기 배출 라인(14)의 가로로 연장되는 분기를 통해 중심라인(15)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도 5는 역시 도 2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스프링 지지수단(4)을 도시한다. 이는 도 1 및 2를 기초로 설명된 단점을 가진다.
도 6.1의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 증기 배출 라인(17)과 주 증기 배출 라인(18)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상승하고 좌우로 연장되는 중심라인(16)을 도시한다. 개별 주 배출 라인(17, 18)은 지지수단(11) 특히, 힌지가 형성된 지지수단에 장착된다. 실시예의 장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 라인(19)의 변형예가 적용되는 도 3.1을 참조한다.
원칙적으로 힌지가 형성된 지지수단(11)은 테프론/고등급강 슬라이딩 발판을 가진 정지 지지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2의 실시예는 수평선 H와 주 증기 배출 라인(17, 18)사이의 각 W로 도 6.1과 다르다. 상기 각 W는 각각의 경우 최종 분기 라인(6"') 또는 단부에 있는 라인이 주 증기 배출 라인(17, 18)과 정렬되어 연장되도록 선택된다. 이 때문에, 외부 분기 라인(6"')은 특정범위로 주 증기 배출 라인(17, 18)의 구성요소가 된다.
또 다른 점은 개별 주 증기 배출 라인(17, 18)의 중간에 있는 분기 라인(6")이 도 6.1의 경우와 같이 수평선 H와 직각을 이루지 않고 경사진다는 것이다.
주 증기 배출 라인(17, 18)과 이들의 분기 라인(6")사이의 분기각은 W3으로 나타난다. 도 4 및 5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분기각 W3이 90°보다 명확히 작고 도 6.1의 실시예에서보다도 작다. 더 짧고 더 가벼운 증기 배출 라인(6, 6', 6")은 상기와 같은 작업시 하중, 바람 지진 및 기초하중의 감소를 가져온다.
도 7은 증기 배출 라인(20)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수평선 H 와 주 증기 배출 라인(21)사이의 각 W는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할때 더 크다. 주 증기 배출 라인(21)은 중간부분을 수평으로 연장하지 않고 중심라인(22)에 직접 연결된다. 각 W는 또한 최종 분기 라인(6"')이 주 증기 배출 라인(21)과 정렬되어 연장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주 증기 배출 라인(21)이 비교적 급격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주증기 배출 라인(21)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분기 라인(6, 6a)과 주 증기 배출 라인(21)사이의 분기각 W2가 매우 작아서, 주 증기 배출 라인(21)의 연결부분(7)의 흐름손실이 낮다.
상기 실시예의 특징은 분기 라인(6a)이 두 개의 부분라인(23, 24)으로 나누어지는 한편, 각 부분 라인(23, 24)이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응축 구성요소로 유도된다는 것이다. 주 증기 배출 라인(21)으로부터 나오는 분기 라인(6a)은 먼저 연결부분(7a)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다. 부분라인(24)는 분기 각 W4로 연결부분(7a으로부터 분기되는 반면, 외부 부분 라인(23)은 분기 라인(6a)의 직선 연장으로 수직 상부로 연속된다. 부가적인 부분 라인(24)으로 인해 주 증기 배출 라인(21)으로 연장되어야 하는 다른 분기라인이 필요없어진다. 따라서, 특히 급격하게 상승하는 증기 배출 라인(21)의 경우 개별 분기 라인상에 부가적인 분기 또는 부분 라인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이전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판금 전향장치(25, 26, 27)가 연결부분(7, 7a)에 이어지는 분배기 파이프의 갯수의 비율에 따라 부분 증기 배출 흐름으로 증기 배출 흐름이 나누어지도록 기능한다. 도 7 및 8의 실시예에서, 응축기 구성요소의 모두 네 개의 분배기 파이프가 배출 스트림과 함께 공급된다. 따라서, 각 연결부분에서 증기 배출 흐름은 비율 1:1로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는 판금 전향장치(25, 26, 27)가 주 증기 배출 라인(21)과 각각의 연결부분(7, 7a)의 앞에 있는 분기 라인(6a)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달성된다.
주 증기 배출 라인(21)과 분기 라인(6a)의 원형 단면은 각각 두 반원으로 나누어진다. 주 증기 배출라인(21)과 분기 라인(6a)의 단면이 원형단면이 아니라면, 상기 영역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각 판금 전향장치(25, 26, 27)는 상기 영역의 분리가 연결부분(7, 7a)의 앞 및 연결부분(7, 7a)의영역 내에서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연결부분(7, 7a)의 영역 내의 부분적 증기 배출 흐름의 압력손실이 거의 동일하고 증기 배출의 부피가 동일한 부피로 필수적으로 나누어져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판금 전향장치(25, 26, 27)는 각을 이루고 있다. 각 개별 판금 전향장치(25, 26, 27)의 전면 선형 영역(28)은 주 증기 배출 라인(21) 및 각 연결부분(7, 7a)의 증기 배출 라인(6a)의 직경 D1, D2, D3과 일치하는 길이 L을 가진다.
