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874B1 -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874B1
KR100739874B1 KR1020060137103A KR20060137103A KR100739874B1 KR 100739874 B1 KR100739874 B1 KR 100739874B1 KR 1020060137103 A KR1020060137103 A KR 1020060137103A KR 20060137103 A KR20060137103 A KR 20060137103A KR 100739874 B1 KR100739874 B1 KR 10073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m water
stopper
rainwater
sump
collecting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한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3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30Devices providing a sequential discharge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는 우수의 양이 적을 때는 집수정(30)의 둘레면에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지면(10)으로 우수를 배수하고,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10), 상기 부력체(70)에 의해 마개(60)가 개방되어 배수관(40)을 통해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우수를 지면(10)으로 흡수시켜, 지하수부족이나, 하천의 지류가 마르는 건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Drain pipe}
도 1은 종래의 매설하수관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하수관의 설치구조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면, 20; 우수받이덕트,
30; 집수정, 40; 배수관,
50; 배수층, 60; 마개,
61; 마개본체, 61a; 관통공,
62; 아암, 64; 아암,
70; 부력체, 71; 와이어.
본 발명은 지면에 매설되어 우수를 배수하는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를 배수하는 매설하수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면(10)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받이덕트(20)와, 상기 우수받이덕트(20)에 연결되는 집수정(30)과, 상기 집수정(30)에 연결된 배수관(40)으로 구성되어, 우수가 상기 우수받이덕트(20)를 통해 집수정(30)에 모인 후, 배수관(40)을 통해 하천이나 다른 대형 하수관 등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우수는 지면(10)을 통해 지하로 흡수되어, 지하수를 형성하거나, 지하수맥을 따라 흐르다가 지면(10)으로 노출되어 하천의 지류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도심의 경우, 지면(10)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되어 우수가 지면(10)으로 흡수되지 못하고, 전술한 매설하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바로 배수되므로, 지하수가 부족하거나, 건기시 하천의 지류가 마르는 건천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를 지면(10)으로 흡수시켜, 지하수부족이나, 하천의 지류가 마르는 건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된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10)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받이덕트(20)와; 상기 우수받이덕트(20)에 연결되는 집수정(30)과; 상기 집수정(30)에 연결된 배수관(40)으로 구성된 매설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30)의 외측에는 잡석과 깬 자갈류인 쇄석을 충진하여 구성된 배수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정(30)의 하측 둘레부에는 상기 배수층(50)으로 우수를 배수하는 배수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우수받이 덕트(20)는 상기 집수정(30)의 측면 상측에 연결되고, 배수관(40)은 집수정(30)의 하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수관(40)의 입구(41)에 결합되며 일단으로 연장된 아암(62)이 상기 집수정(30)의 내부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승강되는 마개(60)와; 플랙시블한 재질의 와이어(71)로 상기 마개(60)에 연결되는 부력체(70)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60)는 중간부에 상하로 관통공(61a)이 형성된 마개본체(61)와, 상기 마개본체(6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정(30)의 바닥면에 구비된 브라켓(32)에 힌지결합된 아암(62)과, 일상기 관통공(61a)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64)이 상기 마개본체(61)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며 그 상면에 상기 와이어(71)가 연결되는 보조마개(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지면(10)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받이덕트(20)와; 상기 우수받이덕트(20)에 연결되는 집수정(30)과; 상기 집수정(30)에 연결된 배수관(40)으로 구성되어, 우수가 상기 우수받이덕트(20)를 통해 집수정(30)에 일차 수집된 후, 배수관(40)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배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집수정(30)의 외측에는 잡석과 깬 자갈류인 쇄석을 충진하여 구성된 배수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정(30)의 하측 둘레부에는 상기 배수층(50)으로 우수를 배수하는 배수공(21)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21)은 통형상으로 구성된 집수정(30)의 하측 둘레면과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정(30)에 수집된 우수가 배수공(21)을 통해 상기 배수층(50)으로 유입된 후, 천천히 지면(10)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받이 덕트(20)는 상기 집수정(30)의 측면 상측에 연결되고, 배수관(40)은 집수정(30)의 하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30)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관(40)을 막는 마개(60)와, 와이어(71)로 상기 마개(60)에 연결된 부력체(70)가 구비된다.