연결부분(7, 7a)의 시작점은 부분 라인(24)의 교차점이 분기 라인(6a)에 삽입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분기 라인(6, 6a)의 중심라인이 주 증기 배출 라인(21)에 삽입되는 지점으로 한정된다. 각 판금 전향장치(25, 26, 27)의 각 전면 선형 섹션(28)의 직선 경로가 각 후방 선형 섹션(29)이 각을 이루어 조절되기 전에 상기 교차지점을 지나 연장된다. 후방 선형 섹션(29)의 조절 지점은 연결부분(7, 7a) 영역내의 흐름 단면이 동일 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Claims (12)

  1. 각각 응축구성요소로 유도되는 둘이상의 분기라인(6, 6', 6", 6a)이 연결되는 주 증기 배출 라인(10, 17, 18, 21)과 함께 복수의 공냉 응축 구성요소를 가지고, 주 증기 배출 라인(10, 17, 18, 21)의 단면이 분기라인(6, 6', 6", 6a)의 연결부분(7)뒤에서 감소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에 있어서,
    흐름방향에서 볼 때 주 증기 배출 라인(10, 17, 18, 21)이 수평선(H)에 대해 각을 이루어 사선으로 상승하도록 배치되고
    반면, 주 증기 배출 라인(10, 17, 18, 21)과 분기 라인(6, 6', 6", 6a)사이에서 측정된 분기각은 90°보다 작고 개별 분기 라인(6, 6', 6", 6a)의 길이는 증기 배출의 흐름방향에서 볼때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W)이 5°와 50°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각(W)이 10°와 20°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주 증기 배출 라인(17)과 제 2 주 증기 배출 라인(18)이 반대방향의 경사로 공통 중심라인(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5. 제 1항에 있어서, 주 증기 배출 라인(10, 17, 18)이 주 증기 배출 라인(10, 17, 18)의 열적 세로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수단을 가지는 지지수단(1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증기 배출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하나이상의 분기라인(6, 6', 6", 6"')이 주 증기 배출 라인(10, 18, 21)에 대한 분기각(W3, W3', W3")에서 사선으로 상승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8. 제 1항에 있어서, 주 증기 배출 라인(10, 18, 21)의 단부에서 분기라인(6"')이 주 증기 배출 라인(10, 18, 21)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9.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분기라인(6a)이 둘 이상의 부분라인(23, 24)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10. 제 9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부분라인(24)이 분기라인(6a)에 대해 분기 각(W4)으로 사선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11. 제 1항에 있어서, 분기 라인(6, 6', 6", 6a)의 하나이상의 연결부분(7, 7a) 영역내에서 주 증기 배출 흐름을 부분 증기 배출 흐름으로 나누기 위해 판금 전향장치(25, 26, 2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12. 제 11항에 있어서, 부분 증기 배출 흐름 비율이 연결부분(7, 7a)에 이어지는 분배기 파이프(30)의 갯수의 비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KR1020067000292A 2003-07-08 2004-07-02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KR100739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0659.5 2003-07-08
DE10330659A DE10330659B3 (de) 2003-07-08 2003-07-08 Abdampfleitung für Dampfkraftanl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279A KR20060029279A (ko) 2006-04-05
KR100739933B1 true KR100739933B1 (ko) 2007-07-16

Family

ID=3348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292A KR100739933B1 (ko) 2003-07-08 2004-07-02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168448B2 (ko)
EP (1) EP1642075B1 (ko)
KR (1) KR100739933B1 (ko)
CN (2) CN100340743C (ko)
AT (1) ATE348308T1 (ko)
AU (1) AU2004255669B2 (ko)
DE (2) DE10330659B3 (ko)
EG (1) EG24188A (ko)
ES (1) ES2277278T3 (ko)
IL (1) IL171512A (ko)
MX (1) MXPA05008679A (ko)
RU (1) RU2298750C2 (ko)
WO (1) WO2005005902A1 (ko)
ZA (1) ZA2005064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5852B (fi) * 2003-03-03 2005-07-29 Uponor Innovation Ab Jakotukki
DE10330659B3 (de) * 2003-07-08 2004-12-23 Gea Energietechnik Gmbh Abdampfleitung für Dampfkraftanlagen
FR2896792B1 (fr) * 2006-01-27 2008-07-18 Millipore Corp Systeme et procede de purification d'eau
FR2896793B1 (fr) * 2006-01-27 2008-08-08 Millipore Corp Systeme et procede de purification d'eau
JP3987093B1 (ja) * 2006-07-10 2007-10-03 キリンビバレッジ株式会社 分配器
DE102007058030A1 (de) * 2007-11-30 2009-06-04 Bohnenstengel, Christel Abkühlanordnung
US8151885B2 (en) * 2009-04-20 2012-04-1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Erosion resistant flow connector
US8992601B2 (en) 2009-05-20 2015-03-31 480 Biomedical, Inc. Medical implants
NO333218B1 (no) * 2011-01-27 2013-04-15 Fmc Kongsberg Subsea As Manifold for bruk i et stromningssystem
JP6209531B2 (ja) * 2011-12-21 2017-10-04 ゼネラル エレクトリック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形状が最適化されたヘッ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04275A1 (de) * 2012-03-01 2013-09-05 Ulrich Schmid Vorrichtung zur Stromerzeugung aus Abwärme (Strompumpe)