상기 마개(60)는 중간부에 상하로 관통공(61a)이 형성된 마개본체(61)와, 상기 마개본체(6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정(30)의 바닥면에 구비된 브라켓(32)에 힌지결합된 아암(62)과, 일상기 관통공(61a)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64)이 상기 마개본체(61)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며 그 상면에 상기 와이어(71)가 연결되는 보조마개(63)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마개(63)와 마개본체(6)가 회동승강되어 배수관(40)의 입구(41)를 단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70)는 밀도가 낮고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의 볼로 구성되며, 와이어(71)에 의해 상기 보조마개(63)의 상면에 연결된 것으로, 집수정(30) 내부에 수집된 우수의 수위가 높아져 감에 따라 상승되며, 우수의 수위가 많이 높아지면(10), 보조마개(63)와 마개본체(61)를 순차적으로 상측으로 당겨, 관통공(61a)과, 상기 배수관(40)의 입구(41)를 순차적으로 개방한다.
이때, 상기 부력체(70)와 마개(60)를 연결하는 와이어(71)는 길이방향으로는 신장되지 않고,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와이어(71)로 구성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80은 상기 우수받이 덕트(20)의 상면에 결합된 우수받이 커버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번호 90은 상기 우수받이 커버(80)의 사이에 결합되는 스틸그레이팅을 도시한 것으로, 우수는 상기 스틸그레이팅(90)의 통공(91)을 통해 우수받이 덕트(20)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30)으로 유입된 우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21)을 통해, 지면(10)으로 배수되며, 집수정(30)으로 유입된 호우 등에 의해 집수정(30)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증가되면, 상기 배수공(21)을 통해서 우수가 전부 배수되지 못하고, 집수정(3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70)가 상승하면서, 상기 보조마개(63)가 부력체(7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져 마개본체(61)의 관통공(61a)이 개방되어 상기 관통공(61a)을 우수가 배수관(4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우수의 양이 더욱 증가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정(30) 재부의 수위가 더욱 상승되며, 이에따라, 부력체(70)가 더욱 상승되어, 마개본체(61)가 승측으로 회동상승되며, 이에따라, 배수관(40)의 입구(41) 전체가 개방되어, 많은 양의 우수가 배수관(40)을 통해 배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는, 집수정(30)에 수집된 우수가 상기 배수공(21)을 통해 배수층(50)으로 유입되어 지면(10)으로 흡수되므로써, 우수가 전부 하천으로 배수됨에 따라 지하수부족이나 건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같이 지면(10)으로 흡수되는 우수의 양은 한정되어 있어서, 호우시 한꺼번의 많은 양의 우수가 집수정(30)으로 유입되면, 상기 배수공(21)을 통해서 우수가 전부 배수되지 못하고, 집수정(3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며 심할 경우, 우수가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70)가 상승되면서, 마개본체(61)의 관통공(61a)과, 배수관(40)을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많은 양의 우수를 배출하므로써, 많은 양의 우수가 발생될 경우에도 신속하게 우수를 배수하여,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하수관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마개(60)가 배수관(40)의 입구(41)를 막은 상태에서, 많은 양의 우수가 집수정(30)에 유입될 경우, 수압에 의해 마개(60)가 잘 열리지 않게 될 수 있으나, 상기 마개(60)가, 마개본체(61)와, 상기 마개본체(61)에 결합된 보조마개(63)의 2단계로 구성되어, 마개(6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부력체(70)가 플랙시블한 와이어(71)로 마개(60)에 연결되어 집수정(30)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흐름에 따라 상하좌우방향으로 요동을 치게 되므로, 마개(60)에 충격이 가해져, 마개(60)가 수압을 이기고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는 우수의 양이 적을 때는 집수정(30)의 둘레면에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지면(10)으로 우수를 배수하고,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10), 상기 부력체(70)에 의해 마개(60)가 개방되어 배수관(40)을 통해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우수를 지면(10)으로 흡수시켜, 지하수부족이나, 하천의 지류가 마르는 건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지면(10)에 매입설치되어 우수를 수집하는 우수받이덕트(20)와; 상기 우수받이덕트(20)에 연결되는 집수정(30)과; 상기 집수정(30)에 연결된 배수관(40)으로 구성된 매설하수관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30)의 외측에는 잡석과 깬 자갈류인 쇄석을 충진하여 구성된 배수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정(30)의 하측 둘레부에는 상기 배수층(50)으로 우수를 배수하는 배수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우수받이 덕트(20)는 상기 집수정(30)의 측면 상측에 연결되고, 배수관(40)은 집수정(30)의 하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수관(40)의 입구(41)에 결합되며 일단으로 연장된 아암(62)이 상기 집수정(30)의 내부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승강되는 