WO2013181512A1 (en) * 2012-05-31 2013-12-05 Evapco, Inc. Turbine exhaust duct design for air cooled condensers
CN102809305B (zh) * 2012-08-21 2014-04-16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电站直接空冷凝汽器蒸汽分配装置
CN103148710A (zh) * 2013-04-07 2013-06-1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东北电力设计院 大型机组直接空冷排汽管道布置结构
US20160102895A1 (en) * 2014-10-08 2016-04-14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Modular air cooled condenser flow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
CN104677133B (zh) * 2015-01-21 2018-09-11 北京龙源冷却技术有限公司 一种排气系统及间接空冷系统
MX2017011998A (es) * 2015-03-19 2018-06-07 Ipeg Inc Metodo de prueba de diferencial de presion para transporte neumatico.
US9969569B2 (en) 2015-09-22 2018-05-15 Deere & Company Agricultural vehicle pneumatic distribution system
CN105466235A (zh) * 2015-12-22 2016-04-06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自然通风冷却塔直接干式冷却系统
CN106761970B (zh) * 2016-12-13 2018-02-16 华北电力大学 一种多台联建机组乏汽冷却系统及多台联建空冷发电机组
CN106705696B (zh) * 2017-01-18 2019-01-08 王国际 双路蒸汽凝结水并联平衡排放器
BE1024229B1 (fr) 2017-10-31 2019-05-27 Hamon Thermal Europe S.A. Unité de refroidissement, installation et procédé
US10926965B2 (en) * 2018-03-28 2021-02-23 Ipeg, Inc. System and method using telemetry to characterize, maintain and analyze pneumatic conveying systems
US11091327B2 (en) * 2018-03-28 2021-08-17 IPEG, Inc System and method using telemetry to configure control systems for pneumatic conveying systems
US10982904B2 (en) 2018-09-07 2021-04-20 Evapco, Inc. Advanced large scale field-erected air cooled industrial steam condenser
JP2021536561A (ja) * 2018-09-07 2021-12-27 エバプ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Evapco, Inc. 先進大規模野外設置型空冷式工業用蒸気凝縮器
CN109141038A (zh) * 2018-09-29 2019-01-04 中冶北方(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环冷机液槽解冻装置
CN109289293A (zh) * 2018-11-23 2019-02-01 陕西燎原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扰流式进液装置
MX2022003073A (es) * 2019-09-13 2022-06-02 Evapco Inc Condensador de vapor industrial avanzado enfriado por aire montado en campo a gran escal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2286B (de) * 1957-01-28 1960-05-25 Arbed Luftgekuehlter Oberflaechenkondensator
DE1945314A1 (de) * 1969-09-06 1971-03-11 Kraftwerk Union Ag Abdampfleitung fuer Dampfkraftanlagen
US3814177A (en) * 1971-02-11 1974-06-04 Gkn Birwelco Ltd Steam condensers
DE2421681A1 (de) * 1973-05-07 1974-11-28 Regamey Pierre E Dampfanlage mit direkter rueckfuehrung der kondensa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4011A (en) * 1937-05-13 1939-06-27 Donald F Ainslee Orchard heating system
US2723680A (en) * 1950-07-01 1955-11-15 Neyrpic Ets Conduit elements
US3037629A (en) * 1958-12-23 1962-06-05 Stamicarbon Separating a mixture of solid particles of various sizes suspended in liquid
US3103942A (en) * 1961-09-22 1963-09-17 Du Pont Apparatus and process for distributing viscous liquids
US3794056A (en) * 1972-11-17 1974-02-26 R Warren Fluidic pulse and flow divider
FR2338472A2 (fr) * 1976-01-19 1977-08-12 Neu Ets Perfectionnement aux echangeurs a tubes
DE3040927C1 (de) * 1980-10-30 1981-10-15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Verteiler fuer Zweiphasengemische,insbesondere Wasser-Dampf-Mischungen in Zwangsdurchlaufkesseln
SU1108118A1 (ru) * 1982-12-13 1984-08-15 Днепродзержинский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м.М.И.Арсениче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агломерационной шихты паром
US4574837A (en) * 1983-09-29 1986-03-1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two-phase gas-liquid flows having a known flow profile
US4609009A (en) * 1985-12-11 1986-09-02 Environmental Elements Corp. Stepped plenum system
CH667704A5 (de) * 1986-02-07 1988-10-31 Sulz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leichmaessigen verteilung einer fluessigkeit auf eine querschnittsflaeche.
US4800921A (en) * 1986-06-20 1989-01-3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single stream of liquid and vapor into multiple streams having similar vapor to liquid rations
US4824614A (en) * 1987-04-09 1989-04-25 Santa Fe Energy Company Device for uniformly distributing a two-phase fluid
US5407274A (en) * 1992-11-27 1995-04-18 Texaco Inc. Device to equalize steam quality in pipe networks
US5709468A (en) * 1992-11-27 1998-01-20 Texaco Group, Inc. Method for equalizing steam quality in pipe networks
WO1999020874A1 (fr) * 1997-10-17 1999-04-29 Za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entek' Conduit d'evacuation pour turbine a vapeur
JP2002129906A (ja) * 2000-10-20 2002-05-09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排気室の冷却蒸気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530042Y (zh) * 2002-04-05 2003-01-08 东方汽轮机厂 电站直接空冷汽轮机排汽装置
DE10330659B3 (de) * 2003-07-08 2004-12-23 Gea Energietechnik Gmbh Abdampfleitung für Dampfkraftanla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2286B (de) * 1957-01-28 1960-05-25 Arbed Luftgekuehlter Oberflaechenkondensator
DE1945314A1 (de) * 1969-09-06 1971-03-11 Kraftwerk Union Ag Abdampfleitung fuer Dampfkraftanlagen
US3814177A (en) * 1971-02-11 1974-06-04 Gkn Birwelco Ltd Steam condensers
DE2421681A1 (de) * 1973-05-07 1974-11-28 Regamey Pierre E Dampfanlage mit direkter rueckfuehrung der kondens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8448B2 (en) 2007-01-30
ATE348308T1 (de) 2007-01-15
CN100340743C (zh) 2007-10-03
CN2695642Y (zh) 2005-04-27
EP1642075A1 (de) 2006-04-05
IL171512A (en) 2011-06-30
RU2298750C2 (ru) 2007-05-10
ES2277278T3 (es) 2007-07-01
DE10330659B3 (de) 2004-12-23
WO2005005902A8 (de) 2005-09-09
EP1642075B1 (de) 2006-12-13
KR20060029279A (ko) 2006-04-05
RU2005129703A (ru) 2006-02-10
US20050161094A1 (en) 2005-07-28
CN1576520A (zh) 2005-02-09
MXPA05008679A (es) 2005-10-05
AU2004255669B2 (en) 2007-05-24
WO2005005902A1 (de) 2005-01-20
DE502004002322D1 (de) 2007-01-25
ZA200506469B (en) 2006-08-30
EG24188A (en) 2008-10-08
AU2004255669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933B1 (ko) 증기 설비를 위한 증기 배출 라인
PL199124B1 (pl) Wytwornica pary
FI124485B (fi) Kattilalaitos, tukirakenne ja menetelmä kattilalaitoksen soodakattilan seinien tukemiseksi
EP2796669A1 (en) Steam valve apparatus
US9151496B2 (en) Thermal power plant
WO2017129937A1 (en) Long span suspension bridges - cable geometry
US20180266396A1 (en) Tower for a wind turbine
US5290146A (en) Outer casing of a low-pressure part of a steam turbine
US6550249B2 (en) Condenser neck between a steam turbine and a condenser
US3799253A (en) Condensation system for low pressure gaseous media, such as exhaust steam of steam power plants
US4679529A (en) Steam generator feed water heater
US7815416B2 (en) Steam turbine
CN101779081B (zh) 蒸汽发生器
KR101954742B1 (ko) 케이블 보강형 반 방음터널
US3915223A (en) Steam power installation having a cooling tower-air condensation apparatus
CN110785559A (zh) 整体支承的冷却装置
US10060418B2 (en) Solar heat receiver and solar heat power generation device
US11143398B2 (en) Boiler system with a support construction
CN206889847U (zh) 一种附墙空间管道固定支架
SU1765324A1 (ru) Перепадный колодец
EP0695256A1 (en) A device for spherical ship's tanks
JPH03126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