마개(60)와; 플랙시블한 재질의 와이어(71)로 상기 마개(60)에 연결되는 부력체(70)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60)는 중간부에 상하로 관통공(61a)이 형성된 마개본체(61)와, 상기 마개본체(6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정(30)의 바닥면에 구비된 브라켓(32)에 힌지결합된 아암(62)과, 일상기 관통공(61a)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아암(64)이 상기 마개본체(61)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며 그 상면에 상기 와이어(71)가 연결되는 보조마개(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KR1020060137103A 2006-12-28 2006-12-28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KR10073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103A KR100739874B1 (ko) 2006-12-28 2006-12-28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103A KR100739874B1 (ko) 2006-12-28 2006-12-28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874B1 true KR100739874B1 (ko) 2007-07-16

Family

ID=3849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103A KR100739874B1 (ko) 2006-12-28 2006-12-28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8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93B1 (ko) 2009-09-30 2010-03-25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우수유입을 방지하는 지하바닥구조물
KR101146131B1 (ko) 2011-12-09 2012-05-16 한병숙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39309A2 (ko) * 2011-09-15 2013-03-21 Han Byung Sook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524223A (zh) * 2017-09-29 2017-12-29 沈阳建筑大学 一种具有净化、蓄储功能的雨水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33Y1 (ko) * 2001-11-22 2002-02-25 이광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20096223A (ko) * 2001-06-19 2002-12-31 김인재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200365516Y1 (ko) * 2004-08-06 2004-10-25 이상우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KR200376677Y1 (ko) * 2004-11-15 2005-03-11 박상순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223A (ko) * 2001-06-19 2002-12-31 김인재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200265933Y1 (ko) * 2001-11-22 2002-02-25 이광의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365516Y1 (ko) * 2004-08-06 2004-10-25 이상우 육상 오물 제거 시스템
KR200376677Y1 (ko) * 2004-11-15 2005-03-11 박상순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393B1 (ko) 2009-09-30 2010-03-25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우수유입을 방지하는 지하바닥구조물
WO2013039309A2 (ko) * 2011-09-15 2013-03-21 Han Byung Sook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39309A3 (ko) * 2011-09-15 2013-05-10 Han Byung Sook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46131B1 (ko) 2011-12-09 2012-05-16 한병숙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524223A (zh) * 2017-09-29 2017-12-29 沈阳建筑大学 一种具有净化、蓄储功能的雨水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379B2 (ja) 雨水浸透桝用フィルタ、及び雨水浸透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0739874B1 (ko)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KR100941693B1 (ko) 집수정
KR100783747B1 (ko) 터널내의 배수로 구조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CN112726659A (zh) 一种双重防倒灌挡土墙排水管及其使用方法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1359138B1 (ko) 하수관거용 해양 오염방지 장치
CN100501019C (zh) 地面集雨快速引蓄渗地的排水装置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KR100816514B1 (ko) 건천방지를 위한 매설하수관
JP7222602B2 (ja) 地表面排水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11080332A (ja) 排水構造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KR200327756Y1 (ko) 도로 배수구조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525059B1 (ko) 건축물의 비탈면 옹벽 보호 구조
KR100570462B1 (ko) 우수배수 저감용 집수정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516777B1 (ko) 투수공을 갖는 집수통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JPH0613870Y2 (ja) 雨水浸透桝
KR102610536B1 (ko) 우수한 악취차단 기능을 구비한 하수구용 플로우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3